[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7 бер 2023
  • #셀렙샵에디션 #셀렙샵
    봄 패션 트렌드가 궁금하다면? 🧐
    #기은세 와 함께하는
    셀렙샵 에디션의 SS 컬렉션을 만나보세요! 💕
    👉 셀렙샵 에디션 봄 컬렉션 t.ly/cmz1
  • Розваги

КОМЕНТАРІ • 476

  • @Hangeul_
    @Hangeul_ Рік тому +684

    난 이걸 보고 시간가는 줄 모르다가 내가 갑자기 똑똑해진 줄 알았는데 내일 되면 다 까먹겠지 ㅋㅋㅋㅋㅋㅋㅋㅋ

    • @ReeZac2
      @ReeZac2 Рік тому +42

      켁ㅋㅋㅌㅋㅋㅋ 딱 내얘기 ㅋㅋㅋㅋㅋㅋ 그 동안봐온거 머릿속에 제대로 남은게 없음 ㅋㅋㅋㅋ

    • @koreachonan9035
      @koreachonan9035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술마신 기분이죠.. 자고 일어나면, 어제 술자리에서의 기분이 재현이 안됨 ㅎㅎ

    • @user-vc9mg7ft3r
      @user-vc9mg7ft3r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

    • @naandmi1761
      @naandmi1761 10 місяців тому +20

      그래서 관심이 중요한것임...관심을 갖게되면 그와 비슷한 정보를 게속 듣게되고 이해하게되고 내것이됨...

    • @user-nk5dq1rz2w
      @user-nk5dq1rz2w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ㅋㅋㅋㅋㅋ 나다!!!!!! 반가워요!!

  • @thilbong
    @thilbong Рік тому +299

    7:30 출연진은 틀린 말 한 건 아닌데, 제작진이 집어넣은 참고사진은 이상하네요. "가채색 전", "가채색 후"라고 했는데 아닙니다. 모두 가채색 후인 사진입니다. 애초부터 가채색을 하지 않으면 이미지가 컬러로 보이지가 않는데, 컬러로 보이는 사진을 놓고 가채색 전이라고 하면 안 됩니다. 둘의 차이는 어떤 파장으로 찍은 색을 어떻게 다르게 가채색을 했느냐의 차이입니다.
    7:38 부터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찍은 용골자리 성운이라고 하는데 둘 다 "허블" 우주망원경이 찍은 사진입니다. 물론 둘 다 가채색을 이미 한 겁니다. `가채색 전`이라고 한 것은 허블 망원경의 근적외선 센서 위주로 가채색한 것이고, `가채색 후`라고 한 것은 가시광선 영역을 위주로 가채색한 것입니다.

    • @user-vz2sc6wf8l
      @user-vz2sc6wf8l Рік тому +25

      어쩐지 가채색전이 더 매력있어 보이더니.....

    • @freeman0584
      @freeman0584 Рік тому +5

      가채색을 하지 않으면 왜 컬러로 보이지가 않는걸까요? 너무 궁금하네요 카메라 성능때문인가요 아니면 물리적 원인 때문인가요?

    • @asdf.990
      @asdf.990 Рік тому +17

      ​@@freeman0584 인간의 눈으로는 볼수없는 빛의 파장은 아주 넓어요 그래서 인간의 눈으로 볼수있는 영역. 즉 .가시광선 범위로 가채색한대요. 영상에서 김상욱 과학자가 설명하죠.

    • @Ryubyuljin
      @Ryubyuljin Рік тому +4

      ​@@freeman0584 후자같아요 가시광선(무지개색)을 제외하고 우리 인간이 볼 수 없는 모든 파장들에다가 색을 아무렇게나 칠해본거고 에초에 대다수의 성운은 거리가 너무 멀어요(제일가까운게 500광년쯤 떨어져있다고 본거같은걸요)

    • @freeman0584
      @freeman0584 Рік тому +3

      아 그러니까 거리가 멀어서 가시광선은 우리 눈까지 도달하지 못하는거군요?

  • @dbfh1258
    @dbfh1258 Рік тому +36

    최악의 한국 문화라고 할까요? 몇년전 드론을 개발 하던 기술진이 있었는데
    시험비행 하면서 추락했고 그 원인을 분석해서 드론 기술진의 실수가 발견 되었는데
    그 몇명의 기술진에게 드론 비용 한사람당 7억씩을 물어 내라고 해서
    말썽이 되고 서울대 학생들이 이것을 공론화 시켜서 비난 한 적이 었었지요.
    그 사건이 어떻게 해결 되었는지 모르겠는데
    이런 나라에서 뭐를 할 수 있을까요? 누리호도 실패하던 날 정말 해괴한 일이 있었지요.
    대통령이 그날 방문해서 발사실에 있던 과학자 전부를 불러내어
    자기 뒤에 세워 놓고 사진 찍고 홍보용 사진 찍는다고 그 후 발사실에 청와대 관계자들 경호원들이
    진을 치고
    대통령이 와서 영상을 찍어서 그 성과를 홍보 해야 하니까 무리하게 발사를 해야 했고
    결국 그날 누리호 발사는 실패 하고 큰 손실을 입었지요.
    이게 후진국 한국의 실태입니다.

  • @user-mv2ni3hp4x
    @user-mv2ni3hp4x Рік тому +122

    여자 교수님 논리적인 언어표현 너무 좋아용❤

    • @user-ve1lb5yy2n
      @user-ve1lb5yy2n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페미 ?

    • @hunyy7764
      @hunyy7764 10 місяців тому

      @@user-ve1lb5yy2n 병신?

    • @user-yv1eh2en7c
      @user-yv1eh2en7c 8 місяців тому

      ​@@user-ve1lb5yy2n저기 있는 사람중에서 여자가 저분 뿐이니 이름 대신 부른거겠지 이게 왜 페미냐..

    • @AutumnSky_
      @AutumnSky_ 6 місяців тому

      @@user-ve1lb5yy2n????

    • @user-rj2xm7mq2l
      @user-rj2xm7mq2l 5 місяців тому +26

      ​@@user-ve1lb5yy2n 뭘 페미까지야;;

  • @user-dy6we4ot6w
    @user-dy6we4ot6w Рік тому +136

    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유머를 이해할 수 없지만
    그 전문가들은 이해하고 토론하고 그걸 즐기는 모습을 보면서
    이해는 못해도 약간의 지식을 쌓아가며 즐기는 평범한 사람과
    이런 프로 보면서 어느 누군가는 꿈을 키우는 사람도 있겠지
    이런 방송 많아졌으면 좋겟다

  • @ROSE_Cook_Trip
    @ROSE_Cook_Trip 4 місяці тому +3

    많은 사람들이 믿음을 가지고 끈기있게 기다려주는 문화가 생겼으면 좋겠네요!

  • @user-ds1gk3tn9p
    @user-ds1gk3tn9p Рік тому +9

    아이고 진짜 인류의 미래를 위해서 고생하시는 분들 너무 감사 합니다.그리고 진짜 우리나라가 더더둑 많이 보고 싶습니다.

  • @Sharrrrrrrrrrr
    @Sharrrrrrrrrrr 8 місяців тому +6

    인터넷에있는 우주사진들 보고 우주에 직접가면 알록달록한 빛으로 예쁘고 신비롭겠다 싶었는데 가채색전 사진들보니 엄청난 공포가 올듯하네요 아무소리없고 너무커서 움직임도 못느낄정도인데 색깔들이 저런 무채색들로 꽉 차있다면 엄청난 충격올듯

  • @serpent977e
    @serpent977e Рік тому +17

    비행 하지 못했다는 건 실패 한게 아니라
    성공에 가까워 졌다는 것이기 때문이죠..
    미국이 강대국이 될 수 있었던 이유 중에 하나이기도 함.
    스타트업 기업을 지원 할 때도 한국처럼 한번 지원해서 폐업하면 빚만 떠안고 끝나는게 아니라
    2번째에 더 많은 지원금이 나옴.
    심지어 그분야의 전문가도 지원해줌.
    이유는,
    두번째는 성공할 확률이 2~3배이상 높다는 것 때문에.
    무엇이 문제인지를 알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으면 다시 지원이 나옴..
    근데 한국은 한번 실패하면 신불자 인생 살고 폭망함.
    절대 새로운 것을 도전 할 수 없는 구조.

  • @moonlightshade89
    @moonlightshade89 Рік тому +50

    퀴즈 별 것도 아닌데 이호 교수님 가장 근사치로 맞추고 환호하시는 모습..귀여우시다!

  • @user-qh2dr5rd6p
    @user-qh2dr5rd6p Рік тому +3

    화성에 기지를 새우고 사람이 살수 있게 하는 일들 좋아 보이기는 하지만 그무거운 건축자재들을 화성 까지 보내려면 얼마나 많은 애너지가 필요 한지 궁금합니다.

  • @god7up
    @god7up 3 місяці тому +1

    다양한 견해 관점 너무 재미있네요 즐감입니다 한시간이 훅 가네요 

  • @user-gp5cp3ii1v
    @user-gp5cp3ii1v 10 місяців тому +9

    장말 멋진 사람들의 이야기..
    또 다시 또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xyzan4220
    @xyzan4220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지적이며 아름다우시네요

  • @bonobono67
    @bonobono67 Рік тому +14

    이런방송 너무좋아요❤

    • @user-ej5hw7pp8o
      @user-ej5hw7pp8o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보노보노 ㅎㅇ

    • @bonobono67
      @bonobono67 6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ej5hw7pp8o 꺄 보노보노다

  • @user-xq5nu7vh6r
    @user-xq5nu7vh6r Рік тому +1

    신진서선수의 멋진 모습을 기대하며,
    응원합니다!

  • @user-er2ko8dx4x
    @user-er2ko8dx4x Рік тому +1

    삶이 힘들거나 척박할수록 .미래가 불투명 할수록 . 꿈은 더 더 커지게 마련이죠..

  • @user-go5dh7ty1f
    @user-go5dh7ty1f 11 місяців тому +14

    5:32 자신도 궁금하다며 웃는 모습에서 자존감과 호기심이 동시에 느껴진다. 얼굴까지 예쁘고.

  • @user-nl6wi9qs9m
    @user-nl6wi9qs9m 3 місяці тому

    맞아요. 유치원 혹은 초등학교 1,2학년 전후로는 불빛이 거의 없어서 밤에 달빛으로 다니곤했었는데...달빛이 이렇게 밝았나? 싶을정도로...달도 선명하고 특히 별은 막 쏟아질것 같이 많았었던 기억이 아직까지 생생합니다.

  • @sunglim3609
    @sunglim3609 Рік тому +6

    재봉사 뿐만이 아니고 각종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 들과 티끌하나도 용납하지 않는 청소부들
    설계사들 계획자들 신소재를 만드는 각종분야의 전문인들... 이루 말할수 없을 정도이죠...
    누구하나 스포트라이트를 받는다는게 어불성설일정도로 여러분야 여러 보이지 않는 곳에서
    종사하시는 님들이 잇기에 이 사회의 모든일들이 잘~~ 돌아가는 겁니다

  • @user-rw2es9fm4k
    @user-rw2es9fm4k Рік тому +5

    속고 속이는 세상!

  • @AR-ne3fs
    @AR-ne3fs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좋은 실수를 하는 방법에서 문득 드는 생각은,,,,,,,, 저는 우리나라 군대도 사병이 훈련하다 다치거나 하면 그 해당 지휘관은 문책을 받거나 진급에 누락이 되고 사병이 훈련하다 아프면 지휘관이 모두 책임을 져야 하니.어느구가 사병들을 훈련을 시킬까..그러니 능력좋은 지휘관이 군생활을 접고 나가버리고,, 무능력한 지휘관이 진급하는 한국군대가 생각나네요.. 모든일을 잘하려면 경험을 많이 해야 하는데 그 경험을 얻기 위해선 실수가 동반되는데...왠만하면 사병들이 다치지 않아야..해야 해당 지휘관은 진급을 하니 어느 지휘관이 군인들을 잘 훈련을 시킬려고 하겠습니까.. 답답해서 한글자 적어봤네요.

  • @letme409
    @letme409 Рік тому +1

    ㅡ2022.6.21.화요일 난
    ㅡ조지아 바투미에서 주그디디에서 갈아타고 메스디아로 가는 작은 시외버스(마슈르카)안에서
    ㅡ수시로 끊기는 인터넷으로 누리호 발사 장면을 보다가
    ㅡ롯켓이 안보일 때 발사 성공이라고 외쳤을 때 10여명의 한국인 동료? 여행객 무반응, ㅡ두세시간 후 인터넷 다시 보니 성공이라며 통신까지 성공은... 이때 다시 옆자리 친구에게 다른 자리 여행객도 들릴정도로 얘기했으나 별반응 없어서 쓸쓸 뻘쭘...
    ㅡ그래도 가슴은 벅찼었다 ❤❤❤❤❤

  • @skyyy1004
    @skyyy1004 Рік тому +6

    로켓방정식의저주얘기듣다가 예전교수님이한말씀이생각나네요 그행성에 지식종이있으면 그행성의 자원과 광물에서 쓸수있을만큼만 과학이 발전한다고.

  • @user-zi5rm3kr1j
    @user-zi5rm3kr1j Рік тому +28

    나사는 실패했다고 쉽게버리지않는다~
    누구보다 잘 아는 실패마저도 아는 전문가로 본다~
    성공 하기위해 필요한 지원을 더 해준다~~~
    나사의 초월클래스~~~

  • @user-er2ko8dx4x
    @user-er2ko8dx4x Рік тому +2

    과연 그 계획이 가능할지. 그꿈이 이루어 질수있을지..
    인간이 살아있는동안 가서 살수있을까요...

  • @King-rv4vi
    @King-rv4vi Рік тому +3

    비행 하지 못했다는 건 실패 한게 아니라
    성공에 가까워 졌다는 것이기 때문이죠..

  • @Namkun11
    @Namkun11 Рік тому +15

    07:38 의 용골자리 성운은 제임스웹이 아닌 허블 망원경이 찍은 것입니다. 사진의 스파이크가 제임스웹이 찍은 형태가 아니며 사진 우측 하단에 설명이 나와 있으니 참조바랍니다 TMI

  • @DOIT-cn1ok
    @DOIT-cn1ok 11 днів тому

    박사님 아름다우시고, 말씀도 잘하시고 1등 신부감이십니다.

  • @user-ph1rc1vo2w
    @user-ph1rc1vo2w 2 місяці тому +7

    우주 사진이 뻥이라는게 충격이네...

    • @user-jt2yy3uy8x
      @user-jt2yy3uy8x Місяць тому

      백퍼 뻥이라고 볼수는 없죠. 예쁘게 보이라고 아무 색이나 칠하는거 아니예요. 측정된 파장을 보고 예상되는 컬러를 입히는 방식이니까

    • @user-ph1rc1vo2w
      @user-ph1rc1vo2w Місяць тому +1

      @@user-jt2yy3uy8x 그래도 뻥이라는거자나

    • @user-ed1lq4kh2x
      @user-ed1lq4kh2x 24 дні тому

      @@user-ph1rc1vo2w 뇌가 없네 얘는 파장이 뭔지도 모르는듯

    • @jje0000
      @jje0000 7 днів тому

      ​@@user-ph1rc1vo2w 무슨소리에요
      우리가 볼수있는 가시광선을 기준으로 봤을때의 색을 입힌거에요
      사진이 거짓인게아니라 현실적으로 우리가 봤을때는 이런색일것이라는걸 채색한겁니다
      제임스웹이 찍은 사진은 적외선 파장으로 찍은거라서 우리가 일반적인 카메라로 찍는 색깔이 안나서 가색이라는 채색작업을 하는겁니다
      사진이 가짜가아니라 그저 색만 입힌거에요
      아니 왜 이렇게 무식해? 영상을 안보고 글적은거에요? 그럼 어느정도 이해해줄수있는데 영상에서 가시광선에대해서 이야기도해주고 가색이라는 채색작업이라고 이야기까지 했는데 와..
      안될과학 우주편에 제임스웹편들 정주행 한번하세요..
      우주과학이 인류 과학의 최종장이에요..
      지금 현재 진행중이고 대한민국은 우리가 욕하는 중국보다 기술력이 떨어지고요..
      물론 지원금이 안나와서 하고싶은거 다 못해서 그런것도있지만 아무튼 그냥 보세요

  • @user-zr3fs2th7z
    @user-zr3fs2th7z Рік тому +1

    외계인은 우리 자신이다
    행성 운석 등이 지구이 충돌했을때
    그때
    모든게 만들어졌다
    운이 좋았어 지구는 그 외계생명체가 지구의 환경이 너무 좋았던거지 살아가고 진화할수있는 모든 환경이 좋았던거야 지구는 바다를 가지고 태어났기때문에 생물들이 살아갈수 있었어 우리가 우주로 나가고 싶은건 귀소 본능이지

  • @user-wg7ed3jl8z
    @user-wg7ed3jl8z 3 місяці тому +1

    15:58 난 항상 기회는 준비된 사람에게 온다 라고 생각했음
    방구석에서 아무것도 하지않으면 기회는 오지않음

  • @user-ip7ek8tr9c
    @user-ip7ek8tr9c Рік тому +5

    예뻐요 ❤

  • @user-kkh1984
    @user-kkh1984 5 місяців тому

    대박
    너무 잘봤어요😊

  • @rance5832
    @rance5832 3 місяці тому

    이분들하고 대화를 하면 얼마나 즐거울까

  • @user-sv3ny1eg7c
    @user-sv3ny1eg7c Рік тому +4

    나와 어울리는 튜브 가장 자세한 표현❤

  • @user-fc09
    @user-fc09 Рік тому +8

    채색 안된 우주가 더 멋지구만

  • @user-lu6lg1zt8n
    @user-lu6lg1zt8n Рік тому +13

    첨성대가 과연 그 용도 였을까요? 그 당시에도 산정상에서 관찰해도 높은곳에서 볼수 있었는데..고작 첨성대 높이 올라가서 본다고 잘 보일까요? 다른 용도 일듯해요.,이유는 자료도 없으니..추측일 뿐이죠..

  • @user-bx7bh3rf7r
    @user-bx7bh3rf7r 2 місяці тому +1

    우리가 보는 우주는 허상이다.
    중력에 의해 왜곡된 공간의 우주상을 보고 있을 뿐이다.
    즉, 중력에 의해 서 앞에 보이는 먼 우주의 모습이 우리의 뒤쪽에 있는 우주 모습과 뒤엉켜 있기 때문이다.

  • @jjd999
    @jjd999 3 місяці тому

    별자리를 분석해 보면 신라 전기시대는 국토가 중국에 있었고 중기 이후로 반도로 차츰 이주하여 터를 잡았다던데 사실인지 아시는 분...?? 너무 궁금해서됴

  • @ChorokWorks
    @ChorokWorks 5 місяців тому

    여러가지로 깨닫고 배우는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심채경박사님 입덕합니다)

  • @shimhkn
    @shimhkn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실패를 용인하는 문화가 부럽네요. 우리나라에서는 국방과학원에서 드론을 연구하는 분이 징계를 받아서 그만두게 되었는데, 그 이유가 고공에서 드론에 성에가 끼는 것을 예측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그런 사실이 감사원 감사에 걸려서 옷을 벗게 되었다고 합니다. 미국 같았으면 ADD에 계속 남아서 더 훌륭한 연구를 계속했지 않았을까 싶네요.

  • @sjy5397
    @sjy5397 4 місяці тому

    우주에 방사능이 엄청난데 우주복은 무슨 섬유로 되어있어서 방사능을 차단 하는지 궁금하네요

  • @user-jf3nv4xv5j
    @user-jf3nv4xv5j 3 місяці тому

    아름답다. 이게 삶이지.

  • @paullim8000
    @paullim8000 4 місяці тому

    캐나다 락키산맥위에 놓여진 고속도중 수십킬로미터 이내 가로등 불빛도 없을만큼 외진곳에 차를세워놓고 밤하늘을 보면 그 즉시 차에 올라타서 전속력으로 달리게 됩니다. 하늘이 정말 무서워요. 굉장히 밝은 하얀색 도화지 위에 검은점 몇개 찍놓은것처럼 보이거든요. 과장된 표현 아닙니다 ㅎㅎ 그 어떤 사진도 우리가 본 장면을 대신해줄수가 없네요. 우리가 평상시 보는 밤하늘과는 정 반대에요.

  • @user-ei9gi9qr3d
    @user-ei9gi9qr3d 4 місяці тому +1

    그래서 관련종목 뭐사면되요?

  • @minajoh8567
    @minajoh8567 Рік тому +14

    지식인들의 유머 ㅋㅋㅋㅋㅋ😂

  • @user-ho2eh7in7z
    @user-ho2eh7in7z Рік тому +3

    과학유튜브를 보다 보면 채색된 우주사진보고 아름답잖아요, 멋지지 않아요 경이롭지 않아요? 이런 감탄사를 남발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지 않았으면 좋겠다 과학이 무슨 쇼도 아니고, 원래 색이 아나라 가채색 된건데 감탄사 연발하며 남의 동의를 이끌어 내려는 모습이 너무 많다 . 난 차라리 임의로 채색된 사진이 아니라 그냥 원본을 보여줬으면 좋겠다,

  • @ls603090
    @ls603090 3 місяці тому

    창조의 기둥은 원래꺼도 예쁘네

  • @ykkim1565
    @ykkim1565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우리가 아는 지구의 모습도 그래픽이다

  • @user-kg9ju5et9f
    @user-kg9ju5et9f 10 місяців тому

    우주라는 범주를 지구가 속해있는 네바돈우주를 제외하고 보아야 제대로 보고 있는 것입니다
    생명체(어.조.갑.주)들이 살고 있는 핼성만 360만개 입니다
    우주는 행성>>항성>>소우주>>대우주>>은하>>대은하>>파라다이스 등으로 짜여져 있는데
    우리가 속해있는 부분을 가지고 우주 전체를 말하고 있는 것은 모순입니다

  • @user-gu5hr5yw3f
    @user-gu5hr5yw3f Рік тому +5

    별들도 제각각 다 색깔이 있다고 ...인간들도 그렇고 ...무지개가 있잖아 ...일곱빛깔로 우주는 색깔을 다 이루고 사는거야

  • @user-pr1cy1wx6d
    @user-pr1cy1wx6d 4 місяці тому +1

    우주는 우주 그대로여서 아름답고 신비로운건데 가채색 안 했으면 좋겠네요.. 가채색 안 한 것도 되게 신비롭고 그 자체로 고결하고 예쁜데..

  • @user-uj4jp3jz8s
    @user-uj4jp3jz8s Рік тому +5

    경남의 우주항공청 설립을 응원합니다.

  • @dslee1230
    @dslee1230 Рік тому +4

    첨성대에서 별을 관측하나
    땅에서 관측하나 눈으로 보는데
    그 몇 m가 관측에 영향을 줄까?
    왜 힘들게 좁은 곳에 올라가 관측을 하냐는 거임!
    누가 아는 사람?

    • @dongsik2_
      @dongsik2_ Рік тому

      고정된 상태에서 관측해야
      별이 움직이거나하는걸 관측할수 있어서
      그런게아닐까요?

    • @_chobi3248
      @_chobi3248 Рік тому

      @@dongsik2_ 첨성대가 회전 포탑식으로 돌아 간다면 인정.
      주구장창 한군데만 보는 관측소라면, 오히려 선조들은 바보였다는 증명.

    • @dslee1230
      @dslee1230 Рік тому

      @@user-ec5me1xf9f 광해!! 빛공해 피해서 산으로 간거에요! 날씨도 포함
      그래서 건조한 지역 남미 칠레 등
      높은 산에 있는
      이유겠죠!
      첨성대 그 1평 넓이에 위태롭게 왜?!?! 거기서 관측할까요 바보가 아닌
      이상..

    • @hyeongtaekim4323
      @hyeongtaekim4323 Рік тому

      @@user-ec5me1xf9f 높이가지고 논하는게 아니라 주변의 간섭물질을 피해서라면 평지보다는 산봉우리가 훨 났죠. 평지는 안개 연무 인간의 불빛등 간섭물질이 상대적으로 많죠.

    • @zackjack3455
      @zackjack3455 Рік тому

      뭔가 해보겠다는 의미 의지 같은거.. 참성대가 우주관측하는데 큰 의미는 없다고 생각해요 그냥 땅에다 짝대기로 죽 긋고 하는거랑 뭐가다를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 @changwonpark8697
    @changwonpark8697 Рік тому +10

    맨 눈으로 보아도 쌍안경으로 보아도 오리온이나 다른 별들의 일부는 색깔이 보입니다.
    가채색이란 말 첨 들어보는데 내 나이 77시에 어릴때부터 지금까지 천체에 대해 엄청 큰 관심과 취미를 갖고 살아 왔는데
    약간의 거짓이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공기나 짙은 먼지등 음의 전달매체가 아예 없는 상태에서는 스피커에 손을 가까이 대더라도 진동도 느껴지지 않을 것 같네요.

    • @user-dd7jd4yk6f
      @user-dd7jd4yk6f Рік тому +1

      어르신
      째튼 중력은 거짓말 이옵니다
      공기의 밀도는 엄칭나게 크답니다
      즉 그 무게(질량)는 어마어마합니다
      그래서 세상모든 동식물들이
      눌리켜 있는 원리죠

    • @user-cv8oz9qp9t
      @user-cv8oz9qp9t Рік тому +10

      사실 이런 많은 사람들이 시청하는 방송에는 전문적이고 깊은 내용을 넣기에는 힘들기 때문에 그 양을 조절하다가 가끔 내용이 꼬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새로운 내용을 알게되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불신'의 눈보다는 '비판'의 눈으로 봐주셨으면 합니다. 저 또한 제 열아홉이란 어린 나이에 천체에 관심이 많아 공부를 많이 했습니다. 천체관측에 흥미도 많아 집에 망원경이 한둘이 아니죠..ㅎㅎ 저도 망원경으로 오리온자리의 별들이나 은하들을 관측하고 촬영할 때면 색깔이 있는 형태를 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본 영상에서 다루고있는 천체사진은 모두 '천체망원경'이 아닌 '우주 망원경'으로 찍어낸 사진들 입니다. 말씀중에 '별'들의 색깔을 맨 눈으로 볼 수 있다고 하셨는데, 우리가 맨 눈으로 별들의 색은 볼 수 있지만 '우주 망원경'으로 '성운'의 색을 볼 수 없는 이유는 쉽게말해, '온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물체는 온도에 따라 에너지별 파장을 방출하는데(흑체복사이론), 별은 온도가 높아, 높은 에너지부터 낮은 에너지까지의 파장을 방출하여, 멀리있는 우리도 그 에너지 파장(그 파장중에서도, 가시광선 영역에 해당하는 파장만을 볼 수 있겠죠.)을 관측할 수 있는겁니다. 반면에, 제임스웹 우주망원경과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여러 '성운'들의 온도는 색을 관찰할 수 있는 '별'보다 현저히 낮습니다. 때문에 낮은 에너지의 파장밖에 방출할 수 없는데, 그마저도 대부분의 가시광선의 영역에 해당하는 파장은 관측자(우주 망원경)에게 도달하기 전에 이미 에너지를 잃기 때문에 에너지가 낮은 적외선, 즉 우리가 눈으로 색깔을 감지하지 못하는 영역의 에너지 파장을 방출합니다. 때문에 우주 망원경이 적외선 영역의 파장을 감지하여 촬영한 사진에 색을 추가하여 사람들에게 발표하는 것이죠.(색을 추가하는 법에 대해선 '자세히' 아는 바가 없어 죄송합니다)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이는 것은 전혀 쉬운 일이 아니지만, 부디 배타적인 자세를 지양해주시기바랍니다. 흐르지않는 물에 생명은 살지않는다고 하죠, 지식의 흐름은 머리에 창의력과 상상력이 들어갈 자리를 마련한답니다.

    • @bsy2421
      @bsy2421 Рік тому

      @@user-dd7jd4yk6f 과학자들이 다 자기보다 멍청한 줄 아는 모양이네
      뉴턴이 무덤에서 나오게 생겼네

    • @resethard1277
      @resethard1277 11 місяців тому

      @@user-dd7jd4yk6f
      그럼 그 공기가 어째서 흩어지지 않고 모여있는가?

      설명하려면 어차피 중력이란 개념의 도입이 필요하단다….

  • @moonbj2182
    @moonbj2182 Рік тому +3

    자연은 색깔과 형상이 없어 색깔은 객관적 존재가 아니라 주관의 느낌이다.

  • @Gimbal_King
    @Gimbal_King Рік тому +8

    *_화성은 이주정착이 불가능 합니다 지구의 기술로는 앞으로도_*

  • @user-uy1bf7cj5u
    @user-uy1bf7cj5u Рік тому +1

    우주도 사람들이 만들어 낸 거지 우주 라는 공간이 무한대 이고 우주를 벗어 날수가 없는데

  • @user-xg3qm4jp3j
    @user-xg3qm4jp3j 4 дні тому

    우주가 존재하지 않는다는걸 어떻게 알았는지 궁금해서 남깁니다.
    그렇게 상상하신분 이랑 연락해보고싶네요

  • @bakasary
    @bakasary Рік тому +2

    지구에서도 인간이 멸종하니 마니 하는데 화성에서 어지간히도 가능하겠다.
    자기장도 제대로 못 만들어 우주 방사능을 막지 못하는 거 하나만으로도 화성은 아니야!
    화성으로 갈바에는 지구에서 살아남을 방법을 찾아내는 게 더 쉽지 않겠어?

  • @bsy2421
    @bsy2421 Рік тому +4

    채경, 달 연구가? 되게 매력있고 호감가네.. 우주복 얘기 신선했고, 우주복 1억은 제일 웃겼고...

  • @user-kj8bh2om4p
    @user-kj8bh2om4p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돈 많은
    일부 사람들은 화성에 가고
    지구에 있는 가난한 사람들은 자기들의 집이 물에 잠기고
    먹을 것 없이 떠돌아 다니는 신세가 됨!
    과연 화성의 도시는 누구를 위한 도시일까?
    축복받은 지구를 버리고
    척박한 화성을 굳이 가려는 것이 과연 꿈 같은 일일까?
    미래를 위한 일일까?
    씨앗만 심어도 과일이 나고 야채가 나고
    새끼를 품어 가축들이 번성해가는 이 지구가 망가지고 있는데
    화성에 무슨 미래가 있다고 착각을 하는건지?

  • @charleskim2184
    @charleskim2184 5 місяців тому

    첨성대 위에서 만원경으로 보나 땅에서 만원경으로 별을 보나 뭔 차이지?

  • @user-hs5rx9ej4c
    @user-hs5rx9ej4c Рік тому +2

    음식이 침 다 튄다.

  • @SB_K.
    @SB_K. Місяць тому

    20:40 지점 박사님이 들고계시는 책이름이 무었인가요?

    • @2bam269
      @2bam269 6 днів тому +1

      Spacesuit Fashioning Apollo 라는 제목의 책이고, Nicholas de Monchaux 저자의 책 입니다. 박사님이 말씀하신 내용들이 전부 다 담겨 있는 원서에요.

    • @SB_K.
      @SB_K. 6 дн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Davaraya
    @Davaraya Рік тому +18

    첨성대는 선덕여왕이 하늘의 기운을 타고 태어났다는 기념적 건물이기도하고 직접 선덕여왕이 별을 보고 그 사각형모양 하늘로 점을 치고 하늘을 읽기위한 공간이였답니다. 사실 첨성대 윗쪽으로 특수한 별자리 모양이새겨진 얇은 수를 놓은 비단이나 유리렌즈로 만든 도구 같은걸 끼고 별자리가 지나갈때 그 투명한재질로 된 모양이 맞춰지면 거기서 별의 신성한기운을 받는다고하여서 이를 믿음을 근거로 하늘을 천문 하고 연구했습니다. 즉, 망원경의 몸통이 첨성대가된것이고 그 안에서 렌즈비슷한것으로 하늘을 관측했던거랍니다..
    렌즈의 빛의 굴절에 의하여 유난히 밤하늘에서 빛나는 별이있었는데, 그것을 토대로 신성한 빛을 받고 찾아내어 각성상태(?)에 들어갔을때 더욱이 점성술 효과가 잘 나타났었다고합니다.

    • @JeongHwanKim-bl2ur
      @JeongHwanKim-bl2ur Рік тому +2

      어떤 사료에 이런 자세한 기록이 남아 있나요?

    • @user-dd7jd4yk6f
      @user-dd7jd4yk6f Рік тому +1

      하늘이 내리긴 뭘 내려 ㅋㅋㅋ
      나사가 보여준 가짜cg우주로 친다면
      하늘이 내려줄수가 없지 ㅋㅋㅋ
      즉 나사의 우주배경이 가짜니깐
      하늘이 내려준다는 말에 신빙성이 더 갈 수밖에
      ㅋㅋㅋ

  • @wow81661
    @wow81661 День тому

    세상은....
    요지경.....
    여기도..
    짜가...
    저기도....
    짜가..........

  • @baroo2180
    @baroo2180 11 місяців тому

    진짜 현실은 아무 감동도 화려함도 없지..당연하지 않나..우주도 그렇지..근데..당장 눈앞에 죽을만큼 힘든 현실을 주는게 실제지..그게..당장 우리가 블랙홀로 빨려간다면 어쩔까..그게 현실일건데...단..몇십만년 뒤에

  • @ellenanana717
    @ellenanana717 11 місяців тому

    개놀라는게 부스터 알아서 다시 복귀하는 기술 보고 개놀람.

  • @user-nt2wb2rp8i
    @user-nt2wb2rp8i 6 місяців тому

    BTS RM 까지 나올줄이야 대박~
    근데 얼굴이 약간 변한듯~

  • @user-bb1xu2pg1c
    @user-bb1xu2pg1c Рік тому +3

    좀비가 뭐 생각이 있어서 배회하는건 아니니까! 최소한 좀비에겐 식욕이라도 있지! 저것들은 쌍욕밖에 안나오네!

  • @user-sw6nd1ev4e
    @user-sw6nd1ev4e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존재하지도 않는 우주를 소재로 대화를 하는 사람들...
    참 상상력이 풍부한 사람들이네요. ㅋㅋㅋ

    • @user-sj2wm3gn9q
      @user-sj2wm3gn9q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우주복이 백억에다가 대소변처리기능까지 있다니 이걸 믿을거라고 헛소리를 전그냥 웃습니다

    • @user-sw6nd1ev4e
      @user-sw6nd1ev4e 10 місяців тому

      @@user-sj2wm3gn9q 뇌가 없는 둥글이들은 그보다 백만배나 황당한 소리를 해도 다 믿습니다. 둥글이=좀비라는 말이지요.

    • @sanghan2427
      @sanghan2427 6 місяців тому

      200미터도 안되는 땅굴조차도 못찾으면서 몇억광년이 어쩌구하는 우주를 가고 화성도 가고 ...
      달도 가고... ㅎㅎㅎㅎㅎ
      대소변 해결에 궁금증을 우주복이란 특수소재 (말) 한마디로 해결하고...
      대단하십니다.

  • @ek010301
    @ek010301 Рік тому +8

    전지현씨 보다더 매력적인 묘하게 닮은 분이 설명해주는 묘한 분야

  • @francescacho7422
    @francescacho7422 Рік тому +2

    호주노인들은 병원에 입원하는것을 무서워하는편입니다.
    응급실에 온 노인이 움직이는침대에눕지 않고 앉아서울고있는것을 딸이 괞찮다고 계속말하는것을 본적 았어요. 그리고 어떤이는 수술후에 정맥주입기바늘을 빼달라고간호원에게했는데 다른병을 쓸지모른다고 그냥두덨답니다.
    그리고 병원에서 정맥주입기 맞을때 공기가 들어가서
    공기빼달라고했더니간호사가 괜찮다고하고 공기가들어가면 허파로 다나온다고하면서 도와주지않았답니다.그래서 많은공기가 한꺼번에 다들어갔다고합니다.얼마나 무시무시합니까?
    무얼시험하려하는건지....

  • @sung94132
    @sung94132 Рік тому +1

    달에 묻힌다......감동 입니다. 근데 명왕성으로 유해를 보낸 사람도 있다니! 허허

    • @user-dd7jd4yk6f
      @user-dd7jd4yk6f Рік тому

      ㅋㅋ 그걸 믿니?
      재밌네

    • @sung94132
      @sung94132 Рік тому

      이 무신....ㅉㅉ 나라의 격이 쭉쭉 떨어지네요

    • @sung94132
      @sung94132 Рік тому

      @@user-dd7jd4yk6f 그럼 지구가 평평한걸 믿으십니까 어르신?

    • @user-dd7jd4yk6f
      @user-dd7jd4yk6f Рік тому

      @@sung94132 아가야 나의 아가야 ㅎㅎ
      이 애비는 말이다
      최소한 둥글다는 건 안 믿는단다 아가아 까꿍~
      평평한건 둘째치고 말이다 까꿍아 ㅎㅎ

    • @user-dd7jd4yk6f
      @user-dd7jd4yk6f Рік тому

      @@sung94132 애기야 나의 애기야
      이 애비는 최소한 중력은 없다는걸 안단다
      공기가 얼마나 무거운디 애기아 ㅎㅎ
      만질수도
      맡을수도
      보이지도 않지만
      분명 존재하는건 맞잖아 애기야 까꿍~~~~~

  • @woo99jae38
    @woo99jae38 4 місяці тому

    😊

  • @li0net
    @li0net Рік тому

    moon machines 라는 다큐보면 자세히 알수있어요.

  • @user-zu4nw7vh5x
    @user-zu4nw7vh5x 7 місяців тому

    압축된 지성미의 발현

  • @user-vt4pv5oj7i
    @user-vt4pv5oj7i Рік тому +8

    안타까운 소식을 전해야 겟네요
    대한민국 누리호를 개발했던 프로젝트 팀을 지금 정부에서 해산시키고 모두 뿔뿔히 흩으셨습니다.
    연구원들이 대대적으로 문제 제기를 했지만 그렇게 되었습니다.
    미국가서 자체 핵개발 포기와 원전 수출 포기 약속을 하고 돌아온 것과 연관이 있을거라 봅니다

  • @Js-sz5vr
    @Js-sz5vr 5 місяців тому

    우주의 행성들은ᆢ색갈보다ᆢ선명한 빛이라고봅니다ㅡ그래야 윤곽을 밝게 보잖아요.

  • @potentor3176
    @potentor3176 Рік тому +2

    아.. 슬프다. 충격이다. 색칠 공부라니..

  • @Kim_Chucky
    @Kim_Chucky 5 місяців тому

    우주복에도 꼬부심은 못 참지

  • @kiwonlee7307
    @kiwonlee7307 Рік тому +8

    재밌네요. 그런데 좀 모자란 애들이 과학적 상식보다 비과학적 음모론을 곧잘 믿곤 하는데, 여기에도 많이 몰려왔네요. 이젠 귀엽다기보다 바퀴같아서 좀 징그러운 느낌임.

  • @user-hl2wo7no9k
    @user-hl2wo7no9k 2 місяці тому

    진짜 이쁘네요!
    심은하 인줄!
    결혼해주세요!

  • @hoonchang473
    @hoonchang473 Рік тому +14

    우리는 우리의 눈으로 보는 모습외엔 볼수가 없는데 왜 그걸 자꾸 가짜라고 하는걸까요? 그게 무슨 대단한 의미가 있는 말인것처럼. 언어적으로 가짜,진짜란 용어는 적어도 우리가 가짜가 아닌 진짜의 내용을 알수 있을때 이것은 가짜고 저것이 진짜라고 말할수 있는 것일겁니다. 진짜란 개념도 인간세계에서만 이해될수 있는 거고요. 마치 큰 의미가 있는것처럼 진짜니 가짜니 하는 거는 과장된 표현이고 그 역시 인간 만의 개념으로 하는 구분이기에 가짜인 거지요. 그냥 인간은 인간의 눈이 제공하는 방식으로 밖에 사물을 볼수 있을 뿐이다 라고 말하면 족할 겁니다.

  • @user-wq7ri6yh5t
    @user-wq7ri6yh5t 4 місяці тому

    몇천년후에 다른행성으로 Ai보내고 인류는 멸망하고
    보낸행성에선 AI가 AI를 만들고 교육하고 문화도 생기고..
    AI가 이렇게 생각할듯 싶네요
    어떻게 진화했고 조상은 누굴까
    그러다 초기에 보내진 Ai들은 인간이란 존재를 알고 전파하지만
    점점 신화가 되어버리고~

  • @whitedog119
    @whitedog119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인류가...다행성 종족이 되면...이후 일어날 참사가...무섭다....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예루살렘전쟁이 우주버전이 될수도 있다는사실....지구는 본디 우리행성이였다...하며...싸우는 멍청한짓은 안했으면 좋겠다....

  • @user-vm5vg7pv3l
    @user-vm5vg7pv3l 4 місяці тому +1

    따라서 우주에서는 몸의 수분이 지속적으로 빠져 나간다고 볼 수 있음. 목같은 곳은 기가 돌지 않으면 수분이 빠져 나가 컬컬 해짐.

    • @user-vm5vg7pv3l
      @user-vm5vg7pv3l 4 місяці тому

      조금더 말하면 이러한 상황이 미이라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매칭 됨.미이라는 생기가 이르면 깨어나 자신의 몸을 찾아 들어간다고 보면 됨.

  • @user-zb6ti6ii8s
    @user-zb6ti6ii8s Рік тому

    돔식...도시는 가능합니다...

  • @user-nt3pc5dg2q
    @user-nt3pc5dg2q 4 місяці тому

    반세기 전에 갔던 달을 왜 아직도 다시 못가고 있는가? 답은 인류는 아직 한번도 달에 간적이 없어서다. 😢

  • @artemis_yoon
    @artemis_yoon Рік тому

    천둥이나 번개는 우주에서 안들리나요?

  • @user-fh6fs8tt3s
    @user-fh6fs8tt3s Рік тому

    내셔널지오그래픽에서 본 기억으로는 1벌에 120억이라 그랬는데

  • @kartegonet
    @kartegonet Рік тому

    RM?

  • @son-namgi
    @son-namgi Рік тому

    시체에 화장한 것에 비유되네요 사실 우주는 지금 죽어 있는데 살아있는 것처럼 거짓으로 꾸미고 있습니다 언젠가 다시 살아날 것이구요

  • @user-lx9pw4nv6f
    @user-lx9pw4nv6f 5 місяців тому

    언젠가 외계행성과 전쟁이 일어난다면, 그건 지구를 떠난 인류일 가능성이 상당히 농후하다.

  • @tommyko9223
    @tommyko9223 7 місяців тому

    2:50 / 1:06:54 이어보기

  • @user-eo4vg4ir4y
    @user-eo4vg4ir4y Рік тому +12

    뭐? 우리가 본 우주 사진의 컬러는 실제가 아니라고?
    그 신비함이 가짜였다니 충격이 있는데

  • @america3178
    @america3178 20 днів тому

    우주방사선도 막아줘야죠

  • @youngkang1173
    @youngkang1173 10 місяців тому

    Seamster 는 남자재봉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