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라이트] 매우 좋은 내용인데 아직 못 본 분을 위한 요약본 (법무법인 율촌 최준영 전문위원)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тра 2024
  • 풀버전 링크 • 어쩌면 K-드라마가 전세계 저출산의 원인...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КОМЕНТАРІ • 728

  • @understanding.
    @understanding.  29 днів тому +15

    풀버전 링크입니다 ua-cam.com/video/CoaOB2ua3zw/v-deo.html

  • @doslrnt
    @doslrnt 28 днів тому +350

    이 분석이 제일 현실적이고 와닿음. 우리보다 몇십년 먼저 가족친화정책에 세금때려 부은 유럽도 결국 출산율 유지한건 아프리카와 아랍계 이민자들이지 백인들이 아님.
    돈을 아무리 퍼부어봤자 가치관이 바뀌지 않으면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 이게 핵심. 아시아인과 백인들의 가치관에는 내가 중요하고 경쟁을 해서 나 자신의 성공이 중요하지 아랍계나 아프리카, 중남미 히스페닉들처럼 결혼해서 가족을 꾸리겠다는 가치관 자체가 없어진지 오래임. 동양인들, 특히 동아시아인들은 심지어 다른 나라에 이민가서도 출산을 안 함. 과거에는 극한의 경쟁이 인류의 경제를 발전시켰지만 성장이 정체된 지금은 극한의 경쟁이 오히려 자기자손들은 경쟁에 휘말리게 하고 싶지 않다는 가치관에 의해 인간의 종족번식 본능을 억누르게 되면서 국가의 미래성장의 원동력을 떨어뜨리는 아이러니한 결과를 낳음.

    • @user-gg6qb8nt4x
      @user-gg6qb8nt4x 28 днів тому +5

      공감합니다

    • @searchboy7913
      @searchboy7913 28 днів тому +15

      아프리카와 아랍계 이민자들도 이민 2세대부터는 별 차이도 없다네요.. 그냥 세계적 추세인가?

    • @gijehtog
      @gijehtog 27 днів тому +17

      이진우씨는 오늘도 자기 집값을 변호하는 멘트를 하는구만 ㅋㅋ 근데 패널이 안 받아주네

    • @user-tk4pd9lw6s
      @user-tk4pd9lw6s 27 днів тому +2

      개인의 가치관 중에 극심한 경쟁이 문제라면 과거 노예들은 경쟁이 없는데 왜 자식을 많이 낳을까요??
      출산율 변화에서 개인의 가치관은 어떻게 변했는가??
      1.고소득 국가들에서 생기는 문제이면서.
      변화율은 급격한 경제 소득(아시아)과 완만한 경제 소득(북 유럽) 과 같이 출산율 감소 속도도 같이 변동한다는 것입니다.
      2.문화(개인 주의.공동체 문화)와 개인의 가치관(자아 실현) 변화.
      서구(개인주의.이기주의) 문명의 끝은 이기적인 사회가 된다는 것입니다.
      동양(공동체) 사회에 적용되는 문명은 서양(이기주의)의 제도.정책.교육.법. 등으로 문화가 변화고 길들여진다는 것입니다.
      3.개인의 가치관(자아 실현)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가져온 부정적인 영향(출산율 감소)인 것입니다.
      4.자아실현은 노력하는 것(겸손)이지. 달성되는 결과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도달할수 없는 목표을 할수 있다는 착각을 한다는 것입니다~!!
      예. 행복한 인생은 역사적으로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행복한 삶은 없어도. 만족하는 삶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5.인터넷.스마트 폰의 보급은 편향된 정보 제공으로 편협하고 이기적인 인간형을 양성한다는 것입니다.
      예.문명의 이기(편의성)성이 불러온 단점.
      6.자유 시장 제도가 불러온 가족제도의 변화
      예.대가족 제도~핵가족제도~원자 가족의 탄생(1인 가족.펜데믹이후 급증)
      가족에 대한 정서(가치관)가 변했다.
      7.어른들의 잘못된 교육관(경험적)
      무책임하고 자기 중심적 가정환경에서 자라난 성인은 자연스럽게 무책임하고 자기 중심적 사고로 남탓을 많이 하고. 감정 조절(욕을 많이 한다)을 못한다.!!
      예.과거 대학 졸업은 30%로 기회도 돈도 많이 벌었다는 인식(경험)으로 훈육을 한다.
      현실은 대학 졸업이 70%가 넘는다는 사실이고 취업도 기회도 적다는 현실을 모른다는 것이다~!
      결론. 얻는 것이 있으면 잃는 것도 있다는 것입니다~!!!
      둘다 만족하는 해결책은 존재할수도 없고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망각한다는 것이죠~!

    • @dangazi7
      @dangazi7 24 дні тому +5

      @@user-tk4pd9lw6s 그땐 콘돔이 없어서~

  • @user-eu4sw6ts3z
    @user-eu4sw6ts3z 9 днів тому +13

    이게 맞는거 같음... 싱글대디로 혼자 5학년까지 키웠는데 대충 키우고 학원 안보내고 집안일 조금씩 시키고 하니까 별로 힘들지 않았음
    늦기 전에 기회되면 둘째 키울까 싶기도 함

  • @polylifecreater
    @polylifecreater 28 днів тому +92

    이건 무조건 풀 버전 보세요 진짜
    몇년간 들은 문제점 파악에 대한 통찰력도 최고 해결책도 제일 이해감
    인사이트는 이런걸보고 ❤❤❤❤❤❤❤❤❤❤❤❤❤❤

  • @asdfpoiuymnbvqwer
    @asdfpoiuymnbvqwer 28 днів тому +46

    결론은 첨에는 열심히 하면 블루오션이라 됐지만 이젠 다같이 열공하고 고학력이니 다시 원점이니 이제 지쳐서 안한다 끝!

  • @user-nu7bg3nq3v
    @user-nu7bg3nq3v 28 днів тому +66

    씁슬하지만 너무 정확한 진단이라서 수긍할수 밖에 없네요...

  • @user-yt5ml5iv1x
    @user-yt5ml5iv1x 28 днів тому +31

    타노스를 찾을 필요가 없는 대한민국 넘버원

  • @user-iw2lh1ip8d
    @user-iw2lh1ip8d 28 днів тому +5

    좋은 컨텐츠에 감사드립니다.

  • @user-fv2kg4sl2x
    @user-fv2kg4sl2x 28 днів тому +14

    최고의 인사이트입니다. 많은부분 공감합니다😂

  • @user-tl9rs1nn8l
    @user-tl9rs1nn8l 28 днів тому +10

    정말 유익한 지식입니다.

  • @adjective999
    @adjective999 28 днів тому +135

    원래 쌉고인물RPG게임은 섭종이 당연한거임.

    • @user-qz6xo5of9q
      @user-qz6xo5of9q 24 дні тому +2

      인류는 곧 섭종하겠군여

    • @user-ie2qc6vl2p
      @user-ie2qc6vl2p 7 днів тому

      차라리 핵전쟁 한번하고 리셋하는것도 나쁘지는 않음

  • @Gloria-jf4oh
    @Gloria-jf4oh 28 днів тому +25

    대가족 시대이후 핵가족 시대에는 내가 아닌 어린아이가 커 가는 과정을 본적 없는 성인이 많음.어떻게 키워야할지 모르겠고 돈과 시간.공간..게다가 내 커리어까지..모두 흔들어 놓으니 아이는 부담스러운 존재가 되었음.

    • @KoreaNyangTiger
      @KoreaNyangTiger 17 днів тому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넘어온 이유를 봐야하고, 그건 결국 가족을 중시하지 않아서임. 가족이라는 것의 신성함은 종교말고는 세속적 사회에서는 찾을 수 없음.

  • @mydream_14_TomSawyer
    @mydream_14_TomSawyer 28 днів тому +103

    결론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사람답게 사는 기준이 높아지는게 원인이라는 거임
    굶지만 않아도 만족하는 대륙은 아프리카가 유일하니깐
    출산율이 높은 대륙은 아프리카 뿐이라는거

    • @namja2yagi
      @namja2yagi 28 днів тому +6

      사람답게 사는 기준이 높아진게 아니라 애들 케어를 어쩧게 하냐의 기준치가 높아지고 그래서 케어시간이 높아지고 돈이 더 많이들고 하는게 원인임. 비슷 하지만 완전이 다른거임.

    • @syukaforever
      @syukaforever 28 днів тому +12

      아프리카마져 출산율이 내려가고있어요
      여성들 교육수준이 높아지면서 낮아졌다네요
      피임등을 좀 더 적극적으로 하는 영향같습니다

    • @user-xp5hc5ls3c
      @user-xp5hc5ls3c 28 днів тому +2

      부채임. 부채로 빈부격차 키우고 남녀싸움 시키니까 한국이 꼴등임. 본질을 피하면 안됨

    • @user-tk4pd9lw6s
      @user-tk4pd9lw6s 27 днів тому

      ​@@syukaforever님같이 말하는 논문은 많이 있습니다~ㅠ
      그 논문으로 출산율 해결한 나라가 존재합니까??
      반대로.여성의 교육 수준을 낮출수 있는 방법은 있습니까?
      방법도.원인도 될수 없는 것으로 어떤 문제을 해결할수 있나요?
      수많은 논문은 출산율 낮은 사회의 사회 현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필요 조건은 될수 있어도. 충분 조건은 될수 없다는 것입니다~!!!

    • @syukaforever
      @syukaforever 27 днів тому

      @@user-tk4pd9lw6s 논문이아니라 월스트리트 저널인가에서 나온 저출산 분석글로 기억하고 언더스탠딩 어소장님이 다뤄주셧던 주제였어요
      지금의 선진국들 출산율은 이민자들이 이끄는데 이사람들도 2세들부턴 출산율이 또 낮아지는 현상을 보이며 이야기하는 글이였는데 대책이없다는 논조로 기억합니다
      지금 저출산을 해결한 나라가 없고 전세계가 애를 안낳는데 해결을 논하시면 곤란할것같아요

  • @user-yl5fs2bj6e
    @user-yl5fs2bj6e 28 днів тому +5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 @dal22
    @dal22 25 днів тому +3

    항상 고맙습니다 ❤❤

  • @sang-hiukkim3935
    @sang-hiukkim3935 26 днів тому +8

    군대와 보급품 비유에서 무릎을 탁 치게 됩니다. 허허...진짜 공통점인걸.

  • @user-sj5fy6jc9r
    @user-sj5fy6jc9r 28 днів тому +42

    이 분이 어느정도 정확하게 아시네요.
    저출산 이제 못 막습니다.
    여유가 있다는게 부모의 지원이 많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대기업 or 전문직 이어도 부모가 못 살면 아이 낳아 키우기 빡셀겁니다.
    근데 그런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가 우리나라에 몇% 될까요?

    • @user-wt4py6jy2o
      @user-wt4py6jy2o 28 днів тому +9

      키우기 빡세다가 보다는 굳이 그렇게 할 필요가 있나라는 문화가 생겼다는 거죠. 내 한 몸 잘 살고, 편안하게 살면 되지. 주변 보니 다들 자식 새끼 의대 보내려고 미친 듯이 교육하는데, 대부분 실패하는 그런 경쟁에 굳이 내가 스트레스 받아가면 할 필요 있나 이런 마음임. 돈 많아도 결혼 안하고, 애 없는 사는 사람들이 늘고 있음.

    • @doslrnt
      @doslrnt 28 днів тому +4

      아시아인들과 백인들은 여유가 있어도 출산을 기피한다는게 핵심이죠. 사람들의 가치관 자체가 이제는 돈이 있어도 결혼, 출산 최대한 미루고 자기 발전에 투자하겠다임. 일반인들은 평생 만질 수 없는 재력을 갖고 있는 재벌들이나 연예인들도 30대중반이나 40대 이후 결혼 및 한자녀 가정이 수두룩하니. 기사만 몇 개 때려봐도 나오는게 현실.

  • @kunheechoi6331
    @kunheechoi6331 28 днів тому +5

    풀버전이 더 좋음!! 최고의 분석!!

  • @user-fg4kf5bc2i
    @user-fg4kf5bc2i 15 днів тому +4

    최근들어 가장 와 닿는 분석인것같습니다
    격하게 공감합니다

  • @user-vq8pz5ph4n
    @user-vq8pz5ph4n 3 дні тому +2

    좋은 방송이였습니다.... 요즘 육아 너무 힘들어요... 그냥 대충 잘 키우면 되는데 아기침대 개월수마다 바꿔야되고... 의자 카시트 등등 ...진짜 문화적요인이 큰것 같습니다 와이프한테 한마디하면 너가 애기 키워봤냐고 뭐라고하고...

  • @cogitatute23
    @cogitatute23 28 днів тому +59

    결국은 사회 경쟁이 쎈 곳에서는 아이를 안 낳는다는거
    반대로 인구가 줄면 경쟁도 줄기 때문에 어느 정도 줄면 자연스레 올라가겟네
    결국 이 모든 과정이 자연스러운 현상인거 같습니다

    • @ddudde
      @ddudde 28 днів тому +5

      어느 채널에서 본건데, 2100년 들어서면 자연히 다시 출산률 올라갈 거라더라구요😂😂😂

    • @sukholmes1066
      @sukholmes1066 28 днів тому

      ​@@ddudde
      If we are still around! 😂😂😂

    • @user-ri6ym7jj2r
      @user-ri6ym7jj2r 26 днів тому +3

      저도 같은생각을 했네요. 결국 시간이 지나 인구가 줄면서 경쟁이 적어지면 애들이 살기 수월한 세상이오고 자연스레 다시 출산율 늘어날듯.
      정책적으로는 육아하는데 시간을 쏟아야하는 영역(가사, 아이 돌봄 등: 요즘 아주머니 고용해서 하고있는 일들)에 국가에서 지원을 해줄수록 부모들이 여유가 생기면서 출산율 올리는데 영향을 줄 수 있지않을까 싶네요

    • @cdy8855
      @cdy8855 26 днів тому +3

      아뇨.애를 안낳는건 여자들의 가치관이 달라져서 그런거지 경쟁은 부수적인거죠. 90년대만 해도 여자들은 반드시 결혼을해야 하는 문화였고 30넘으면 똥차취급당해서 29살되면 대충아무나맞춰 결혼하는게 당연지사였어요. 그때만해도 맞벌이부부라는 말이 드물정도로 여자는 결혼과동시에 가정주부로서 임신출산 수순이었고 경제적으로 남편에게 의지할수밖에 없었죠. 그런데 바꿔말하면 남편에게 돈을받기위해, 즉 내생활이 유지되고 지탱될수있게 결혼과 츨산을 한거죠. 그러다 여자들도 대학가고 돈벌고 경제정치의 주체가 되면서 더이상 애를 낳아줄(?) 필요가 없게 된거에요. 2000년대에 인터넷시대에 와서는 남자니까 알수있었던것, 남자가 남자에게만 가르쳐주던것을 여자들도 다 알수있게 정보가 완전무한대로 공개되니까 가치관변화에 가속도가 붙어서 더 애를 낳을필요가 사라진거죠. 이젠 남자한테 기댈필요가 없죠. 경쟁이 사라진다고 머리가 열리고 개안한 여자들의 가치관이 변할까요.그냥 세상이 바뀐거에요.

    • @doltwe4891
      @doltwe4891 26 днів тому +2

      일본이 이미 어느정도 증명하고 있죠
      일본 젊은 청년들 취업하기 좋고 살기 좋아지니깐 출산율 더이상 안떨어지고 있죠

  • @giujeong
    @giujeong 28 днів тому +3

    유익합니다

  • @junheo4114
    @junheo4114 23 дні тому +2

    유익한 동영상 감사합니다. 문화적인 문제가 핵심일수있다는 내용은 처음 들었는데 굉장히 공감되네요. 복지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분석, 교육열과 출산율 관계, 육아에 투자하는 시간등 구체적인 통계자료로 설명해줘서 이해하기 좋앗습니다

  • @user-mk4ev2dx8j
    @user-mk4ev2dx8j 27 днів тому +20

    반려동물 키워본 사람이라면 이 분 말씀 완전히 공감할 수 있는게 반려동물이라는게 시간과 돈을 투자하려고 맘만 먹으면 진짜 끝도 없이 들어감. 싼거 먹일 수 있나. 비싼사료 먹이고 생식 먹이고 각종 영양제 먹이고 자기는 검진 안하면서 반려동물은 온갖 백신 다 맞게하고 놀아주는것도 시간 한없이 들어감. 근데 어떤 사람들은 그냥 적당히 괜찮은 가성비 사료 먹이고 하루에 30분만 놀아주고 2마리 키우면서 지들끼리 알아서 놀게하고 하면 키우는거 생각보다 쉬움. 즉,애를 이렇게 키워야한다 라는 기준점이 높아질 수록 그정도는 못해주겠다는 생각으로 아예 안낳게 되는거임. 우리 어렸을때는 대충 딸랑이 갖고 놀고 비석치기나 하고 숨바꼭질이나 하고 놀았는데. 지금은 모든 놀이가 다 돈이고 심지어 비싼걸로 다 사줘야함. 그렇게 기준점을 높게 생각하니 안낳지. 그냥 국민 의식 문제임. 애를 낳으면 당연히 대학을 보내야지 라고 생각하는 나라 전세계에 우리밖에 없음

    • @real3243
      @real3243 9 днів тому +1

      근데 대학을 보내고 안보내고 생각하는건 단순히 인식의 문제가 아니라 산업구조의 특성 때문인듯. 자원도 없이 수출로 먹고사는 제조업 및 대기업 몰빵 산업 구조이다 보니 대학을 안나오면 사무직, R&D, 하이테크 엔지니어 같은건 꿈도 못꾸고 사실상 중소, 중견기업 생산직 노동자로 들어가야 하는게 현실인데, 돈은 적게 받더라도 근무시간이 적당하다던지 업무강도가 적당한 경우는 없음. 걍 대학안나오면 선택지가 몸은 엄청 쓰는데 야근도 하고 돈은 적게받는 사실상 패배자테크를 타야하는 구조.. 근데 내수경제 키우긴 힘들고 수출 제조업이 주를 이루는 산업구조 특성상 해결도 어려움 ..ㅠ

    • @user-mk4ev2dx8j
      @user-mk4ev2dx8j 8 днів тому

      @@real3243 근데 그 말씀조차도 기준점이 엄청 높은거임. 전국에 있는 대졸자들 중에 님이 말씀하신 그 사무직, R&D, 하이테크 엔지니어가 되는 비율이 얼마나 될 것 같음? 10%는 될 것 같음? 대부분은 지잡대 나오고 인서울 대학 졸업자도 취업도 못하거나 중소나 가는 사람 천지임. 심지어 힘들게 15년을 공부하고 취업했는데 결혼하고 전업주부 하는 사람도 많음. 즉, 그냥 의미없이 교육계에 돈을 퍼붓는 경우가 너무 많음. 그 돈으로 인터넷강의, 문제집출판회사, 학원, 과외선생님, 대학교직원들 돈 대주는 결과만 남는 경우가 많다는거임. 대학 안나오면 패배자테크라고 하시는데 대학 나오고도 패배자테크 타는 사람이 훨~~~씬 많음. 즉, 대학은 투자대비 효율이 너무 구린 투자임. 한 사람당 초중고대 교육에 퍼붓는 돈, 대학 졸업 이후에도 퍼붓는 돈, 국영수 공부하는데 들어가는 미친 시간 다 합치면 어마어마함. 그 돈으로 차라리 투자를 하고 그 시간으로 다른 일을 익히는게 훨씬 행복하게 인생 삼.

    • @user-rz9tx1bx5f
      @user-rz9tx1bx5f 5 днів тому

      영상 초반에 나오는 대만 중국 등 교육열 진학열 높아요. 아주 가난한 집 빼면 일단 대학보내려 하고.

  • @shaheenshin7927
    @shaheenshin7927 22 дні тому +6

    정말 새로운 인사이트를 준다는게 뭔지 알 수 있는 영상 감사합니다. 어쩌면 가장 낮은 출산율이 우리에겐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danielyoon1724
    @danielyoon1724 28 днів тому +5

    믿고 보는 최준영님 강의...

  • @percentone1325
    @percentone1325 28 днів тому +97

    세계최저출산율 1,2,3등 국가 특징, 대학진학률 세계 1,2,3등 순서와 일치

    • @user-blackandwhite7
      @user-blackandwhite7 28 днів тому +5

      부동산 폭등 추가

    • @hyun4154
      @hyun4154 28 днів тому +5

      우리만 일치하고 나머진 일치하지 않음..

    • @doslrnt
      @doslrnt 28 днів тому +3

      사실 의미가 없는게 한국 빼면 전세계 대학진학률은 선진국이든 후진국이든 비등비등함

    • @percentone1325
      @percentone1325 27 днів тому

      @@hyun4154 지역만 놓고보면 동아시아가 최저출산율 동아시아가 1등인데 공통점이 교육열과 대학진학률이 높음

    • @percentone1325
      @percentone1325 27 днів тому

      @@doslrnt 지역만 놓고보면 동아시아가 최저출산율 동아시아가 1등인데 공통점이 교육열과 대학진학률이 높고 부동산 가격도 높음

  • @user-yw4jt7rw8j
    @user-yw4jt7rw8j 28 днів тому +50

    정확한 분석이시네요
    제가딱 그래요
    고학력자 대기업에 어느정도 일하니 36살ㅠ 결혼해서 37에 애낳고 나이와 경력때문에 한명으로 끝냈어요ㅠ 직장다니면서 애키우는데 직장에서는 눈치보이고 애는 안쓰럽고 아주 죽을맛이더라구요ㅠ게다가 부모님 케어까지.. 남편이 직장그만두고 애를 풀케어하는 중인데도 매일 나를 위한 시간은 1시간도 없습니다ㅠ 그런데도 2,3명 낳을까요? 한명도 벅찹니다..돈문제만이 아니예요ㅠ

    • @user-bt4vt4lr8m
      @user-bt4vt4lr8m 23 дні тому +2

      그게 돈문제 같은데요
      천억잇으면 직장쉬고 애 키우면 되지요

    • @BBearkim
      @BBearkim 22 дні тому +3

      박사님이 중간에 자학육아라는 말 꺼낸거 보셨나요? 부모가 희생해야 아이가 행복할거라는 착각부터 걷어내는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 @accuresult
    @accuresult 14 днів тому +2

    박사님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90년대 종합상사 직원으로 몇 나라들을 상대해 본 경험으로 지금까지 일정 출산율을 유지하고 있는 나라는 프랑스와 미국 정도 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프랑스와 미국을 보면 몇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어릴때부터 남여간 연예를 자연스럽고 당연하게 생각하고 상대를 만나 결혼을 한다고 하면 가족은 물론이고 온 집안과 동네가 기뻐하고 가정을 이룰 수 있도록 같이 도와 준다는 점입니다. 사회전반에 연예와 결혼에 대한 자연스럽고 긍정적인 분위기가 있고, 상위 전문직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고졸학력에 실업과정 수료증이나 자격증으로 먹고살만 한 직장을 구하는데 큰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점이 아주 큰 요인인 것 같습니다. 두 나라 다 이도저도 안되면 남여 모두 고등학교 졸업 후 군대를 가더라도 어느정도 사회 중산층 언저리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으니 연예, 결혼, 직업에 대한 부담과 스트레스가 다른 나라보다 낮은 것이 출산율 유지에 한 원인일 듯 합니다.

    • @real3243
      @real3243 9 днів тому

      그대의 "연예"인이 되어 평생을 웃게 해줄게요, "연예"가중계, 섹션TV "연예"통신, 사회전반에 "연예"와 결혼에 대한 자연스럽고~. 중에 틀린 맞춤법을 고르시오

  • @user-gf9di5cb9r
    @user-gf9di5cb9r 27 днів тому +3

    가장 정확한 진단...

  • @dong-soo
    @dong-soo 28 днів тому +2

    생각해보지 않은 이유네요. 감사합니다.

  • @DOOBOO1127
    @DOOBOO1127 28 днів тому +10

    돈도 돈이지만 시간이야. 육아는 시간이 너무 소모되는 일이야.

  • @user-lg3nc6gt2h
    @user-lg3nc6gt2h 28 днів тому +5

    세종시를 보면 일단 직장이든든하고,특공분양으로 집이있고, 직장내 육아휴직들이 잘되있다. 그것만해도 우선 둘 셋은 낳는다.

  • @user-justdoit79
    @user-justdoit79 28 днів тому +12

    금투세. 금융소득종합과세. 상속증여세. 1주택 양도세 물어 대는데 어떻게 부를 유지하고 안전하게 양육을 하겠냐
    복리로 자산이 줄어드는 시스템인데

  • @bro_ujinsoo
    @bro_ujinsoo 8 днів тому +2

    맞아요ㅡ 다들 무슨 애키우기 경진대회하는 거 마냥 서로서로 비교하고. 저집에서 애한데 뭐한다 그러면 이쪽도 뭐 해야하고 저집에거 애한데 뭐 먹인다 그러면 우리 애한데 먹여야 하고... 누가누가 더 힘들게 애를 키우나 누가 애한데 돈을 더 넣나 경진대회를 하고 있어요.

  • @user-xt8vb1fp8z
    @user-xt8vb1fp8z 28 днів тому +36

    메뚜기같은 곤충들도 극한상황이면 무리를지어서 당장의 생존율을 높이고 번식을 줄여서 다음 세대 개체수를 조절 한다더군요. 미래 세대들에게 힘든 짐을 넘기지 않는 방법을 찾는일도 중요할듯하네요

    • @user-tu2py9rt5z
      @user-tu2py9rt5z 28 днів тому +2

      자산세 올리고 상속세, 증여세, 양도소득세 줄여야죠.

    • @user-xm4sb4nr4t
      @user-xm4sb4nr4t 28 днів тому +6

      @@user-tu2py9rt5z 맞는말이지만 현재 자산을 많이 가진 머릿수많은 세대가 그렇게 하겠냐고요 ㅋㅋ
      국민연금도 애기들한테 떠넘기는 세대인데 ㅋㅋㅋ

    • @sssbbb1871
      @sssbbb1871 28 днів тому

      기본적으로 현대경제 근간이 미래를 팔아서 현재를 사는거라 미래세대의 부담은 계속 늘 수 밖에 없어요

    • @hyznloco4641
      @hyznloco4641 28 днів тому

      미래세대에게 짐을.넘기지 않는 방법은 미래세대를 없애는거죠

    • @user-jn7um5ru1f
      @user-jn7um5ru1f 28 днів тому

      ​@@user-tu2py9rt5z공무원들 연금 월급이 조 단위 인데 그걸 무슨돈으로 내야함?

  • @vention452
    @vention452 28 днів тому +5

    나쁜 현상이 아니야.
    지구에 인간들이 너무 많아.

  • @user-fx5sw4jy7hYz9Hzi
    @user-fx5sw4jy7hYz9Hzi 28 днів тому +8

    아프리카 사람들은 내자식이 많으면 많을수록 농사를 더많이 할수 있고 옆집보다 힘이 쌔지니 아이 더많이 낳는게 좋지만, 경쟁이 심한 나라들은 오히려 아이를 많이 낳는것이 지원을 한명에게 쏟아 부을수 없으니 손해. 더 나아가서 대한민국같은 땅이 좁은 나라는 인구를 줄여야 우리 DNA 를 보존할수 있지 갑자기 인구수만 많은대 일자리가 없으면 다 같이 죽자는거고 전쟁이남. 인구주는거 걱정하지 말고 자연의 법치니 받아드리고 적은 인구로 하여금 어떻게 더 잘살수 있는지를 고민해야함.

  • @XV73
    @XV73 28 днів тому +26

    연애 결혼 출산
    =사치재

    • @lovedangyou1
      @lovedangyou1 28 днів тому

      그렇게 말하기엔 수익 대비 사치품 소비 비용 비율이 가장 높은...

    • @jin_dojoon
      @jin_dojoon 28 днів тому +1

      아이는 30년 짜리 대출

    • @hea-
      @hea- 28 днів тому

      그걸 하기위해서 연애결혼을 안한다는 거잔아요.사치의 기준이 바뀐다는 것이죠​@@lovedangyou1

  • @UC0MWv5H3ZEOInYVjH1GfEoQ
    @UC0MWv5H3ZEOInYVjH1GfEoQ 6 днів тому +2

    돈을 삶의 최우선 가치관에 두고 이기심이 팽배한 지금 시대를 보면, 출산율 향상은 백약이 무효일 듯.

  • @user-cn7xo5tk3y
    @user-cn7xo5tk3y 4 дні тому +1

    29:28 너무 정확해

  • @user-wh1kb9jt1h
    @user-wh1kb9jt1h 22 дні тому +2

    12년차 공공기관 38살 대리데 월급 실수령 290이다 상대적 박탈감이 너무 심하다 승진은 고인물 때문에 힘들고 월급은 매년2프로3프로 오르는데 물가는 폭등하고 남는돈이 없는데 무슨애를 낳겠어

  • @jaedelella
    @jaedelella 28 днів тому +2

    대한민국이 선도하고 있다!!! ㅎ

  • @jaeyonglee296
    @jaeyonglee296 28 днів тому +23

    자본주의를 기반으로 세워진 경쟁 사회에서 결국 출산율이 낮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자녀를 일찍 낳을수록 커리어 쌓기가 어렵습니다.
    부무의 지위와 경제력이 없다면 결국 경쟁에서 밀릴 수 밖에 없습니다.
    특히 대한민국 사회에서 한 번 밀리면 포기하고 바닥으로 내려갈 수 밖에 없습니다.

    • @bwj3144
      @bwj3144 28 днів тому

      자본주의가 아니면 경쟁 안하나요?

    • @velociraptor7871
      @velociraptor7871 25 днів тому

      옛날 소련도 출산율이 매우 낮았음

    • @cheolhono9674
      @cheolhono9674 24 дні тому

      모든 문제를 자본주의 때문이라고 편하게 결론을 내는 지적으로 게으르고 무지한 인간들이 대한민국에 넘친다.

  • @oscar_charlieee
    @oscar_charlieee 28 днів тому +5

    제가 예전부터 생각해오던 건데, 정량적인 분석자료를 근거로 해서 설명해주시니 정말 이해가 잘 됐습니다!
    저출산을 해결하기 위해선 짜잘한 경제적 지원을 늘려나갈게 아니라
    근본적으로 육아 자체에 부담을 가지지 않게 하는 문화적 대전환이 필요할거 같네요..
    다소 과격할 수는 있겠으나, 이러한 육아의 경쟁을 부추기는 문화적 요인에 대해 법적인 규제가 들어가야하지 않을까 싶어요ㅠㅠ

  • @richuchu2408
    @richuchu2408 5 днів тому +2

    전제부터가 틀렸군 전세계 저출산은 아니야 한국만 저출산임
    자유자본주의를 숭상하는 기득권이 뭔가를 희생하지 않는 한 이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는다 장시간 근로를 환영하고 기업의 가치가 법이며 돈에 환장하는 사람들이 있는 한.
    정치가 자원을 적절히 배분해야 하는데
    기업에 쏠린 자본과 시간과 돈을 전체 극민에게 배분해야 문제는 해결될터
    그 일을 할 적당한 정치인응 뽑는 건 국민들의 몫이다 언론이 제기능을 못하니 똑똑하다고 자부하는 한국의 인간들은 정보 수집에 사활을 걸어 정치인 중 누가 악이고 선인지 잘 구별해야 한다

  • @whiteclind1
    @whiteclind1 28 днів тому +8

    군대 안가려는 이유 비유가 적절했구나.

  • @user-sr4sj4pw7s
    @user-sr4sj4pw7s 5 днів тому +2

    애한테 힘빼고 싶지않은겁니다. 둘이 벌어서 풍요롭게살고 노후준비하는게 낫다라고 매일 유튜브나 티비강사들이 귀에대고 암기시켜주니까요. 티비나 인터넷,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세계인들의 정신세계가 하나로
    뭉쳐버린듯합니다. 나혼자도 잘산다! 로.

  • @KoreaNyangTiger
    @KoreaNyangTiger 17 днів тому +2

    대한민국의 출산율 문제는 결코 숫자싸움이 아님. 물리적인 해결책으로 해결 안됨. 이건 결국 영적 문제임. 죽음이란 걸 너무나 가볍게 여기는 사회, 삶에 대한 이해가 없는 사회. 인간의 존재론을 버린 사회라서 그럼. 무신론자가 너무나도 많은 사회. 잣대가 사라진 사회. 인간이 왜 고통을 겪는지에 대한 고찰이 없는 사회. 편리성과 빠름이 행복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착각하는 사회. 돈이 나를 행복하게 해줄거라고 굳게 믿는 사회.

  • @jychoi3517
    @jychoi3517 28 днів тому +3

    이프로는 본인의견이 부인당하는걸 참을수가없는듯 ㅎ 내의견이 무조건 정답이야 !!!!

  • @nayil9244
    @nayil9244 28 днів тому +9

    매 순간 힘껏 달리지 않으면 제자리 유지하기에도 벅찬 세상에서 애 낳고 키우겠다는 건 결혼할 능력이 있는 인재가 자신의 미래를 포기할 때 겨우 성립 가능합니다. 커트라인에 걸려서 결혼조차 못하는 사람들은 진작 링 밖에 있고, 결혼할 능력이 있는 사람들도 결혼할 수 있을 정도로 창창한 자기 직업 커리어 vs 미래도 불확실한 자식 계획을 두고 저울질하다가 링 밖으로 나가버립니다. 집안이 좀 쓸쓸하다 싶으면 개나 고양이를 키우는 게 차라리 낫습니다. 강아지도 아이도 똑같이 귀엽지만 학교 보내고 학원 보내고 숙제 시키고 수능 치러서 격렬한 경쟁 끝에 고만고만한 회사에 겨우 취직시키는 그 지옥의 과정을 애완견에게 시킬 필요는 없으니까요

  • @Ambaelee
    @Ambaelee 27 днів тому +7

    일단 직장은 있는데, 집도 없고 차도 없고 여친도 없어요. 배달하고, 유튜브 보는게 재밌네요.

    • @user-tx7dq8zj7k
      @user-tx7dq8zj7k 14 днів тому

      눈낮춰서 여친부터 만들어보3

    • @real3243
      @real3243 9 днів тому +1

      ​@@user-tx7dq8zj7k남자가 눈 낮추는게 의미가 있나 ㅋㅋㅋ 사실상 여자 선택을 못받아서이지..

  • @gunnersim9626
    @gunnersim9626 28 днів тому +35

    남녀갈라치기가 하향 그래프에 한 몫햇음
    원래 모든 나라가 저출산인데 왜 우리가 유독 이런 지표인가? 보면 남녀갈라치기로 더욱더 극대화 될듯
    저것만 안했어도 보통 전세계 트렌드대로 갓을텐데 아숩..섭종이 도래한듯

    • @girlishpopk
      @girlishpopk 28 днів тому

      그 갈라치기 최대 수혜자가 이준석이고
      조중동과 보수진영이지
      애당초 20대는 원래 진보텃밭인데
      남녀갈라치기로 이대남을 보수화시킨 전략이니

    • @JackpotCode
      @JackpotCode 26 днів тому +2

      대만 싱가폴하고 비슷했을듯

    • @eminemrd89
      @eminemrd89 23 дні тому +1

      오! 정답이다!

    • @kk-se7xc
      @kk-se7xc 20 днів тому

      남녀갈라치기 조선족 짱깨공작에 당했음

    • @sungilkim3198
      @sungilkim3198 14 днів тому

      갈라치기 문제가 아니고요.

  • @user-wz3uf7iw9f
    @user-wz3uf7iw9f 23 дні тому +5

    여성의 사회진출과 출산율은 반비례

  • @user-wn2vn8sd4w
    @user-wn2vn8sd4w 28 днів тому +5

    거지같이 신생아 구걸하는 기득권들

  • @jackchoo4006
    @jackchoo4006 28 днів тому +254

    다 보지도 않고 헛소리. 풀버전을 다 본 사람으로 요약하자면, 그 어떤 국가 정책도 가성비가 너무 낮고 방임육아 문화 풍토가 아니면 어렵다는 게 파이낸셜타임스 자료 결론. 문제는 경제가 고도화될수록 교육이 너무 중요하므로 트레이드 오프 상황이라는 거... 지금 아프리카에서도 경제개발 하면서 출산율 하락하는 게 아니라, 출산율이 먼저 떨어져야 경제가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걸 보면 경제 체제를 바꾸지 않는 한 방법이 없다는 결론!

    • @giujeong
      @giujeong 28 днів тому +6

      유익해요

    • @bluesky3017
      @bluesky3017 28 днів тому +4

      Good .b.

    • @ture0618
      @ture0618 27 днів тому

      Goood

    • @user-tk4pd9lw6s
      @user-tk4pd9lw6s 27 днів тому +3

      어떻게 그렇게 해석하십니까?
      예.인도의 교육열은 아주 높은데 ??
      저출산 문제는 선진국(고소득 국가)에서만 존재하는 현상입니다~!!
      예외. 프랑스.미국~이민 정책
      (그만큼 사회적 문제도 많음)
      연소득 3만불이상인 나라에서만 출산율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즉. 생존의 문제는 해결되고 생활의 문제을 고민하는 국가들입니다~!
      세계 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 @mazingaz935
      @mazingaz935 27 днів тому

      ​@@user-tk4pd9lw6s좀 보고 얘기하세요 아프리카 제외하면 후진국들도 출산율 떡락 중이라는 얘기에요

  • @user-ig4gz1hr4z
    @user-ig4gz1hr4z 4 дні тому

    정책자들 모르고있는거 아닙니다
    세금 뜯어먹는 명분이 필요한거죠

  • @user-lc3ke2ei6s
    @user-lc3ke2ei6s 24 дні тому +3

    본인이 자랄때 별로 행복하지 않았고 아이를 키우는게 장기간의 고비용과 힘듦 그리고 둘이 살아면 편한데 굳이 ? 아닐까요. 돈 집이 전부가 아니고 편하고 나의 일이중요함

  • @vanillacaelum5075
    @vanillacaelum5075 28 днів тому +4

    좁은 땅에 삼천만 정도면 적당함. 대국민 폰지사기 국민연금 빼면 문제될 것도 없음

  • @user-by4zm3sp7k
    @user-by4zm3sp7k 28 днів тому +9

    저출산 원인은 크게 5가지 인데, 손댈 수 있는 게 없다. 1. 도시화 / 2, 여성의 교육 / 3. 게임, 스마트폰, 인터넷, SNS, AV 욕구 해소 놀 거리... / 그리고 여기서 부터 동아시아 한국, 일본, 대만, 홍콩, 싱가폴, 마카오 특징으로 4. 과도한 경쟁에 의한 교육열 / 5. OECD 평균 수명 80세 보다 3년 오래 사는 장수 국가. 사회적 부담...

    • @suchulpark8522
      @suchulpark8522 28 днів тому

      게임으로 만나서 결혼하는 경우도 흔해요 ㅋㅋ

  • @user-uu8ki9bp7t
    @user-uu8ki9bp7t 28 днів тому +1

    그래도 저출산정책은 꼭 써야해요~~
    넘 걱적됩니다~

  • @cammind76
    @cammind76 28 днів тому +3

    출산율은 그사회 30년후 경제성장율을 반영하죠.( 지금 잘사냐 못사냐가 아니라) 지금 국민소득이 낮아도, 신흥국으로서 30-40년후 까지도 경제가 크게 성장할거같다고 사회구성원들이 전망하면(자식들 소득수준이 지금 자기보다 높아질것이다) 출산을 많이하고, 지금 국민소득이 높아도 저성장 경제에 돌입하면 아이를 안낳죠.
    고도성장에 끝나고 저성장 사회에 돌입하면 지금보다 더 높은 고소득 일자리 경쟁을 잡기위해, 자식에게 교육에투자를 많이히게되고, 본인도 자기계발에 투자를 많이하고,그러다보면 출산도 안하게되고.
    고성장사회에서는 이러나 저러나 자식 낳으면 알아서 소득이 더 증가할데 전망되니간 굳이 교육에 무리해서 투자안하고 출산도 하게되고.
    상관관계럴 인과관계로 착각해서는 안됨

  • @cychoi3363
    @cychoi3363 28 днів тому +7

    정책이 문화를 만들면 그건 정책인가 문화인가..

    • @jackchoo4006
      @jackchoo4006 28 днів тому +4

      제도를 통해 문화를 바꾼 예시 => 호주제 폐지

  • @user-iw7hu8pq9g
    @user-iw7hu8pq9g 28 днів тому +27

    둘 중 하나 아닐까? 경쟁이 심한 이 사회에서 본인이 살아오는 동안 행복하지 않았으니(자식한테 같은 경험하게 하고 싶지 않음) 자식을 낳고 싶지 않은 것 하나와
    애 키우기 힘든 거- 잘 키워야 하는 기준이 너무 높고 맞벌이라 애 캐어에 어려움도 있음.돈도 많이 들뿐만 아니라.
    사회가 너무 각박하고 비교하고 경쟁만 앞세우니 남녀가 만나는 것도 다 이해관계가 있고 조건이 있음. 다들 눈도 높고. 그러니 결혼은 커녕 연애도 잘 안 함.
    다 돈만 밝히는, 돈이 최고라는 물질 만능 사회가 만들어낸 폐해임.

    • @G_Dorie
      @G_Dorie 28 днів тому +3

      엄청 공감가네요..

    • @user-ze3cr7hl4z
      @user-ze3cr7hl4z 28 днів тому +2

      그것보다 그냥 첫임신나이가 너무 늦어졌다는게.. 남들과의 비교가 본인의 행복을 결정하니 조금 더 조금 더 하면서 사회생활에 준비기간을 길게 가져가는바람에 늦어진다 봅니다, 생물학적 노화는 늦출 수 없는데요...

    • @user-lo9nz8vy1k
      @user-lo9nz8vy1k 28 днів тому +1

      동의합니다. 한국 사회 작동의 기본공식이 비교 입니다.
      특히 인종 언어 그리고 아파트로 균질화된 주거환경 등 다양성이 현저히 부족하니 비교가 용이하고 이는 저춠산과 자살률에 큰 요인이라고 봅니다.

    • @Duuuuudatube
      @Duuuuudatube 26 днів тому +1

      @@user-ze3cr7hl4z첫임신 나이가 늦어진 이유도 어떻게 보면,
      들인 노력대비 최대의 소득을 얻기 위해 달려온 결과라고도 할 수 있어요.
      사회 초년생 시절에 출산/육휴하고, 둘다 기반이 잘 안닦인 상태에서
      혹시라도 누군가 한명 경력이 단절되면 그동안 사회인이 되기 위해 쌓아온 노력이 물거품이 됨…
      애초에 교육과 취업에 엄청난 노력을 쏟아붓게 만든 사회의 문제인듯 합니다.
      의치한, 대기업과 중소, 정규직,비정규직 사이의
      임금, 노동환경이 너무 차이가 나는 것 때문에 발생한 거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노동시장의 차이가 적고 언제든 유연하게 이직할 수 있다면… 해결 될것 같긴 한데,
      우리나라에선 꿈같은 소리죠.
      뭘 해도 출산율 개선은 크게 보기 힘들겠지만
      그래도 혹시 모를 후대를 위해 덜 경쟁적이고 유연한 사회가 만들어졌음 합니다.

    • @user-dl9zp7eg1i
      @user-dl9zp7eg1i 25 днів тому +1

      댓글, 대댓글 모두 공감합니다

  • @G_Dorie
    @G_Dorie 28 днів тому +11

    현실성 없이 그저 돈만 부으면 다인줄 아는 출산정책 입안자가 꼭 봐야 할 영상.. 다 필요없고 그냥 나의 성취, 출세, 상승욕구가 가족을 꾸미고 내 인생에 부담이 되는 피부양자를 생산하는 것에 앞서는거지. 쉽게 말해 '애 낳고 거기 내 에너지와 부족한 경제력을 투사하기 싫다 or 못한다.' 는 뜻.

    • @jahyukshin4239
      @jahyukshin4239 27 днів тому

      그럼 돈 쏟아 부으는 것 말고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고견이 궁금합니다.

    • @klerystherandomwalker2169
      @klerystherandomwalker2169 21 день тому

      길게 쓰셨는데 다 핑계임. 기저 경제력이 없어서 국가의 인구를 부양 못하니 그만큼 물가나 부동산이 비싸고 그게 청년세대로 전가되는거 뿐임. 인구가 과다한 것 자체가 문제니 경제력되는 미국 말고는 다 작살하는거임.

  • @for2week
    @for2week 28 днів тому +4

    지방에서도 애를 안낳는 이유.
    1. 월급이 더 짠데?
    2. 집값? 애낳기 좋은 지역은 서울 경기권이나 지방권이나 비싼 건 매한가지.(1번 원인에서 파생됨 -> 월급이 적은데 아무리 집값 싸도 어쩌라고?)
    3. 지방에 남은 청년층이 근무조건 나쁘고 월급 짠 지방의 좋소기업들에 대부분 다닐텐데 어떻게 살음.
    4. 청년층 대부분이 서울 경기권으로 가버리는데 인구수 자체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출산율을 어떻게 올릴 수 있음?

  • @user-ii9nn2tq7x
    @user-ii9nn2tq7x 26 днів тому +1

    사람을 자원으로 써야하니 애낳고 열외시킬수가 없는것같습니다

  • @jamessong3609
    @jamessong3609 28 днів тому +1

    지극히 공감되는 의견입니다..
    출산비 지원이나 출산휴가 증가 이런건 복지정책이 될수는 있지만
    그게 저출산 원인도 아니고 저출산 해결 정책이 될수는 없지요..
    저출산의 가장 큰 원인은 문화적인 이유가 맞는것 같습니다.
    과열된 교육열, 과도한 사교육비,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을 나와도 딱히 별다른 비전이 없는 미래 등등
    이런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야 되는데 그걸 해결할 방법이 없다는게...
    그러니 저출산 대책을 그동안 십여년간 엄청난 돈을 써도 해결이 안되고 더 악화되고 있는거죠..

  • @fullluna128
    @fullluna128 28 днів тому +6

    저출산은 결국 진화의 결과인듯.

  • @user-zk1ec3bg2d
    @user-zk1ec3bg2d 28 днів тому +1

    😊

  • @yoyoyo2526
    @yoyoyo2526 28 днів тому

    모든건 욕심,질투,시기,집착,경쟁에서 온겁니다 과거 무지할땐 욕심낼수없던게 어느정도 상황이 나아지니 지켜야되고 더 가지고싶은 욕심이생겨 질투와 시기 경쟁등이 생겨납니다 결국 깨달음을 얻어 의식수준, 정신적 수준이 한층 올라갔을때 해결되지않을까하네요

  • @user-nn7eu6yu2n
    @user-nn7eu6yu2n 28 днів тому +4

    나거한이 제일 큰 문제지…

  • @onk108
    @onk108 28 днів тому +8

    내 한몸만 건사하면 인간답게 살만하지만 처자식이 생기면 난 꼼짝없이 노예가 됨

  • @reinforcek6580
    @reinforcek6580 28 днів тому +6

    기술적 특이점이라도 오지 않는 이상 답이 없군요.

  • @Turtlewarrior
    @Turtlewarrior 28 днів тому

    간단히 인구 2000만명 시대를 받아들여야!

  • @user-uf4sb9ut7e
    @user-uf4sb9ut7e 28 днів тому +2

    자연에서는 거이 모든 수목은 영양이. 충분할때보다 부족할때 특히 소나무는 영양부족해서. 죽기전에. 가장많은
    솔방울을 가지는데. 혹인간도~~~

  • @pentopen
    @pentopen 27 днів тому +1

    어짜피 출산율 높이기에 돈을 쏟아부으나 이민자 받아들이나 성공한 케이스는 양쪽 다 어짜피 없어요.
    그렇다면 국민들이 지지하는 방향으로 밀고 나가는게 현실적이죠..

  • @user-zr2po3dk7r
    @user-zr2po3dk7r 28 днів тому +4

    즉 저출산을 막는건 불가능 ㅇㅇ 쓸데없이 돈뿌리지말고 저출산 대비해 사회유지에 힘쓰자

  • @user-yh6hw6by7k
    @user-yh6hw6by7k 28 днів тому

    국가에국이 돈만으로하기는 기대치가너무높고 생각이바뀌어야함

  • @mr.grinchee3277
    @mr.grinchee3277 28 днів тому +6

    인구늘린다고 외국 이민자 수용해봤자 늘어나는 범죄율, 사회적 갈등 증가에 세금은 더욱 늘어 삶의 질이 더 낮아지고 상황은 더 악화됨. 국민들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생긴 인구감소이기때문에 각종 정책에 국가가 돈 푼다고 해결될 문제도 아님. 어느 정도 인구 감소되고 사회적 아픔을 겪다 어느 시점에는 자연적으로 해결될 문제라고 봄.

  • @Pre01YT-uy2fc
    @Pre01YT-uy2fc 28 днів тому +2

    그냥 문화가 바뀐겁니다. 지금 젊은 세대는 오로지 자신의 행복이 제일 중요하고 육아 따위가 내 행복을 방해할수 없다는 마인드가 지배적입니다. 게다가 헬조선의 살벌한 환경은 덤이고... 돈 쓴다고 출생율이 올라가지 않습니다.

  • @user-wn2vn8sd4w
    @user-wn2vn8sd4w 28 днів тому +2

    기득권에 푸대접받고 무시받던 흙수저들이 그 더러운꼴 또 겪으라고 애를 낳겠냐?
    갑질 그 기분나쁜거 대대손손 겪으라는거야?
    흙수저들은 본인 잘사는게 1순위로 중요할뿐
    기득권들 좋은일 하려하겠냐?
    기득권 니들이 흙수저에게 했던짓을 떠올려봐
    푸대접 통제 소외 무시 갑질 착취 조롱 혐오
    흙수저들에게 좋은거 1도 안하고서 왜 신생아를 구걸하니?

  • @user-wi5rg2bc5p
    @user-wi5rg2bc5p 25 днів тому +1

    좋은 토크 잘 보았습니다. 가족정책과 출산율 사이에 상관관계가 낮게 나오는 부분은 한편으로는 노르딕 국가들도 있지만 가족정책 지출이 높지 않은 미국영국과 같은 국가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각 국가들의 아동들이 얼마나 행복하고 제대로 교육을 받으며 자라는지 아동 행복도, 빈곤율, pisa 점수 등을 비교하면 차이가 명확합니다. 가족정책을 다만 출산율로만 보면 안 됩니다.그리고 육아휴직 기간과 출산율 이야기를 하셨는데... 육아휴직이 긴 나라는 노르딕 국가보다는 오히려 남유럽 국가들입니다.육아휴직을 길게 하기보다는 노동시장 내 노동시장선택을 유연하게 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엄마가 아이에게 쓰는 시간, 아이고 공부하는 시간.. 커플로 사는 젊음이들의 비중.. 이것을 문화라고 하셨는데요.. (FT가 한 것이지만요) 이것은 문화가 아니라 제도와 환경의 결과일 뿐입니다. 왜 공부를 많이 합니까.. 노동시장에서 좋은 일자리 구하기 어려우니까 그렇지요.. 한 사회에서 엄마가 아이를 보는 시간의 비중이 바뀌는 것도 제도의 결과물입니다. 어떤 청년이 커플로 더 사는가... 안정된 청년들이 더 그렇습니다. 그 사회가 얼마나 청년들을 일자리와 소득에서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는가가 중요한 것입니다. 이것을 문화라고 표현하는 것은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참고로 집값이 높은 서울이나 일본 동경에서 출산율이 다른 지역보다 훨씬 떨어지는 것도 팩트입니다. 다만 집값이 원인이냐.. 그것은 연구가 필요하겠지요. 집값. 경쟁. 비교. 그런 것들 아니겠습니까? 경쟁이 덜한 곳은 출산율은 높지만, 일자리와 삶의 여건이 열악하니 서울로 가고. 서울로 가면 출산을 포기하게 되는 구조인 것입니다.

    • @ckate4069
      @ckate4069 23 дні тому

      이분말이 정답이네요!!

    • @qqqwweeeeer
      @qqqwweeeeer 13 днів тому

      좋은 말씀이십니다. 다만, 출산율을 증가시키기위해 만들어진 가족정책이 아동행복도, 빈곤률 등에만 상관관계가 있다면 그것은 잘못된 정책이란게 토크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 같습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제도와 환경의 결과'에서 '제도의 결과'는 문화가 아니지만 '환경의 결과'는 그 자체가 문화를 의미한다고 봅니다. 주위 사람들이 육아에 많은 시간을 써서 나도 그렇게 하는게 자연스러운 환경이라면, 그 환경이 곧 문화인 것이죠. 그런 점에서 우리나라는 필연적으로 출산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문화인 것 같습니다...😅

  • @ozmaofoz3708
    @ozmaofoz3708 28 днів тому +3

    사회자님, 지방 사람은 평균소득이 더 낮으니 지방 사람에게도 집값은 비싸답니다.

  • @minarar
    @minarar 28 днів тому +4

    친환경 코리아 아무리 절약 외쳐봤자 인구수 줄이는게 확실함

  • @user-hc7sq3rr1u
    @user-hc7sq3rr1u 25 днів тому +1

    다 돈하고 연결되는거지만 경쟁이 치열하면 치열할수록 돈없는 서민의 자식들은 뒤쳐질수밖에없고 그걸 바라보는 서민청년들은 나의 고통을 대물림 하기싫어 비혼,비출산을 할수밖애 없음!!!!

  • @user-ux2wb3qp7w
    @user-ux2wb3qp7w 16 днів тому +2

    압도적인 1등은 꼬레아 ㅋㅋ

  • @Angdar7942
    @Angdar7942 27 днів тому +1

    국회 틀어라

  • @user-io1jo8kg5p
    @user-io1jo8kg5p 28 днів тому +7

    그만큼 내수가 작고 세계에서ㅜ경쟁하는 산업이 많으니 어쩔수 없지않을까요?

    • @Iminlove579
      @Iminlove579 28 днів тому

      값싼 가성비위주의 제품을 수출한다면 획일화된 비교 문화가 맞겠습니다만...

  • @user-gb2fl8ep1z
    @user-gb2fl8ep1z 28 днів тому

    포기하고 그너머를 준비할것인가 아니면 질거 같은 도박에서 마지막까지 블러핑을 해볼것인가

  • @7mmalltheway
    @7mmalltheway 25 днів тому

    사랑하는 이와 함께 먹는 고기맛은 초극강으로 좋긴 합니다.. 결혼과 출산에 대한 최대 보상이긴 하죠..

  • @DPCH0313
    @DPCH0313 26 днів тому

    개인적인 생각으로 보면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서 아이의 시간을 존중하는 인식이 늘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런데 지금 문제는 사랑하는 사람을 만날 기회 자체가 많이 줄었고, 지금도 줄고 있다고 봅니다. 이건 글로벌한건데 우리가 특히 심한 정도고, 우리는 거기에 얹어서 쓸데없는 교육열까지 높은 거 같아요.

  • @jongyeop
    @jongyeop 28 днів тому +2

    사범고등학교를 교대로 바꾸는 식으로 교육기간을 너무 늘려 놓아서 그런 거 같아요. 취학 연령도 다른 나라들보다 2년 정도 높고...

  • @user-kb5mt3fg6n
    @user-kb5mt3fg6n 11 днів тому

    신생아 대출을 듣고 백골징포가 딱 떠올랐네요. 그냥 샷다 내리는게 답이죠

  • @Jelk243i
    @Jelk243i 28 днів тому +8

    저출생 정책같은 답없는 곳에 세금 낭비하지 말아야 겠네요

  • @Kimtiger0
    @Kimtiger0 21 день тому

    끝없는 생산과 소비를 기반으로하는 자본주의와 기술과 경쟁 중심의 발전 경제/이념 모델이 결국 그 끝을향해 가는듯....

  • @Gygryy647
    @Gygryy647 28 днів тому

    저도 어떤대책이 나와도 저출산해결 쉽지않을것 같습니다

  • @user-ni9pk8qv7d
    @user-ni9pk8qv7d 28 днів тому +8

    교육비 증가와 학업 총 시간이 늘어난게 출산율에도 영향을 줬을것이고 80~90년만 해도 골목대장 문화가 있었는대 이제는 경쟁상대로만 보이니.... 한아이에 투자되는 시간또한 너무 늘어나서...

  • @user-jv4zw1te2z
    @user-jv4zw1te2z День тому

    저출산문화의 선두 K컬쳐^^

  • @Bard919
    @Bard919 13 днів тому +2

    맞벌이라 등하원 힘들어서 둘째생각 못하고있는데 육아휴직주는게 출산율이랑 관계 없다는말은 잘못된 정보인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