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출신별 올라갈 수 있는 최종계급(경찰대, 경찰간부후보생, 순경공채)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бер 2022
  • 경찰출신별 올라갈 수 있는 계급, 평소에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지금 이 시간 경찰대 출신 변호사가 시원하게 이야기 해 드립니다

КОМЕНТАРІ • 684

  • @user-il9wh1jh6c
    @user-il9wh1jh6c 2 роки тому +31

    현직으로서 공감되는 컨텐츠네요

  • @user-oc1qt2vg1v
    @user-oc1qt2vg1v 9 місяців тому +4

    질문과 답변이 아주 예리하고 충실하군요
    자녀가 순경으로 입직하여 재직중이라
    관심이 많이 갑니다
    감사드립니다

  • @rammstein8226
    @rammstein8226 2 роки тому +4

    그냥 경찰체계 궁금해서 들와봤는 데 순삭 설명 잘하시네요

  • @user-rr1bj7gt6x
    @user-rr1bj7gt6x 2 роки тому +48

    사람들이 궁금해하지만 쉽게 접하기 어려운 정보를 정리해주시니까 너무 좋네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 @SCP-cj4zd
    @SCP-cj4zd 2 роки тому +4

    두분의 질의 응답이 귀에 속속 들어오게 잘하시네요.. 물론 내가 평소 궁금한 요점까지 맥을 집어 질의 하니 더 좋네요..

  • @user-rj6zp5wd3z
    @user-rj6zp5wd3z 2 роки тому +27

    경찰을 꿈꾸는 고등학생입니다. 경찰출신별 최종계급이라는 제목에 흥미를 느껴서 들어오게 되었는데 너무 잘 설명해 주셔서 너무 유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Interiorscience
    @Interiorscience Місяць тому

    영상이 정말 짜임새 있고, 좋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jhmo-ej2mw
    @jhmo-ej2mw 2 роки тому +24

    저도 올해로 30년 명퇴하고 힘들게 딴 전기자격증으로 재취업했습니다 딴건 모르겠지만 야간근무는 나이들어선 못하겠더군요 이제 2달되가는데 이제야 사람처럼 산다는게 실감납니다 아랫분 말씀처럼 자기개발 안하면 나중에 골병들고 연금공단 최고고객(타공무원에 비해 일찍 사망하므로)이 될수있어요

  • @Rchaeeun07
    @Rchaeeun07 7 місяців тому +7

    최근에 경찰대와 경찰행정학과의 차이를 알고 싶었는데 이 영상 하나로 딱 중요한 점들만 알게되어서 감사드립니다. 계급 설명도 너무 잘 해주셔서 좋았습니다😊

  • @INTER-zn1ed
    @INTER-zn1ed Рік тому +1

    너무 유익한 영상이네요! 도움 많이 됐습니다!!😊

  • @JC-gl9cg
    @JC-gl9cg 2 роки тому +1

    경행 재학 중인 학생인데 구독했습니다..!
    재밌네용 ㅎㅎㅎ

  • @user-qc9wk1cu1x
    @user-qc9wk1cu1x 2 роки тому +3

    질문 좋다 시원시원하다!!

  • @user-lx7ej1gr5s
    @user-lx7ej1gr5s 2 роки тому +5

    이런얘기 너무 재밌네요 ㅎ

  • @user-hl1gr1vc1v
    @user-hl1gr1vc1v 2 роки тому +35

    경찰조직의 미래나 장단점도 한번 소개해주는 컨텐츠 한번 부탁드립니다ㅎㅎ
    너무 잘보고있습니다~^^

  • @user-dz2rm5kr8i
    @user-dz2rm5kr8i Рік тому +1

    좋은 영상 잘보았습니다 변호사님.
    올해 시험 보는데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좋겠네요ㅎㅎㅎ
    아 근데 영상속 질문자님?pd님? 목소리가 러셀tv 러셀님과 엄청 비슷한데.. 맞나요…?😂

  • @nxmblx_hun_01
    @nxmblx_hun_01 2 роки тому +4

    앞에서 질문하시는 분 혹시 러셀tv님이신가요?
    목소리도 거의 똑같고 군 얘기 하시는거 보니 맞는 것 같아서요 ㅎㅎ

  • @user-tv4yf6qd3y
    @user-tv4yf6qd3y 2 роки тому +4

    인터뷰 질문자님 목소리가 러셀tv님 같네요 잘보고갑니다

    • @user-rk6rs8qz9e
      @user-rk6rs8qz9e 2 роки тому

      익숙하다고 생각했는데 계속 듣다보니 맞는것 같아요 ㅎㅎ

  • @fightdole8306
    @fightdole8306 2 роки тому +3

    계급도 중요하지만 경찰도 군대 부사관들처럼 짬대우를 많이해주더군요.

  • @kloy4070
    @kloy4070 2 роки тому +64

    이 채널 오늘 처음 접했는데 경찰수험생으로서 너무 유익하고 재밌게 봤습니다. 저같은 수험생들 이 채널 접하면 분명 많은 구독자들이 생길거 같습니다. 응원합니다. 파이팅!!

    • @kloy4070
      @kloy4070 2 роки тому +1

      @코카콜라 그런 경찰들도 일부 존재하겠죠!

    • @user-hy7nb9wj6h
      @user-hy7nb9wj6h 2 роки тому

      시험 아직도 경쟁률 높고 어려움??

    • @user-vz6il7cr1r
      @user-vz6il7cr1r 8 місяців тому

      경찰계급 알려준다. 계급은 다음과 같다. / 일경 / 이경 / 상경 / 경장 / 경정 / 준경 / 순경 / 준사 / 경사 / 준위 / 경위 / 총경 / 경무관 / 보안관 / 치안관 / 경감 / 치안감 / 치안정감 / 치안총감 / 치안총관 /

    • @scvscv5113
      @scvscv5113 5 місяців тому

      ​@@user-vz6il7cr1r준감 빠졌는디

  • @user-mj6mg7cr9t
    @user-mj6mg7cr9t 2 роки тому

    나름 모르는 부분을 알려주어서 나름 도움이 되었는데, 자칫 사람에 따라서는 학연을 부각시키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는 썸네일과 내용이네요^^

  • @user-bp5qx2tv6k
    @user-bp5qx2tv6k 2 роки тому +1

    잘봤습니다.

  • @44marchi
    @44marchi Рік тому +1

    혹시 진행하시는 분 러셀님인가요?? 목소리나 딕션이 러셀님 느낌이 ㅋㅋㅋ

  • @hellokorea2093
    @hellokorea2093 2 роки тому +4

    인터뷰하는분 목소리가 익숙한데
    러셀님인가요?

  • @user-ov4rs9fx8u
    @user-ov4rs9fx8u 8 місяців тому +7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부분 한 가지만 첨언하면, 경찰대를 나왔음에도 간부(경위)가 되지 못하고(간부후보생 시험 자체를 응시하지 않았거나 떨어졌는데) 순경으로 경찰에 입문한 분들 중에 순경이나 경장, 경사로 승진하는 동안 간부후보생 시험을 준비하여 간부(경위)가 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이런 경우 순경에서 경장, 경사를 건너뛰고 벼락 진급을 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군사정권 시절에는 군 장교 중에서 중앙정보부(안기부 및 현 국정원의 전신) 고위직 Agent 로 발탁되거나 일반직 공무원(이 때 임명된 군 출신 사무관을 유신 사무관이라고 비아냥 거리는 별칭이 생겨나기도 했다. ) 으로 되기도 하고 심지어 경찰에도 간부로 낙하산으로 내려온 적이 없지 않습니다. 군 계급에 따라 경감에서 총경까지 낙하산이 꽂히기도 했습니다. 전두환, 노태우 대통령때 까지의 일입니다.
    솔직히 경찰의 부패 역시 무시할 수 없었던 시절, 군 출신 경찰들은 그나마 자신들의 자존심때문인지 몰라도 뇌물을 먹거나 부패에서는 좀더 초연했다는 점에서는 평가하고, 경찰 내부에서도 그 당시 사회상이, 계엄령이 선포될 경우 군이 삼권을 장악했지만, 그중에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이 민심을 얻고 치안을 장악하는 일이였기 때문 이를 담당하는 경찰을 가장 먼저 장악했기 때문, 계엄하에서 각 시도의 경찰국장들은 전부 현역 군인들이 맡아서 계엄 기간 동안 그 직책을 수행했습니다.
    당시 경찰들은, 토착 세력과 결탁하여 각종 이권이나 비리에 개입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 군인들이 깡패를 일소하고 사회 기강을 바로 잡았다는 점에서는 일정 부분 인정할 수도 있으나 그에 못지 않은 부작용도 무시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 좋은 예가 5. 16 이후 범죄자를 동원하여 만들어진 국토 건설단(제주시와 서귀포를 한라산을 관통하여 만든 소위 ' 5.16 도로가 이들 만든 도로임) 사업이나 12. 12 이후 삼청 교육대가 대표적 사례라고 할 것입니다.

    • @eofnelkim1508
      @eofnelkim1508 4 місяці тому +1

      경찰대를 나왔는데 간부(경위)가 되지못한다는게 뭔소리에요?

  • @kevin_yun5773
    @kevin_yun5773 2 роки тому +16

    제 경험으로는 우연히 보게 됐는데 경정 말년과 총경 5년 남은 사람들이 급여 차이가 50만원도 안나더군요...역시 공무원은 연차가 최고구나...라는 생각을 했었죠.

    • @kevin_yun5773
      @kevin_yun5773 25 днів тому

      @user-tb1wh9vo8w 경정도 차량과 운전수 나오고 업무 추진비 있어요...총경이 대령과 같은급 입니다.군대에 장군은 치안감 수준 입니다

  • @jminikwon
    @jminikwon 2 роки тому +14

    와 범석이형 유툽하고계셨어요? ㅋㅋㅋ 저 형 경대있을때 의장대 근무했었는데 기억하실라나모르겠는데 너무반갑네요. 형도 나이많이드셨네 구독하고갈게요

    • @lawyerpolice
      @lawyerpolice  2 роки тому +11

      반가워~^^ 시간이 많이 흘렀네 진짜 ㅎㅎ 잘 지내지?^^

  • @user-vi2gf9zd8c
    @user-vi2gf9zd8c 2 роки тому +1

    러셀님 방가워요 ^^

  • @susmkr
    @susmkr 2 роки тому +1

    전체 경찰의 출신 비율 설명이 있었으면 더 좋았겠네요...군과는 많이 다르다던데...

  • @user-fi8bn6ct8t
    @user-fi8bn6ct8t 2 роки тому +3

    인터뷰 하시는 분이 궁금한점을 다 풀 수 있게 잘 질문해주시네요!!
    맘에듭니당~ 소방도 궁금해요!

    • @user-yl1qt1jk7o
      @user-yl1qt1jk7o 2 роки тому +1

      목소리가 러셀님이신듯

    • @susu-he7xz
      @susu-he7xz Рік тому

      @@user-yl1qt1jk7o그렇네요 비슷하네요 맨날 별 생각없이 들었나 봅니다 ㅎㅎ

  • @user-vw1em6vw8i
    @user-vw1em6vw8i 10 місяців тому

    승진보다는...앞으로 시대는 계급제보다 직위분류제중심으로 조직이 점점 변모하고있습니다 해당분야에서 얼마나 전문성을 기르고 그게 앞으로 퇴직하고나와서 제2의삶에 어떤 연관관계를 지을수있을까 그게 어떤 매개체가 될까를 생각하며 전문성을 키우는게 저는 중요하다고봅니다. 민간조사사 경비지도사 등등 학교폭력예방지도사 신변보호사 민간자격이 점점 국가자격화될 예정이기때문에 그에 맞춰서 어떤 전문성을 키울것인가를 더 생각해야하지않나 싶습니다.

  • @user-ox8je1rt7u
    @user-ox8je1rt7u 2 роки тому +35

    의경 때 지원근무 갔는데 나이 어린 소대장(경위)도 있었는데 경찰서 직원(경장)이 소대장(경위)에게 “넌 뭐야?” 하길래 ㅈㄴ웃었음. 옆에 어떤 애가 소대장이라고 하니까 사과함 ㅋㅋㅋㅋ

    • @user-ft9nk7yi4l
      @user-ft9nk7yi4l 4 місяці тому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eisjshaieonw
      @eisjshaieonw Місяць тому

      의경으로 오해할 만 하죠 거의 같은 나이니깐요 경대의 최고 장점 중 하나가 군생활 의경 소대장으로 하는거였는데 요즘은 모르겠네요

  • @chk4128
    @chk4128 2 роки тому +12

    좋은 영상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lawyerpolice
      @lawyerpolice  2 роки тому

      영상 시청과 응원 감사드립니다!^^

  • @gogo-hd1eq
    @gogo-hd1eq Рік тому +1

    잘봤습니다.
    아들이 이번에 입교했습니다.준비하기전에 본인계획은 간부시험까지 생각하고 있는데 경쟁률이 치열하겠네요..뽑는 인원이 작아서~

  • @user-sp6mb6vw1f
    @user-sp6mb6vw1f 2 роки тому

    총경 기동단장도 있죠 ㅋㅋ 그리고 제가 수인이던 16년도는 송파도 경무관이 서장했더라고요 ㅋㅋㅋ

  • @user-dv6ub8lb5k
    @user-dv6ub8lb5k Рік тому +1

    안녕하세요! 혹시 쓰고계신 의자 정보좀알수있을까요?! 너무너무 궁금합니다 선생님

  • @charlieshin9513
    @charlieshin9513 2 роки тому +1

    고딩 산악회에서 찍사하는 귀염둥이 후배가 총경으로 승진했다고 연락을 받고.. 내나이가 벌써 이렇게 되었나 싶어 허무하네요 ㅎㅎ

  • @tv-ox8ce
    @tv-ox8ce 2 роки тому

    러셀님 목소리네요 ^^

  • @user-a10
    @user-a10 Рік тому

    전 경감님 저는 치안에 관심많은 SW제작자입니다. (사건관련) 쌍꺼풀있는 사람들의 커뮤니티를 운영중인데 가입을 청합니다. 저도 쌍꺼풀이 있는데 쌍꺼풀 예쁜 사회적 약자의 보호가 시급합니다.T.T

  • @Brainstom
    @Brainstom Рік тому +1

    저는 문과가 아닌 이과로 대학과학과나전공(=애완동물)을 선택해서 나왔어요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경찰이 될수 있어요
    순경공채로 순경부터 시작해서 치안총감(=경찰청장OR과학수사대대장OR강력범죄수사대),경찰간부시험,경찰간부후보생(=경위로 시작해서 경찰청장)이 되거나 경찰(15~20년이상)하면서 야간대학,사이버대학등을 다녀서 학사~박사까지 하는 방법도 있지 않을까요? 마지막 경우는 경찰도 하고,변호사도 동시에 하는 것이죠 완전히 법에 대해서는 전문가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우리나라에는 강력범죄수사대가 있는데 과학수사대에 과학수사대대장은 없죠 부서를 만들어서 과학수사대대장,과학수사대부장등이라는 직책을 만들면 좋을 것 같네요

  • @yjk78931
    @yjk78931 2 роки тому +15

    알고리즘에 이끌려왔는데 너무 재밌네요 ㅎㅎ 나중에는 경찰과 교정의 업무관계 경찰과 검찰과의 업무관계 이런것도 풀어주실수 있을까요!?

  • @losblancos0607
    @losblancos0607 Рік тому +2

    이렇게 보니, 행시 합격자 중 경정 특채로 가는 사람의 경우는 정말 높게 시작하는 거네요
    뭐 그런 사람 자체가 극소수이고 티오도 있다가 없다가 해서 거의 드문 경우라고는 하지만요

    • @eisjshaieonw
      @eisjshaieonw Місяць тому

      사시 붙어서 가는 경우도 있었어요 경정으로

  • @user-yo7zo3sq3u
    @user-yo7zo3sq3u 8 місяців тому

    네~ 감사합니다
    있는 그대로 알려주십니다 얼굴도 부더럽게 생겨셨고요 늘 시민들을
    위해서 봉사하실분같아요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zs4lw7cj9d
    @user-zs4lw7cj9d Рік тому +1

    올해 고3 되는 학생입니다 꿈이 경찰이라. 경찰대 목표로 두고. 공부 하고있는데. 경찰대 입시 관련해서. 소소한영상만들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user-hn4fz3cd9y
    @user-hn4fz3cd9y Рік тому +3

    변호사님 간부후보생 시험이 경찰대시험보다 어려워요 !

  • @user-ie5nj9yy9z
    @user-ie5nj9yy9z 2 роки тому +1

    목소리가 예비역 황대위님 현재 부동산 하시는 분 아니신가요?ㅎ

  • @happylife6060
    @happylife6060 2 роки тому +9

    아.. 경찰서장 계급이 총경인건 알고 있었는데.. 그냥 일정나이가 되면 자동으로 다 승진하는줄 알았는데.. 군대로 설명하니 이해가ㅇ빠르군요.. 총경 되기가 엄청 빡쎈거었네요.. 이건 몰랐슴돵~~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altair233
    @altair233 2 місяці тому

    군대랑은 확실히 다른게 밑에 기수가 승진을 해도 옷 안벗고 그냥 다니더라고요..😅서장이 훨씬 윗기수 지방청장 후배기수...

  • @chimmydono1176
    @chimmydono1176 2 роки тому +5

    목소리 너무 러셀님 같았는데 역시 ㅋㅋ

  • @polchoi7970
    @polchoi7970 2 роки тому +17

    경찰을 꿈 꾸는 수험생 입니다. 변호사님! 구독 했습니다. 영상 자주 부탁 드리께요!

    • @lawyerpolice
      @lawyerpolice  2 роки тому +2

      구독 감사합니다^^ 필 합격 기원드립니다!!

  • @narak_abyss
    @narak_abyss 6 місяців тому

    경찰 직급체계가 빡시네요; 최상위 두개계급은 정보가 없네요 ㅋㅋ

  • @user-gz3hc8bp3m
    @user-gz3hc8bp3m 7 місяців тому

    좋네요

  • @hyos1378
    @hyos1378 2 роки тому +1

    이철성 청장은 순경 출신 플러스 경간 출신입니다. 그외에도 백형조 치안정감은 순경 경간 행시 출신 경찰간부죠

  • @Ryryryruru
    @Ryryryruru 2 роки тому +2

    경찰은 군인과 다르게 바로 모든 임용자가 다 장기복무자 라는것. 단 경정부터는 장기복무인데 계급정년 커트라인이 시작되는것
    그리고 순경출신이라도 딱히 장교계급 이란게 나누워져 있는게 아니라서.. 쭉쭉 올라가는데 노력만 한다면 올라가는 것 같습니다.

    • @vincentr6567
      @vincentr6567 2 роки тому +1

      나누워져x 나누어져o 나눠져o

    • @user-nk1ex8uf2z
      @user-nk1ex8uf2z 4 місяці тому

      군인은 나이정년 경찰은 계급정년
      사실 순출이 계급정년 걱정할거는 없고

  • @user-Bluedraw_WING
    @user-Bluedraw_WING 2 роки тому

    왜 인터뷰어 목소리에서 러셀형님이 느껴지는거죠..?

  • @user-yg7rl1wy5s
    @user-yg7rl1wy5s 2 роки тому +9

    고위 계급 아니면 정년하면 다 똑같습니다.
    정년 후에 뭘 하며 살지가 중요해요.
    그래서 막 자격증도 많이 공부하시고들 합니당

    • @user-oc3kj8bf7k
      @user-oc3kj8bf7k Рік тому

      진짜 맞는말씀입니다 퇴직후재취업공부를 하는게 맞죠 승진공부할 시간에...퇴직하거나 퇴근하면 동네아저씨인데 대단한 파워가 있는것도아니고..

  • @only1196
    @only1196 2 роки тому +1

    질문하시는 분 목소리가 러셀TV 러셀님 같은데 맞죠?

  • @user-ei8tx7sy9j
    @user-ei8tx7sy9j Рік тому +1

    강력계 형사 생각중인 중3 남학생입니다
    잘 보고 갑니다

  • @user-wt9jc9ju1h
    @user-wt9jc9ju1h 5 місяців тому

    치안 최일선 지파출소는 7급 경위가 한계이고 6급 경감은 대부분 정년퇴직 직전이나 가능해요

  • @chrisum2699
    @chrisum2699 2 роки тому

    여기 질문하시는 피디님 러셀하고 목소리가 비슷하신데요 ㅋ

  • @wonhyeongpingpong
    @wonhyeongpingpong 2 роки тому +1

    질문해주시는분 러셀님이신듯 ㅎㅎ

  • @seedoification
    @seedoification 2 роки тому +1

    순경출신으로 열심히 공부해서 총경다신분도 있다는걸로 아는데.. 그리고 법대 관련이면 경장 특채가 지금도 있나 모르겠구요.. 일단 순경으로 시작하면 경장은 쉽게 가고 경사 경위 달기가 어렵다고 암.. ㅠㅠ

    • @eisjshaieonw
      @eisjshaieonw Місяць тому

      법대가 아니라 사시 붙으면 옛날에 있었어요 사시 붙은게 그 만큼 좋아서 잘 안하려고 했죠

  • @shorts-cm8jh
    @shorts-cm8jh 2 роки тому +6

    아는 형님이 순경시작해서 39살에 경위달았는데 경정 시험은 조금 늦게 본다고 하더라구요 경정에서 몇년동안 진급 안되면 퇴직이라고..

    • @user-ib3rc2ip7f
      @user-ib3rc2ip7f 6 місяців тому +1

      39 경위면 경정 아무리 빨리달아도 50전에 못달텐데... 계급정년 전에 정년다돼서 끝납니다

  • @user-yf4kz8bw5x
    @user-yf4kz8bw5x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1970년대 큰형님 친구분은 순경으로 시작해서 치안감까지 승진하여 지방청장까지 하신분이 계시는데 그분은 시간만 나면 공부하는 모습을 어릴때 본적이 있다.

    • @eisjshaieonw
      @eisjshaieonw Місяць тому

      진짜 어려운 케이스고 대단한거죠

  • @PRO-zn9hu
    @PRO-zn9hu 2 роки тому +4

    총경부터는 정치라인도 있어야 하고 기타 여러가지 문제들이 있다. 경간부출신이든 경찰대 출신이든 요즘은 총경달기 어렵다.

    • @eisjshaieonw
      @eisjshaieonw Місяць тому

      그래도 총경 하는 경우가 더 많아요 경대 출신 시작이 23살이 잖아요 군대도 안가요

  • @user-ny7by1qn1w
    @user-ny7by1qn1w 2 роки тому +36

    08년도
    대구서부경찰서 서장님
    순경으로 시작해 총경까지 간
    그때 당시도 특이한 케이스라고 느꼈는데
    이 영상보고 더욱더 느껴지네요.

    • @user-ri2vp7qt7f
      @user-ri2vp7qt7f 2 роки тому +3

      그런 분들은 월래 간부시험이나 고시 준비하다 순경된 후 진급시험으로 빠르게 올라간 케이스 같네요.

    • @stan1823
      @stan1823 2 роки тому +6

      의경 복무하면서 서장 두 번 바뀌어서 총 세 분 뵈었는데 세 분 다 순경 출신이었음..ㄷㄷ 한 분은 법학과 나오시긴 했음

    • @user-db8ts3ll1w
      @user-db8ts3ll1w 2 роки тому +2

      18-19년도 대구 중부 서장님도 순경 출신임

    • @user-mb5qz4dc1s
      @user-mb5qz4dc1s 2 роки тому

      의경형들 많네ㅋㅋㅋ

    • @knightguy12391
      @knightguy12391 2 роки тому +2

      02군번 전경인데 37살 순경출신 경감이 전경대장이엇어요 거의 미친거죠

  • @markdo0812
    @markdo0812 2 роки тому

    목소리가 러셀님 목소리 같은데요?ㅎ맞나요?

  • @user-gx5pw1ip1f
    @user-gx5pw1ip1f Рік тому +2

    어릴때 순경시험으로 들어가서 초반에 승진시험으로 빨리올라가는것이 베스트인데 요즘 그 순경시험이 자체가 어려워요.....

  • @user-dn8pe8qo1m
    @user-dn8pe8qo1m Рік тому

    가끔 뉴스보면 무슨 사건 해결해서 1계급 특진 이런거 나오는데 특진에 대해서도 궁금합니다

  • @user-hq7kw2yv1d
    @user-hq7kw2yv1d 2 роки тому

    치안감 퇴직 하셨는데 지금은 그냥 준할아버지...뭐든 현역일때가 빡샘

  • @wwoooossss7
    @wwoooossss7 2 роки тому +1

    인터뷰어가 익숙한 목소리네요 ㅋㅋ

  • @user-cc5mv8dj6r
    @user-cc5mv8dj6r 2 роки тому +33

    옆집아저씨 23살에 순경입직하셔서 올해 정년하시는데 경감.....거의 40년..ㅎㄷㄷ

    • @user-ms2vj1bo9s
      @user-ms2vj1bo9s 2 роки тому +2

      순경 출신ㅇ 경감이면 잘 올라갈거죠!!!

    • @vitaminB737
      @vitaminB737 2 роки тому +7

      40년하고 경감이면 기를쓰고 도달했겠네

    • @wdg9494
      @wdg9494 2 роки тому +3

      @@vitaminB737 요즘은 퇴직전 경감 다 달아줍니다 하지만 타 직열에 비해 아직 경찰이 많이 느린편이죠 계급이 많아서 ㅠ

  • @user-hx8do8oq7y
    @user-hx8do8oq7y Рік тому +2

    과거에는 101단에만 들어가면 2년마다 진급 4년뒤 경사 달고 빠르게 경감도 달 수 있었는데 2010년경 바꼈음

  • @user-wc8bn4ws2d
    @user-wc8bn4ws2d 2 роки тому

    목소리가 러셀님??

  • @user-fk7vh2rw7b
    @user-fk7vh2rw7b День тому +1

    저희 고모부가 순경에서 시작해서 총경까지 해운대경찰서장까지 역임하셨음 순경은 총경이상 못올라가고 그것도 손에 꼽히는거임..
    그리고 경대출신이랑 순경시험이랑 가장틀린게 경대출신은 경위로 사법경찰관이고 순경~경사는 사법경찰리 입니다

  • @user-dp3fb7su9q
    @user-dp3fb7su9q Рік тому +2

    요즘은 고등학교졸업하고 군대가기전에 바로 순경공채시험보고 합격하고 발령받고 2년정도 근무하고 군대갔다와서
    다시 경찰 할수있서서 공채도 높은계급 나오고 퇴직하는분 늘어날듯
    그나저나 야 너 사회에 있을때 뭐했냐
    경찰입니다
    하면 대박 멋있을듯

    • @user-vb1ds7nb5s
      @user-vb1ds7nb5s 10 місяців тому

      의무경찰폐지되고 그러는 경우 생길수도? 난 공군인데 경찰대출신봄

  • @captkyle-le5ym
    @captkyle-le5ym 2 роки тому

    진급으로만 보자면
    총경은 군에서
    대령에서 준장다는것 처럼 진급하기 쉽지 않은 계급
    일반 경찰에서 계급의 꽂으로
    여기나 실무서는 일과 책임이 제일 과중한 계급이라 보며
    그 위 경무관 부터는
    경찰의 전반적인 정책 기획등
    민생 실무와는 거리가 있음

  • @myname-ko1yx
    @myname-ko1yx 2 роки тому +24

    의경 출신인데 복무 기간 동안 경찰서장(총경)이 한번 바뀌심. 각각 동국대 경행, 경찰대 출신이었음. 경정 이상분들도 전부는 모르지만 대부분 경찰대 or 동국대 경행이고 딱 한분 서울대 계셨음.
    직원들 썰 기억하기론 경찰대 생기기 전엔 동국대 경행이 최고라 기존 고위급분들도 많아서 경찰 안에서 학벌은 대학 입결이 아니라 경찰대냐 동국대 출신 간부후보생이냐로 나뉜다고 하네요.

  • @Jorjia425
    @Jorjia425 2 роки тому +110

    국회에 아는 사람 없으면 나이정년 보장되는 계급서 오래오래 일하는게 낫을듯. 개인적인 생각으로 군경은 절대 능력으로 승진되는 경우는 없다고 생각함. 비리안하면 사실상 못올라간다고 보면 될듯. 미움박혀서 이상한데로 발령나거나 보직 안줘버리는 수준까지만 안되게 유지하면서 그냥 월급루팡하는게 인생편함. 계급이 고착화된 사회가 되어서 입신양명하려하면 할수록 인생이 괴로워짐. 그냥 수준에 맞게 즐기며 살아야할듯

    • @user-wp4fz5km8l
      @user-wp4fz5km8l 2 роки тому +24

      k-여성은 더 올라갈 수 있어요!!!
      에헴!!!!

    • @vincentr6567
      @vincentr6567 2 роки тому +4

      낫을듯x 나을 듯o

    • @seolhwasu2950
      @seolhwasu2950 2 роки тому +3

      이런 생각을 하게 만드는 대한민국 정부 반성해야한다

    • @graciousdignity7547
      @graciousdignity7547 2 роки тому +5

      경찰조직의 대개혁이 절실히 필요하군요,월급루팡이 있다는 것은 능력제로 월급차등지급이 필요하네요

    • @Jorjia425
      @Jorjia425 2 роки тому +10

      @@graciousdignity7547 ㅋㅋㅋㅋ 너는 백수지? 보통 직장인들은 서로 어느정도 연대의식이란걸 느껴서 이런말 찔려서라도 잘 안할텐데? 그리고 루팡이라는게 내가 해야될 일은 하되 시키지 않은 일은 굳이 내가 찾아서 안하는걸 말한단다 아가 or 백수야. 즉 일인분만 딱하고 나머지는 이악물고 못본척한 걸 말하는거야. 딱 입금액만큼만 일하기 그런걸 우리는 월급 루팡이라 부름

  • @user-ti6cn8md4b
    @user-ti6cn8md4b 2 роки тому +1

    이젠 경위공채로 이름이 바뀌었지요??
    일선 파출소에는 50에 아직 경사 이신분도 있고요

    • @user-qr6rp8pl3z
      @user-qr6rp8pl3z 3 дні тому

      근속승진제도가 생겨서 50대에 경사는 없어요. 최소 경위 이상입니다.

  • @jsm9252
    @jsm9252 2 місяці тому

    일반공무원으로 치자면 경정은 5급 사무관, 순경은 9급 서기보 위치에 있는거네요

  • @kkkkx4
    @kkkkx4 Рік тому +1

    여러분들이 아셔야 하는게 하나 있는데 경정까지는 승진시험으로 어떻게 올라가는건 가능한데 총경부터는 경찰청장의 추천이 필요합니다. [경찰청장의 추천 -> 행정안전부 장관의 제청 -> 국무총리 거쳐서 -> 대통령이 임명] 이 순서입니다. 순경 공채 경채로 올라가는 케이스가 정말 극소수라고 표현하는게 맞는게 줄도 백도 없으면 경정에서는 올라가려고 해도 올라가지 못하는게 현실입니다. 그리고 혹여나 경정까지 잘 갔다고 쳐도 14년동안 승진이 안되면 자동으로 퇴직해야 하는 부분도 있으니까 잘 선택해야죠...

  • @Jay-Bco
    @Jay-Bco Рік тому +1

    경찰대와 순경 공채 사이의 벽이 육사와 삼사 사이의 벽보다 적은 느낌이네요

  • @hyun.0808
    @hyun.0808 2 роки тому

    저희 할아버지가 경대출신 총경 이셨는데 재직당시 교통사고를 당하셔서 퇴직하셧는데..경무관이 되셧을지도 모르겠네요,..

  • @user-rc4zj1gq3b
    @user-rc4zj1gq3b 2 роки тому

    러셀님 영상인 줄 알고 러셀님 목소리 나왔는데 채널이 다르네…

  • @user-ok4ur6cp8s
    @user-ok4ur6cp8s 2 роки тому +2

    경무관 이상 부터는 능력도 능력이지만 정부 고위층 인맥에 따라 결정 될듯

  • @SHC-uo5nj
    @SHC-uo5nj 2 роки тому +19

    경찰 레전드가 이철성 청장님이시죠 ㅋㅋ
    순경으로 시작해서 경찰청장 하신 경찰 모든 계급 다 경험해본 유일한 청장 ㅋㅋ

    • @user-xn3vq1hr2n
      @user-xn3vq1hr2n 2 роки тому +9

      레전드가 한분 더 있습니다
      안응모
      1953년 경찰 순경 투신
      1982년 치안본부장 (현 경찰청장)
      1992년 내무부장관

    • @user-pp3ls1ti7p
      @user-pp3ls1ti7p 2 роки тому

      그분은중간에 경간부시험보셨습니다.
      경사때봐서 경위다셨죠

    • @SHC-uo5nj
      @SHC-uo5nj 2 роки тому +4

      @@user-pp3ls1ti7p 네 그래도 모든 계급 다 거치셨죠 ㅋㅋ

  • @user-kp7gd2ll3f
    @user-kp7gd2ll3f 2 роки тому

    근무부서는 다 랜덤일까요? 지방경찰청에는 뒤죽박죽??

  • @user-ro3qz5xi4l
    @user-ro3qz5xi4l 2 роки тому

    경찰대는 졸업하면 바로 경찰인가요 아니면 시험을 봐야 시작하나요

  • @user-rg1se4zn6w
    @user-rg1se4zn6w 2 роки тому +5

    어떤 입직 경로든 조직내에서 성공한분들은 있습니다. 근데 순경으로 들어오면 경위로 들어 오신분들보다 어렵습니다. 인맥 없으면 여러가지 어려움이 많아서 성공하기 쉽지 않습니다.

    • @hwanhuisong5981
      @hwanhuisong5981 2 роки тому +1

      솔직히 총경이상 생각하는 게 아니라면 순경공채가 크게 뒤쳐지지는 않는다고 봅니다 이제 순경으로 입직해도 근속으로 경감퇴직이 가능하고 경찰대/경간부도 70프로는 경정퇴직입니다
      경정까지 시험승진이 있으니 순경으로 입직해도 경정으로 가는게 충분히 가능하고 오히려 일찍 승진하게 되는 경위 입직자들은 경감부터 서/지방청 간 인사이동이 있기때문에 이런 부분에서 오는 피로도 감안해야 하고요
      순경으로 입직해서 근속으로 경감까지 가게되면 사실상 인사이동으로 인한 피로는 거의 없을겁니다 비간부 계급에서는 인사이동이 크지 않으니까요
      경위입직자들은 대략 30대 초중반에 경감을 다는데 지방청에 근무하면서 사실상 이때부터 인사나 승진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계속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총경으로 가는 30프로 이하의 인원들은 거의 가족에 신경쓰기도 어렵다고 하는데 그게 정말 좋아보이나요

    • @hwanhuisong5981
      @hwanhuisong5981 2 роки тому

      경찰대/경간부는 입직 난이도에 비해 메리트가 거의 없는 편입니다
      70프로 이상의 경위입직자들도 40대 초중반에는 순경 입직자들과 계급적 차이는 크게 없게되고(근무부서는 다르지만) 같은 경감일 때 지방청에서 아직 실무자급인 경위입직자들에 비해 순경입직자들은 지구대/파출소나 관할서에서 팀장같은 비교적 높은 보직에서 일할텐데 당연히 순경입직 경감이 일하기에 더 편하지 않을까요?

    • @hwanhuisong5981
      @hwanhuisong5981 2 роки тому

      난이도는 준고시급인데 순경이랑 비교해서 메리트는 그나마 30프로 이하의 인원들이 총경이상 진급이 가능하다는 건데 그것도 편히 가져가는 것도 아니고 고생이라는 고생은 다 갈아넣어야 관할서장이나 지방청 과장정도 될 수 있는건데 그게 과연 메리트가 맞을까요? 경무관 이상은 극소수니 논외로 하고, 경정보다 한 계급 올리려고 막대한 노력을 감수해야 합니다
      그렇게 엄청난 고생이랑 등가교환한 한두계급이 대단한 무언가를 가져다주는지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 다른 경찰대 출신분들도 이 부분에 대해 확신이 없어서 조직을 떠났겠지요

    • @hwanhuisong5981
      @hwanhuisong5981 2 роки тому +1

      순경보다 몇 배 더 어려운 경간부 시험을 굳이 볼 필요가 없습니다 출신성분?
      그 출신성분이 오히려 더 많은 고생을 가져다 줄겁니다
      경간부 시험 합격할 노력으로 순경 입직해서 승진 공부하면 경감은 40 전후로 충분히 달 수 있습니다 차라리 경간부 볼거면 7급 지방직 준비해서 합격하는 게 훨씬 이득입니다

    • @user-rg1se4zn6w
      @user-rg1se4zn6w 2 роки тому

      @@hwanhuisong5981 승진 적체를 해결하는게 가장 중요한 문제 인것 같습니다 타직종에 비교했을때 4급 이상의 비율이 너무 적습니다. 지구대장도 경정으로 바뀐만큼 총경 과장 경무관 서장도 대폭 확대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 @user-un1ot4wg4d
    @user-un1ot4wg4d 5 місяців тому +5

    솔직히 순경공채로 들어가서 진급하는건 정말 극소수고 진급에만 초점을 두자면 경찰대가 답이고 그 다음이 간부후보생으로 들어가는건데 간부후보생시험이 솔직히 과목만 예전 사법고시보다 못하지 행시정도 공부해야된다고 봄,,,나이가 어리다면 간부후보생 도전이 맞다고 봄,,그리고 변호사님의 말씀처럼 같은 경찰행정학과라도 유명한 경찰행정학과을 졸업해야 들어가서도 끌어줄 선배가 있기에 대학도 골라서 가야함,,,

    • @user-wz8wg3bq3t
      @user-wz8wg3bq3t 5 місяців тому +2

      간부후보시험을 행시에 비비는 사람은 처음보네..

  • @username28diwmxi4
    @username28diwmxi4 Місяць тому

    영상 속 질문 하시는 분은 러셀tv같은데 맞나요 ㅋㅋ

  • @mimi-pj1dk
    @mimi-pj1dk Рік тому

    경찰대 한해 100명 나오는거 맞나요? 편입을 100명 받는다고 하던데 200씩 나오는거 아닌가요?

  • @user-rw7ze2qh1c
    @user-rw7ze2qh1c 2 роки тому +4

    말이 근속이지 경감근속도 제한걸어놔서 100%가 아직 아니라 경위퇴직자분들이 계신게 씁쓸한거죠

  • @user-cy5lo4yj2h
    @user-cy5lo4yj2h 2 роки тому +4

    쉽게 생각하면 총경이면 경찰서장에 준하는 계급인데, 전국에 경찰서가 보통 시군당 1개 정도씩 있는데 경찰서가 무한정 있을수는 없으니 경찰서장 자리도 그만큼 한정되어있고, 계급이 오르면 그에 맞는 보직을 줘야 하기에 진급이 안되는 건 어쩔 수 없는 수순

    • @effective471
      @effective471 4 місяці тому

      그냥 경대 나와서 진급하지말고 경정으로 한직가는걸 추천 스트레스 없음

  • @golfher1987
    @golfher1987 2 роки тому +2

    아들 1차가 젤 중요해~~ 후회없이 달려봐~~

  • @hojin3718
    @hojin3718 2 роки тому

    질문하시는 분 목소리가 익숙한 분 같네요 😄

    • @pattayes
      @pattayes 2 роки тому +1

      맞죠? 안경 쓰신 그 분?

    • @hojin3718
      @hojin3718 2 роки тому

      @@pattayes 네. 러셀님이실겁니다

  • @user-ni6my7mh8u
    @user-ni6my7mh8u 2 роки тому +63

    영상을 보다보니 공교롭게도 제가 아는 지인 몇분이 간부후보생 출신이시라 정확히 말씀 드리자면 일반적으로 경찰행정학과 나와서 합격하는분들이 기수마다 다르지만 한 기수 당 25~40퍼정도 되고 다른 여러가지 경우가 있지만 보통 대학 다니실 때까지 경찰에 별 생각이 없으시다가 군대를 우연히 전투경찰로 가셔서 거기서 경찰에 뜻이 생겨 준비하셔서 선발되신 분이 대부분이엇고 드물지만 고시공부 준비하시다가 1차에 계속 붙고 2차에서 두 어번 고배를 마시는 와중 또 우연히 간부후보생이라는 선발제도를 알게 되어 진로를 선회하여 입직하시는분이 있었던 거 같습니다. 신기한건 이 분들의 공통점이라하면 모두 법대생이엇다는 거고 또 우연히 경찰에 뜻이 생기게 되셔서 입직하셨던 분들이네요ㅎㅎㅎ

    • @user-ni6my7mh8u
      @user-ni6my7mh8u 2 роки тому

      @임수빈 혹시 왜 경찰이 되고 싶으신지를 여쭤봐도 될까요?

    • @user-tp4vv3ry1n
      @user-tp4vv3ry1n 2 роки тому

      @@user-cn8zc2eu6p 자퇴하면 합격못합니다ㅋ

    • @user-zd7ho2vu6q
      @user-zd7ho2vu6q 2 роки тому +10

      지인이 간후보출신인데 어떻게 님이 정확히 알아요 현재 경행나와서 간후보들어오는사람 기수당 30퍼도 안됩니다 서울 중상위권 대학이 대부분입니다

    • @user-ni6my7mh8u
      @user-ni6my7mh8u 2 роки тому

      @@user-zd7ho2vu6q 네~ 매해마다 차이가 있으니까 그렇겠네요

    • @user-ph3il3jy1j
      @user-ph3il3jy1j 2 роки тому +10

      동국대 경행에서 매년 7~10명 전후로 나오고 나머지 경행에서 0~2명 나옵니다. 그리고 50명중에서 경행 아닌 사람이 보통 30명이 넘습니다.

  • @hancta9077
    @hancta9077 2 роки тому +11

    이렇게 보면 고 이완구 전국무총리님은 대단한듯.. 31에 총경 39에 경무관... 40대에 치안감

    • @amicus1905
      @amicus1905 2 роки тому +1

      이전총리는 행시출신이라 스타트가 경정이었죠..사시 행시출신은 경정부터 시작합니다...물론 40대 치안감은 그럼에도 매우 빠른거긴하지만요 ㅎ

    • @user-ri2vp7qt7f
      @user-ri2vp7qt7f 2 роки тому +3

      뭐 옛날 얘기죠. 대한건국초기 어수선할 때는 2030대 장군도 많았죠

    • @user-yk1ts5rs1y
      @user-yk1ts5rs1y 2 роки тому

      순경에서 시작 내무부 장관까지 하신분이 있죠

    • @user-xn3vq1hr2n
      @user-xn3vq1hr2n 2 роки тому

      @@user-yk1ts5rs1y 안응모
      1953년 경찰 순경 투신
      1982년 치안본부장 (현 경찰청장)
      1992년 내무부장관

  • @kuya2849
    @kuya2849 Рік тому

    일반인도 해양경찰에 원서를 낼수있고 합격되면 국방의 의무로 군대에 가는것과 동일한 건가요?

  • @user-wv2yq9ym2y
    @user-wv2yq9ym2y 2 роки тому +2

    예전에 30대중반 경대출신 경위도 있었는데 그분 사법고시 패스해서 뉴스에 나오셨던걸로 기억합니다

    • @user-zm3wv9tw6l
      @user-zm3wv9tw6l 2 роки тому

      가끔 그런분들이 있읍니다

    • @gjl4180
      @gjl4180 2 роки тому +1

      사시출신들이 경찰 과장(경정으로) 들어오는 경우도 종종 있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