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p drawing with ○○!! How to draw to capture someone's heart [Consultation]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1 лют 2024
  • #DrawingTips #Illustator #MentalSelfCare
    🌈 We accept counseling or feedback requests here.
    👉cafe.naver.com/macciart Macciatto Fancafe "Caramel House"
    🌈Subscribe to the Macciatto Channel for unlimited access to live stream replays!
    👉 / @macciatto
    🌈We're conducting online classes for aspiring professionals.
    Skill Improvement, Portfolio Preparation, Counseling, and Consulting
    👉 macciatto.softr.app

КОМЕНТАРІ • 64

  • @ksmb2333
    @ksmb2333 4 місяці тому +320

    그림을 배우고 가르치다보면 웹툰 지망처럼 서사를 좋아하는 타입, 그리고 일러스트레이터처럼 그림 자체를 좋아하는 타입이 확실히 다르긴 한 거 같아요
    서사를 좋아하는 타입은 확실히 그림 자체를 좋아하는 타입보단 그림이 천천히 늘고 특히 임팩트가 부족한 거 맞아요.
    그래도 서사를 좋아하는 사람의 장점은 인물 하나를 그려도 뭐랄까.. 좀 소울이 있게 그려요. 그냥 예쁜애 하나 즉석에서 그려볼까? 가 아니라 본인이 그린 인물의 성격, 성장환경, 이런 백그라운드들이 머릿속에서 명확하기 때문에, 형태감이나 표현력이 부족해도 그거에 비해 캐릭터의 인상이나 표정에 호소력, 생동감이 있는 경우가 많은거 같아요.
    단점만 있는 게 아니고 그런 장점도 있으니까 너무 스트레스 받지 않고 꾸준히 해 나가셨음 좋겠어요. 서사를 좋아하는 사람은 그림 공부를 할 때도 무작정 따라그리거나 눈으로 보는 것 보단, '왜' 이 그림이 근사한 느낌을 주는 걸까? 연출효과를 이론적으로 분석하는 방향으로 접근하는 게 상당히 도움이 되는 거 같더라고요. 화이팅.

    • @user-it1gk8eb9m
      @user-it1gk8eb9m 4 місяці тому +10

      서사스타일은 인물이 풍경처럼 느껴져요 ㅎㅎ 깊이가 있습니다

    • @PeneloVa
      @PeneloVa 4 місяці тому

      그런분들이 어느정도 경지에 오르면 진짜로 굉장하죠! 확실하게 살아있는 캐릭터를 보는 느낌이 점점더 몰입하게 해줘요!
      다만 대부분의 경우 그 반도 못가고 고꾸라져서는 지혼자만 아는 설정 놀음에 매몰되어 남들이 보기엔 별것도 아니고 그닥 멋있지도 않은 요소만 편집증걸린것마냥 강조해놓은 그림이 되죠..ㅜㅜ

    • @callie114
      @callie114 Місяць тому

      @@PeneloVa 헐 맞아요 이거 진짜 어떻게 고쳐야할까요..

  • @malkong064
    @malkong064 4 місяці тому +126

    영상과 상관없는 말이지만,,,
    요즘 라이브에서도 편집본에서도 자주 똑단발머리를 해주시는데
    진짜 너무 아름다우셔요,,,,,,,,,,,
    저 똑단발 매번 투표하고 항상 3~4위라서 눈물로 베개를 적셨었는데,,,, 자주 해주시니 행복해요,,,, 만세!!!

    • @dkqor
      @dkqor 4 місяці тому +6

      저도 똑단발취향요 ☺️👍✨

    • @flower_cakey
      @flower_cakey 4 місяці тому

      헤헤 똑단발 좋아해주셔서 감사합니당 흐흐 ❤❤❤

  • @dr.poston3289
    @dr.poston3289 4 місяці тому +56

    깊게 고민할 시간도 없고 공부할 시간도 없다보니 세부적인 디테일에 대해 상상해보는것도 어렵고 공부하는것도 어렵다는 느낌이...
    그래도 잘 관찰해봐야겠네요
    없는 시간 쪼개서 취미로 낙서하고 살지만 그래도 잘 그리고는 싶기에

  • @user-nx1qf4ob4d
    @user-nx1qf4ob4d 4 місяці тому +54

    이 내용은 일러뿐 아니고 툰 연출에서도 엄청 중요한 내용이네요. 절대 잊으면 안되는 내용

  • @malkong064
    @malkong064 4 місяці тому +25

    상황전달력...센스...매력... 전부 뜬구름처럼 와닿지 않는 말들이었는데 마끼아또님 영상들을 통해 차근차근 배워가고 있어요😢

  • @user-qc5qs3uy7o
    @user-qc5qs3uy7o 4 місяці тому +7

    설명의 천재에요!!!!

  • @user-rj7ny8gq3b
    @user-rj7ny8gq3b 4 місяці тому +3

    오..일기에 비유하셔서 디테일한 부분을 많이 넣어야한다는 설명은 굳이 그림에만 국한되는 내용이 아니라 창작물 특히 스토리가 있는 영상매체에도 적용할 수 있는 내용같네요..정말 이해 되기 쉽게 설명을 잘하시네여

  • @yellpi5881
    @yellpi5881 4 місяці тому +5

    잘 보고 갑니다

  • @kamuil2800
    @kamuil2800 4 місяці тому +45

    그동안 그냥 막연하게 알락말락했던 부분이라 굉장히 도움이 됩니다. 근데 이제… 머리가 터지는😂😂

  • @beluving
    @beluving 4 місяці тому +14

    Thank you sincerely for the English subtitles omg

  • @user-ub7qb9kt4t
    @user-ub7qb9kt4t 3 місяці тому

    와.. 뭔가 말로 되게 설명하기 힘든 부분들을 알아듣기 쉽게 잘 풀어서 핵심만 얘기해주시는게 이해가 되고 머리에 팍팍 똦히네요,, 진짜 손 영상 이후 두번째로 보러온 영상인데 반해서 구독했습니다ㅋㅋ

  • @user-jx2lc1qd5t
    @user-jx2lc1qd5t 4 місяці тому +19

    설날 심심하게 보내지 말라고 영상도 올려주시고 감사합니다ㅅㅅ

  • @user-xq5rk3if4w
    @user-xq5rk3if4w Місяць тому +3

    그림을 그릴때 남의 시선을 기준으로 어떤 목적을 전달하느냐가 제일 중요합니다 난 이렇게 그렸는데? 하면서 자기주관적인 시선보단 남이 볼때 바로 시각적인 정보를 받을 수 있게 전달할 수 있는게 제일 중요하단 거죠 이걸 전달력이라고 합니다 그림으로 내 이야기를 남에게 설득해야 하기에 어렵습니다 전달력은 수많은 레퍼런스나 영화나 미장센등등 영화나 애니메이션 장면을 크로키 해본 분들이라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전달력이 부족하신 분들은 이런 크로키를 추천드려요 미장센을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습니다 공간감각도 키우기에 좋고요 프로를 지망하시는 분들은 기본 백장이상 그리십쇼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 @vulpislamia
    @vulpislamia 4 місяці тому +296

    자캐 좋아하네 에서 순간 충격먹음

    • @heuw-rn2fw
      @heuw-rn2fw 4 місяці тому +11

      왜요?

    • @user-pw2pm8oe2l
      @user-pw2pm8oe2l 4 місяці тому +100

      @@heuw-rn2fw 자캐도 좋아하는 장르라 생각할 수 있다는 거에서 충격먹으신게 아닐까요

    • @cheese_sticks100
      @cheese_sticks100 4 місяці тому +58

      마끼아또님 영상들 보면서 진짜 생각지도 못했던 부분에서 팩트를 맞고 충격먹은 사람들 많드라고요..

    • @user-friendly123dfg
      @user-friendly123dfg 4 місяці тому +2

      근데 모른 걸 아는거니까... 슬퍼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요

  • @Mayu_ateu
    @Mayu_ateu 4 місяці тому +40

    저도 그림쟁이이자 버튜버 지망생인데 마끼야또님의 영상을 보고 공부가 되요

  • @cottoncandy6889
    @cottoncandy6889 4 місяці тому +8

    마끼아또님 진정 솔로몬….머싯써

  • @psychedelic238
    @psychedelic238 Місяць тому +1

    시각정보를 그렇게 중요하게 느끼지 않으면 그림이 아니라 글을 쓰면 되는거임 시각적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직업인데 그걸 못느끼면... 정말 그림을 그리고 싶으면 색감이나 구도같은 그림의 요소들이 생각보다 정서적으로 전달되는 면이 많으니 그런 부분을 이해하고 발달시켜야할듯

  • @iwantyou2322
    @iwantyou2322 4 місяці тому +18

    취미로 그림 그리는 직장인인데 채색도 못하고 포기할까 할때마다 영상뜨면 보면서 계속 그려야지 합니다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 @charlesk4081
    @charlesk4081 4 місяці тому +39

    그래서 미술관같은데도 많이 가보고 영화도 많이 봐보고 했는데 저도 서사충(?)인지 어느샌가 이야기쪽으로 음 좋았다 하고 빠지더라구요 뭔가 비쥬얼적으로 어떤부분이 좋았다 이런걸 생각해봐도 잘 기억도 안나고 그쪽으로 집중해서 보려해도 머리만 아파지면서 멍해지고...
    이럴경우엔 어떻게 공부해야될지 잘 모르겠어요

    • @user-dv5ty3gp1g
      @user-dv5ty3gp1g 4 місяці тому +16

      저도요... 서사적으로는 너무 인상깊고 내용이나 이야기가 두고두고 기억나서 감명 받는데 시각적으로 받은 감동은 정말 찰나의 몇 시간 몇 분 정도... 멍해지는 게 진짜 공감 돼요 저는 그림을 해석해서 제 나름의 이야기로 체화시키려고 하다보니 좀 얻어지는 게 있긴했는데 계속 이런 식으로 해야되는건지 너무 비효율적인 것 같고 싶은 고민이 있네요.... 그림 그리는 사람인데도 시각적인 매력을 끌어올리기가 너무 어려와요...

    • @dezawa1315
      @dezawa1315 4 місяці тому +32

      영화의 좋아보이는 컷씬을 연구해보세요 연출을 연구해보라는거에용. 잘보시면 가독성이 좋게 감정선을 표현할때면 간결히 얼굴만 정중앙에 놓는다던지. 그런 구성에 대한 공부. 말씀하시는것 같습니다.

    • @ij-qo1ov
      @ij-qo1ov 4 місяці тому

      영상물이라면 마음에 든 씬들을 캡쳐해서 천천히 살펴보고 분석해보세요
      경험상 창작물을 보면서 머리가 아픈 건 봐야할 게 한두 개가 아니라 너무 많다고 느낄 때, 복잡한 감정선을 풀어서 해석해야 할 때 등이었습니다...
      차라리 전체 스토리를 쭉 본 다음에 복습하거나, 촬영 기법 또는 연출적인 클리셰 등의 사전지식을 지니고 있으면 한결 편했어요

    • @IIlIllIlIIIlIllllI
      @IIlIllIlIIIlIllllI 4 місяці тому +4

      와 전 영화를 봐도 영화관 나오자 마자 스토리 잊어먹어서 큰일인데 어카냐 이거...

    • @user-uv4nl7nb6x
      @user-uv4nl7nb6x 4 місяці тому +8

      영화나 애니메이션에서 좋아하는 장면을 실제로 캡쳐를 떠서 분석해보면 내 머릿속과 다른부분이 정---말 많을거에요. 머릿속에 있는 씬과 실제 씬을 보면서 동기화 시키는 식으로 연습하면 좋습니다.

  • @2077_owo
    @2077_owo 4 місяці тому +5

    댓글들 아오 피드백 알아듣는것도 못하네
    수필과 일기의 차이라고
    서사고 나발이고 표현하고 싶은게 많으면 그만큼 표현 더 잘하고 많이 하라는걸 못알아먹네
    진심 마끼아또님은 인내심 goat

  • @한정재
    @한정재 4 місяці тому +7

    만화랑 비슷한 것 같네요
    저도 스토리는 나오는데 콘티로 시각화할 때 어려움을 겪었는데 비슷한 이야기같아서 그림 인풋이랑 만화 인풋을 따로 생각하고 만화 인풋도 늘려야 할 것 같아요😀 마끼아또님 영상은 항상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는 것 같아요 그동안 궁금했던 부분을 이렇게 명확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ux6yq6mg6s
    @user-ux6yq6mg6s 4 місяці тому +4

    오 영화보고 얼굴이 기억나지 않는다니
    신기하네요

  • @user-mj8kz5kr2t
    @user-mj8kz5kr2t 4 місяці тому +26

    日本語字幕とても助かりますいつも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 @user-mi4yy3sc3m
    @user-mi4yy3sc3m 4 місяці тому +21

    뭐랄까... 이사람은 웹툰이나 웹소설 작가를 해야할거같은데 왜 한장짜리 일러스트에 서사를 꾸겨넣으려고 해서 봉투가 터지게 만드는거지
    싶은 케이스네요

    • @lee-zf6hc
      @lee-zf6hc 2 місяці тому +1

      좀 전통적인 접근법이죠..요즘시대가 스낵처럼 작품을 소비하는거구요.

  • @user-jh7te7er5b
    @user-jh7te7er5b 4 місяці тому +11

    이런 분들은 명화나 영화 모작 자주 해보시면 좋을 거 같아요

  • @uho7019
    @uho7019 4 місяці тому +21

    4:40 자컾이 뭔가요?

    • @zinagadun
      @zinagadun 4 місяці тому +30

      안녕하세요 지나가던 오타쿠
      대신 답변 드립니다!
      자컾 자체도 줄임말인데...
      자컾의 자는 자캐를 뜻하고
      컾은 커플을 뜻합니다.
      풀어서쓰면 "자캐 커플" 입니다.
      커플은 생각하시는 대로 커플이 맞으시고,
      자캐 또한 줄임말이며, 자작 캐릭터를 뜻합니다.
      즉 창작 캐릭터의 커플! 되겠습니다.

    • @uho7019
      @uho7019 4 місяці тому +8

      @@zinagadun아 그런뜻이었군요 설명 감사합니다

    • @user-jy1lb7lb6u
      @user-jy1lb7lb6u 4 місяці тому +4

      @@zinagadun 곰아워요 스피드웨건

  • @user-wu7fq9uz5z
    @user-wu7fq9uz5z 4 місяці тому +1

    그림 너무 예쁜데.. 유화같아서 너무 좋은데...

  • @user-wj4ys6lk9u
    @user-wj4ys6lk9u 4 місяці тому +1

    いつか日本語で解説して欲しいな笑

  • @IIlIllIlIIIlIllllI
    @IIlIllIlIIIlIllllI 4 місяці тому +19

    신청자님이랑 동생분이랑 말하는게 왤케 웃기지
    디지털 유화 암흑진화라니 이런 표현력은 도대체 어디서 오는거임?ㅋㅋㅋㅋㅋㅋㅋ

  • @user-it1gk8eb9m
    @user-it1gk8eb9m 4 місяці тому +3

    얼굴이 생각이 안나? 😮
    해골이 진주처럼 느껴져요 ㅎㅎ

  • @_alphardecorhydrae1856
    @_alphardecorhydrae1856 4 місяці тому +6

    잉.... 오히려 소설읽으면서 머릿속으로 장면그려보는 재미덕에 그림이 늘었는데용ㅠ.ㅠ.... 때로는 비시각적 정보가 오히려 상상력을 불러일으켜서 좋은 동기가 되기도해요. 읽으면서 생각한 장면과 이야기를 제손으로 만들어내고 싶어지니까요.

    • @_alphardecorhydrae1856
      @_alphardecorhydrae1856 4 місяці тому +1

      그리고 저도 유...화 스타일인데ㅋㅋ;;; 대중적인 그림보다 매니아층 공략이 목표라서요. 크게 인기얻는것도 관심도 없고... 그냥 제 갈길 잘가면 된다는 생각임다. 지금 부족한건 그냥 숙련이 덜 되서라고봐요. 스타일은 죄가 없다. 그냥 잘하면 됩니다. 잘요...

    • @charila
      @charila 4 місяці тому +7

      그림 보여주실수있나요?

    • @_alphardecorhydrae1856
      @_alphardecorhydrae1856 4 місяці тому

      @@user-juuuuuuuu 연출기획은 구상에서 나옵니다.

    • @_alphardecorhydrae1856
      @_alphardecorhydrae1856 4 місяці тому

      @@charila 링크를 올리면 답글이 계속 지워지는데 artstation에서 Alpharde 치면 저 나옵니다. 저도 비슷한 고민을 아주 오랫동안 한 케이스라 말해봅니다.

    • @_alphardecorhydrae1856
      @_alphardecorhydrae1856 4 місяці тому

      저 답글까지 지워지진않겠지

  • @user-dw4vp7fh9h
    @user-dw4vp7fh9h 4 місяці тому

    우오

  • @ml-fq5zi
    @ml-fq5zi 4 місяці тому +12

    엠비티아이 n-s차이입니다.
    글쓴이님의 경우 n적인 관점으로 접근하시는 것 같구요.
    n의 경우 자신의 생각이나 신념, 감정 등 많은 것을 전달하고 싶어하는 한편, 생각이나 내면 등 보이지 않는것에 평소 사고 초점이 맞춰져있기 때문에 직관적 시각정보를 습득하는 능력이 다소 부족합니다. 그래서 후천적으로 키워는 지지만 s 유형분들에 비해 정보습득에 한계가 있다고 느끼긴합니다. 만화나 웹툰처럼 자신만의 이야기를 풀어내서 녹여내거나, 그림을 그리지만 인물도 그리고 배경도 그린다/ 그림도 그리는데 모션도 넣을수 있다 등 여러가지 스타일을 융합하는게 성장에 유리합니다.
    반면 s의 경우 평소 눈에 보이는 것을 위주로 인지하기 때문에 시각정보를 익히는 스킬이 뛰어납니다. 그리고 평소 불필요하다 싶은 생각을 잘 하지 않기 때문에 흐트러지지않고 깊게 집중하기에 유리합니다. 이분들은 만화나 웹툰 등 다양한정보를 다루는데는 서투른편이며, 그림작가면 그림작가 원화면 원화만 등 한가지에 몰입하는 편이 성장에 유리합니다.

    • @user-sp8hl4go5j
      @user-sp8hl4go5j 2 місяці тому

      오 저도 엠비티아이 n s 차이라고 생각했는데
      지식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user-ew5eh4mi8t
    @user-ew5eh4mi8t 4 місяці тому +3

    디테일을 최대한 추가해라 요건가

    • @user-jy1lb7lb6u
      @user-jy1lb7lb6u 4 місяці тому +8

      제가 느끼기에 디테일이라는 게 무조건 많이 그리라는 건 아닌 것 같아요
      영상에 나온 그림을 더 와닿게 수정+추가 하라는 얘기인 것 같은데..
      저였으면 배경을 어두운 색으로 하고 눈물을 추가하거나 이런 식으로 바꿀 것 같네요!

    • @user-dv6on1ju7x
      @user-dv6on1ju7x 4 місяці тому +30

      그림에 한눈에보고 이해가능한 정보값을 추가하라는 느낌인것같아요 영상 예시처럼 구름을 배경인 그림을 그릴때 내가 봤던 구름이 먹구름이었나 뭉개구름이었나부터 어떤 방향으로 세게흘렀는지 느리게흘렀는지 이게 어떤분위기를 의도한건지 보는이에게 좀더 친절하게 본인입장에선 좀 더 과장해서 그림으로 설명을 하라는 의미같습니다 물론 영상에서말했든 정보를 아무거나 잔뜩쑤셔넣는다해서 와닿는건 아니지만요

  • @sanskim7754
    @sanskim7754 4 місяці тому +1

    1빠

  • @나랑섹스할래
    @나랑섹스할래 4 місяці тому

    ?..... 왜 내가 아는 그 마끼아또가 아니지?..ㅠ 형 어디간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