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ㄹㅇ 5분 정도 생각했는데 풀이의 길이 하나도 잡히지 않으면 그 이후로도 계속 고민해봤자 처음에 했던 생각 계속 다시하고 시간 날리는 경우가 태반임 영상의 학습가이드에 나온 방법처럼 막힌 부분만 해설지보고 조금씩 뚫어나가면서 다 풀면 풀이과정 다시 점검하면서 해설지,강의 보지않고 다시 풀어보는게 정말 좋은 것 같음
난 고1 고2도 보는 게 낫다 봄. 입시 수학은 베베 꼬아 놓은 끈이라 그거 푸는 방법을 보고 하는 게 훨 나음. 우리도 끈 풀 때 이리저리 고민해서 하는 거보다 방법 보고 계속 익혀서 하는 게 훨 기억에도 잘 남잖아. 어차피 점수를 잘 따는 게 목적이면 걍 봐도 상관 없을 듯.
이거 ㄹㅇ 5분 정도 생각했는데 풀이의 길이 하나도 잡히지 않으면 그 이후로도 계속 고민해봤자 처음에 했던 생각 계속 다시하고 시간 날리는 경우가 태반임 영상의 학습가이드에 나온 방법처럼 막힌 부분만 해설지보고 조금씩 뚫어나가면서 다 풀면 풀이과정 다시 점검하면서 해설지,강의 보지않고 다시 풀어보는게 정말 좋은 것 같음
개추
@@UA-camBot-b3t ㅉ
@@김도영-i5g7b 뭐냐 넌
@@UA-camBot-b3t 넌 뭔데
마더텅 같은 경우처럼 괜히 답지를 본책보다 더 두껍게하는 이유가 있음
부사어랑 서술어 호응이 안돼요
@@thepress810ㄹㅇ 말을 희한하게 적음
@@thepress810ㅋㅋㅋ
개인적으로 고12 까지는 답지 최대한 안 보는 게 좋은 것 같고 고3부터는 풀이에 진척이 없으면 바로 보는 게 나은 듯
난 고1 고2도 보는 게 낫다 봄. 입시 수학은 베베 꼬아 놓은 끈이라 그거 푸는 방법을 보고 하는 게 훨 나음. 우리도 끈 풀 때 이리저리 고민해서 하는 거보다 방법 보고 계속 익혀서 하는 게 훨 기억에도 잘 남잖아. 어차피 점수를 잘 따는 게 목적이면 걍 봐도 상관 없을 듯.
@@나쁜말을씻어내는물동의합니다~~
해설지 보는순간 막힌부분의 해설을 찾아야해서 결국 다 보게 댐 ㅠ
개념공부할 때는 막히면 해설지 봐도 됨
아예 모르는 내용을 떠올릴 수는 없으니까
근데 이제 실력을 본격적으로 기를때는 답지 활용 잘 못할거면 아예 안보는 게 나음
답지 활용을 잘한다의 기준은
확실히 보라는 강사가 훨씬많음 ㅋㅋㅋ
누구?
@@황설-i2x 배성민 차영진 정병호 정병훈 김기현..등등
신 병 호
'생각이 나지 않는 시간'이 '5분 이상'지속될 때 답지의 도움을 받으면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다. 단 그건 니가 푼게 아니고 답지가 푼거다.
정보)내가 풀든 답지가 풀든 일단 풀면 점수는 같다
개념 적용도 못하는데 당연히 답지 도움 받는게 맞지
수학 뒤지게 못할 것 같네 딱 봐도
@@heeholee216답지가 푼게 어떻게 점수가되니..
@@sjkwak0914 OMR카드에 답지보고 풀었는지 여부 체크하는것도 있었나?
이렇게 공부하면 시험성적은 오를 수 있는데 절대로 100점은 못맞음 본인이 15 21 30 만 틀리면 그 정도 난이도의 문제들은 답지 볼 생각 하지말고 내가 고민하고 사고력을 키우는 과정을 거쳐야 함 그렇지 않으면 절대 1등급 위로 못감 반박시 니 말이 다 맞음 ㅇㅇ
걍 결국 지능 문제
님 같은 비재능인은 그럴 수 밖에
22가 아니라 21?
22 30 버려도 앵간한 대학 다 가는데 뭐가 문제? 애초에 메디컬 노리고 싶은 사람들은 저런 고민 안하지
가형시절이신가부네
@@이하람-r5j 가형이면 15꺼낼이유도없지 걍 오타신듯
이렇게 공부 안 하는 사람이 있었다니.
벅벅단은 승리한다
화면 좀 닦아라
닦았는데(물로) 안닦은듯(휴지)ㅋㅋㅋㅋㅋ
@@newtonisaac1731 물티슈로 닦은듯
@@으으-m5b 존나 불편해 휴지로 한번만 더 닦으면 되는데
한석원 선생님은 끝까지보지 말라시는데
그건 이미 베이스가 잡힌 학생이 22 30번 급 풀때 그렇게 하란 말이었어요 ㅠㅠㅠ
그건 이제 머리 속에 개념공식 다 자리 잡히고 어떻게 쓸지만 모르는 애들 고난이도4점만 못푸는 애들이고
쎈b,c도 못풀면 봐야함
정병호 한석원 수학맞짱뜨면 정병호가 한석원 민머리 반으로 쪼개버림
@@user-vx9nz7lyas 근거없는 전형적 개소리
그건 지강의 듣게하는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