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기 싫어 몸서리쳐질 때 '이것'부터 해보세요. 효과가 좋습니다 (박문호 뇌과학자)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5 лют 2023
  • 30년간 연구했습니다. 인류 최고의 학습법을 알려드릴게요 (박문호 뇌과학자 2부)
    🚀박문호 박사 영상 보러가기
    1부 • 이 3가지만 기억하세요. 지금보다 무조건...
    박문호 [빅히스토리]📘
    👉 product.kyobobook.co.kr/detai...
    박문호의 자연과학 세상
    👉 mhpark.or.kr
    유튜브 [박문호TV]
    👉 / @user-jt5ry3wz8h
    오늘의 게스트:
    박문호
    뇌과학자
    시민학습모임인 ‘(사)박문호의 자연과학 세상’ 이사장
    📓오로다 PLAN · DO · SEE 다이어리(2023년) 구매
    👉 bit.ly/3HXCFvl
    #뇌과학 #공부 #박문호
    📢문의: info@changeground.com

КОМЕНТАРІ • 665

  • @studian365
    @studian365  Рік тому +97

    🚀박문호 박사 영상 보러가기
    1부 ua-cam.com/video/vnDaHldRKu4/v-deo.html

  • @mihyekong8715
    @mihyekong8715 Рік тому +1919

    이해는 하는 게 아닙니다, 이해는 오는 겁니다. 이해를 하려고 몸부림을 치면 칠수록 뇌에서 로드가 걸리고, 에너지를 많이 쓰게 되고, 힘들면 싫어져 버려요. 힘들면 싫어져요. 힘들면 하지 않아요. 우리 브레인은 영악해요. 자전거를 배우고, 걷는 거 배우고, 말 배우는 이 절차 기억은.. 이해를 동반하지 않습니다. 반복을 하면 돼요. 반복의 힘은 세요. 반복은 위대함을 낳습니다.

    • @user-cp5kl5gs5n
      @user-cp5kl5gs5n Рік тому +239

      학생 : 이해는 하는게 아닙니다..
      (중략)
      ..반복은 위대함을 낳습니다.
      선생님 : 아니 그러니까 숙제 해왔냐고.

    • @sj3865
      @sj3865 Рік тому +14

      어렵다

    • @nobody-yl4rs
      @nobody-yl4rs Рік тому +20

      @@user-cp5kl5gs5n ㅋㅋㅋㅋㅋㅋㅋㅋ

    • @nomadcowboy
      @nomadcowboy Рік тому +28

      요즘 절실히 느껴지는 대목이네요
      이해는 오는거라는 말씀 와 공감 만프로네요

    • @sj3865
      @sj3865 Рік тому +33

      시험마다 달라요. 사고력을 테스트 하는 시험 대비는 이해하려 노력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고 결정적임.

  • @jieunshin486
    @jieunshin486 Рік тому +165

    반복은 힘이 세고 반복은 위대함을 낳는다… 선생님 말씀에 충격을 받습니다. 새삼 이 나이에… 감사합니다

    • @dearsoso8862
      @dearsoso8862 Рік тому +3

      반복은 위대함을 낳고
      감정은 더 와 어마한 성장의 자극이네여

    • @user-ww2jf9si1g
      @user-ww2jf9si1g 3 місяці тому +3

      저는 만학생입니다
      암기가 완전하게 안되서 저는 반복하는 방법을 택합니다
      그러면서 난 머리가 나빠 무식하게 반복한다고 말합니다
      한번에 이해되는 머리는 어떤사람인지 부러울때가 있습니다

  • @bliviono8642
    @bliviono8642 Рік тому +88

    반복훈련은 전문가,달인으로 만들어준다, 이해는 하는것이 아니라 오는것이다

  • @onthepalebluedot
    @onthepalebluedot Рік тому +94

    반복은 힘이세다(익숙해져라),
    이해는 오는 거다(하는 거 아님주의),
    뇌는 힘들면 안한다(쉽고 재밌게 하자).

    • @user-gj1tg6zx6t
      @user-gj1tg6zx6t 6 місяців тому

      첨부터 빡쌔게 한다고 며칠하다 포기하고를 반복하죠

  • @won1476
    @won1476 Рік тому +117

    주입식 교육은 일단 창의적 단계에 선행해야 하는, 좋은 감정을 수반한 암기 단계여야 합니다. 벽돌없이 다양한 집을 지을 수 없듯이요. 대공감하는 말씀들입니다.
    이해는 하는 게 아니라 반복과 훈련을 통해 '이해는 오는 거'다. 감사합니다.

    • @user-sm2kj4ne9t
      @user-sm2kj4ne9t Рік тому +4

      저와 생각이 같네요.
      기억이 먼저 선행되어야 창조가이뤄집니다.

  • @cheolified
    @cheolified Рік тому +224

    코딩을 변수와 함수와 원리로 배울 때에는 정말 이해하기 힘들었어요.
    그러다 업 때문에 어쩔 수 없어서 남이 만든 쉬운 코드 부터 그냥 사용해보고 수정하면서 다뤄보다보니 아무것도 아닌 쉬운 것이더군요.
    교육은 이렇게 바뀌어야 합니다. 하나의 인생을 넘어 인류의 역사를 바꿀만한 내용입니다. 너무나도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SinnerOrWinner
      @SinnerOrWinner Рік тому +17

      이거 개공감. 코딩을 이해부터 하려면 ㅈㄴ 장벽 높은데 적당히 기초 배우고 계속 인터넷이나 책 찾아가면서 쓰다보면 나중에 이해됨

    • @user-bf1qt3pv9i
      @user-bf1qt3pv9i Рік тому

      7*

    • @112354128
      @112354128 Рік тому +13

      본인이 간접적으로 겪어본 게 higher order thinking 또는 higher order learning 이라 불리는 겁니다.
      블룸의 분류학에서 윗부분에 속하는 거죠
      Remember, understand, apply, analyze, evaluate, create이라는 순서인데
      변수와 함수의 원리를 배우는 과정은 remember과 understand에 속합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이렇게 배우죠.
      Apply 부터 create까지 higher order thinking이라 하는데 이부분을 이용하면 자연스레 이해와 암기가 따라오게 됩니다. 그래서 엄청 효율적이죠.

    • @112354128
      @112354128 Рік тому +10

      더 자세하게 알고 싶으면 "교육목표 분류학"
      국회도서관에서 쳐서 pdf로 열람할 수 있는 것들이 있을 겁니다.
      한번 참고해보세요.

    • @pinkberry3885
      @pinkberry3885 3 місяці тому

      @@112354128블룸의 위계 던가… 생각보다 ‘이해’가 낮은수준이었죠 ㅇㅅㅇ 그리고 여태 암기를 이해보다 등한시해왔는데 인생 헛살았던 것 같아요 ㅠ

  • @ghtls119
    @ghtls119 Рік тому +106

    너무좋은 강의십니다.. 반복은 힘이 세다.. 이해는 오는 것이다.. 뇌와 근육을 선택적으로 사용해서 도약해야한다..

  • @leechea679
    @leechea679 Рік тому +93

    독서할때 좀 어려운 책을 읽을 때 이해하보려고 사전찾아보고 개념찾다가 책을 놓은 경험이 있습니다. 이해하기 쉬운 책들 이것저것 읽다보니 그때 이해하지 못했던 부분이 이해가 되었던 경험이 기억납니다. 그 후로 독서를 더 열심히 하게되었어요~

  • @aqw7
    @aqw7 Рік тому +46

    박사님 말씀에 상당한 교훈을 받았습니다. 원리를 이해하려고만 하고, 남을 무조건 이해시키려고 하고, 이런 무지땜에 인생이 너무나 힘들었는데, 너무나 큰 교훈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zs8su5lr7e
    @user-zs8su5lr7e Рік тому +33

    박사님 정말 감동입니다.
    이런 강의를 듣게되는 행운을 만났으니까요.
    감사합니다 🙏🙆‍♀️

  • @mhking6703
    @mhking6703 Рік тому +17

    26:10 운동 가르치는 입장에서 너무너무 와닿는 말씀이네요
    반복은 위대함을 낳는다

  • @inima_art
    @inima_art Рік тому +24

    오랫동안 생각했던 궁금증이 하나 풀린 느낌입니다. 건강하시고 감사합니다.

  • @user-yc6io4nx5z
    @user-yc6io4nx5z Рік тому +95

    작년 물리학 공부를 하며 뼈저리게 느꼈던 것을 영상 시작하자마자 들으니 기분이 묘하네요… 좀더 빨리 이영상이 올라와서 작년의 내가 봤다면 그렇게까지 스트레스를 받고 자책하지는 않았을건데.
    어렵다고 느끼는 것은 그저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그런 것이었습니다.
    각종 기호와 수식에 익숙해 지고, 그것을 하나의 언어처럼 자연스럽게 다룰 수 있을 정도로 노출이 되다보면 드높은 벽처럼 느껴졌던 학문의 벽은 어느새 허물어지고 자연스럽게 이해가 따라왔습니다.
    정확히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던 낯선 지식이 이제는 친숙한 지식으로, 당연한 것이었음을 인정하게 되는 과정이었죠.
    필요한건 그저 받아들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사용되는 기호와 수식 전개 과정들, 궁극적으로는 결과식과 그것이 시사하는 바를 겸손하게 받아들이는 시간. 그렇게 생각하게된 이후로는 물리학 공부를 넘어서 다른 모든 영역의 새로운 일을 접할때마다 자연스럽게 두려움보다는 자신감이 자리잡게 되었어요. 모든 배움은 그저 익숙해지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일 테니까.
    부일거리로 고등학생들에게 수학을 가르치면서 어려워하는 친구들에게 이 부분을 많이 강조하게 됩니다. 수학이 어렵디고 느껴지는 것은 너의 머리가 좋지 않아서가 아니라 그저 익숙하지 않아서라고, 시간을 투자하며 수학을 다루는 도구들에 익숙해 지면 자연스럽게 어려움은 사라지고 어느새 쉽게 느껴지게 될것이라고 거듭 말합니다. 궁극적으로 모든 배움은 그저 익숙해지는 과정의 반복일 뿐일거라고 최대한 별 것 아닌 것차럼 말하며 자신감을 북돋아주려고 노력합니다. 수학이, 그리고 다른 모든 배워야 하는 과목들이 첫 문턱부터 두렵게 느껴지지 않도록.
    혼자서 고민하고 해결해나가기만 했지 지금까지 이러한 조언을 들은 적이 없었습니다만, 제가 고민하고 생각한길에 손을 들어주시는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추가적으로 용기를 더 얻어갑니다.

    • @museumyoutube3573
      @museumyoutube3573 Рік тому +7

      댓글에 감동받아 댓글을 달기는 처음이네요. 이런 귀한 깨달음을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복 받으실 거에요.

    • @pinkberry3885
      @pinkberry3885 3 місяці тому +1

      @@Aguagu825저는 수학교사인데요, 익숙해지는 것이 창의력을 방해한다기 보다는 요행만 익히려는 것이 창의력을 방해하는 것 같습니다. 원 댓글의 익숙해지라는 것은 수학을 언어로서 익숙해지라는 뜻인 것 같아요. 수학 기호를 읽는 것을 동화책 읽듯이. 말이 쉽지~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정의’와 ‘개념’을 정확하게 알면 자연스럽게 가능해집니다.
      저는 지난학기에 그 어떤 다른 문제도 참고하지 않고 수업시간에 지나가다 필기를 했던 ‘유리함수의 합성함수, 유리함수의 정의역’ 그리고 학생들이 아주 많이 연습하는 유리함수 그래프 그리기를 이용하여 제일 높은 점수가 배당된 문제를 출제한 적이 있습니다. 서답형문제였는데요, 익숙한 용어들이 나오니 일단 도전하는 학생은 꽤 많았습니다. 그런데 만점자는 300명중 한 명이었고 그 다음으로 잘한 학생들은 대략 열 명정도 점수의 절반정도를 가져갔고 점수를 받아갔어도 대부분 1~2점, 당연히 최고난이도여서 0점이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그런데 다른 고난도 문제와 달리 학생들이 ‘도전할 수 있는 문제여서 좋았고, 나의 낮은 점수를 인정할 수 있고, 수업시간에 정말 충실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문제집 5권을 풀어도 그 비슷한 문제를 본 적이 없다’는 평가를 했습니다. 제가 낸 문제는 극도로 기본으로 돌아가는 문제입니다. 계산이 어려운 것도 없고 다만 수업시간에 했던 내용을 여러개 섞어서 접목했을 뿐이죠. 그런데 잘 하는 학생들도 풀지 못했던 것은 사교육에서 요행으로 가르쳐주는 것들을 암기하려고 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뼛속깊이 정의와 개념에 친숙해지는 훈련을 하는것은 기본문제를 풀며 계속해서 그 의미를 익히는 것이 효과적인것 같습니다

  • @user-pr7ip9eo5u
    @user-pr7ip9eo5u Рік тому +49

    기억은 감정이다.
    뭐가 좋아지면 그것이 말을 걸어온다.
    가르침 정말 감사드립니다.

  • @emmae8246
    @emmae8246 Рік тому +15

    와… 너무 감정적으로 와닿는 강의였어요. 진심어린 설명 감사드립니다.

  • @jkim7613
    @jkim7613 Рік тому +13

    들을수록 최고!!!! 고맙습니다.
    박문호 박사님!!!

  • @user-mt7xr8hc1z
    @user-mt7xr8hc1z Рік тому +30

    공부는 반복이다
    토익 신발사이즈 점수였다
    책한권 10번 반복해서 미친듯이 다 외워버렸다
    책이 아주 너덜해졌다
    그결과 만점 받았다
    이건 실화다
    그이후 공부가 쉬워졌다
    왜냐 공부의 방법을 알아버렸기 때문이다
    10년이지난 지금도 단어들이 기억이난다
    이것이 반복의 힘이다

    • @user-vz5uh9en9i
      @user-vz5uh9en9i Рік тому +2

      토익교제가 뭔가요?
      대단하시네요~~👍

  • @jhl3871
    @jhl3871 Рік тому +322

    와...고시공부했던 입장에서 제가 왜 떨어졌는지 포기했는지 깨닫게 되었어요...머리깨지게 이해해보려고 노력했던 사람들은 공감할 수 있을 듯..

    • @user-ko6rh2sh4g
      @user-ko6rh2sh4g Рік тому +112

      그러니까요, 의지가 약해서가 아니라 뭔가 완벽하게 이해하려고 하다가 거기에 걸려서, 트라우마 생기는 바람에 손놓고 다른길을 찾는것같습니다 ㅎㅎ

    • @user-py5lg8oq1i
      @user-py5lg8oq1i Рік тому +80

      진짜 공부를 이해하려고 뇌 과부하 걸리듯이 해도 안되서 제풀에 나가떨어졌었는데 해답은 그냥 내려놓고 반복하다보면 이해는 어느순간 오는거였구나..

    • @user-cr7zd3ol6z
      @user-cr7zd3ol6z Рік тому +44

      내가 수학공부 포기한 이유.
      수학적 머리가 없는 내가 수학이해한다고 어설프게 하다가 포기..
      그냥 무조건 외웠어야 하는건데 반복적으로..
      그러면 3분의 2는 맞아서 평균은 했을듯~

    • @bue990
      @bue990 Рік тому +37

      고등학교때 전국 상위 0.1% 친구가 공부의 99%는 암기라고 했..

    • @syj8813
      @syj8813 Рік тому +18

      개공감 현출해야되는대 자꾸 이해가 먼저래 뭔소린지 모르겠음 백날 이해해봐라 현출가능한가.. 걍 이해는 휘발성을 줄이는 도구일뿐임

  • @Maria-fi7ux
    @Maria-fi7ux Рік тому +22

    박사님 이제야 제가 누군지 뭘하고싶은지 알았습니다 너무나고맙고 놀라워서 노트필기까지 적어가면서 공부합니다 존경합니다 ❤😊❤😊

  • @user-dj1yq7cs8i
    @user-dj1yq7cs8i Рік тому +12

    박사님 알고싶게 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학문에 목말라있는 저에게 많은것들을 알려주시네요
    유투브라는 세상에서 이렇게 훌륭하신 강의를듣게되어 영광입니다

  • @jkim7613
    @jkim7613 Рік тому +9

    2부 없는 줄 알고 깜짝 놀랐어요.
    스타디언에게 감사..최고의 명강을 듣게 해 주어서요.

  • @user-rp2gh1ly9x
    @user-rp2gh1ly9x Рік тому +6

    참으로 많은 깨달음을 주시네~~. 감사드립니다.

  • @user-bd9hg2ik5b
    @user-bd9hg2ik5b 11 місяців тому +5

    기억과 감정이 연결되어있다. 너무 공감합니다.
    언제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ssunhahn
    @ssunhahn Рік тому +2

    너무 좋은 귀한 영상에 감복하며 들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

  • @jiyounghwang1274
    @jiyounghwang1274 Рік тому +2

    정말 와닿는 말씀이십니다.
    깊이 새겨졌습니다. 감사합니다.

  • @k-manlee3754
    @k-manlee3754 Рік тому +12

    박문호 박사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user-qq5st5to7d
    @user-qq5st5to7d Рік тому +9

    뜬 구름 잡는 이야기 아닌 삶은 관통 하는 깨우침을 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user-bo4wt4ff8u
    @user-bo4wt4ff8u Рік тому +8

    기억이 감정이다. 반복은 위대하다. 감정이 있을 때 기억이 남는 거라는 것을 알았다. 이렇게 명확하게 설명해주시니 감동입니다. 감사합니다.

  • @jaehyenshim
    @jaehyenshim 8 місяців тому +3

    감정을 자극하는 명강연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wm9hx8ji4y
    @user-wm9hx8ji4y Рік тому +5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user-js8no6kf5b
    @user-js8no6kf5b Рік тому +3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oq7pz5gz3g
    @user-oq7pz5gz3g Рік тому +19

    이해는 하는게 아니고 오는거다
    이해가 되지 않으면 보류하고 반복사용한다~♡^

  • @cheolified
    @cheolified Рік тому +15

    아이가 잘하거나 잘하길 바라는 영역에 좋은 선생님으로부터 좋은 감정을 남기게 하여 아이의 진로를 가이드 해줄 수도 있겠네요. 자녀의 강점과 진로를 고민하는 부모들에게도 정말 큰 도움이 되는 말씀입니다.

  • @ryanzenglish9124
    @ryanzenglish9124 Рік тому +7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jl1dt8em1w
    @user-jl1dt8em1w Рік тому +143

    아들이 어릴적 들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못난 엄마가 아들이 공부를 싫어할 수밖에 없도록 만들었네요 ㅠㅠ 지금이라도 이렇게 좋은 강의를 들을 수 있어서 너무 감사드려요 🙏

    • @jandimori
      @jandimori Рік тому +18

      ㅠㅠ 어머니의 사랑이 느껴져서 울컥하네요 화이팅입니다

    • @user-ky7dg3to9x
      @user-ky7dg3to9x Рік тому +6

      @@user-gf2kd4xz2z 니 유전자는 서울대 노숙자?

    • @user-pw4dr1pe7d
      @user-pw4dr1pe7d Рік тому +7

      자책하지 마십시오 못해준것보다 그 아이에게 뭘 줬는지를 생각해보면 서로에게 더 도움이 될겁니다

    • @ilwon3424
      @ilwon3424 Рік тому +9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어요. 인생의 기회는 내일이라도 또 찾아올 수 있습니다. 이제는 오면 잡으려고 하세요. 우리같이 지금부터 그 준비를 합시다.

    • @7IMZ1
      @7IMZ1 Рік тому +1

      공부만 싫어하면 다행입니다. 엄마까지 싫어할수도 있어요 잘못하다가

  • @leeeungyonglee8886
    @leeeungyonglee8886 Рік тому

    선생님 감사합니다.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 @user-ri6cv4fh2c
    @user-ri6cv4fh2c Рік тому +18

    박문호 선생님, 덕분에 크게 깨달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Happyzumma007
    @Happyzumma007 11 місяців тому

    너무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 @jaypark9966
    @jaypark9966 Рік тому

    너무 유익하고 묵직한 영상이다 잘봤습니다

  • @02s
    @02s Рік тому +135

    와우 역시... 박문호박사님 완전 쵝오!
    진행자 없이 박문호박사님 단독으로 강의해주시니 몰입이 더 잘됩니다. 감사합니다.

  • @user-zd1zo5ke9d
    @user-zd1zo5ke9d Рік тому +2

    기억이감정이다
    나를움직이는힘은기억에서나온다
    20개학문이상을좋아하게된이유가
    이름을불러준이유라는말씀공감됩니다
    공부의달인이신박문호박사님
    귀한강의고맙습니다

  • @user-ir1js8xz7j
    @user-ir1js8xz7j Рік тому +24

    1.이해
    2.훈련:즉각적 몸의 기억
    3.기억:개별화

  • @Thebattleofsalsu
    @Thebattleofsalsu Рік тому +10

    이해는 하다 보면 어느 순간 이해가 가는 경우도 있고 이해 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이해에 집착하다가는 고통스럽고 하고자 하는 일을 하기 싫어지고 아예 포기하게 된다. 일단 하라.

  • @janekim1784
    @janekim1784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

    박사님을 이제서야 알게되었다는것이 너무 아쉽습니다. 지금까지 뵌 분중에 가장 존경스럽습니다. 소중한 내용들을 열정적으로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user-pz2ht4dn4y
    @user-pz2ht4dn4y Рік тому +6

    감사합니다.

  • @user-tl9rs1nn8l
    @user-tl9rs1nn8l Рік тому +6

    오랜만에 색다른 지식을 경험한 것 같네요 제가 일차원적으로 생각한 개념을 3차원 이상으로 끌어 올려주셔서 값지게 들었습니다

  • @user-bn4yf4lf2n
    @user-bn4yf4lf2n Рік тому +2

    감사합니다. 울림을 주는 강의였습니다.

  • @user-gz8dv9kg6h
    @user-gz8dv9kg6h Рік тому +16


    반복은 위대함을 낳습니다👍👍

  • @eunjikim2u
    @eunjikim2u Рік тому +9

    너무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eh5gw2xx2h
    @user-eh5gw2xx2h Рік тому +1

    23:00 주변 정보(배경지식) 있으면 확실히 이해 더 잘되고 기억도 잘 되요

  • @user-xj6oi1vq7r
    @user-xj6oi1vq7r 10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희미했던 생각이 정리가 됩니다. 최고십니다.^^

  • @user-ig9bd7ud6j
    @user-ig9bd7ud6j Рік тому +6

    박문호박사님♡♡감사합니다
    더일찍들었었더라면인생이달라졌을거같아요!!

  • @user-nc3en6nx9y
    @user-nc3en6nx9y Рік тому +1

    와 멋진 강의 감사해요

  • @user-hn1ki7rt6p
    @user-hn1ki7rt6p Рік тому +10

    이런 좋은 교육을 폰으로 할수 있다니... 유튜브있는 세상에 사는게 축복입니다🎉

  • @lavita6928
    @lavita6928 Рік тому +1

    정말 좋은 말씀 입니다

  • @kim_beer
    @kim_beer Рік тому +1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user-ky4wf7jh5o
    @user-ky4wf7jh5o Рік тому +2

    좋은 말씀이십니다
    기억을 하면 감정이 생기고 그 기억은 또 그 때의 감정에 의해 생성되는 쳇바퀴같은 현상이군요
    생각해보면 좋았던 기억, 슬펐던 기억, 고통받았던 기억 등 감정적으로 많은 기억들이 있지만 감정이 섞이지 않은기억은 오래가지 못하나 봅니다
    기억과 감정의 메카니즘만으로도 가정, 학업, 공부, 직장에 적용하면 좀 더 발전된 생활을 할수 있을꺼 같네요 역시 뇌과학은 신비롭습니다

  • @ilwonlee9103
    @ilwonlee9103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훌륭한 강의 너무 너무 감사합니다.

  • @lucash7953
    @lucash7953 Рік тому +665

    모르면 외워라 를 엄청 세련되고 설득력 있게 설명해주셨네요. 돌이켜보니 우리가 받은 주입식 교육이 그렇게 나쁜건가 라는 생각을 가끔 하곤 했는데 반복 학습에의한 단련도 아주 중요한거 같습니다.

    • @user-nf9it4jl6x
      @user-nf9it4jl6x Рік тому +58

      외우는 것과 익숙해지는 것은 완전히 다른 차원의 이야기입니다.

    • @hyejungcho5287
      @hyejungcho5287 Рік тому +34

      기억은 경험과 감정이 결합된 겁니다. 단순한 암기는 나쁜 감정과 연결될 가능성이 크지 않을까요? 긍정적인 감정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 @user-nf9it4jl6x
      @user-nf9it4jl6x Рік тому +28

      주입식 교육과 획일적인 평가는 최악의 교육방식으로... 정작 인생을 살아가는 데에 반드시 필요한 중요하고 본질적인 것들을 배우지 못 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 @briteJK
      @briteJK Рік тому +16

      전달하는 내용을 조금 다르게 해석하신듯.... 지송

    • @user-tl9rs1nn8l
      @user-tl9rs1nn8l Рік тому +24

      우리나라 왜 체계적 교육이, 안좋게 이야기하면 일률적 교육일수도 있고, 지금은 많이 탈피할려고 노력하지만, 이런 교육이 왜 현재 선진국 한국을 만들었을까요 지금 우리 교육이 폐단은 있지만 좋은 점이 더 많습니다

  • @user-wo4rz9yx8o
    @user-wo4rz9yx8o Рік тому +3

    박문호박사님!
    감사합니다

  • @jkim3084
    @jkim3084 4 місяці тому

    감사합니다 선생님.
    반복하겠습니다

  • @user-sv2ey6yb9l
    @user-sv2ey6yb9l Рік тому +8

    정말 좋은 강의입니다.
    감정이입 =기억 ,

  • @user-ht5rs1ii2q
    @user-ht5rs1ii2q Рік тому +179

    선생님의 견해가 제 경험과 너무나 완벽하게 일치해 공감이 가네요. 어렸을 적 중학생 즈음 삼각비를 처음에 배웠을 때 이해가 완벽하게 가지 않아 어려워 했었는데 학원 진도와 숙제에 등떠밀려서 어찌어찌 삼각비 문제들을 기계적으로 풀었었던 기억이 나네요. 그렇게 이해가 완벽하게 가지 않아 찝찝한 상태로 수학공부를 계속해 나갔는데 나중에 고등학교 과정에서 삼각함수를 배우고 삼각비의 여러가지 응용 문제를 배우면서 삼각비의 의의, 의미와 본질 등을 깨달으면서 완벽한 이해가 갔던 기억이 나네요. 그냥 개념을 알고 있는 정도의 1차원적인 이해가 아니라 이 개념의 본질과 의미를 완벽히 정복한 듯한 이해였어요. 화학에서 오비탈 이론을 처음 배웠을 때도 동일한 경험을 한 기억이 있어요. 처음에는 전자가 확률적으로 존재한다는 말이 도통 무슨 말인지 와닿지가 않고 개념이 머릿속에서 겉도는 느낌이었는데 그냥 어찌어찌 문제를 풀다 보니 또 이후에 더 심화 개념을 배우다 보니 어느순간 '아하'하고 깨달은 기억이 있네요. 미적분을 배울 때도 마찬가지였고 경제학 공부를 할 때도 그런 아하 모멘트가 있었어요. 이런 제 경험 때문에 이해는 하는게 아니라 오는 거라는 말이 너무 공감이 가네요.

    • @user-uu9ew5ju9i
      @user-uu9ew5ju9i Рік тому +1

      공부는 해서 어디쓰려고~~? 답; 잘난 척 하는 데

    • @user-iq2uh5te2k
      @user-iq2uh5te2k Рік тому +2

      Good comment, Mr. Doh yun Kim.

    • @bright_green142
      @bright_green142 Рік тому +9

      음... 지금당장은 이해가 안가더라도 반복 학습을통해 언젠간 본질을 이해하게된다는
      의미이군요!!!

  • @xiwangwushi
    @xiwangwushi Рік тому +24

    이것이 원래 공부라는 단어의 의미죠
    공부의 공은 장인공에 힘력자가 합쳐진 글자로 한분야의 장인이 그러하듯 반복해 노력을 기울이는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자전거를 잘 타는것도 자전거타기 공부가 잘 되었다 표현하는 것도 맞는 표현이죠
    지금 우리는 단순히 문제를 풀고 책 내용을 암기하는걸 공부라고 하지만 본래의 공부라는 의미는 계속적이고 반복적인 노력을 의미합니다 그게 무엇이든 어느분야든 간에...

  • @user-dn3wy2qj5k
    @user-dn3wy2qj5k Рік тому +1

    정말, 제가 알고 싶었던
    말씀을 듣게 되어 감사합니다
    책을 읽을 때 어떻게 기억하고 잘 이해 할 수 있는지 궁금
    했었는데 따로 보관 했다가
    기록해 들려고 합니다

  • @user-lf7kp7br6s
    @user-lf7kp7br6s Рік тому +3

    감사합니다 22:13

  • @user-fb5cy7yz1v
    @user-fb5cy7yz1v Рік тому +3

    그 보다 앞서는 것, 결핍. 절실도 중요한 전제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럴때는 오히려 트라우마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병리 정신적 영역으로 들어간다고 생각됩니다. 기분 좋은 감정을 동반한 기억은 안정감과 행복감에 따라 형성 되는데... 박사님께서 중요하게 다루시는 부분은, 생애 좋은 때, 라는 제한적이지만 상당한 설득에 공감을 느낍니다. 결국 보편성과 창의성으로 직결되는 이해와 반복. 논리적 이해와 근육.몸이 기억하는 것. 아주 흥미로운 강의 좋습니다.

  • @user-cp6jc7og5z
    @user-cp6jc7og5z Рік тому +2

    너무너무 양질의 영상입니다. 이런분 이런 깊이가 진짜죠

  • @user-cg4wn1em4c
    @user-cg4wn1em4c Рік тому +6

    박사님 평생 고민의 이유를 알게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clark87
    @clark87 Рік тому +2

    무의식적으로 할수있도록 훈련이 필요하다 훈련하면 생각치 않고 할 수 있게된다
    훈련>자동화>기억화>개인화
    구글에서 정보를 어느것이나 알수있다
    한번쓰고 버려지는 것이다 생각을 하지않는다는 전제하에.
    기억이 감정과 연결되었을때 뭔가를 할 수 있다
    상가집 -슬픈감정의 다양성, 그사람과의 관계속에서의 기억에 따른 감저믜 차이
    기억- 인간존재 그 자체
    기억, 기억, 기억, 기억, 기억
    감정을 느끼는 영역을 과소평가하지말라
    기억을 만드는 뇌영역과 감정을 만드는 뇌영역이 같다
    최고의 기억법은 감정을 일으키는것이다
    감정을 동반한 공부해서 기억할때 좋은공부법
    기억이 곧 감정이다
    감정이 행동을 결정한다
    기억은 개별화 시켜서 감정을 만들어준다
    기억을해서 좋아지니 또 공부하게 되었다
    이해를 너무 강조하지말라. 기초를 알지못하는데 어떻게 이해를 하겠는가
    이해가 안될때 먼저 시도하고 그러다가 이해가 온다
    절치기억은 이해를 동반하지 않는다,반복하면 된대. 몸으로 기억할려고 해야 한다
    반복,훈련 자동화의 주의점 - 경력자가 된후에는 자동화를 멈추고 전문가가 되야 한다

  • @gachi6696
    @gachi6696 Рік тому +2

    이제껏 살아오면서 가졌던 여러가지 의문에 대한 이유를 이제서야 이해하게 됐습니다. 왜 인간의 행동이 같은 상황에서도 다르게 표현이 되고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 바로 대응을 못하고 조금 지나고 나서야 대응 방법이 떠오르게 되는지 전에는 정말 몰랐습니다. 경험이란것도 감정이고 이것이 반복되면 기억이 되어 대응이 가능하고 우리는 그것을 시행착오라고 하며 그렇기 때문에 처음 겪는 상황이 오면 항상 한 발 늦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오늘에서야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저에게 너무 유익하고 좋은 강의였습니다. 박사님 감사합니다.

  • @user-ot7op1dq5v
    @user-ot7op1dq5v Рік тому

    #박문호 박사님 말씀 진심으로 공감 합니다
    지나온 세월 다시 후진해 생각해보니 맛는것 갔습니다
    앞으로 나가는 길 알려 주셔서 감사드림니다

  • @BbaBbang
    @BbaBbang Рік тому +3

    욕망 감정 기억 창의력 모든것이 새롭게 다가오네요 ❤ 감사합니다 ☺️ 함께하는 행복세사앙 희망가득 기쁜세사앙 긍정가득 소통세사앙 지구가득 평화세사앙 😇🙏

  • @utome22
    @utome22 Рік тому +1

    잘들었습니다.

  • @kimnamyll
    @kimnamyll Рік тому +2

    박사님 훌륭하십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user-ir1dv5sf4f
    @user-ir1dv5sf4f Рік тому +16

    박사님 존경스럽습니다
    이렇게 귀한 강의를 편하게 집에서 보며 깨달을수 있는 좋은세상에 살수 있어 새삼 감사합니다🙏

  • @dohdohwa
    @dohdohwa 7 місяців тому

    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

  • @user-xm3dr1lp4k
    @user-xm3dr1lp4k Рік тому +1

    감사합니다~^^

  • @sallychoi1662
    @sallychoi1662 Рік тому +3

    박문호 박사님! 멋지십니다~

  • @user-ib6oq8lt4i
    @user-ib6oq8lt4i 6 місяців тому

    많은 선업을. 감사합니다 은혜입니다

  • @user-oc7gr6bw9i
    @user-oc7gr6bw9i Рік тому

    좋은 말씀이세요 아들과 함께다시보겠습니다

  • @HongwoonHeoham
    @HongwoonHeoham 23 дні тому +1

    기억이 없는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단지
    울어야하는 사람은
    울어야할 기억이 있고
    울지 않아야할 사람은
    울지 않아야할 기억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기억이 있는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jimikim8666
    @jimikim8666 Рік тому +6

    박사님~ 웃는 모습이 너무 아이 같으세요. 내내 따라 웃게됩니다~^^ 딸아이들에게 공유하며 저도 기억에 대한 본질을 다시 생각해봅니다. 중학시절 제가 좋아하던 과목도 어렴풋이 되새겨보니 진짜 명확한거 같습니다.

  • @HAPPYVIRUS-
    @HAPPYVIRUS- Рік тому +2

    이해는... 오는것이다!
    감사합니다.😊

  • @au-rea
    @au-rea Рік тому +3

    기억과 감정은 분리되지 않는다. 맞는거 같아요.
    그 예로 후각으로 생긴 기억은 진짜 오래가거든요. 어렸을 때 문방구 냄새, 친구들이랑 갔던 피방냄새, 집냄새 등등 냄새만 생각해도 그 풍경이 그려집니다. 후각이 감정을 담당 하는 뇌와 연결이 되었기 때문이라네요.
    이해도 주변 정보를 토대로 온다는 것도 맞네요. 경험과 지식이 많을 수록 '내가 그래서 그랬구나'하고 이해가 바로 오네요.
    이걸 이제 삶에도 적용시켜 봐야겠네요.

  • @user-vz7um8zs4q
    @user-vz7um8zs4q Рік тому +27

    헉 제가 알개모르게 해왔던 방법..
    강사인데
    아이들에게 훈련하다보면 이해가 된다고.. 했었는데 그게 역시 과학이었둔요

  • @user-lv4hc2lb2c
    @user-lv4hc2lb2c Рік тому

    꿀팁 감사합니다

  • @moomoo8148
    @moomoo8148 Рік тому +8

    진짜 어릴때 이해 안되던 원리 같은게 나이좀 들고 나니 아 이래서 그렇게 되는거는구나 자연스럽게 알게 되는 때가 있더라구요

  • @callmeroy0512
    @callmeroy0512 Рік тому +1

    정말 너무 소중한 지식입니다!!! 가슴이 벅참니다

  • @meditationperformer
    @meditationperformer Рік тому +6

    절차기억👍 강의 감사드립니다

  • @user-op4kh8em8q
    @user-op4kh8em8q Рік тому

    교수님 팬입니다 빅히스토리공부 책 구입해서 잘 읽고 있습니다 흥미롭습니다

  • @user-fo4ub6fb2f
    @user-fo4ub6fb2f Рік тому

    감동 받고 갑니다

  • @BianJinyan
    @BianJinyan 9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pgspark5748
    @pgspark5748 10 місяців тому

    반복의 힘이 이해를 도와주는 것!❤

  • @dy5hxf7yw3
    @dy5hxf7yw3 Рік тому +37

    14:34 최고의 학습법은 감정을 일으키는 것
    15:53 우리 인생을 결정하는 것은 중고등학생때 어느과목을 좋아했느냐다. 그것은 그 과목을 감정을 동반해서 즐겁게 공부했다는 것
    18:03 기억은 곧 감정

  • @user-xm6hz6oz6m
    @user-xm6hz6oz6m Рік тому +2

    맞는말인거같습니다.반복하다보면창의성과발명창조가생깁니다.

  • @user-rk7xi3kp6v
    @user-rk7xi3kp6v Рік тому +4

    와 진짜 한마디 한마디 주옥같은 말이 많아서 끄덕이느라 고개가 아프네요. 제 어린 시절을 너무 정확히 찔러주셔서 제가 왜 공부하길 싫어했는지 이해했습니다. 왜 이해를 하지 못하냐는 아버지의 맹렬한 다그침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초등학교때 처음으로 아버지가 제 공부를 봐주셨었는데 그때의 기억은 정말 공포 그 자체였어요. 눈물이 쉴새없이 나오고 머리가 백지장처럼 하얘져서 문장하나 무슨 말인지 이해를 못했거든요. 그리고 주변 정보가 있어야 이해를 할 수 있다. 이해는 오는거다는 말은 진짜 명언이십니다. 이 말은 아이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해당되는 말 같아요. 책을 읽을때도 주변 정보가 없으면 난도가 있는 책은 읽기가 어렵습니다. 농담 하나를 들어도 관련된 정보나 지식이 있어야 웃을수 있고요. 예전에 경제 공부하려면 세계 경제 신문을 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요즘은 번역도 잘 되어서 나오기 때문에 구해다 읽기가 쉬워졌습니다. 처음에는 무슨 말을 하는지 몰라도 꾸준히 보다보면 어떤 흐름이 보인다던 그 분의 말씀이 당시에는 이해가 가지 않았는데 이 영상을 보니 단번에 이해가 되었어요. 강의도 머릿속에 쏙쏙 들어올 정도로 핵심만 알려주시니까 정말 감사하게 들었습니다.

  • @kime-e
    @kime-e Рік тому +1

    이즈음의 고민에 바탕해서 정말 공감하네요.

  • @gloriactive
    @gloriactive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이해하기위한 과정이 어렵고 힘들지만 암기하다보면 이해되기도 하고 한번 이해를 하면 좋은 감정과 연결되어 암기가 더 쉬워지더라고요. 공감합니다. 기억이 소중함을 새삼 깨달으며 동기부여 영상에 시간낭비 하지 않고 실행하며 반복하고 암기하고 기억하며 감정이랑 연결해두어 내것으로 만드는 공부를 해야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