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한번 정리하자면! 우리가 흔히 말하는 '프레임' 은 사실 'FPS' 이고, 이 FPS는 '프레임타임' 을 1초로 퉁쳐서 나온겁니다. 프레임 타임이란, 각 화면을 연산하는데 걸리는 시간인데 이 연산하는 시간이 비슷하지 않고 한번씩 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바로 스터터링(일종의 프레임 드랍)이라고 하는데요. 이 스터터링은 평균 프레임에 드러나기도 하지만,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 장면의 연산이 느렸다고 해도 나머지 장면을 빠르게 연산했다면 결국 1초 안에 같은 화면 수를 보여준거니까요. 그래서 평균 프레임 뿐만 아니라, 하위 1% 프레임 또한 꼭 확인하여야 합니다. 실제 예를 들자면.. 라이젠5 3500과 인텔 i5-9400F은 평균프레임은 비슷하거나 3500이 소폭 낮지만, 최소 프레임은 3500이 훨씬 높기 때문에 실제 게임 체감에선 3500이 더 쾌적하다고 느끼게 됩니다. 다소 생소한 개념 일 수도 있지만, 한번 정리해두면 좋은 개념입니다 +_+
여담이지만. 2200g 2400g 3200g 3400g 차이가 클럭차이인데. 몇만원 더주고 살 가치가 있나요? 그리고 2200g 와 2400g에 들어있는 내장그래픽인 vega8 vega11 이 vp9 2k 4k 영상을 실행했을때 버벅임 렉없이 돌아가나요?. 만약 내장그래픽에 외장 570을 달고잇으면 안돌아가겟지만 하드웨어 가속을 세팅을 바꾸고 사용할순 잇겟죠. 내장을요. 이거 좀 속시원하게 알고 싶어요..
2200G => 2400G // 3200G => 3400G ::: 얘네들은 4스레드 차이가 있습니다. (200G는 4코어 4스레드, 400G는 4코어 8스레드) 유튜브 코덱으로 주로 쓰이는 VP9 4K 영상의 경우에는 2400G 혹은 3400G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팟플레이어 등으로 영상 보는 경우에는 2200G 로도 원활한 4K 영상 감상이 가능합니다.
뻘짓연구소 그러면 유튜브를 보면서 다른작업을 할 수 있을까요?.. 2400 /3400 이라면요 cpu 점유율 75% 이상 먹으면 (vp9 유투브 영상 켯을시에) 그러면 작업을 같이 하기엔 어렵겠네요.. 그래픽카드를 안사고 하기엔 2400이나 3400 좋은 선택일테지만 좀 꽉꽉 쪼여서 하는것 같으면 2600/ 1660s 가는게 낫나요.... 가격이 거의 30만원 차이 나는거라서요 ㅠ 만약 외장 써야하는 2600/ 3500 비교햇을시에 물론 캐시는 똑같지만 7nm 공정과 원칩 ipc 성능차이 쓰레드 차이가 잇잖아요 어떤게 좋을까요...?
A cpu는 하위 1% low가 40 B cpu는 하위 1% low가 50이 나올 경우 B cpu가 더 안정적이다라고 말하기 힘든 부분도 있지 않나 싶습니다 예를 들어 1분 동안 A cpu는 하위 1% low에 해당하는 40프레임을 3번 찍고 B cpu는 하위 1%에 해당하는 50프레임을 20번 찍는다면 물론 하위 1% low 값은 A cpu가 더 낮지만 끊기는 빈도 면에서 A cpu가 더 안정적일 거 같거든요 그래서 어쌔신크리드 오디세이 인게임 벤치같이 프레임레이트 그래프나 프레임타임 그래프를 비교하는 게 가장 낫지 않나 싶어요
하위 1프로 로우는 최하위 1프로 프레임의 평균값이에요. 평균프레임을 100이라고 가정하면 같은 시간동안 40프레임을 3번, 50프레임을 20번 찍고 평균을 다시 찍엇다 치면 전자가 1프로 로우가 더 높게 나오겠죠... 애초에 1프로 로우 지표가 프레임 낙차가 얼마나 심한지 보여주는 지표에요
넵. 그럴 가능성이 큽니다. 게임 내 프레임을 띄우시고 (스팀 옵션 등에 있습니다) 현재 프레임이 얼마인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144fps이 계속 넘는데 끊긴다면 영상 내에서 말씀드린 마이크로 스터터링의 문제일 가능성이 있고요. 그게 아니라면 옵션 타협을 통해 좀 조정을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시한번 정리하자면!
우리가 흔히 말하는 '프레임' 은 사실 'FPS' 이고, 이 FPS는 '프레임타임' 을 1초로 퉁쳐서 나온겁니다.
프레임 타임이란, 각 화면을 연산하는데 걸리는 시간인데
이 연산하는 시간이 비슷하지 않고 한번씩 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바로 스터터링(일종의 프레임 드랍)이라고 하는데요.
이 스터터링은 평균 프레임에 드러나기도 하지만,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 장면의 연산이 느렸다고 해도 나머지 장면을 빠르게 연산했다면
결국 1초 안에 같은 화면 수를 보여준거니까요.
그래서 평균 프레임 뿐만 아니라,
하위 1% 프레임 또한 꼭 확인하여야 합니다.
실제 예를 들자면..
라이젠5 3500과 인텔 i5-9400F은
평균프레임은 비슷하거나 3500이 소폭 낮지만,
최소 프레임은 3500이 훨씬 높기 때문에
실제 게임 체감에선 3500이 더 쾌적하다고 느끼게 됩니다.
다소 생소한 개념 일 수도 있지만, 한번 정리해두면 좋은 개념입니다 +_+
뻘짓연구소 👍👏😆
설명 잘하시는데 잘 못하셧다고 그러시다니.. 전 벤치 다하고 마지막 요약이 없다고 욕먹습니다... 요약하면 논란이 생기니 ㅜㅜ
로우 0.1%가 높아야 좋은건가요 낮아야 좋은건가요?????????????????
@@조인호-l4t 높아야죠
선생님.. 프레임 '타임'을 1초로 퉁치면 그냥 1초 아닌가요..
지금에 비하면 말랐네
제 자료가 사용되었군요..ㅎㅎㅎ
감사합니다!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정확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아무리 쉽게 설명해보려고 해도 쉽게 설명이 안되네요 =ㅅ=;;
저야말로 감사드립니다.
오 얄풍님을 요기서 뵙네요~
@@hydrarusk 안녕하세요..ㅎㅎㅎㅎ
설명 너무 잘해 ㅠㅠ
제가 볼땐 아직도 어려운ㅠㅠ
좀 더 쉽게 설명하고 싶은데 어렵네영.
뭔가 애매하게 불편한데, 그게 뭔지 말하기도 힘든부분을 잘 정리해준거 같아요
이 유튜버는 4년뒤 체중이 2배가되서 돌아옵니다
2:13 이게 프레임타임이라고 하지않았나요? frame rate 가 frame time 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번에 4080슈퍼에 165헤리츠 qhd모니터를 맞춰서 쓰고 있는데
게임에는 문제없는데 유툽이나 동영상 시청시에 전체화면하면 화질이 흐려요! 왜그럴까요??
저거 하위1%프레임 이런거 볼수있는 프로그램뭐예요? 어떤프로그램쓰는지좀 알려주세용
MSI 애프터버너가 유명합니다 ㅎㅎ
훈남외모의 뻘짓님...
어이쿠 이런 극찬을 ^__^
하트 드렸읍니다
잘 생긴 외모. 씬스틸러 ㄷㄷ
진짜 제대로된 설명이다 이거슨
주문하기 직전에 봐서 다행이야...뻘짓님 이런 참고 자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야말로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_+
2:39에 나오는 배그 영상에서 좌측 상단에 떠있는 애프터버너 같은 프로그램 저거 이름이 뭔가요?? 더 깔끔한데
여러 it유튜버들중에서 제일 친근하고 보기 편한 영상같습니다. 힘내세요
이거 보라고 하시길래 보러왔습니다 정말 유익하네요 감사합니다!
존나 유익하네요 구독박겠습니다..
맨날 인터넷에 검색해도 왜 하위 프레임같은건 봐야하는지 안알려주시더라고요;;;
감사합니다.
뻘짓 교수님의 유익한 영상.
설명 감사합니다
뻘하~ 곧 리사 수 박사님이 ces 2020 기자회견 하실텐데 기대되네요ㅋㅋ 오늘은 일찍 자야겠...(선 좋아요+댓글 후 감상)
별 내용은 없을듯?! 뭐 있으면 영상으로 정리해서 올려보던가 해볼게용
맨날 프레임프레임 하다가 처음 알았네요 역시 뻘짓연구소
도움이 되셨길!
갓짓연구소 ㄷㄷ
@@BullsLab 친구에게도 전달하겠습니다!
@@황승준-x4i 굳~
이번영상보고 보러왓습니다~ 역시 굿굿!!
와 새로운 개념을 얻어갑니다.. 어쩐지 FPS 분명 높은데 나만 끊긴다고 느끼는건가 싶은 순간이 많았는데 이번에 궁금한게 해결됐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평균 프레임만 봤는데 로우 프레임도 봐야되겠네요
넵 맞습니다.
저야말로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당
@@BullsLab 넵! 혹시 궁금한게 있는데
i5 3570에 gtx 1660 super는 무리일려나요?
여유 있으면 싹 다 업그레이드 해주고 싶은데
부품값이 많이 올라서 ㄷㄷ
@@김봉디 병목엄청 심한조합입니다
@@dhhthankyou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김봉디 넵. 쫌 많이 있습니다. 3세대시면 슬슬 CPU 포함해 전체적으로 업그레이드를 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라데온 RX 570 정도가 병목이 거의 없는 그래픽카드의 마지노선입니다.
캬하~~ 명쾌한 설명입니다!! 예전에 이거 못보고 놓쳤었는데 언급해주셔서 타고 들어와서 다시 봤어요 ㅎㅎ
Wish 구글플레이스토어에 검색하면 하늘색으로 wish-쇼핑은 즐겁다 라는 사이트가 있는데 거기에 있는 카메라들이 거의 다 스펙이 좋더라고요 진짜인지 봐주세요!!!
고거슨 짭...
해외 자료들 찾아보니 영 쓸만하지 못하더군야 =ㅅ=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이렇게 지식이 +1이 됩니다
저야말로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2:37 이거 프레임 보여주는 프로그램 뭔가용 ???
와.. 다른 영상에서 취미로 하신다고 했는데 정말 취미 맞으신가요 ㄷㄷㄷ...잘보고 갑니다
조금 헷갈렸던 부분인데 자세하게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오늘도 유익한 정보 잘 얻어갑니다!!
와 맨날 평균 프레임만 봤었는데 이런정보를 알려주시네
히히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네용
그래 이거 모르는 사람들 많아서 얘기할 때 답답했는데, 좋은 영상입니다 ㅎㅎ
여담이지만. 2200g 2400g 3200g 3400g 차이가 클럭차이인데. 몇만원 더주고 살 가치가 있나요?
그리고 2200g 와 2400g에 들어있는 내장그래픽인 vega8 vega11 이 vp9 2k 4k 영상을 실행했을때 버벅임 렉없이 돌아가나요?.
만약 내장그래픽에 외장 570을 달고잇으면 안돌아가겟지만 하드웨어 가속을 세팅을 바꾸고 사용할순 잇겟죠. 내장을요.
이거 좀 속시원하게 알고 싶어요..
2200G => 2400G // 3200G => 3400G ::: 얘네들은 4스레드 차이가 있습니다. (200G는 4코어 4스레드, 400G는 4코어 8스레드)
유튜브 코덱으로 주로 쓰이는 VP9 4K 영상의 경우에는 2400G 혹은 3400G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팟플레이어 등으로 영상 보는 경우에는 2200G 로도 원활한 4K 영상 감상이 가능합니다.
뻘짓연구소
그러면 유튜브를 보면서 다른작업을 할 수 있을까요?..
2400 /3400 이라면요
cpu 점유율 75% 이상 먹으면
(vp9 유투브 영상 켯을시에)
그러면 작업을 같이 하기엔 어렵겠네요..
그래픽카드를 안사고 하기엔 2400이나 3400 좋은 선택일테지만
좀 꽉꽉 쪼여서 하는것 같으면
2600/ 1660s 가는게 낫나요....
가격이 거의 30만원 차이 나는거라서요 ㅠ
만약 외장 써야하는
2600/ 3500 비교햇을시에
물론 캐시는 똑같지만
7nm 공정과 원칩 ipc 성능차이
쓰레드 차이가 잇잖아요
어떤게 좋을까요...?
역시 기초는 중요함. 이런 콘텐츠 좋습니다. :)
진짜 동네 뻘짓 잘하지만 아는거 많은 형 같은 느낌
이형 요즘 텐션 너무좋아짐
하이텐션!
예전엔 방에서 리뷰하셨는데 크흡!!
이젠 세팅이 되있다구!! 지엔자앙!!
동남아 사람 같은데 한국말 잘하네요
근데 순간적 프레엠드랍 어쩔 수 없는게 병목도 있지만, 현재 나오는 고사양게임들을 진짜 안정적으로 즐기기엔 글카 발전속도가 cpu에 비해 느릴뿐...
왜 평균프레임이 아니라 하위프레임이 그래프에 있나 했더니 이유가 있었네요.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문제를 겪고 있던 부분이 나온거 같네요. 컴퓨터로 게임을 하면서 obs를 키면 분명 프레임은 그대로 나오는데 끊긴다고 느꼈었는데 이거 때문이었던 거 같네요. 애프터버너로 하위1%프레임은 안 띄우고 했었는데 띄워놔야 겠네요.
이런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저야말로 댓글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영상 보고 보러왔어 형 너무 좋닿
우린 프레임 타임 ex:20ms를 핑이라고 부르나요?
이런 유익한 동영상은 항상 조회수가 떨어져서 아쉽습니다
어마한 노력이 필요한데 말이죠
하지만 뻘짓연구소 님도 조회수만 생각하셨다면
절대 이런영상이 나오지 않았겠죠
영상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수염자국 잘 보고 갑니다.
형 i5 9400f 2070s mwe500w 벤큐2546오버워치 최하옵 240프레임 방어 될까요?
죽었다 깨어나도 관짝에 들어갔다 나와도 불가능 합니다
165모니터쓰는데 롤만하는데 하위1프로프레임이 최저138?정도나오는데 계속 165써도될까요ㅜㅜ
형 혹시 내일 ces amd 발표 생방송 번역 하실 예정이신가요??
잤.....ㅋㅋㅋㅋㅋㅋㅋㅋ
별로 발표할만한 건덕지는 안되더라고영. 그래서 패스!
그쵸 이번에는 루머에 zen3 이야기 조차 안나왔으니....
오버워치할때 사양은 충분한데 140~150프레임 요동치면서 미미한 스터터링이 일어나네여 ㅠ 초반엔 154프레임고정되면서 안일어나는데 시간지나면 일어납니다.. 포맷해도 해결이 안되길래 어느 부품부터 바꿔야할지 모르겠네요 (벤큐 144hz 모니터)
그래픽카드가 하위모델인경우나 전원부나 부품이 부실한녀석은 벤치상으론 점수가 정상으로나오는데 프레임이 요동칩니다 평균프레임은 괜찮은데 하위는 개그지같이나옴 조탁미니쓸때 그런증상 나와서 에브가모델로 바꾸고나서해결
가장 중요한 순간에 렉걸리는거 만큼 빡치는게 없지
ㄹㅇ.. 한타때 렉걸리면 후,,
A cpu는 하위 1% low가 40 B cpu는 하위 1% low가 50이 나올 경우 B cpu가 더 안정적이다라고 말하기 힘든 부분도 있지 않나 싶습니다 예를 들어 1분 동안 A cpu는 하위 1% low에 해당하는 40프레임을 3번 찍고 B cpu는 하위 1%에 해당하는 50프레임을 20번 찍는다면 물론 하위 1% low 값은 A cpu가 더 낮지만 끊기는 빈도 면에서 A cpu가 더 안정적일 거 같거든요 그래서 어쌔신크리드 오디세이 인게임 벤치같이 프레임레이트 그래프나 프레임타임 그래프를 비교하는 게 가장 낫지 않나 싶어요
하위 1프로 로우는 최하위 1프로 프레임의 평균값이에요. 평균프레임을 100이라고 가정하면 같은 시간동안 40프레임을 3번, 50프레임을 20번 찍고 평균을 다시 찍엇다 치면 전자가 1프로 로우가 더 높게 나오겠죠... 애초에 1프로 로우 지표가 프레임 낙차가 얼마나 심한지 보여주는 지표에요
@@jhp08681 아 그러네요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었어요
얼마전에 3500샀는데 가성비 너무 좋은것 같아요 7만원대 보드로 램오버도 되고 다음 세대 나오면 업그레이드도 쉽고 인텔은 다음세대에 칼갈고 나오지 않으면 고려대상조차 안될듯
다음세대가 더 기대되는!
횽... 초저사양 글카 여러대로 sli하는 거 보고 싶어요.
초저사양 글카는 sli를 지원안해요.
도전해보겠습니다 +_+ 뭐가 좋으려나..
@@별로화낼일아니죠 그... 로우엔드였던 RX550이 저사양이라고 치면 그보다 아래인 글카가 있지 않습니까 ㅎㅎ
@@BullsLab 글카 여러대 끼워넣고 막 "현역들 안부럽습니다" 이러는 거 보고 싶어요 ㅎㅎ
@@tenal6643 앗 그쪽은 크로스 파이어..
카스하다보면 사양이 아무리 좋아도 교전할때 순간적으로 있는 프레임드랍때문에 그림자만 상옵으로 해놓고 나머지 최하옵에 해상도도 낮게 해놨는데 그게 습관이되서 다른 pvp fps하면 항상 그림자만 높고 나머지 최하~하옵으로 해놓는중
게임 할 때 특히 유용한 정보네요 ^^
그래서 전 각 시퓨나 글픽을 비교할때 유튜브에 모델A vs 모델B라고 검색
해외 채널들에서 게임 플레이 영상으로 비교해준걸로 참고하는데 이게
확실하더라구요.
이게 라이젠이 2세대까지 게임에서 약했던 이유죠... 근데 저같이 둔한사람은 못느끼겠더라고요.
넵 맞습니다. 특정 게임에서 이런 스터터링이 많이 생겼었죠.
3세대에 들어서는 되려 인텔보다 훨씬 좋아졌다만...
그래 맞아요 라이젠이 요새 오히려 하위 프레임을 방어 잘해주더라구요 ㅎㅎ ㅎ^ㅎ
하위 프레임 방어가 FPS 하시는 분들에겐 굉장히 중요하졍
스카이레이크 잘 끊겼는데 라이젠 1세대는 그런게 없었던 이유가 이거 였군.
내가 게임을 못하는 이유가 저거였구나!?
영양가높은설명 고마워요~~~~~
아... 이런 강의형영상 좋아용ㅎ
i5-9400f
1660 6g
ddr4 8x2
롤 144방어 되겠죠?
롤은 쌉가능
3500가라고 아 ㅋㅋ
최고최고
하위1%가 뭔지몰라 무시했었는데 좋은정보네요 앞으로 하위1%도 봐야겠네요
뻣짓님 1060쓰는데 모니터 144쓰면서 끊기는거도 144fps유지를 못해서 그런건가요..?
넵. 그럴 가능성이 큽니다. 게임 내 프레임을 띄우시고 (스팀 옵션 등에 있습니다) 현재 프레임이 얼마인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144fps이 계속 넘는데 끊긴다면 영상 내에서 말씀드린 마이크로 스터터링의 문제일 가능성이 있고요.
그게 아니라면 옵션 타협을 통해 좀 조정을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옵션 매낮인데 전투 할때는 100정도 까지 내려가더라구요 ㅎㅎ
@@DKk-o5j 그 경우는 그래픽카드보단 cpu나 램이 부족한 경우라고 생각됩니다
쿨엔에서 보고 왔는데 잘 보고 갑니다 ^^
전 항상 주위에 말할때 상위프레임보지 말고 최저프레임을 보고 컴터를 사야한다고 말하죠ㅎㅎ
그냥 비싼거 쓰면됨,그럼 프레임 걱정안해도 되요,물론 지갑이 두둑하다면....ㅠ
형 사랑해
나두
@@BullsLab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ㅁ
이번엔 뻘짓이 아니야!
설명 잘 봤습니다. 이건 컴퓨터 지식이 아니라 통계 지식입니다. 모든 데이터를 볼 때는 평균이 가지는 함정을 고려해야 겠습니다. ㅎㅎ
그럼 60hz 모니터를 쓰면 프레임이 아무리 많이 나와도 60인건가요? 제가 잘 몰라서...
프레임이 많이 나오긴 하는데, 모니터가 보여줄 수 있는 한계가 1초에 60장이라 60만 넘으면 체감이 없습니당.
반면 144Hz 모니터라면 1초에 보여주는 화면이 144장이라 1초에 60장 보여주는 것 보다는 더 부드럽게 느껴지죠.
@@BullsLab 이번에 컴퓨터를 바꾸게 돼서... 그럼 모니터도 바꾸는 걸 고려해 봐야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fhd 144모니터에서 2070s나 2060s 박고 하는겜이 롤이나 오버워치 레식 같은거면 9600k 같은거 사서 램오버 cpu오버 한다고 cpu랑 비슷한 z보드 사지말고 최저프레임 더 높고 b보드에서도 오버 가능한 가성비 좋은 3600사는게 낫다
넵 요게 요즘 트렌드 같아요 ㅋㅋㅋ
가성비 라인업은 라이젠이 먹은 것 같습니다
안그래도 궁금 한거였는데
하이라이트 4:58
쉽고 좋은 영상이내요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해요~
cpu 오버를 해야되나.... 9700k be quiet dark pro4 쓰는데 저번에 50배수로 인터넷 까지는 잘 들어가지 던데 지금 전력제한만 헤제 해서 쓰는데 48배수로 오버 하면 프레임 차이가 날까요?
하위 1% 프레임에 대한 좋은 팁이네용
오늘은 왜 뻘짖안함?
최저 프레임을 잘 보란건가요?
하위 1% 프레임을 꼭 확인하시라는 얘기였습니당
이런 정보 칭찬합니다~~
저도 답글 좀요~~
하위 1%가 안좋은 시퓨는 어떤 짓을 해도 달라지지 않나요? 램오버나 시퓨 클럭 오버를 해야 나아지는겅가...
MHz는 무슨단위에요?
최소 프레임과 최대 프레임도 밴치마킹이 가능한 걸로 알고 있는데
하위 1퍼센트 프레임은 80프레임인데 최소 프레임 값은 엄청 낮게 나오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영어잘하는 이유좀... 대답해줄때까지 댓글달거임!!
당신의 하는짓은 뻘짓이 아닙니다만 왜 당신의 이름은 뻘짓인가
가끔씩 날잡고 하거든요
뭐 (a320으로 3900x를 돌린다던가..)
중국산 램을 사서 테스트 해본다던가
천궁 터트리기가 레전드 뻘짓
제가 지금 인텔i5 4670을 쓰는데
i5 9400f로 바꿔도 성능 괜찮을까요?
라이젠 r5 3500시리즈랑 9세대 i5 성능이 7세대 i7정도입니다. 4세대 i5보다 당연히 좋죠.
넵. 그정도에서 넘어오시면 체감이 큰데요.
지금 상황에서 업그레이드를 하신다면, CPU+메인보드+램 모두 바꾸셔야 합니다. 즉 컴퓨터 새로 사는 꼴...
암드 플루이드 모션 좀 다시 넣어주었으면...
그래픽 드라이버에서 게임, 전역그래픽이나 전역 디스플레이 들어가신후 비디오에서 설정 가능 합니다
144hz 모니터인데 게임할때는 60hz모니터랑 다를게없다 ..
i5-9400F
RTX 2060 Super
DDR4 CL17 2666Mhz 8Gb ×2
RTX 레이트레이싱 문제 없겠죠?
3500x랑 1660 super쓰면 오버워치 최하옵 200프레임 방어가 될까요...?
좋은 정보 ㄱㅅㄱㅅ
설명 좋구연~
수직동기화 걸고 겜하다 보면
FPS 수치는 60으로 고정인데
가끔 가다 버벅이는데 이게 스터터링이란건가요?
정보 감사합니다
저야말로 댓글 감사합니다.
옛날 인텔 오버cpu가 오버 높이면 평균이나 상위 프레임이 최근 cpu들과 비슷해져도 딸리는게 하위프레임때문이죠.ㅜㅜ
그래도 전 재미로 구형 오버cpu들이 좋더군요.ㅎㅎ
넵 맞습니다ㅋㅋㅋ CPU는 성능향상이 크게 없어서 평균프레임은 엇비슷해 보이긴하는데
하위프레임에서 차이가 많이 나졍.
저도 2700k는 아직도 가지고 있습니다. ㅎㅎㅎ 명품이죠
감사유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