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연] 조화해석학, 음의 세계를 해부하다 1_by 오창근 / 2024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시즌2 3강 첫 번째 이야기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오창근 #강연 #강의
🔸2024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시즌2 3강-첫 번째 이야기🔸
🔹강연 | 조화해석학, 음의 세계를 해부하다
🔹연사 | 오창근 교수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
조화해석학은 모든 함수가 삼각함수로 구성되어 있다는 푸리에의 가설을 검증하고,
그것을 다른 수학 분야에 적용하거나 실생활에 활용하는 학문이다.
함수는 오케스트라 음악, 전기신호, 혹은 인공지능 연구에서도 나타나는 보편적인 수학적 개념이다.
본 강연에서는 푸리에의 아이디어를 소개하고 실생활에 어떻게 응용되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본다.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는♥카오스재단
~ 홈 ikaos.org (가입시 강연 행사 안내)
페 북 kaosfoundation
유튜브 / kaosscience
인스타 kaosfoundation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Fourier식에 나오는 c는 열전도도가 아니라 열확산계수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알파 = (열전도도)/(밀도)(열용량)로 표현합니다, 열전도도(k)는 정상상태의 Fourier식에서 등장하게 됩니다. (마이너 한 것이지만 학생들도 많이 볼듯해서 첨언드렸습니다.)
그 이유는 수학은 발명이 아니라 발견이기 때문입니다. 즉 인간의 것이 아니라는 것이죠.
그럼 자연의 것이란 말이에요?
오창근 교수님 약력이 90년에 매디슨에서 박사학위 받으신 것으로 나오는데.... 너무 젊게 보이시는데 혹시 약력에 오타가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해주세요. 박사 후 연구과정이 22년부터이고 현직을 감안할 제 오타일 것 같습니다.. ^.^;
네😅1990년이 아닌 2022년입니다.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