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에서 발견되는 신기한 피보나치 수열 TOP6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7 лют 2025
  • #피보나치수열#해바라기#앵무조개#파인애플#잎차례#나무가지#꽃잎

КОМЕНТАРІ • 6

  • @세아-j3p
    @세아-j3p Рік тому +1

    정말 유익합니다! 감사해요

  • @Chalie-p4k
    @Chalie-p4k Місяць тому

    파인애플이 지능이 있어서 이렇게 해야지 하고 진화했을까요. 꽃잎이 지능이 있어서 3개5개8개 꽃입을 만들어야지 했을까요. 해바라기가 지능이 있어서 이렇게 해야 씨를 많이 맺지라고 생각해서 그렇게 발전했을까요? 나무가 지능이 있어서 가지를 한번씩 쉬면서 잔가지가 나오게 했을까요? 여러분은 지능이 이것들 보다 얼마나 좋은데 손가락 갯수 한개라도 아니..머리카락 한 개라도 의지대로 더 만들어 낼 수 있나요?
    진화라는것이 얼마나 터무니 없는 공상과학소설인지 알려주는 부분입니다. 앵무조개는 왜 하나같이 피보나치수열을 지키며 자라나는 것일까요. 그것은 바로 그렇게 했을 때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이고. 누군가 어떻게 하는게 가장 효율적인가를 고도의 지능이 있는 존재가 그것을 고민했고 그 고민의 결과로서 꽃잎이며 파인애플이며 조개류며 나무들을 그렇게 효율적으로 만든것이라는것을 알아야만 합니다. 즉 결론적으로 말해서 진화(우연히)가 아니라 애초부터 그렇게 최고의 효율적인 방법으로 만들어 졌다는 것을 깨달아야만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반드시 해야만 하는 고민은 그 분이 도대체 누구인가라는 것입니다. 연쇄살인범을 어떻게 규정짓나요. 동일한 행태가 보이기 때문이죠. 솔방울도 피보나치 수열을 따라 껍질이 배치됩니다. 이정도면 모든 식물이 가장효율적인 피보나치 수열을 따라 만들어 졌다는것을 인정한다면 동일한 규칙에 의해 가장 효율적으로 만들어 졌다. 즉 그 효율성을 지켜가며 누군가 그렇게 완벽하게 만들어 냈다는 것을 인정할 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 @좌약원샷
    @좌약원샷 Рік тому +5

    피보나치의 수열이 뭔지 궁금해서 검색해서 들어왔는데 유익하네요
    올려줘서 고마워요

  • @Hyunjoon-d7g
    @Hyunjoon-d7g 8 місяців тому +2

    144개나 143개나 89개나 90개나 별차이 없을거같은데 왜 딱 저렇게만 진화했는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피보나치수열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더 안정적이고 빛을 더 많이 받을수있는 구조인지도 궁금하네요

  • @cleanyeum654
    @cleanyeum654 7 місяців тому

    일률적인 프로그래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