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연 Q&A] 주 4일 근무요? 좋죠, 그런데요...(김현철 홍콩과기대 경제학과·정책학과 교수)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0 кві 2024
  •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КОМЕНТАРІ • 464

  • @user-kf3em7ov7z
    @user-kf3em7ov7z 28 днів тому +88

    우리나라가 살기 좋다고 생각하는건 서비스업에서 누군가의 피 땀 눈물과 인생을 갈아 넣고 있기 때문이다

  • @Frigate4one
    @Frigate4one 21 день тому +53

    주4 일제 하고 싶으면 독일처럼 토요일 일요일에 백화점 식당 문 다 닫아 갈데가 없도록 내 쉬는 날 만큼 남의 쉴 권리도 존중해 줘야함. 관공서 은행도 다 문 닫고 택배도 금/토/일 안한다면 욕하고 분개할 인간은 말할 자격 없음.

  • @anmeuro
    @anmeuro 28 днів тому +25

    우리나라가 노동생산성이 다른 서구 선진국보다 낮다는 지적은 내가 25년전에 한국을 떠나 유럽에서 그리고 현재 미국에서 직장생활하면서 뼈저리게느꼈던 것이고, 아직까지 별로 변한게 없다는 것으로 들린다. 한국에서 박사학위 마치고 삼성전자 연구소에서 근무하면서 가장 적응하기 어려웠던 것은 기본적으로 회사가 직원들을 믿지못한다는데 있었다. 부서장이 퇴근하지 않으면 아무도 퇴근할 생각을 못하고, 그러다보니 하루에 끝낼수 있는일을 질질 몇일을 우려먹고, 힐일도 없으면서 추가근로수당을 받기위해 매일 늦게퇴근하는 관행이 삼성전자연구소에서도 일상화였다. 그에비해 독일 미국에서의 근로강도와 질은 매우 높았고 칼같이 퇴근하고 절대 다른사람 눈치보지않는 문화이다. 한국은 그런면에서 직장인들 생산성을 최소한 50프로 이상은 높일 여지가 있다고 본다.

  • @user-fb8yw2kx2x
    @user-fb8yw2kx2x 28 днів тому +24

    와 다들 수준이 높구나.... 저런 질문을 주고 받고 고민하는 것 자체가 멋있다 ㅋㅋ 우리 국회만 ㅂㅅ이라는 생각을 또하네 ㅋㅋ

  • @user-wn4zs1ub4x
    @user-wn4zs1ub4x 21 день тому +9

    주4일을 하든 5일을 하든 노동유연화 먼저 선행돼야.. 노동생산성부터 기업경쟁력 .. 뽑고싶어도 못뽑는 현실을 아는지.. 일손이 부족해도 언제 올지 모르는 불황땜에 직원을 안뽑고 있는 현실을 아는지 모르는지 답답하네

  • @skytea9
    @skytea9 28 днів тому +16

    주3일 근무도 찬성합니다. 다만 해고가 쉬운 조건으로.. 같은 근로자라도 주3일에 생산성이 업되는 사람도 있고

  • @user-wr1bq6wt2z
    @user-wr1bq6wt2z 28 днів тому +51

    사업자는 24시간 일하는 것 같아요. 꿈에서도 일함😢

  • @user-dz8me4sp8m
    @user-dz8me4sp8m 28 днів тому +8

    역시 김현철 교수님 영상과 거기에 있는 여러, 그리고 패널분들의 의견은 두뇌트레이닝을 하듯이 여러 부분을 생각해보게 하는군요! 특히 이프로님 양극화 이야기 했을때 깜짝 놀랐습니다😮😮

  • @user-he7nb6tg2u
    @user-he7nb6tg2u 21 годину тому +1

    와 진짜 배운사람은 분석과 질문이 감탄스러울 정도입니다 두분 언더스텐딩 잘보고있습니다

  • @metaofmeta
    @metaofmeta 28 днів тому +4

    적시기에 적절한 주제의 토론 재밌게 봤습니다. ;-)

  • @hslee625625
    @hslee625625 28 днів тому +10

    미국 사는데, 요즘 많은 회사들이 4-10이라는 형태로 주 4일제를 많이 하더군요. 일주일에 4일동안 매일 10시간 일하나 5일 동안 8시간씩 일하거나, 결국 주 40시간이라 노동 시간도 그대로고 임금도 그대로라 많이들 좋아하더군요

  • @user-mh4pk6fb7x
    @user-mh4pk6fb7x 28 днів тому +44

    주4일이 불가능한 이유는 임금을 보전해 달라고 하기 때문이지. 화이트 칼라직군이야 아예 성과제로 바꾸면 주5일이니 4일이니 2일이니 상관없지만 대한민국은 여전히 제조업 국가고 어쩔 수 없이 시간을 갈아넣는 방식의 산업이라 노동생산성이 감소할들 시간이 증가하면 결과물은 더 많이 나오게 되어있음. 같은 임금으로 더 적은 결과물을 어떻게 받아드리겠어.

  • @KritikaZero
    @KritikaZero 28 днів тому +16

    휴일에도 좋은 컨텐츠 올려서 감사합니다.

  • @user-jn1ii8qx1d
    @user-jn1ii8qx1d 28 днів тому +10

    필요한주제를 계속 건드려주시니 감사합니다

  • @sweetallier
    @sweetallier 21 день тому +2

    이프로님이신가요? 제 마음을 쏙쏙 대변하는 말씀을 어쩜 저렇게 교양있고 박식하게 설명해주시는지 모르겠네요.

  • @minkyungju745
    @minkyungju745 21 день тому +1

    김현철 교수님 책도 쉽고 재밌게 쓰셔서 잘 읽었습니다

  • @user-bl3rj3xx6r
    @user-bl3rj3xx6r 21 день тому +6

    Q&A를 넘어 너무 좋은 토론이에요. 제가 좋아하는 세분, 너무 멋지십니다. 급변하는 시대에 오늘의 답이 내일의 답이 아닐 수 있지만, 그러하기에 이런 토론이 앞으로 더 활발해지면 좋을 것 같아요. 넘 잘봤습니다!

  • @user-mi9dz2mc8i
    @user-mi9dz2mc8i 28 днів тому +7

    교수님 질문에 대한 답변 태도가 좋아서 저도 배우고갑니다.

  • @user-yc2hp3yf9j
    @user-yc2hp3yf9j 28 днів тому +16

    해고를 미국식으로 자유롭게할수 있다면 3일 4일 5일 어떤근무든 상관없다. 해고가 자유롭지 않은 상황에서 4일근무는 무리가 따를것 같은데

  • @user-caesar73
    @user-caesar73 28 днів тому +11

    주 5일 근무제 회사에서 주 4일 근무 회사로 이직 후 몇 년간 근무 중입니다. 물론 월급은 이전 회사보다 시간 대비 더 적습니다. 그런데 삶의 만족도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좋아졌습니다. 가족 간의 친밀도도 높아졌고 취미 활동도 여유롭게 하게 되었습니다. 임금이 적은 만큼 삶에서 일부 물질적인 부분은 포기해야 했지만 적어도 제 생각엔 그보다 더 중요한 것들을 얻거나 보고 느끼고 있으며 제 기준에 그러한 것들이 훨씬 더 가치있다고 여깁니다. 다는 아니겠지만 저와 같은 선택을 하시는 분들이 제법 되실 거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