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무줄 베란다 확장 공사 비용, 정부는 왜 눈감아줄까? (언더스탠딩 장순원 기자)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7 тра 2024
  •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КОМЕНТАРІ • 69

  • @user-gx2ee3wt1k
    @user-gx2ee3wt1k 26 днів тому +34

    애초에 발코니 확장비라는게
    말이 안됩니다.
    이미 발코니가 있는 옛날 아파트를
    리모델링 할때
    뜯고 철거하고 이중창을
    다시 설치하는 비용과
    바닥을 뜯어서 보일러를
    연결해서 까는 비용인데.
    이미 신축은 애초에 아파트를
    지을때 보일러 깔때 끝까지 깔고
    창호를 넣을때
    이중창 한번만 넣으면 되는거니
    따로 인건비가 발생하는 부분이 없고
    넓어지는 평수 정도 만큼의 바닥 비용정도와
    단창 두개 설치 대신 이중창 하나 가격 차액정도 외에
    따로 비용이 발생할 이유가 없습니다.

    • @user-gx2ee3wt1k
      @user-gx2ee3wt1k 26 днів тому +6

      뜯어내고 재시공이 아니고
      애초에 지을때 연결해서 짓는거라
      인건비도 추가로 안들고 해서 비용이 더 발생할 부분이 없다고 생각했는데
      주방이 넓어져서
      들어가는 가구가 더 생기네요.
      작은방 하나 붙박이장도
      확장 선택시 들어가구요.
      그래봤자 애초에 지을때 조금 더 넣는거라 가구비 1~2백 정도 이상 안들듯요.
      늘어난 바닥 더 까는비랑 합해도
      3~4백 정도이상 더 받을 이유는 없는듯요
      지방인데 2~4억대 아파트 분양받거나 살때 확장비 천만원정도 있었거든요

  • @user-tu2tb3dh9t
    @user-tu2tb3dh9t 24 дні тому +2

    다들 확장할때 비용만 얘기하고 있는데..
    그것보다도 확장을 옵션으로 안하고 기본으로 포함하게 되면 베란다가 내부공간으로 들어가서 용적률이 작아지는 악효과가 생기게 됩니다.
    고층으로 집을 못 올리고 그만큼 건설사는 수익이 줄어서 평단 단가를 높여서 받을 수 밖에 없다는 게 중요한 포인트인것 같네요.

  • @user-uc7tj5oy9b
    @user-uc7tj5oy9b 26 днів тому +16

    확장하면 샤시 갯수가 절반으로 줄어서 오히려 건축비가 더싸지는데 (주방이나 샤시 등급이 오르는건 계산해봐야겠지만)

    • @grx1988
      @grx1988 26 днів тому +3

      샤시가 왜 줄어든다고 생각하지? 아파트 한번도 못가보셨나?ㅋㅋ

    • @user-vhdhdhd7
      @user-vhdhdhd7 26 днів тому +2

      샷시는 줄어들지만 바닥 천장공사비가 들어서 아닐까여?

    • @grx1988
      @grx1988 26 днів тому +1

      @@user-vhdhdhd7 단창 두개가 이중창 하나로 바뀌는거라 별차이 없음 ;;;;

    • @user-uc7tj5oy9b
      @user-uc7tj5oy9b 26 днів тому +4

      @@grx1988 내 이름으로 아파트 취득한지 10년이 더 지났고요. 확장안하면 내부 샤시를 설치 하지 않아서 비용이 줄어들고, 바닥 난방 천장 마감 비용이 추가되지만 샤시 가격 줄어든거보다 저렴합니다. 2000년도경 남양주 분양한 아파트 몇몇이 이 같은 이유로 확장비도 안받고 전세대 확장한 아파트 있습니다. 최근에 확장하면서 건축비가 더 드는건 주방구조 바뀌고 외부샤시가 고급화되고 다른 옵션들이 추가되서 그럽니다.

    • @choigaram1
      @choigaram1 26 днів тому +1

      @@user-uc7tj5oy9b 내부 샷시를 안하더라도 단창이 이중창으로 바뀌게 되어 샷시가격 차이가 크지 않아요.

  • @user-cq8ez8ph7o
    @user-cq8ez8ph7o 25 днів тому +6

    아파트현장 근로자인데 확장안하는게 비용이 더 들어갑니다. 샤시도 추가되고 타일 수도설치 등등 더 비싸게 들어갑니다

  • @user-rz4cf2wu3y
    @user-rz4cf2wu3y 26 днів тому +19

    법을 만드는 국회의원들은 뭐하나요? 지역감정에 기대여 국회의원이 되니 국민들 실생활은 관심도 없지요 이 부분은 자업자득 입니다. 누굴 탓할까요?

  • @user-hb4bs2vg5z
    @user-hb4bs2vg5z 26 днів тому +9

    발코니 만들었다가. 확장신처안 세대는 다시 먼드는 건가요? 건축할때 확장형으로 건축하는거 아닌가요? 확장비 받는거 이해 안됨

  • @user-ie8pq5mk2f
    @user-ie8pq5mk2f 25 днів тому +2

    그러니까 본제품 가격통제를 하지 말라니까

  • @smithsong4943
    @smithsong4943 26 днів тому +15

    유익한 정보가 가득

  • @dingding1466
    @dingding1466 24 дні тому +1

    언젠가부터 확장안하면 안되는 구조로 만들어 놓은 근래의 30평대 아파트보다 이전의 확장안해도 되는 30평대 아파트가 실질면적이 더 넓은거 같음. 건설사는 발코니 없애서 건설비용줄이고 확장비도 따로챙기고 너무 좋음.

  • @nomnomnom5317
    @nomnomnom5317 26 днів тому +10

    안봐도 유익할꺼니까 댓글부터 달고 봅니다ㅋㅋ

  • @user-zb6xs9tb4u
    @user-zb6xs9tb4u 26 днів тому +11

    부동산 장순원기자님...^^
    서초동 하이앤드 취재 좀 해주셔요...
    이거 심각하던데요...내용이 궁금합니다...
    장순원기자님 화이팅~~~😊😊😊

  • @9sugaff
    @9sugaff 25 днів тому +1

    발코니확장비도 그렇지만 에어컨옵션 같은것도 선택의 폭이 좁아요 방마다 선택가능하지않고 세대 아니면 전부(6대) 중에 고르라니ᆢ 대형건설사횡포 같더군요

  • @midsa7789
    @midsa7789 25 днів тому +1

    컴퓨터를 완본체로 팔면서 구체적인 모델명은 안 쓰고 600w 정격 파워, 메모리 16기가 이런 식으로만 써서 눈가림하는 경우가 생각나네요.
    적어도 어느 시공 비용이 얼마, 어떤 자재가 얼마인지 정도는 써놓도록 제도를 만들어줬으면..

  • @user-tt2xn8fn4r
    @user-tt2xn8fn4r 26 днів тому +16

    우리나라는 어째 부동산과 관련되기만 하면 국토부부터 건설사, 소규모 인테리어 업자들까지 뭔가 속이고 등쳐먹을 궁리만 하는 거 같네요 ㅎㅎ

    • @user-lw4sf6tr3u
      @user-lw4sf6tr3u 25 днів тому

      그게 바로 음모론의 정석이죠

    • @flyingpan2639
      @flyingpan2639 25 днів тому

      모든 국민들이 다 그래요
      자동차 에서부터 수산시장 까지

  • @wildlifekr
    @wildlifekr 26 днів тому +3

    11:50 요즘 건설사는 어차피 하자보수 제대로 안해주죠. 외벽이 휘고 지상층이 물폭포가 되어도.

  • @user-ej9bx5co5o
    @user-ej9bx5co5o 25 днів тому +1

    부동산문제는 이프로의 날카로움이 있어야 재미가있어요.

  • @annabelle3926
    @annabelle3926 25 днів тому +1

    결국 일안하는 공무원 때문이네요. 전부다 감사하면 되는데 일부만 하니 다른곳은 많이 내는거죠

  • @user-lk9cs8jw7e
    @user-lk9cs8jw7e 26 днів тому +3

    가격에 바닥재는 뭐를썼고 창호는 뭐를썼고 그런걸 적어놔야지 그냥 옵션가구 추가라고만 써놓으니까 건설사의 장난질이나 사기질라고 하는거지.
    적어도 바닥재: 이태리 직수입 대리석 아니면 국내xxx 브랜드 데코타일 뭐 그런식으로 적어놔야하잖아.

    • @emileazar85
      @emileazar85 23 дні тому +1

      모델하우스 가거나 인터넷 모델하우스가면 마감재 인테리어 수전 샤시 전부 브랜드 있어요

  • @user-xs7eu2xe4s
    @user-xs7eu2xe4s 26 днів тому +1

    아파트몇십년살아보니 거실만은 발코니를해야 운치가잇다고봅니다

  • @eunheejho2197
    @eunheejho2197 26 днів тому +2

    21년에 분상제 아닌 송도에서도 국평 확장비 3천 넘게 받더라구요

  • @user-ee9wp1jc9s
    @user-ee9wp1jc9s 26 днів тому +6

    59는 방두개로 만들어라 방3개는 진짜

  • @Marin_Jung
    @Marin_Jung 24 дні тому +1

    월급도 수당수당 꼼수꼼수 하는 나라에서 당연하게 필수지만 옵션이라고 부르는...
    저걸 또 방조하는 개원들과 당연하게 지불하게 매매하시는 분들 다~~~똑같은 분들 아닙니까?
    그래서 옵션이라고 부르는 필수품 확장 안하실거에요? ㅋㅋㅋ

  • @user-nr9zo7pe3b
    @user-nr9zo7pe3b 26 днів тому +3

    가장민감한부분도툭툭건드려톡터지게하는지혜로운진행언더스탠딩신뢰감뿜뿜입니다

  • @user-ee9wp1jc9s
    @user-ee9wp1jc9s 26 днів тому +1

    아니 이상하다 확장하면 그만큼 자재가 안들어가면 확장한만큼 보일러 넣는다해도 이상해

  • @giosuo7
    @giosuo7 25 днів тому +1

    손안대는게 나음 일본 중국도 저거 포함 시키면서 가격 올리고 다른거 빼고.. 애휴

  • @user-ju3np4dp4k
    @user-ju3np4dp4k 25 днів тому +4

    발코니 확장하면 오히려 가격이 빠져야 되는거 아님?
    재료비와 인건비가 덜 드는것 같은데

  • @yundee716
    @yundee716 25 днів тому

    고층아파트에 사용하는 창호는 다르기 때문에 저층아파트와 비교하면 안될 것 같아요. 특히나 초고층일경우는 윈도우 가격이 몇 천 넘을 수도(그렇다고 초고층아파트 저층이라고 다른 것을 설치할 수도 없이 공통일 것이고요..) ^^ 철거및 설치도 훨씬 더 어렵고..^^ 그냥 가격으로 비교하기엔 고려될 것이 많은 듯...

  • @shoyamada-sd9ij
    @shoyamada-sd9ij 25 днів тому +1

    법과 규제를 잘못됬다. 베란다든 발코니든... 원래 목적을 변경을 못하도록 하여야 한다. 오래전 법과 규제가 정비 안되었을때 많은 사람들이 편의를 위해 공사를 하여 사용을 하였지만... 법과 규제로 건설사로 하여금 좁은 평수를 넓은 평수로 보이게 분양을 하고, 별도 비용 청구로 분양가 이상의 이익을 챙길 수 있는 헛점을 제공하고 있다.
    베란다, 발코니등은 화재시 소방에도 커다란 영향을 주는 공간이다. 법과 규제를 강화하여 확장 공사를 못하도록 하여야하고, 앞으로 건설되는 모든 건물의 불법 구조변경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여야 한다. 아파트의 경우는 확장 공사를 하여 넓은 평수 주택이 아닌, 정확한 평수의 주택을 공급하고 베란다, 발코니는 원래의 목적의 구조변경을 못하도록 하여야 한다.
    아예 베란다, 발코니가 없는 아파트를 건설을 하여 구조변경을 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확장 공사는 불법구조변경으로 원상복구 및 벌금으로 처벌해야 한다.

  • @user-xs7eu2xe4s
    @user-xs7eu2xe4s 26 днів тому

    거실발코니를 이중으로하심이조을듯하지요 확장문을달아서

  • @jamesyoo5529
    @jamesyoo5529 21 день тому

    발코니 확장 원가공개 해야할듯

  • @ywetjjeop7884
    @ywetjjeop7884 25 днів тому +3

    요즘, 잘 생긴? 이진우기자님은 왜 안보이시는건가요???
    그분의 재치있는 입담들으러 자주 들어오는데...

  • @hyo3377
    @hyo3377 26 днів тому +5

    정말 우리나라에서 건설, 부동산 관련은 무슨 사기꾼양성소 같네요. 상식적으론 사실 발코니 확장보다 발코니 만드는게 오히려 돈이 더 드는 경우도 많아서 발코니 확장비 따로 받는다는거 자체가 웃기는 소리라고 듣기는했는데. 새삼 놀랍네요. 하긴 벽을 2개를 만들어야하는 발코니 있는 버전이 더 힘들텐데.

  • @grx1988
    @grx1988 26 днів тому +7

    원래 전용84 방2개가 적당한데 억지러 방 만들다보니 좁아져서 확장안하면 침대도 안들어가지 ;;;

    • @seervox
      @seervox 15 днів тому

      복사좀 그만해

  • @user-ik5qh3ev9o
    @user-ik5qh3ev9o 25 днів тому +5

    건설사 관계자도 불러서 베란다 확장에 대한 이야기 듣고싶어요

    • @fullman0015
      @fullman0015 25 днів тому

      할 말 없을 듯.... 누가봐도 꼼수이기 때문에

  • @Findthehiddenhamster
    @Findthehiddenhamster 25 днів тому

    🤩🤩

  • @user-fy3ic9fe3t
    @user-fy3ic9fe3t 26 днів тому

    외주업체가 건설중인 현장에들어가서요? 건축공정을 너무모르셔서. . ㅎ

  • @sgk4711
    @sgk4711 26 днів тому +6

    국개의원들과 국토부 고위직들이 다 한패라고 봐야... 국힘이나 민주당이나.... 뭐 하는게 없어.

  • @user-dj6cv3ft9r
    @user-dj6cv3ft9r 25 днів тому

    발코니가 부가가치세 과세라 구분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발코니 가격이 높을 수록 세금이 더 많습니다

  • @user-vu9kw4ju7j
    @user-vu9kw4ju7j 26 днів тому +4

    베란다가 아니고 발코니가 맞습니당

  • @user-oq6lw7gz2r
    @user-oq6lw7gz2r 25 днів тому +1

    기름 난는 7광구 댕응한다. 1년여 남았다 . "국민여러분 독도는 우리 땅입니다" 노무현 대통령

  • @user-xd9pw8we9p
    @user-xd9pw8we9p 26 днів тому

    베란다가 아니고 발코니라고 합니다.

  • @CymbalsmithHYH
    @CymbalsmithHYH 25 днів тому

    저럴거면 골조만 졸라게 싸게 팔지 왜

  • @user-xs7eu2xe4s
    @user-xs7eu2xe4s 26 днів тому

    확장 안 하면 무책임! 그건문제가 잇다고봅니다

  • @iceheatk99
    @iceheatk99 25 днів тому

    기업활동의 하나하나를 국가에서 이렇게 저렇게 하라고 정해줘야 하는 게 지당하다고 이미 전제로 깔고 설명하는게 과연 맞는가를 생각해 봐라.

  • @user-xs7eu2xe4s
    @user-xs7eu2xe4s 26 днів тому

    획장 유도작전 갑질

  • @user-cw8sq7js1v
    @user-cw8sq7js1v 25 днів тому +2

    이건 정부의 실책아닌가요?
    건설사의 분양가를 조일때 이런일은 충분히 예상 했어야죠 우리는 국민을 위해 눌렀으니 정책이 좋은 의도였으므로 보고서가 멋진걸로 끝!
    건설사의 꼼수 그로인한 소비자의 혼란은 모르쇠

  • @user-qu4ui2gu2z
    @user-qu4ui2gu2z 26 днів тому

    다 너희들이 만든거지

  • @user-uc5js6yi2k
    @user-uc5js6yi2k 26 днів тому +1

    오늘은 광고가 왜 없나요. 너무 재미가 솔솔한데~~

  • @jh7152
    @jh7152 26 днів тому +1

    0:52 발코니랑 배란다랑 달라요 발코니를 우리말로 배란다라고 하는게 아니고요. 유일하게 아는게 나와서 아는척 좀 해봤습니다

  • @user-yn8ljinn
    @user-yn8ljinn 26 днів тому +1

    그들의 갑질 은마 아파트부터 파헤쳐보자ㅋㅋㅋㅋ

  • @Adward5477
    @Adward5477 26 днів тому +1

    사업은 리스크와 리턴인데, 최대한 남기려고, 제도안에서 최대한 가격을 뽑는데, 사업 성공시 그 가격만 가지고 말하지 말고, 그 사업 실패하면 누가 책임질래? 그 것이 그안에 있는 겁니다.....사업이란게... 전체를 봐야지....어느 한쪽에서만 보면 항상...맞지 않죠. 예를 들어 내가 평생 연구해서 대단한 물건을 만들어 내었는데...시장에서 최대한 .비싸게 받아야지... 그 물건 물리적인 원가 계산만 해서 이 가격을 받아야 된다는 논리인데...이건 하드웨어만 보고, 오랜 기간 동안의 노력 즉 소프트웨어 비용은 생각도 안하는 겁니다.... 공공사업도 아니고.... 저작권 특허권 등등 고려해야죠..사업에서는 리스크에 대한 비용..

    • @user-xy6mx8qt2i
      @user-xy6mx8qt2i 26 днів тому +2

      지금까지 거의 실패 없이 많이 처먹었죠 제가 건설사 다녔습니다. 돈 잔치하고 돈 먹이고 방탕하게 운영해서 쓰러지는 회사는 있죠 여기는 지금까지 한방인 회사들이였습니다.
      ^^ 극한 효율의 아파트는 초초극한 효율의 아파트는 돈을 열심히 벌어서 시행사 건설사에게 돈을 기부하는 것이죠 이게 지금까지 가능한게 아파트를 투자목적으로 사기때문에 그렇죠 지금까지 ㅋㅋ

  • @user-uq5gw2gt3x
    @user-uq5gw2gt3x 25 днів тому

    5:57 분양가상한제를 없애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