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들수록 더 잘풀리는 사람과 암울해지는 사람의 결정적인 차이 (지나영 교수)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7 лют 2025
  • 「 오늘의 심리학자
    존스홉킨스 소아정신과 지나영 교수
    대구가톨릭 의과대학 졸업
    전 하버드의과대학 뇌영상연구소 연구원
    전 노스캐롤라이나 정신과 레지던트
    케네디크리거인스티튜트 소아정신과 교수
    저서 『세상에서 가장 쉬운 본질육아』 등 」
    ㆍ인터뷰 및 문의
    nolsimpsy@gmail.com

КОМЕНТАРІ • 219

  • @jinayoung
    @jinayoung 2 роки тому +321

    몸장님, 이렇게 초대해 주시고 귀한 시간 마련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 모두가 나는 참 괜찮은 사람이다, 가치있는 사람이다, 사랑받을 만한 사람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살면서 서로를 가치있는 사람으로 존중한다면 더 좋은 세상이 될거라 믿어요❤
    감사합니다!

    • @illliiliili1
      @illliiliili1 2 роки тому +7

      강의 넘 좋아서 친구들하고 공유했어요. 최근에 육아법 책을 쓰셨지만 다 큰 성인들에게도 정말 긍정적인 메세지를 주시네요. 그 전 책들도 궁금해졌어요.
      제가 스스로 되뇌임과 동시에 친구들에게도 넌 존재자체로도 가치있다고 말해주고 있어요. 좋은 영향력을 전파해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려요

    • @1977colaful
      @1977colaful 2 роки тому +6

      나는 가치있는 사람이다
      한동안 잊고있었어요
      감사합니다😍😍😍

    • @DdungsTV
      @DdungsTV 2 роки тому +3

      믿어요♡

    • @jjjyoum
      @jjjyoum 2 роки тому +3

      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친구들에게 공유하고 있어요. 증명해주신 부분 특히 넘 간단한건데 왜 생각하지 못 했을까 다시 생각하게 해주셨어요.줄세우는 사회에 익숙해 지다보니 당연한것도 노력이 필요해진 것 같습니다. 강의 감사합니다~♡

    • @twodaughterTV
      @twodaughterTV 2 роки тому +1

      감사해요 💛

  • @KRsketch
    @KRsketch 2 роки тому +149

    나는 가치있는 사람이다.
    괜찮은 사람이다.
    자존감을 높여주는 귀한 강의 감사합니다.

  • @DangdolhanMacaron
    @DangdolhanMacaron 2 роки тому +55

    지금 한국에 너무 필요한 메세지가 아닌가 싶습니다!!
    저도 한국의 그런 경쟁하는 숨막히는 분위기가 싫어서 호주 워홀로 대피?한 상태인데요
    여러 국가 사람들 만나보니 확실히 경쟁 없이 자라서 심적으로 안정돼있을 뿐만 아니라 일할때 텃세 하나도 없더라구요..
    계속 질문해도 친절하게 다 알려주고 꼬인 게 없어요.. 너무 부러워요 그런 분위기가ㅠㅠㅠㅠ
    어릴때부터 경쟁시키는 한국 사회 분위기가 정말 사람 망치는 지름길이라는 걸 뼈저리게 느끼는 중입니다
    저도 고등학생때까지는 사람은 다 가치있고 평등하다고 믿었는데 딱 20살 지나고부터 자연스럽게 점점 한국 사회에 찌들어가더라구요...
    멀쩡한 사람도 정신병 걸리게 하는건 한국이 최고인 것 같아요..^__^
    너무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마동석-m3g
    @마동석-m3g 2 роки тому +289

    대학만 가면, 교환학생만 가면, 인턴만 하면, 취업만 하면 다 좋아질거라 생각하면서 늘 불안하게 살았습니다. 그런데 그토록 원했던 취업을 해서도 잠깐 좋다가… 다시 불안하고, 스스로가 여전히 부족하다고 느껴지더라고요. 이건 정말 무언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던 찰나에 보석같은 강의를 접했네요!! 교수님께서 I’m worthy 라는 말씀을 하실 때 괜히 울컥했어요 ㅎㅎ 여전히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 약하고 부정적이지만… 말씀해주신 내용 실천하면서 스스로에 대한 믿음을 긍정적으로 키워나가겠습니다. 주변에 소중한 가족 친구 동료들에게 영상 마구마구 공유해야겠어요. 좋은 강의 해주신 교수님과 몸장님 모두 감사합니다 ☺️

    • @Kkkaa1111
      @Kkkaa1111 2 роки тому

      어제 우연히 뵈었는데 진짜 신기했어요 팬이에요 😊😊😊 !!!!

    • @임사라-v3h
      @임사라-v3h Рік тому

      이보세요! 그마음 지지하고 응원합니다!

  • @zzanguya
    @zzanguya 2 роки тому +40

    지나영교수님 좋아해서 영상을 자주 보는데 이번 영상 특히나 좋네요. 20대 내내 제가 좋아하고 잘하는 걸 찾으려고 어설프게 삽질하다가 결국 제대로 파지도 못하고 남들이 생각하는 괜찮은 직업, 부모님이 좋아할만한 직업을 갖자라고 생각해서 계약직 전전하면서 취준하다가 그 길에서도 실패해서 '나는 열등해서 결국 평범하게 살지도 못하는구나.'라는 생각에 우울해서 몇년을 또 방황하다가 굶어죽겠다싶어서 사회생활 필요없고 입다물고 내 일만 하면되는 물류센터에서 일을 반년동안했어요. 하지만 체력적으로 힘들고 이걸 오래는 못하겠다 싶어서 다른 곳에 무기계약직으로 입사를 하게됐는데 엄연히 정규직도 아니고 돈도 적고 승진도 못하는 일이라 이게 나의 최선인가 싶은 생각에 또 우울해지더라구요. 그럼 정규직을 도전해라고 하는데.. 인생에서 제가 목표한걸 이룬 성공경험이 없다보니 성취감도 적고 어차피 실패할거라는 생각에 이제는 도전을 못하겠어요. 그리고 동기부여도 안돼서 제가 진정 원하는 게 아니라는 생각이 자꾸 들어요 회피인지 자기합리화인건지 모르겠지만. 대입도 취업도 다 실패했고 저에 대한 실망감만 쌓인 상태에요. 저에 대한 믿음도 없고. 결국 나는 뭐하나 제대로 못하는 열등한 존재일 뿐이고 세상사는건 재미없고 이렇게 몇십년을 하루살이처럼 살다가 죽는거구나 생각하니 사는게 의미가 있나싶고. 좋아하는걸 용기있게 하지도 못하고 남들처럼 살지도 못하고 어릴때부터 부정적 부모 밑에 커서 부정적 마인드도 큰 편에 자존감도 많이 낮아서 사는게 너무 힘들고 사회생활하면서 겪는 끊임없는 갑을관계, 특히 비정규직 생활을 오래하다보니 계급에 의한 차별과 무시 이런게 쌓이면서 그냥 하루종일 누워만 있고 싶다 생각하는데 이번 영상보고 오랜만에 머릿속이 환기가 되는 느낌이 들었어요. 명확하진 않은데 정말 오랜만에 활력이 돈다고 해야하나..뭔가 해보고 싶은 욕구가 조금 마음한구석에 조금 들었네요. 이러다가 금방 꺼질 확률이 크겠지만..그래도 기분이 좋아요. 감사합니다.

    • @spark9495
      @spark9495 2 роки тому +14

      댓글 잘 안 쓰는데 왜인지 꼭 말해드리고 싶어서쓰달아요. 제 자신도 그렇고 본인이 뭘 좋아하는지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자체를 박탈당한채 어린시절을 보낸 대다수의 한국 청년들이 다들 방황하고 괴로워하는 것 같아요. 이런 현실에서 포기하지 않고 부단히 노력해 오신게 글에서 그대로 전해져서 짠하기도 하고 정말 대단하신 것 같아요.. 이렇게 본인의 힘듦을 표현하고 설명하는 것도 아무나 다 할 수 있는 거 아니라고 생각해요 본인의 결핍을 성찰하는 과정이고 결국엔 사회가, 부모님이 안 준걸 셀프 충족하려 발버둥치는 거니까요
      사실 제 자신에게 하는 말이기도 하네요 저도 여전히 제가 뭘 좋아하는지 모르겠고 인생이 너무 지치고 힘들기만 한데 중간중간 넘어지는일 있었어도 꾸역꾸역 포기안하고 살아왔거든요. 그래도 저 자신한테는 가혹한데 포로리야님 댓글 보면서 제 자신한테도 대견하다고 해도 되겠구나 생각했어요
      어떤 경험이든 쓸모없는 경험은 없잖아요? 계약직, 물류센터에서 일한 거조차도 안해본 사람들은 알 수 없는 경험 깨달음 인싸이트로 포로리야님의 피와 살이 되었을거에요! 언젠가 우린 모두 행복한 사람이 될거고 그땐 괴롭고 막막했던 이 시기들을 무용담처럼 얘기할 수 있는 날이 올거에요 자신을 더 우쭈쭈해주고 사랑해줍시다 우리! You're worthy!

    • @버조아엔
      @버조아엔 2 роки тому +3

      그냥 지나가려다 댓글을 읽는 내내 제 이야기 같아서 공감의 댓글을 답니다... 저도 참 막막하네요. 저에게 남은 건 누더기 같은 조각 경력뿐. 이것도 저것도 다 제가 하고싶은 일이, 마음에 드는 일이 아니더군요. 제가 이 나이까지 진로 고민을 하고 있을 줄 상상도 못했어요. 지금 이 순간도 뭘 해야할지 몰라 잠못 이루며 강의를 보고 있었네요. 뭘 해먹고 살아야할지 도통 모르겠고 막막하네요

    • @0kjuKim
      @0kjuKim 11 місяців тому

      나는 님이 왜 그런지 알 것 같은데. 쫄쫄 굶으며 하고 싶은거 할 깡다구는 없으신거 아닌가요? 욕심이 너무 많으세요. 안정적인 삶을 원하면 자기 자신 생각을 아예 하면 안되요.
      자기 자신을 먼저 아는게 중요할 것 같아요. 좋아하는 일을 하는데 내가 가난하고 힘들게 시작하는거를 싫어할 수 있어요. 좋아하는 일이지만 입에 풀칠 할 돈은 또 벌어야한다. 완전 귀족 마인드죠.

  • @전경진_맑음댁
    @전경진_맑음댁 2 роки тому +81

    정말 노트북하나 켜놓고 내 방에서 이런 강의를 들을수 있다니.. 너무나 감사한 일입니다. 놀심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마음이 평온해지고 한결 가벼워지는 느낌을 받고 큰 위로 받고 갑니다.
    추운 겨울 감기조심하시고 건강하고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 @조서우-t8q
    @조서우-t8q 2 роки тому +9

    3:24 엄청 좋아도 그 뒤에는 다운 사이드가 있을 수 있다는 거네요.
    이걸 거꾸로 뒤집어서 생각해보면
    엄청 안 좋은 상황이라도 그 뒤에는 굿 사이드(good side)가 있을 수 있음을 생각하면 되는거군요!
    4:32 내 마음이 흐르는 대로, 내 마음이 진실한 대로.
    - 거짓은 나중에라도 드러나게 되어있기 때문이므로

  • @gyu20001011
    @gyu20001011 2 роки тому +209

    저도 지금 부상을 당해서 2년 째 사회생활을 못하고 집에서 요양을 하고 있는 신세입니다. 자기 자신과의 대화를 해야 한다는 것에 적극적으로 동의합니다. 꽤 긴 시간동안 스스로와 대화를 하며 내가 누구인지 규명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세상을 바라보니 다치기 전보다 더 힘차고 긍정적이며 계획적인 삶을 사는 것 같습니다. 그 전에는 뇌 반쪽을 떼고 살았다는 느낌이라면 지금은 온전히 제 자신으로 살아가고 매 순간을 인지하고 살고 있습니다. 아직 젊은 나이에 이런 깨달음을 얻게 되어, 오히려 다쳐서 얻은 것이 더 많다고 느낍니다. 많은 분들도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며 자기 자신과의 대화를 해보시는 걸 정말 추천드립니다.

    • @람쥐-b2x
      @람쥐-b2x 2 роки тому +9

      응원합니다

    • @김묘선-z8x
      @김묘선-z8x 2 роки тому +7

      저도 응원합니다.

    • @theroadwalkingtogether
      @theroadwalkingtogether 2 роки тому +8

      빨리 나으시길 바래요.

    • @son7797
      @son7797 2 роки тому +4

      멋지십니다 응원합니다!! 값진 시간 보내셨어요~

    • @김미화-t6b7v
      @김미화-t6b7v 2 роки тому +4

      대단하십니다. 오히려 절망할 수도 있는데 희망으로 바꾸셨네요.
      저도 배우겠습니다~!^^♡♡

  • @bonapark2910
    @bonapark2910 2 роки тому +17

    저한테 꼭 필요한 말이네요. 명문대를 나왔지만 항상 쫓기는 마음으로 살고 있었는데 내 능력만큼만 나는 가치있는 인간이야라고 생각해서 그랬던 거였어요. 나 자신이 어떤 상황에서도 능력이 하나도 없어도 가치있단 생각은 한 번도 안 해봤어요.
    취미로 음악을 하고 싶어도 현실적으로 도움도 안 되는 건데 이렇게 시간과 돈을 써도되나 싶어서 맨날 실용음악학원 간판만 보며 지나다니고 왜 내가 하고 싶은 건 다 꽃꽂이, 재봉틀 같은 돈도 안 되는 걸까 하며 나를 억누르고 구박하고 낮춰보았지만 그냥 나는 결이 그런 사람이구나, 자연스럽게 놔두면 예체능쪽의 온갖 잡다구리한 걸 다 좋아하는 사람이구나하고 오늘 교수님 말씀 덕분에 깨달았어요. 내가 타고난 본성에 더 따르며 살고 싶어요.
    그동안은 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것, 경제적 보상이 따르는 일을 하지 않으면 쟤는 왜 나이먹고 저래?하는 눈총이 따가워 항상 내가 하고 싶은 건 못 하고 남 보기에 그럴 듯해보이는 것만 해오려했던 내 삶이 진실하거나 나답지 못하고 거짓과 불안, 초조가 가득해 보여서요.

  • @HaYeoSeoReadingMom
    @HaYeoSeoReadingMom 2 роки тому +22

    나는 가치 있는 사람이다. 나는 괜찮은 사람이다. 이것이 진리라는 말씀이 참 와 닿네요.
    우리 아이들에게 꼭 소개해주고 싶은 영상이네요.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아로미아로미-g2g
    @아로미아로미-g2g 2 роки тому +37

    저는 자존감이 정말 높다고 생각해왔어요. 그런데 피해의식도 컸습니다.
    질병으로 쉬면서 스스로를 돌아볼 시간을 갖게 되었는데 그 모순이 참 혼란스러웠습니다.
    저는 따뜻한 늦봄, 아침해가 뜰 때 태어났어요. 세상이 따뜻하고 환한 곳이라고 느꼈겠죠. 아가 때부터 밝고 우호적인 성격이어서 사랑을 받았어요. 그런데 저 같은 성향을 가진 사람은 또 나르시시스트의 먹이가 되기 쉽더라고요. 회복탄력성이 높아서 당하고도 타격이 적다보니 경계심도 없어서요.
    그런데 작은 타격도 오래 쌓이면 결국ㅠㅜ 사람이 망가지고 불안과 피해의식에 시달리게 됩니다
    낮은 자존감이 나쁘기만 한 것은 아니더라고요 .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태어날 그 시점에서 세상이 자신에게 우호적이지 않다고 느끼나봐요. 그래서 방어적이고 부정적이죠. 그러다보니 인생초반에는 힘듭니다.공짜로 주어지는 것이 없고 남들보다 훨씬 노력해야하니까요. 그렇지만 방어력 만렙이라 위험을 잘 감지하고 자기 것을 잘 지켜내는 능력이 있더라고요.
    이것을 알게 된 후 저는 자존감 낮은 사람과는 되도록 대화를 적게 하게 됐어요. 상대의 불안감을 자극할 수 있는 말을 안하려고 조심했더니 저절로 그렇게 됐어요.
    그랬더니 상대가 저를 신뢰하게 됐고요.
    자존감 역시 개인의 고유한 성향이다보니, 바꾸는데는.한계가 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야하는 게 인간아닌가 싶습니다.

    • @theroadwalkingtogether
      @theroadwalkingtogether 2 роки тому

      저도 어느순간 변해져서 예전처럼 사고가안되고 피해의식, 불만, 비판의식이 지배해요. ㅠㅠ

    • @아로미아로미-g2g
      @아로미아로미-g2g 2 роки тому +4

      @@theroadwalkingtogether 자기자신이 얼마나 아픈지 깨달아야하는데 그게 참 오래 걸리더라고요...ㅠ

    • @theroadwalkingtogether
      @theroadwalkingtogether 2 роки тому

      @@아로미아로미-g2g 네 예전 가스라이팅 당한 대학생이 변까지 먹었다는 경악스러운 사건 저는 이해하겠더라구요. 단체로 무능하다고 하고 일부는 묵인하고 말 한마디 한마디가 가시인데 선배라는 이유로 말못하고. 뉴스에서 화투치다 독약 탄 70대 노인 마음도 이해가 갈정도로 그들을 증오했는데 상처입고나면 그 전의 사고방식으로 돌아가긴 힘든것 같아요. 전 지금 저한테 불합리하게 하는 사람에게 눈을 쳐다보고말합니다. 왜 그런말을 하시는지 무슨 의미인지요. 그들덕분에 살아가는데 현명함은 생겼는데 마음의 생채기가 남아있네요. 왜 아파야만 성장하는 걸까요.

    • @순영-y5y
      @순영-y5y 2 роки тому

      지나영교수님이 짚어주신 나에대한 핵심신념이 부족하면 그런거같아요

    • @CHAE2023-ws9pn
      @CHAE2023-ws9pn Рік тому

      제가 알기론 낮은 자존감만 있는 사람도 없고 높은 자존감만 있는 사람도 없는데.... 둘다를 왔다갔다 하는게 사람이라서ㅠ
      힘들때는 타인의 반응에 예민해지는거 같아요. 그 사람의 자존감이 낮은지는 알 수 없는거구요...

  • @shunshineyoo39
    @shunshineyoo39 2 роки тому +15

    전 사실 굉장히 가난하고 어렵게 자랐는데 희안하게 살면서 세상은 내게 친절하다 생각하며 살았어요~ 사람들은 잘 도와주고 쉽게 거절하지 않는다,,,
    묘하게 제 나름의 핵심신념이 긍정적이였던거 같아요 그래서 전 제 아이에게도 이 얘기 많이 해줘요~ 세상은 다정하고 친절한 곳이다 넌 매순간 귀하다
    근데 원가정 생각해보면 오남매가 모두 같은 신념인건 아니더라고요

  • @하시프-u4x
    @하시프-u4x 2 роки тому +40

    I am worthy 나는 절대적으로 가치있는 사람이다. 내가 나에게 매일 매일 해줘야겠어요. 좋은 강의를 듣게 되어 너무 감사한 밤입니다. 감사합니다~~

  • @봄봄-s9l
    @봄봄-s9l 2 роки тому +562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은 그 생각을 혼자만 품고 있는 걸 억울해 함. 옆 사람에게 교묘히 부정적인 말을 옮기며 같이 망하게 함.

    • @유니안-t2x
      @유니안-t2x 2 роки тому +84

      그렇더라고요. 특히 나이든 사람들 중에 이런 사람들 많아요. 뭘 좀 시도해 보려고 조언을 여쭈어 보면 그거 잘 안될거다 실패할 거다 그거 왜 하려고 하냐 이렇게 어른들이 말했는데 나는 해 냈거든요. 나보고 해도 안된다고 했던 어른 하나는 내 성공에 궁금해 했고 더 알고 싶어하고 포함 되고 싶어하기 까지 했고, 다른 어른 하나는 믿을 수 없다는 듯 되게 의아해 하며 싫어하는 눈치였죠ㅋ 이 경험을 통해 나의 결론은 아무리 나보다 경험 나이 많은 어른 이라 할 지라도 남의 조언이 다 맞지 않으므로 내가 어떤 걸 시도하려 할 때는 남의 부정적인 말은 들을 필요 없다는 겁니다. 그들은 한번도 시도해 보지 않았기에 매사 부정적일 수 밖에 없어요. 그 생각들이 그들 자신의 실패를 스스로 합리화 하는 생각들이니까요. 그게 내 생각은 아니지요.

    • @김정은-l9r
      @김정은-l9r 2 роки тому +4

      진짜 그래요

    • @lovelyvoice7
      @lovelyvoice7 2 роки тому +7

      @@유니안-t2x 공감입니다… 하..😢

    • @서찡찡이
      @서찡찡이 2 роки тому +42

      이거 ㄹㅇ. 직장에 이런사람 하나 있어서 힘들어죽겠음. 매번 마두칠때마다 남욕 안좋은일 온갖 듣기싫은 어두운소리 해대는데 본인은 그걸로 스트레스 해소하는 모양인데 주변인은 너무힘듬

    • @좋은사람-n7k
      @좋은사람-n7k 2 роки тому +40

      정말 맞아요. 근데 그 어둡고 안좋은 생각을 나한테 유독 자주 말한다면 그건 내 긍정, 성실, 밝음, 주변인들의 나에 대한 신뢰, 호감도에 대한 질투와 그걸 박살내고 싶어하는 심리도 작용하는듯

  • @항상감사-y1y
    @항상감사-y1y 2 роки тому +37

    지나영 교수님😍
    마음이 흐르는 대로
    본질육아
    당신은 소중한 사람입니다❤
    우리 모두가 행복하기를~

  • @gracias5183
    @gracias5183 2 роки тому +3

    나는 가치있는 사람이다
    책, 명상으로 핵심신념 찾기 나는괜찮은사람이다
    내가하고싶은것 자율성.진실성!
    서로 존중 해주는것이 진리~! 잠자기전 감사요법 수면과 세로토닌 위한 감사훈련하기
    나를위한 심리학 영상 감사합니다

  • @윤다영-t3h
    @윤다영-t3h 2 роки тому +98

    방구석에서 이렇게 좋은 강의를 듣다니 넘 감사합니다. 지나영 교수님 넘 멋져요👍 학교에 있다보니 1등급을 가려내야하는 교육 경쟁하는 아이들 성적을 위해서라면 어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애들 서울대 몇명보냈냐에 따라 평가받는 학교 학벌로 파벌싸움 하는 선생님들 틈바구니에서 인간에 대한 회의감이 들어갔는데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조금은 희망이 보이네요 더 높은 곳에 가지 않으면 무시당하니 너도나도 그러고 사는 세상이 뭔가 잘못되어있는걸 알면서도 저혼지 그런걸 말한다고 누가 들어주겠어 했는데 교수님 강의를 많이많이 전파하고 다녀야겠어요

  • @veronicamin4364
    @veronicamin4364 2 роки тому +12

    "Don't trade your authenticity for approval" 제가 가장 좋아하는 quote 중에 하나입니다.

  • @2at21
    @2at21 2 роки тому +55

    근데 순서가 바뀐것일수도...
    계속 안좋은 경험이 많으면 결국 자기신념도 안좋아지겠죠.
    전 사회의 영향 또한 상당히 큰것 같습니다.
    사람들을 보면 자라온 환경도
    굉장히 중요하더라고요

    •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2 роки тому +2

      👍🏻

    • @hughbyun
      @hughbyun 2 роки тому +7

      그런 환경일지라도 스스로 후천적 노력으로 조금씩 나아질 수 있어요!
      저도 그런 면이 많았는데 상담이나 주변의 도움과 작지만 긍정적인 경험들을 많이 쌓아서 극복하는 중입니다!
      화이팅!!! ^^

    • @bewhy2377
      @bewhy2377 2 роки тому +13

      세상은 늘 그래왔죠. 바뀔수 있는건 '나' 인것같아요. 내가 빛이 생기면 내주변이 빛이 들이가고 그 빛이 또 다른이들에게 빛이 되는듯합니다.

    • @아나이스힘낼게
      @아나이스힘낼게 Рік тому +4

      힘든것도 사람마다 강 약 정도의 차이가 다 다르잖아요 특히 성장과정에서 학대 차별을 심하게받으면 극복이어려워요 저같은 경우도 아빠한테 많이맞고자랐고 딸이라고 엄마한테 차별받고 늘 부정적인 부모의 교육을받고자라니까 뇌가 부정적으로 형성이되었더라구요 물론 저도 노력을 엄청했지만 살면서 힘든상황이오면 또 무너져요

    • @0kjuKim
      @0kjuKim 11 місяців тому

      ​@@아나이스힘낼게저도 심하게 학대받고 경찰서까지 뺀질나게 신고하던 사람이었는데 전 안그래요. 안정형에 인생도 제가 살고 싶은대로 삽니다. 경제적 독립도 20대에 끝내고요.
      문제는 이거에요. 언제까지 부모와 나를 하나로 생각하고 그 문제를 같이 가지고 갈지, 아니면 부모는 부모 인생이고 나는 내 인생이라고 확실히 선 긋고 나아갈지.

  • @imaginegenie6722
    @imaginegenie6722 2 роки тому +48

    지나영쌤 감사합니다❤🧡💛 이런 말들을 우리 부모님한테 듣고 살았다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지금부터라도 제 코어신념을 긍정적으로 만들수 있도록 노력해보겠어요!

  • @수영김-r8n
    @수영김-r8n 2 роки тому +19

    지교수님 빠른 말투 에너제틱한 텐션이 마냥 부럽고 신기하고 긍정적은 영향을 받게 되네요
    결혼생활 19년간 고생을 마이 해서 소금에 과염장된 김장배추처럼 축축 쳐져잇는 저로선 조은 것도 하나 없고 푸른 하늘 보면 눈물 또르르 이지만 언젠가 닮고 싶은 모습이세요~~

  • @jljs8
    @jljs8 2 роки тому +7

    핵심신념 (나 타인 세상)
    내가 나를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하는가?
    긍정으로 나를 변화시키자.
    내가 좋아하고 흥미있고 잘하는 것이 나 자신이다.
    나에게 집중하는 훈련을 하자. 명상 호흡
    내 마음이 신나는 일을 하며 살자.
    호흡하면서 '나는 가치있는 사람이다.'
    나의 존재가치는 성과에 달려있지 않다.
    모든 사람은 가치가 있고 존중받아야 하는 꽤 괜찮은 존재다.
    나를 알기 위해 내 눈을 끄는 온라인 강의. 책.
    내가 하고 싶은 일. 나의 뜻. 자율성. 진실함. 진심.
    힘들어도 감사하자.
    감사한 점을 찾아 보자.

  • @MasonNam
    @MasonNam 2 роки тому +11

    가짜 삶은 자꾸 다른 것에 지나친 가치를 부여합니다.
    저는 진짜 삶을 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I am worthy!!!!

  • @bongsickalsbs1356
    @bongsickalsbs1356 2 роки тому +30

    감사에 대한 본질을 깨닫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TV-moa1004
    @TV-moa1004 Рік тому +1

    시상하부 (감사센터, 대사조절, 맥박 수, 호흡 조절 기관, 수면) 활성화, 셀로포민(행복호르몬), 도파민 (보상, 동기부여) =감사(훈련: 긍정회로)

  • @김불광
    @김불광 2 роки тому +14

    교수님 메세지가 더 널리 퍼지기를 바라고 응원해요!!

  • @haemil_8
    @haemil_8 2 роки тому +20

    시원시원하고 귀에 쏙 들어오는 말씀 감사합니다~ 탄산수처럼 답답한 속을 확 뜷어주시는 느낌이에요~

  • @Vtiyrcbdamfgh81
    @Vtiyrcbdamfgh81 Рік тому +3

    다들 일중독....나의 시간을 가져야.......내 길을 가야....핵심신념을 건강하게 만든다...나를 탐구......나는 가치있는 사람이다....

  • @블루케이크-t4w
    @블루케이크-t4w 2 роки тому +9

    이 영상은 널리 퍼져야합니다... 지나영교수님의 생각, 말씀도 널리 널리 퍼져야해요ㅠㅠ 정말 좋은 영상이라고 생각합니다ㅜㅜ 우리 모두가 마음이 편안하고 자신을 인식하고 긴 삶을 즐겁게 살아가면 좋겠어요.

  • @도깨비마을정원지기
    @도깨비마을정원지기 Рік тому +1

    우와 ~ 정말 잘 들었습니다.
    어려서 항상 혼자 지내던 터라 긍정적인 생각보다
    왜사나 부정적인 생각이 주류 였던 것 같아요.
    항상 채워지지 않는 먼가 갈급함이 있었는데,
    50을 앞에 두고 나는 무엇인가. 왜 이런 감정이 생기고 멀 좋아하고 잘하는지 장점은 단점은 샅샅히 뒤지기 시작했던 것 같아요.
    있는 그대로 인정하기 시작하면서 부끄러워 하지 않으면서 남의눈 의식도 안하게 됐습니다.
    숲에서 살면서 숲의 생명들과 함께 하고.
    생명의 귀함도 알면서 모든 생명은 귀하다를 아니 탓할 것도 없고 나를 이해하면서 타인도 이해되기 시작했습니다.
    참 많이 느긋해지고
    부족하지만 제 자신이 멋지고 아름답다 생각합니다.
    그러니 삶이 생기가 있습니다.
    생동감있게 살아지구요.
    있는 모습 그대로 인정하면서 정말 하고 싶은 일 즐겁게 하면 그게 최고의 삶인 걱 같습니다.
    모든 생명은 귀합니다.
    그런데 귀함에 인내는 필수 인 것 같습니다.
    강의 훌륭하십니다.
    감사합니다.

  • @Lilimeihua
    @Lilimeihua 2 роки тому +1

    ❤️핵심 신념
    나에대한 신념이 가장 중요하다.
    타인에 대한 신념
    세상에 대한 신념
    ❤️내가 나를 어떤사람으로
    생각하는지가 가장 중요
    하다.

  • @블루-f8c
    @블루-f8c 2 роки тому +9

    크리스마스선물을 미리 받은 느낌입니다~
    한번 더 생각하게 만드는
    언제나 배울점많은 좋은영상 감사드립니다.
    오호 지나영교수님 찐
    음 ~~~마음따뜻해 집니다

  • @사피엔스-s7r
    @사피엔스-s7r 4 місяці тому

    지나영 교수님 최곱니다. 진짜 멋지고 사랑스러워요! 호흡과 명상을 바로 시작해봅니다.

  • @전은영-d4v
    @전은영-d4v 2 роки тому +3

    와우~~!!
    놀심에서 지나영쌤을~~^^
    감사합니다.
    나는 가치가 있다. 너 또한 가치가 있다. 삶에서 제일 중요한 개념을 정말 가슴에 파고 들게 말씀에 해주셔서 좋았습니다.
    나에게 진실하게 살기.
    호흡법 짱 조아요
    응원합니다~!
    놀심~♥

  • @michaelman1135
    @michaelman1135 Рік тому +1

    “건질 게 있는지 보기!” 정신승리 같이 들리기도 하지만 모든 일에 양면성이 있다고 믿는 사람으로서 동의합니다. 결국 “회복력”을 키워가는 게 중요할 것 같네요!

  • @선이김-m2h
    @선이김-m2h Рік тому +2

    자신의 내면 철학이 정립되어 있어야 된다는 말씀이고요

  • @베리코코-v3r
    @베리코코-v3r 2 роки тому +9

    요즘 더 예뻐지셨어요
    귀에 쏙쏙 들어오는 강의 감사합니다

  • @임쭈텔라
    @임쭈텔라 2 роки тому +13

    그래서 어릴때 환경이 너무나 너무나 중요합니다.

  • @musiclovers5392
    @musiclovers5392 2 роки тому +17

    지나영교수님, 너무 반갑습니다! 책도 잘 읽었고 큰 도움이 되었어요.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happinia
    @happinia Рік тому +1

    자존감 낮아지는 얘길 많이 듣고 자랐지만 성인이 되고 내 자신이 그렇지 않단 걸 깨달았어요. 자라는 환경 정말 중요해요. 나도 물론이지만 아이에게도 넌 소중하고 멋진 사람이란 얘길 자주 말해주는것도 중요한거 같아요.

  • @HEY-nl6xb
    @HEY-nl6xb 2 роки тому +6

    비교와 경쟁속에서 늘 밀려나지 않으려 애썼던 삶과 아이들을 그렇게 양육한 지난날이 참 억울해집니다.
    한걸음씩 개선해 나가야겠습니다

  • @deg4496
    @deg4496 2 роки тому +1

    남을위해살지말고 나를위해살아라 나를 소중히하라 정말 좋은말입니다 이제라도 나부터 생각하고 나만생각하며 내가 뭘 좋아하는가를 생각할게요 여태는 남이 뭘 좋아하는지 남에게 많이 맞췄는데 이젠 나한테 맞출시간이네요

  •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2 роки тому +37

    너무나 좋은 말씀이고 이 사회에 경종을 울릴 수 있는 꼭 필요한 말씀입니다.
    어떤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스스로를 구원할 수 있는 긍정성을 마음에 지니고 살아는 가야 자신을 살리는 길이라는 것 정말 맞는 말입니다.
    다만 다수의 심리학 이론이 그렇듯 현실에 반영할 때는 분명 괴리현상이 생깁니다.
    강연중 선생님이 말씀하신대로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구조는 표면적으로는 공동체이기는 하나
    개개인이 체감하는 건 각장도생 적자생존 약육강식의 생리로 돌아가는 정글과 크게 다를 바 없다는 겁니다.
    그런 곳에서 사회 전체의 변화나 다수 구성원의 변화없이 나 혼자만 교수님이 말씀하신대로 벌이의 수준을 외면한채 진정 내가 좋아하는 것 내가 행복해지는 것을 쫒고 살려면 자녀를 양육하지 않거나 적어도 부양가족이 단 한명도 없을 경우 즉, 나 혼자 살아가는 상황이라면 그것이 가능하겠습니다.
    나 혼자 산다면 조금 가난해도 아니 제법 가난하게 살아가는 삶이라도 나를 진정으로 웃게해주고 행복하게 해주는 일을 쫒으며 살 수 있겠지요.
    그러나 승자독식이 사회를 움직이는 기본룰으로 저변에 깔려있는 경쟁주의 사회에서는 자녀가 한명이라도 있으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선생님이 사시는 미국은 다른가 싶었더니 미국인으로 추정되는 분의 댓글을 봐도 승자독식과 타인존중의 분위기가 사회전체에 깔려있는 분위기는 아닌것 같습니다.
    거기도 자본주의 체제니까 한국과 정도의 차이지 비슷하겠지요.
    사실 이런 강연은 타인과 사회로 부터 상처입은 소수의 분들만 듣고 따라서는 오히려 정글속에서 상처입은 개인을 맨손과 맨몸으로 뛰어다니라는 것과 진배없습니다.
    전국의 시민들 특히 기득권층을 필두로 공영방송에서 수시로 강연을 해야하며 초중고 교육과정 부터라도 꾸준히 교수님 같은 분들의 강연시스템을 도입해 교육해야 다음세대 부터라도 제대로 개선이 될 것이라 판단됩니다.
    지금 우리는 공동체속을 살아가고 있지만 비정한 정글속 동물본성을 앞세우지 않으면 도태되는 또 다른 정글속을 살아가는 중이기에
    짙은 인간성을 가진 인간일 수록(타인을 배려하고 타인의 아픔에 공감하고 타인의 잘못에 이해를 해보려 노력하는) 더 힘들고 상처입고... 종국에는 고립되는 처지라는 걸 모두가 인정하고 바꾸려 시도할 때 비로소 세상은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곳이 될거라 생각되어 집니다.

    • @아나이스힘낼게
      @아나이스힘낼게 Рік тому +3

      맞아요 교수님말씀은 아직 한국사회에는 먼얘기같아서 안타깝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 수준에 맞지않게 교수님말씀은 너무 고귀하다고할까요 님말씀처럼 학교 정규과정에 넣어야겠어요 한국사회 집평수 오직 돈에 집착하고 근데 부모부터가 자식을 그렇게가르치는 현실ㅠㅠ 가정에서 안되면 학교에서라도 가르쳐야하는데...아직 갈길이멀어요 그렇다고 손놓고있기도 안타깝네요

    •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Рік тому

      @@아나이스힘낼게 말씀에 구구절절 공감합니다.
      요즘 한국사회를 돌아보자면 많이 슬픕니다.
      인간이라는 존재가...
      정신건강 정서 심리 쪽으로도
      표면적으로는 개인의 문제같지만 사실 파고들면 이것이 과연 개인 고유의 (dna, 양육환경, 교육정도, 가계의 경제력) 문제라고 치부해버릴 일인가 싶습니다.
      사회구조 시스템에서 빚어진 문제를 사회전체가 노력해서 개선을 해나가야 변화의 물결이 일렁일텐데...
      개개인이 개개인의 노력으로만(돈, 시간, 심신 사용) 변화를 꿰해야 한다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인가?
      옳고 그름을 떠나 효율적인 일인가라고 생각해봤을 때 아니라는 판단이 드는건 저만의 판단은 아닌 것 같은데...
      가끔 이런 심리학 강의를 듣다보면 빙산의 일각만 보고 판단하는 듯 한 내용을 접할 때가 있는 그럴 때는 가끔 현실과 이상의 괴리에서 오는 좌절감 실망감이 한꺼번에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돈벌이에만 치중한 목적이 아닌 이 채널과 같이 최대한 인간을 사랑하려 애쓰는 분들이 이끄는 정신건강, 심리채널이 존재한다는 것에 감사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 @hajagu8813
      @hajagu8813 Рік тому

      자녀의 유무에 따른 차이… ㅠㅠㅜㅜㅜ. ㅠㅠ 의견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선이김-m2h
    @선이김-m2h Рік тому +1

    맞아요 나는 괜찮은 사람이야 라고 생각하는 것이 중요한듯

  • @alicela5600
    @alicela5600 2 роки тому +5

    교육이나 습관은 고착된 생각이 없는 어릴때부터 듣고 배우면 생각과 몸에 저절로 배게 되는 되는 경우가 많은데 각 가정에서 부모가 이런 말을 해주는게 좋으나 많은부모는 자신들조차 이런 말을 듣거나 인지하지못하고 살아왔을 수 있다. 그래서 생애 최초교육기관인 유치원.초등교육이 중요하다고 본다. 정부에서 유아교육기관과 초등교사들에게 이런 분들을 초빙하여 강연과 연수를 받게 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 이런 교육을 받은 아이들이 부모가되는 30년후엔 자기자녀들도 이렇게 키우게되고 미래 한국 사회도 달라져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 .사회적병폐가 줄지않을까 한다. 경제발달 척도로 선진국이 되었으나 행복감을 느끼는 사람은 후진국보다 오히려 적다는게 우리나라 현실이다. 유.초등 교사의 책임이 막중하고 질적향상이 필요하고 더 전문적일 필요가 있다.

  • @freesoul2652
    @freesoul2652 2 роки тому +2

    맞아요 교수님~~ 저는 이제 40세가 되서야 그걸 깨달았어요. 이제 되서야 저를 알아가고 있어요.
    저희 아이와 아이들에게는 꼭 건강한 핵심신념을 전달하도록 교육할께요

  • @창수唱水김성우
    @창수唱水김성우 2 роки тому +11

    스스로 에너지 똘똘 뭉쳐야..

  • @Kongdduck222
    @Kongdduck222 5 місяців тому

    지나영 쌤 너무 좋아요. 나타나주셔서 감사합니다

  • @송예은-h7b
    @송예은-h7b 2 роки тому +8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즘 맘이 헛헛할 때가 있었는데 도움 많이 되었어요

  • @메리골드-v9n
    @메리골드-v9n Рік тому

    1:511:58 2:363:08 4:264:575:31 6:227:408:13 9:15 9:34 12:00 12:2613:2015:20 ★★16:1617:5219:05 ★★★20:30 ★★★21:05 22:35 ★★★25:42

  • @녹녹-g5l
    @녹녹-g5l 2 роки тому +9

    와!!! 지나영쌤이시다!!!
    라이즈투게더^^

  • @blackdragon6247
    @blackdragon6247 2 роки тому +8

    I am worthy. This is really important to keep in mind . If you live in America it's really important to remember because arrogant people don't even treat others with the fair credit giving mind. They don't feel like to give some normal level of respect to the different people around the world.

  • @it.me__
    @it.me__ 2 роки тому +4

    인생영상이다! 감사합니다❣️💛💛

  • @선이김-m2h
    @선이김-m2h Рік тому +2

    자존감이 중요하다는 말씀이죠

  • @상훈맘-l7w
    @상훈맘-l7w 2 роки тому +14

    사람마다의 수준이 있다고 느꼈는데 판단오류의 생각인듯 타인과 나의 인간존엄성을 깨닫게 해 주는 정말 귀한 가치에 대해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정윤박-o2e
    @정윤박-o2e 2 роки тому +2

    나에게 진실되게 사는거! 멋지다!

  • @기쁨베베
    @기쁨베베 2 роки тому +2

    제가 좋아하는 두분 콜라보 너무 좋네요 교수님말씀 넘유익하고 몸장님의 경청자세는 언제봐도 너무 보기좋습니다 굿~!!

  • @myungheejin7891
    @myungheejin7891 2 роки тому +5

    지나영 교수님~~
    정말 고맙습니다^^
    들어본중에 제일
    도움이 되었습니다.

  • @박서진-x7x7f
    @박서진-x7x7f Рік тому

    부처님께서는 모든존재가
    식물이든 동물이든 다 똑 같이
    소중한 존재라 하셨고 참선(명상)을 통해서 나를 찾으라
    하셨지요

  • @heesooklee9813
    @heesooklee9813 2 роки тому +9

    남을 홀대하는 사람은 자신도 무가치 하다는 것룰 인정하는 행위

  • @so-hyunkim6541
    @so-hyunkim6541 2 роки тому +4

    지나영 교수님 강의는 늘 힐링이네요^^ 그리고 몸장님 옆에서 요약을 명료하게 너무 잘해주시네요~

  • @tjsghk-hj5cp
    @tjsghk-hj5cp 2 роки тому +10

    자인 때문에 힘들었는데 영상보고 무엇이 부족했는지 알게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나정자-q1o
      @나정자-q1o 2 роки тому +2

      나는 가치있는사람이다 나를 사랑 해야겠네요 교수님 감사합니다

  • @sjhhahhak
    @sjhhahhak 2 роки тому +5

    지속적으로 삶이 힘든 사람은 core belief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 환경이 좋아지더라도 결국 안좋아진다. 인간사는데 되게 좋은 일에도 뭔가 downside가 있기 마련이다. 초점의 차이.

  • @therapy_assist
    @therapy_assist 2 роки тому

    감사하는마음가지라고 주변, 교육,강의에서 이야기해도 뜬구름이라생각했는데
    나이가 60을 넘으니 간단한 진리의 이론을 자만심으로 지나쳤던것같아 부끄럽게 생각됩니다. 강의 잘 듣고 나를 좀더 사랑하고 감사하게 살아야겠다는 귀한 시간이였습니다.강사합니다

  • @quantumleap-0
    @quantumleap-0 2 роки тому

    내가 좋아하는 사람x좋아하는 사람. 내용도 넘 좋네요🥰

  • @햄릿-b1d
    @햄릿-b1d Рік тому +2

    한국 사회에서 내가 괜찮은 사람이란거 느끼기 쉽지 않죠 경쟁에서 도태되면 부족하고 모자란 사람 취급이니...이미 학력에서부터 지위에따라 신분이 달라지니 참 쉽지가 않네요 ㅜㅜ그것에따라 결혼도 달라지고요 우리나라가 자살율이 높은 이유도 그렇겠죠 중년이되니 다 부질없어보입니다...ㅜ

  • @이선옥-e7t
    @이선옥-e7t Рік тому

    감사일기의 효용성이 그저 심리적인 정신승리가 아니었네요, 꼭 해볼게요!

  • @이효린-c1o
    @이효린-c1o 2 роки тому

    지나영교수님 정말 대단하세요
    저처럼 멘탈이 유리 멘탈인
    사람들이 보기엔 뭔가 확실히
    한 차원 위의 사람인것 같아요

  • @이선옥-e7t
    @이선옥-e7t Рік тому +1

    자막이 있으니 참 좋아요...ㅎ

  • @분꽃나무
    @분꽃나무 2 роки тому

    Core beliefs 0:35
    나에 대한 신념
    다른 사람에 대한 신념
    세상에 대한 신념

  • @모모-u8y
    @모모-u8y 2 роки тому +1

    오늘도 지나영 교수님의 강의롤 힘을 얻습니다. 감사합니다

  • @koreantigervapor
    @koreantigervapor 2 роки тому +3

    몸장님 최근 영상에서 표정이 왜 어두워진,? 힘이 없어보이는 ? 느낌이 드는건지.. 걱정이 살짝 되네요 너무좋은 컨텐츠 만들어주시는데.. 잘쉬시고 영양보충도 잘하심서 건강챙기세여! 댓글 안남기다 오늘에서야 남깁니당 늘고마워요!♡

  • @남동훈-i2d
    @남동훈-i2d Рік тому

    직장에서 긍정적으로 바라보려 노력합니다.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 @theroadwalkingtogether
    @theroadwalkingtogether 2 роки тому +2

    13:00 여기서부터 마음이ㅠㅠ 감사합니다

  • @tianachae
    @tianachae Рік тому +1

    감사요법 pdf 파일로 공유 좀 부탁드려도 될깡요? 두 분다 한마디 한마디가 넘 멋집니다!!!

  • @이지현Leejihyun
    @이지현Leejihyun 2 роки тому

    오늘도 감사합니다 🙏🏼 😊 💕

  • @봄-d2f
    @봄-d2f 2 роки тому +1

    나는 가치 있는 사람이다❤

  • @키킼-i8v
    @키킼-i8v 2 роки тому +3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 @우준-v1l
    @우준-v1l 2 роки тому +6

    항상 좋은영상감사합니다

  • @wlek5897
    @wlek5897 2 роки тому +8

    9:27 헬스 하러 가면서 듣ㄴ는데이부분에서 ㄴ눈물이 ㅜㅜ

  • @굿굿-p7i
    @굿굿-p7i 2 роки тому

    몸장님과 지나영 교수님을 알게 되어서 참 감사합니다 ☺️👍💕

  • @Luke77-t8f
    @Luke77-t8f 2 роки тому +13

    최근 본 영상 중 가장 저한테는 와 닿네요

  • @hoursejo9840
    @hoursejo9840 Рік тому

    "왜 하필 "
    이 생각이 올라오면 그 다음엔
    "난 재수가 없는 사람인가?"
    이러더라구요
    이건 본능적인 생각이구요
    두번째 생각이 진짜 나에요
    아니지 난 소중하고 의미있고 유일한 존재지
    :핵심믿음 (대명제)
    그럼 왜 이런 상황이 연출된걸까?
    아~내가 누군지 되새겨보게 하려고 허락된거구나..
    첫번째 생각은 진짜 당신이 아닙니다
    하지만 두번째 세번째 생각의 주인은 나. 따라서 책임있게 임해야합니다

  • @이지은-m9o4e
    @이지은-m9o4e 2 роки тому

    지나영 교수님 오늘도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그리고 놀심님! 헤어스타일 바뀌신거 넘 찰떡이세요^^

  • @sarahk572
    @sarahk572 2 роки тому

    4 2 4부교감신경이 높아짐~릴렉스 😂
    I am special ~가치있는 나!
    감사합니다 👍

  • @노르웨이kkk
    @노르웨이kkk 2 роки тому +1

    지나영 교수님, 감사합니다!!!

  • @ki2246
    @ki2246 2 роки тому +1

    06:11
    09:54
    10:39 ~ 11:57
    23:29

  • @jel4976
    @jel4976 2 роки тому

    교수님은 인간승리. 아무리 머리가좋아도 핸디캡극복 하신 대단한분.

  • @보보주주
    @보보주주 2 роки тому +3

    와 나영쌤 목소리만들어도 좀편안해지네요 감사합니다

  • @zenchocho
    @zenchocho 2 роки тому +1

    20:00 정도에서....
    예를 들어 중증장애 아이들을 간병하고 가난한 부모처럼 현실적 상황에서,
    예를들어 부모중 아빠가 나를 찾아 제일 좋아하는 것을 찾아 가시덤불 치고 간다면... 책임감 문제를 얘기 안할수가 없고 엄마의 부담으로 돌아가게되어 매우 힘들어질텐데요.
    마음이 시키는대로-
    90인생에 한번쯤은 나를 위해 살자라는 것을 어떻게 적용하면 좋을까요?
    어둠보다 빛쪽을 보고,
    조그만거라도 긍정하며 감사하는 훈련을 하며 지내면서 무의식에 영향을 주면
    언젠가 힘들지 않은 날이 오나요?

    • @조아-y9u
      @조아-y9u 2 роки тому +3

      자기 자신만 챙겨도 되는 상황이면 나를 찾아 100퍼센트 바꿔보는게 수월하겠지만 그게 아니면 일단 자신과 주변상황을 잘 파악 이해하시는게 좋지않을까싶어요. 나를 찾아떠나는 것 이면에는 책임감이 분명깔려있는데 혼자면 혼자 무너지고 일어나고 환호하는데 그 누구도 뭐라 못하지만 사회구성원이다보니 남들은 뭐라안하지만 우리안에 있는 양심때문에 환호할땐 괜찮지만 무너질땐 그 책임감(가족)이 배로 다가와서 말 그대로 힘든상황을 만든다고 생각해요. 책임감을 피하라는 말씀이 아니라 내가 감당할 수있는 책임감을 파악하시는게 먼저라는 말이에요.
      꼭 현상황 확인하시고 100퍼센트를 바꾸려하지마시고 10년 플랜으로 올해는 10%만 나를 찾아 변화해보세요. 그리고 그 기저에는 위 강사님이 말씀하신대로 자기 객관화에요. 무얼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 어떤 상황에 노출됐을때 기쁜지 속상한지 등 그리고 그걸 기반으로 내가 되고싶은 모습의 사람을 그려놓고 한달에 1개라도 실천하는 사람이 되보세요. 더 중요한건 조금이라도 바껴진 나(결과)에 칭찬하는게 아니라 하루하루 바껴져가고 있는 나(과정)에게 칭찬과 감사를 꾸준히 하시면 마음이 풍요로워지실거에요. 그러면서 자존감에도 도움이되고 자신을 믿게 되면서 하시고 싶었던 일을 해가는데 큰 원동력이될거에요!
      저는 매달 1번이상 전체적으로 저를 정검하고 매일 감사의 말을해요. 이를테면 오늘도 가족이 아프지 않은 일, 내가 하고싶은 일을 조금이라도 할 수있는 하루가 주어진 것, 내 두눈으로 맑은 하늘을 볼 수있는것, 이불을 개니 눕지않는 나를 맞이한 것, 내 주변사람들이 하루 중 한번쯤은 웃는 순간이 있길 바라는 등
      하고싶은걸 찾는다는건 쉬운길이 아니기에 자기 확신(정검, 실천, 칭찬, 감사 등)을 키워 자기 책임을 대비하시면서 나아가시길 진심으로 바랄게요!

    • @zenchocho
      @zenchocho 2 роки тому

      @@조아-y9u 답글 진심으로 감사해요~ 도움이 되었습니다. 길게 보고 하루하루 조금씩이라도 가능한만큼 노력해 봐야겠어요.

  • @Latin_in_Seoul
    @Latin_in_Seoul 2 роки тому +2

    나는 살아있다
    나는 가치있다

  • @민팅이네语言工作室
    @민팅이네语言工作室 2 роки тому +2

    나는 가치가 있다. 감사합니다.

  • @ojay_note
    @ojay_note 2 роки тому +5

    재밌는 아이디어네요. 말씀 감사합니다. 교수님!

  • @Mimi-ht8bu
    @Mimi-ht8bu 2 роки тому

    아주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교과로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제게 필요했던 내용이네요..

  • @유상옥-b4e
    @유상옥-b4e 2 роки тому +3

    지나영 교수님 팬입니다~

  • @kwaksy84
    @kwaksy84 2 роки тому

    지나영교수님 존경하고 사랑합니다!

  • @엘리강토
    @엘리강토 2 роки тому +1

    지나영 교수님 책도 영상도 넘 좋아요 감사합니다 ♡♡♡

  • @lvmh0
    @lvmh0 2 роки тому

    감사한마음으로 별거아니더라도 감사 하며 살기

  • @jin6439
    @jin6439 2 роки тому +2

    감사합니다😊😊

  • @정진숙-k2s
    @정진숙-k2s 2 роки тому

    최고의 힐링
    나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