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합니다~! 혹시 도커하고 미니콘다하고 차이점이 있을까요? 최근 영상으로 제가 이해한바로는 도커는 정해진 사용자 환경에 접근해서 동일한 환경으로 프로그램이 작동하게 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미니콘다도 프로그램을 돌릴 때 프로젝트에 따라 특정 환경으로 지정해주는 거니까 도커하고 비슷한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Sim-in님! ㅎㅎ 네 둘이 너무 비슷하죠? 하지만 mini-conda의 경우 이미 특정 OS 안에 잘 구축된 환경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라면 도커는 이미지 하나가 개별적인 컴퓨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좀 더 범위가 넓습니다. 예를 들어 , 도커는 리눅스 이미지도 있고, 윈도우 이미지도 있어요! 리눅스 이미지 안에서 미니콘다를 설치할 수도 있겠네요.ㅎㅎㅎ
이삭님 영상 잘 봤습니다.
한 가지 여쭙고 싶은게 R에는 파이썬의 virtual environment에 해당하는 개념이 없나요???
R에는 virtual env 개념이 renv 라는 패키지로 구현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rstudio.github.io/renv/articles/renv.html
@@statisticsplaybook 감사합니다.
이전에 헷갈렸던 부분이었는데... 설명 감사합니다~^^
시청 감사합니다! :)
쉽게 잘 따라갈 수 있는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너무 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Python만 설치할때도 가상환경을 만들어서 패키지 관리를 할 수 있지 않나요? Python만 설치한 후 가상환경 만드는거랑 Miniconda 설치 후 가상환경 만드는거랑 차이가 있나요?
원리는 똑같습니다. 다만 가상환경을 pipenv를 사용하느냐 miniconda를 사용해서 관리하느냐의 차이일 뿐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statisticsplaybook 답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혹시 도커하고 미니콘다하고 차이점이 있을까요?
최근 영상으로 제가 이해한바로는 도커는 정해진 사용자 환경에 접근해서 동일한 환경으로 프로그램이 작동하게 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미니콘다도 프로그램을 돌릴 때 프로젝트에 따라 특정 환경으로 지정해주는 거니까 도커하고 비슷한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Sim-in님! ㅎㅎ 네 둘이 너무 비슷하죠? 하지만 mini-conda의 경우 이미 특정 OS 안에 잘 구축된 환경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라면 도커는 이미지 하나가 개별적인 컴퓨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좀 더 범위가 넓습니다. 예를 들어 , 도커는 리눅스 이미지도 있고, 윈도우 이미지도 있어요! 리눅스 이미지 안에서 미니콘다를 설치할 수도 있겠네요.ㅎㅎㅎ
@@statisticsplaybook 진짜 신기하네요. 도커도 그렇고 미니콘다도 그렇고 작업환경을 세부적으로 지정해나갈 수 있다는게 정말 신기해요
미니콘다와 파이참을 이용할땐
저렇게 가상환경에 들어가서 파이참 실행하면 되는거겠죠?
보통 IDE를 가상 환경에 설치하지 않습니다. 로컬에 한번 설치하고 각 가상환경을 연결해서 씁니다. 파이참도 그런 방법이 분명히 있을것 같아요!
cmd를 이용해서 미니콘다를 실행할수는 없나요?
cmd 사용하셔도 똑같이 작동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