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복판에서 발견된 의문의 바위 글씨 ‘옥류동’, 글씨의 주인은 누구?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6 лют 2025
  • #모닝와이드 #서촌 #옥류동
    서울의 중심,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종로 서촌에서
    정체를 알 수 없는 글자가 발견됐다?
    복잡한 골목을 돌고 돌아 가정집 사이에서 마주한 험준한 비탈길 바위,
    드디어 글자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넓은 바위에 새겨진 건 딱 세 글자, 옥류동(玉流洞)!
    언뜻 보아도 예사롭지 않은 글씨체, 왜 잘 보이지 않는 바위에 새겨 놓았을까?
    글씨의 주인은 누구일까?
    의문이 꼬리를 무는 가운데 누가 왜 바위에 글자를 새겨 놓은 것인지 알아본다.
    SBS '모닝와이드 3부' (2021.12.27 방송)

КОМЕНТАРІ • 109

  • @월드-l9l
    @월드-l9l 3 роки тому +30

    tv가 없어 모닝와이드 보기가 힘든데 유튜브로 올려주셔서 참 좋아요

  • @이성우-d3z
    @이성우-d3z 3 роки тому +12

    지금 거기는 못 들어가게 할텐데 언제 제작된 영상일까요??
    그리고 지금은 막혀 있을텐데 어떻게 들어가서 찍으셨을까요?
    개인 집 뒷쪽 바위에 각자되어 있어 아주 최근에 세상에 공개되었지요.
    저도 2007년에도 이쪽을 다녔지만 이 각자는 2019년에야 확인했지요.
    어쨋든 반가웠습니다.

  • @southkorea3257
    @southkorea3257 3 роки тому +35

    종로구 세검정 오래 산 주민입니다.
    저것처럼 오래된 글씨는 인왕산, 북한산 주변 종로구 안에만 수 백개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종로구 신영동 ~ 평창동 관내 인왕산, 백사실 근방에만 白石洞天 외에 수 십개의 글귀가 산재합니다. 종로구 바위에 수 백년 된 글씨 엄청 많습니다.

    • @백용기-d5k
      @백용기-d5k 3 роки тому +12

      더 마모되기전에 문화재청에서 보존해야 되겠네요.

    • @청천고운
      @청천고운 2 роки тому +3

      @@백용기-d5k 보존하려면 서울 인구부터 지방으로 분산을 해야지, 저렇게 집이나 건물 짓느라고 자연훼손하고 암각서체들을 가려버리고...

    • @IllI-r8y
      @IllI-r8y Рік тому

      왕릉이고 뭐고 냅다 건물올리는 나라에서 기대하면 안됨

  • @qwrty2192
    @qwrty2192 Рік тому +2

    옥인동은 원래 조선시대 옥동(옥류동)과 인왕동으로 인접한 다른 동네였던 것이 일제시대에 행정구역이 합쳐지면서 옥인동이 된 것입니다. 옛날 증조할아버지 제적등본을 떼어보면 북부 준수방 옥동 이런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 @kknd2kknd898
    @kknd2kknd898 3 роки тому +17

    원래 玉과 王은 전서체로 오면서 [둘 다 지금의 王 모양으로 자형이 고정]되면서 분별하기 어렵게 되었다. 정확히 말하면 玉은 가로 획 두 번째 가닥이 정확히 가운데에 있어서 세 가닥의 간격이 같고, 王은 두 번째 가닥이 조금 위로 치우쳐 있어서 두 번째 가닥과 세 번째 가닥 간의 간격이 더 길다. 예서체로 오면 이마저도 희미해져서, 玉과 王을 구별하기 위해 玉에 점을 찍은 것이다. 玉 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王 자처럼 쓰는 것도 이와 상관 있다.

  • @hangwrromax
    @hangwrromax 2 роки тому +1

    명륜동 성균관대 뒷쪽 계곡에 옥류정이란 정자와 샘물이 있는데
    어려서 많이 뛰놀던 계곡이라..

  • @dsmoon5500
    @dsmoon5500 2 роки тому +1

    인왕산 북한산,도봉산 여기저기에 많이 있지요.

  • @아자아자-z8m
    @아자아자-z8m 3 роки тому +15

    우암! 송시열 선생의 글씨 였구나..^^

    • @김투투-v4h
      @김투투-v4h 3 роки тому

      북벌론에 찬성한 송시열? 유학에 입각한 북벌에 찬성한 위선자... ㅋ

  • @zero-hg3rn
    @zero-hg3rn 3 роки тому +7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어보이는데 관리를 잘해야할꺼 같네여

  • @user-kvcv4d8bmg6b
    @user-kvcv4d8bmg6b 2 роки тому +3

    저기에 건물 없이 내두었다면 관광지 급으로 좋은 경치가 유지되었을거란 소리네요..
    마치 중국에서 유적지 위에 사람들이 집지은거 한국버전이 이거인듯하긴한데.. ㅋㅋㅋ

  • @대박나세요-d3b
    @대박나세요-d3b 3 роки тому +20

    정말 희귀한 자료인것 같네요..
    우암 송시열 공의 자료는 역적으로 몰렸을 당시에 모조리 없애버려
    남은 자료가 별로 없다는데..
    잘 보존되었음 싶네요

    • @passfade4458
      @passfade4458 2 роки тому

      역적으로 몰렸을 당시에도 조선 지식인과 관료들 킹갓 원탑이자 모두의 스승이었는데 무슨 송시열 자료를 다 없애버려 말도 안되는 소리를 지껄이고 있노. 숙종이 장희빈 왕후로 세울때 송시열이 반대하자 서인 좀 조질겸 해서 죽인거지 삼족을 멸하고 목을 치고 이런게 아님

    • @최완식-h3k
      @최완식-h3k 2 роки тому

    • @aevs
      @aevs Рік тому +1

      그 때 북벌론을 받아들였다면 지금의 한국은 중국의 하나의 지방으로 남아있었겠죠. 분명 명필가였고 능력있는 정치인이었으나 중국의 황제에 제사를 지냈던 양반이기도 합니다

  • @두걸음-f9l
    @두걸음-f9l 3 роки тому +4

    행정당국이 주변에 조치를 취해놓지 않으면 주취꾼이나 정신이상자에 의한 훼손은 시간문제... 빠른 실행을 원합니다

  • @daegucityboy
    @daegucityboy 3 роки тому +9

    한국에서 괴상하고 신기한 신비로움들이 많군.

    • @변종헌-f5r
      @변종헌-f5r 2 роки тому

      괴상신기 신비 ?....

    • @변종헌-f5r
      @변종헌-f5r 2 роки тому

      @@daegucityboy 이름뒤 동그라미 두개의 의미를 긍정적으로 받겠습니다......^^

  • @정근도-x6e
    @정근도-x6e 3 роки тому +3

    玉 流 洞
    옥인동 옥류동 ᆢ 인왕산 줄기
    우암 송시열 김수운 제자 세공작업
    송석원 김정희 추사체 세공작업터

  • @가을이오면-f8j
    @가을이오면-f8j 3 роки тому +35

    유명한인물이 새기면 보물이고 일반인이 새기면 자연훼손이라

    • @김군스
      @김군스 Рік тому

      새긴 사람이랑 일반인이랑은 차이가…다마스랑 g90 차이인데…

    • @culers5602
      @culers5602 Рік тому +2

      바보냐 하나는 문화재로 가치가 있고 하나는 느그가 낙서한 거잖아 ㅋㅋㅋ 제발 이상한걸로 삐뚤어진 생각하지마

    • @김방석-k3j
      @김방석-k3j 3 місяці тому

      그림도 이름있는 사람 그림이라고 값이 많이 나기는건 아니다 숫자가 너무 많으면 값이 떨어지고 민화도 잘그리고 귀한건 비싸다.

  • @김범준-s2h
    @김범준-s2h 2 роки тому +3

    완도 보길도에도 송시열 글씐바위있는데

  • @voiture22
    @voiture22 2 роки тому +4

    북악산 계곡에도 추사 김정희의 글자가 새겨진 바위를 봤습니다. 군생활했을때요 그당시는 민간인 출입금지였는데, 지금 개방했다고 하니 가서 한번 취재해주세요. 물이 많은 계곡 이었습니다. 예전 제1경비단 2소대 근방이요.

  • @user-mw2vf4ce4s
    @user-mw2vf4ce4s 2 роки тому +2

    꼭 같은 시기 영국 뉴턴은 셰익스피어 돌풍에 인문에 빠질까 걱정해 왕실아카데미를 더욱 활성화하여 산업혁명에 불씨를 당겼다
    허나 숙종의 부국강병정책 결사 반대해 약받은 송시열은 잊어야

  • @조용현-n6r
    @조용현-n6r 2 роки тому +2

    바위에 왜 저런 낙서를 해놓은거야...

  • @김경숙-t2d1p
    @김경숙-t2d1p Рік тому

    우리는 문화재 복원 전문가들을 좀더 대우를 해주어야 하며 그들에게 전국팔도의 문화재들의 상태를 늘 관리할수 있도록 하던지 동네 문화재를 관리 하는 관리인을 따로 두던지 대책이 필요함

  • @giovannigiorgio3107
    @giovannigiorgio3107 2 роки тому +4

    고금을 막론하고 자연은 그냥 자연대로 놔둬라.
    뭔 지들이 위대하다고 돌에다 글씨를 새기고 자빠졌냐?
    지금 누가 저런 짓 한다고 하면 난리 칠 거면서 송시열이 한거면 괜찮냐? 😠😠

  • @강마리아-j4f
    @강마리아-j4f 2 роки тому +4

    역사적 문화 가치가 있네요 잘보존하시길
    바랍니다

  • @윤정원-v5v
    @윤정원-v5v 3 роки тому +5

    후손들은 제발좀 조상들을 흉내내서 자연 및 명승지에 낚서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 @육룡나타샤
    @육룡나타샤 2 роки тому +2

    이제 인왕산 주변의 자연 환경도 복원해 놔야~~~~☝️☝️☝️

  • @홍홍홍-z6u
    @홍홍홍-z6u 3 роки тому +8

    350년이라고 말한 사람 소름 돋네 ㄷㄷㄷ

  • @rewrite5901
    @rewrite5901 2 роки тому +2

    ㄴㄴ .. 반사동

  • @oddwit
    @oddwit 2 роки тому

    어떻게 저렇게 방치하냐??

  • @masaliang825
    @masaliang825 3 роки тому +2

    옥은 “ 玉 ” 이렇게 쓰는게 아닌가요?

    • @CK-oc6rr
      @CK-oc6rr 3 роки тому

      마저요

    • @ukyeong501
      @ukyeong501 3 роки тому +4

      지금 쓰는 것과 표기방법이 다른 글자들이 몇 있습니다.

  • @김투투-v4h
    @김투투-v4h 3 роки тому

    바위에 붓글씨 쓰고 음각하는게 아니고 한지에 붓글씨 쓰고 바위에 붙이고 음각 하는거 아닌가?

  • @고구려사랑
    @고구려사랑 2 роки тому

    그위에다가 집짓고 그러면 조상들의 맥이끊어지지...
    에고...좀 보호해라 쫌

  • @VitorJKhan
    @VitorJKhan 3 роки тому

    이것 과거 그림에 보이던 다리와 함께 나오던 사대부 놀던 곳.

  • @Nangman-1
    @Nangman-1 5 місяців тому

    서유기 월광보합에 나온거아닌가

  • @younghokim7661
    @younghokim7661 3 роки тому +1

    높은가치를받는데 저렇게보존해?

  • @전중식-q7j
    @전중식-q7j 3 роки тому +2

    玉流洞 이다 옥이흐르는마을이라는 뜻

    • @fulong0112
      @fulong0112 2 роки тому +2

      맑은 청정계곡을 옥류라 칭합니다 옥처럼 티없고 맑음을 비유하여 학식높은분들이 지명이나 계곡명을 지었음이니 ~~ 당시 전경이 가관이엿을거라 짐작가는군요

    • @나그네구름
      @나그네구름 2 роки тому +1

      옥이 흐른다?
      옥빛같이 맑은 물이 흐르는 마을.

  • @김영봉-u1g
    @김영봉-u1g 3 роки тому

    바위 글씨 는 그시절에 돌을 깍는 사람들이 만들지 않아을까

  • @나그네구름
    @나그네구름 2 роки тому +2

    20세기 망국의 상류같은 원흉. 송시열.

  • @rainmune
    @rainmune 3 роки тому +1

    4:00 아고, 근데 여기 나오신 교수님은 왜 이렇게 딱하게 생기셨냐? 부축해 주고 싶을 만큼 몸 가누기 불편해 보이시네요. 😟

    • @jay-124
      @jay-124 Рік тому

      병이 드신 듯....

  • @撚鷄頸必來晨
    @撚鷄頸必來晨 2 роки тому

    옥류동

  • @kilsungsong4747
    @kilsungsong4747 2 роки тому +1

    지금 시대면 자연 훼손인데...

  • @gokoo3711
    @gokoo3711 2 роки тому +1

    대한민국 국토면적이 너무 좁다. 일본을 쳐서 우리땅으로 귀속시켜야겠다.

  • @pmrjang1322
    @pmrjang1322 2 роки тому +2

    원래 강북 4대문 안에는 저런 바위에 글자들이 많음

  • @차차차-q5g9w
    @차차차-q5g9w 3 роки тому

    북한 옥류관 있지?

  • @설렘-u3q
    @설렘-u3q 2 роки тому +1

    북한산에 두루두루 새겨서 후손에 물려줍시다

  • @hannibal4514
    @hannibal4514 11 місяців тому

    조선은 대륙에 있었고 대륙의 시안이 서울 이었고 낙양은 개경 이었다는데 대륙에 있던 송시열이 미쳤다고 이곳에 와서 글자를 새겼겠나? 반도사관과 식민사관에 젖어서 근거도 없이 송시열의 글씨라고 하니 관련근거를 제시해야 모든이가 납득 할것이다!

  • @solace8795
    @solace8795 10 місяців тому

    있으면 뭐하나 주민들이 가치를 모르는데.....

  • @manyounglyu4245
    @manyounglyu4245 3 роки тому +6

    송시열
    잔인하고 편협하며 아집으로 조선을 망하게 한

  • @gilyoungyang
    @gilyoungyang Рік тому +1

    앗 ! 이런 거 저 덜 떨어진 黨 리재밍이에게 믈어보면 될 거임
    제 놈이 믇어넣고 경찰에 신고한 놈이니까
    이것도 그 동네 놈덜 짓이 아닐까, 최소한 뜻만이라도 알 거임.

  • @쿠x용
    @쿠x용 Рік тому +1

    근데..낙서잔아..
    권력자라고 자랑하는 낙서.

    • @최진영-e2y7g
      @최진영-e2y7g Рік тому

      근데…넌 모지리잖아..
      바보라고 광고 하는 멍청이.

  • @조심히야혀
    @조심히야혀 3 роки тому +1

    물길도 끊어졌는데 뭘 보존하자는 걸까요? 밑에 물은 흐르나?

    • @YeolGiJeongSeung
      @YeolGiJeongSeung 2 роки тому +1

      대부분 옛 계곡물은 그 흐름따라 도로 밑 하수관으로 들어가 흐릅니다. 제가 알기론 여전히 청계천 옆 하수로로 흐른다고 알고있어요

    • @anitown2011
      @anitown2011 2 роки тому

      청계천 발원지 중 하나입니다.

  • @이선식-l3w
    @이선식-l3w 2 роки тому +1

    저런ㅉㅉㅉㅉ
    소중한 문화제
    해놓은 꼬라지;;;;;

  • @jjdrago2115
    @jjdrago2115 2 роки тому

    아 갑자기 생각나는데…. 손에 뭐 쓰신분. 제발 낙서 아무데나 하지 맙시다

  • @돌산유격대-x4d
    @돌산유격대-x4d 2 роки тому +1

    글씨체가 별로구만

  • @흐르는시간의모래
    @흐르는시간의모래 7 місяців тому

    한국이 문화재를 보관하는 방식.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레디-b1o
    @레디-b1o 3 роки тому +4

    잘 보존? 다 때려 부숴 아파트 짓겠지

    • @tmd2585
      @tmd2585 2 роки тому

      느그집은 하늘에서 뚝 떨어졌냐? 다 똑같이 그자리에 있는거 다 때려서 부서서 지은 아파트지 그딴 소리 할꺼면 느그 집부터 떠나고 말해라

  • @yealk9725
    @yealk9725 2 роки тому +2

    조선의 사대부들이 모여 술마시고 기생 짓을 한 곳
    후대에 가치가 있을까요? 부끄러운 것 같음

  • @편하게좀살자-d8v
    @편하게좀살자-d8v 2 роки тому

    내면집 간판이네

  • @석운-aa6l
    @석운-aa6l Рік тому +2

    조선후기 최고 해악인 노론의 원조가 된 송시열은 추앙이 아니라 비난을 받어야 한다!

  • @여공파-l3r
    @여공파-l3r 3 роки тому +1

    놀고있내들.양반 송시열이가 돌까는 기술이있나.상놈이 판거지.

  • @유코코-q7h
    @유코코-q7h 5 місяців тому

    조선인물이 유명해봤자 유교탈레반이고 수구꼴통덕에 가슴아픈 역사가 흘러왔지

  • @qhspcg3534
    @qhspcg3534 3 роки тому

    옥?왜 옥자냐 위에점있는데

  • @kschoi7337
    @kschoi7337 2 роки тому

    동류옥이 아니라, 옥류동으로 읽어야 한다. 정말 무식한 것들 같으니라고...

  • @성민기억법영어회화
    @성민기억법영어회화 3 роки тому

    지금 저런짓을 하면 환경파괴로 처발받겠지.

  • @인과응보-h4g
    @인과응보-h4g 2 роки тому

    옛날 그당시에 저바위가 있는 장소는 금강산 못지않게 수려한 경치 였을건데 인간의 욕심이 모든것을 파괴하고 남은건 콘크리트 숲과 자연파괴만 남았네

  • @전직-j3q
    @전직-j3q 2 роки тому

    지금으로 따지면 350년의 낙서지

  • @user-qy4bf8rq6o
    @user-qy4bf8rq6o 3 роки тому

    댓글들 옛날거면 다 보존해야하냐ㅋㅋ

  • @성현엄-g5w
    @성현엄-g5w 3 роки тому

    옛날에 낙서

  • @성이름-u9h2b
    @성이름-u9h2b 2 роки тому +1

    어글리 코리안 짓은 종족 특성이었나보네...

  • @CK-oc6rr
    @CK-oc6rr 3 роки тому

    王流洞

  • @Abs-e8l
    @Abs-e8l 3 роки тому +1

    바위에 벽에 낙서는하는건 과거나 현재나 같군
    제발 바위에 낙서좀 하지말자.

  • @사라이-q1t
    @사라이-q1t 3 роки тому

    조선시대 낙서 일뿐이다

  • @hatchi71
    @hatchi71 2 роки тому

    100년 안쪽입니다. 대동여지도는 1913년 이후에 만든 가짜 지도 이구요.

  • @CK-oc6rr
    @CK-oc6rr 3 роки тому +1

    아우 이런 꼴통들 ㅋㅋㅋ 왕 王。옥 玉。이건데 그냥 듣기좋게 막가져다 붙이는것봐 洞 流 王 동 류 왕. 알간

    • @ukyeong501
      @ukyeong501 3 роки тому +1

      옥류동 맞습니다.

    • @___whoops
      @___whoops 3 роки тому

      @@ukyeong501 점이 없는데 옥? 글씨가 저리도 선명한데

    • @teamkorea2631
      @teamkorea2631 3 роки тому +1

      과거 석삼획은 구슬을 뜻하고 그 가운데 ㅣ이것은 실을 표현하는것으로 구슬옥 의 원 한자였다죠 우리 한글도 초기한글에서 수없이 바뀌어 왔듯이 구슬옥자가 임금왕 과 비슷하다 하여 가운데 가로획의 표기도 임금왕과 같이 쓰되 구분을 위하여 수변을 추가한것이라고 알고있음 어찌보면 우리는 현재 완벽히 변경되어 자리잡힌 한자만 접한것이라 그럴수있음

    • @NAMSOOPARK-i4p
      @NAMSOOPARK-i4p 2 роки тому +2

      당신의 사고는 현재의 기준으로만 보는 너무 편협한 사고입니다.

    • @ukyeong501
      @ukyeong501 2 роки тому

      @@___whoops 한글도 변했는데 한자라고 달라지지 않았을까? 친구야 어깨위에 달린건 장식이 아니야

  • @킹-h3v
    @킹-h3v Рік тому

    저는 송시열 후손입니다 저의 정체성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고 전 역사 사료에 대해 많은 관심이 많답니다 전 역사를 바로 세우는게 꿈 입니다 그래서 역사를 바로 잡을 것입니다 문화 유적에 대해 이상한말 근거없는 말 개인적인 악 감정은 고발 조치 할겁니다 그 후손들에 대해 명예적인 문제랑 직결되어 있네요 부디 바른 역사가 바르게 쓰여지기 바람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