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uldering Analysis of perfect technique_Jongwon chon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8 кві 2022
  • Deeply analysis of his bouldering technique
  • Спорт

КОМЕНТАРІ • 130

  • @user-wk8sn3ul3z
    @user-wk8sn3ul3z 2 роки тому +669

    백종원씨 더욱 강해져서 천종원이 되셨군요...

    • @choe-bam
      @choe-bam 2 роки тому +6

      피식했다잉~~ㅋㅋ

    • @dtp3444
      @dtp3444 2 роки тому +5

      드립력에 감탄하고갑니다

    • @클라임투어티비
      @클라임투어티비  2 роки тому +8

      ㅋㄷㅋㄷ갓종원으로 통칭되는 두사람..

    • @yagomee
      @yagomee 2 роки тому +1

      좋은 드립이다 ㅡ.ㅡㅋ

    • @user-rj5zy1hn8v
      @user-rj5zy1hn8v 2 роки тому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turnpong2237
    @turnpong2237 2 роки тому +82

    알고리즘으로 떴는데 선수들 피지컬도 미쳤고 설명도 일반인도 이해할정도로 깔끔해서 정신놓고봄

  • @madduru
    @madduru 2 роки тому +29

    알고리즘에 떠서 처음 보는데 선수의 움직임도 대단하지만 각 파트마다 해설을 기똥차게 해주셔서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yn4cn6qy7w
    @user-yn4cn6qy7w 2 роки тому +17

    대단해요
    그리고 엔딩부분에 최근 가입회원 명단 리스트를 보여주는 센스..짱!!

  • @YS-wj9qt
    @YS-wj9qt 9 місяців тому

    양질의 콘텐츠의 감동받아서 멤버십 구독 결제하고 갑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계속 부탁드려요

  • @user-oq6vl4nj6d
    @user-oq6vl4nj6d 2 роки тому +151

    천종원 선수도 대단하지만 분석이 미쳤네요 ㄷㄷ

  • @joshualee4310
    @joshualee4310 2 роки тому

    설명을 자세히 해주셔서 클라이밍 할 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DoheeKim90
    @DoheeKim90 2 роки тому +25

    천종원 선수 영리하게 정말 잘하네요.
    이번 IFSC 서울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 거두시길!

  • @user-ff5fx8wz4n
    @user-ff5fx8wz4n 7 місяців тому

    정교한 분석 좋아요 격투기 리뷰 영상에 많은 스타일인데 클라이밍 채널중엔 유일하신거 아닌가요? 👍

  • @Rob_in_hood
    @Rob_in_hood 2 роки тому +12

    왜이렇게 쉽게 하시지... 어나더레벨이다 진짜..

  • @soozak
    @soozak 2 роки тому +7

    이건 몸과 머리를 다써야하는 극한의 스포츠

  • @user-fb9sj8qx3m
    @user-fb9sj8qx3m 2 роки тому

    항상 좋은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xp3im6cz5x
    @user-xp3im6cz5x 2 роки тому +6

    와 등반하는게 피지컬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머리도 되게 잘써야하네요. 대단합니다

    • @클라임투어티비
      @클라임투어티비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ㅎ 클라이밍이 문제가 매번 다르다보니 피지컬 뿐만 아니라 스킬도 굉장히 중요한 것 같네요

    • @5rial
      @5rial 2 роки тому +1

      몸의 무게중심을 잡는 본능이 탁월한 듯

  • @Mrbin-kr2fb
    @Mrbin-kr2fb 2 роки тому +17

    우연히 영상을 보게되었습니다.
    설명하시는 중간에 선수들이 밸런스를 잃고 회전하려는 모습을 보고 모멘텀이라고 하시던데,
    모멘텀은 운동량을 뜻하고요
    물체가 회전하려는 성질은 모멘트라고 합니다.
    홀드를 잡고있는 지지점과 선수의 무게중심이 달라서(거리가 있는경우) 회전하려고 하는 것은 모멘트라고 하시는게 맞을듯 합니다.
    천 선수의 분석영상은 깔끔하게 잘 다루셨네요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indes1004
    @indes1004 2 роки тому +19

    와.. 문제 내는 루트세터분들은 다 깨시는 문제인거죠?? 천상계 위에 천상계인건가요 ..

    • @sookim5337
      @sookim5337 2 роки тому +2

      그럴리가요 ㅎ

    • @ConorKNGregor
      @ConorKNGregor 2 роки тому +22

      탑까지의 동작을 구분해서 각 동작이 가능한 경우로 출제하는 거에용!!

    • @indes1004
      @indes1004 2 роки тому

      오호 그렇구나 감사합니다 !

  • @search_is_mouse
    @search_is_mouse 2 роки тому +1

    와... 👍 👍

  • @KOR_SHEN
    @KOR_SHEN 2 роки тому +1

    와 ㅏㅏㅏㅏㅏ 미쳤다 너무 잘한다 ㅋㅋㅋ 언제 저렇게되지 ㅜㅜ

  • @hgxkhlkjb6y47
    @hgxkhlkjb6y47 2 роки тому

    저 신발 많이 보이더니 좋은가보네요
    저거 출시하기 전부터 예뻐서 바로 사야지 하고 기다리고 있었는데 아직 못 삼 ㅠ

  • @singalone7553
    @singalone7553 2 роки тому +2

    선수 키가 커서 머리 무게와 손 거리가 짧아 지탱이 유리한게 제일 큰 차이 같은데.. 이런 문제는 키작은 사람에게 불리할듯합니다

  • @Jihoon933
    @Jihoon933 2 роки тому

    같은 성씨로써 자랑스럽다..

  • @user-un5tj1pt4c
    @user-un5tj1pt4c 2 роки тому +24

    죽엇다 깨도 못할거 보면서 눈이라도 즐겁네 ㅋㅋㅋ 와 악력 진짜 대박 존경스럽네

  • @user-ps6fh2ku3r
    @user-ps6fh2ku3r 9 місяців тому +2

    천종원 선수는 저 홀드하나하나 분석하고 손잡을 위치까지 계산하고 하는지
    아니면 본능적으로 그때그때 느껴서 하는지 진짜 궁금하네요...
    전자후자 모두 대단한건 사실 ..

    • @seunggis
      @seunggis 9 місяців тому

      그러게여 어느쪽이든 진짜 대단하네요

  • @shadowform_
    @shadowform_ 2 роки тому +2

    선생님들 악력이 어마어마해보이네요

    • @클라임투어티비
      @클라임투어티비  2 роки тому

      체중대비 악력이 어마무시할텐데.. 예전 천종원 선수 80kg 이상 나왔던거 같아요

  • @gkseodus1755
    @gkseodus1755 2 роки тому +3

    와... 피지컬적인부분도 중요하지만 머리도 엄청써야하네요

    • @클라임투어티비
      @클라임투어티비  2 роки тому

      네 문제에 맞는 동작을 찾아야하는데.. 4분 시간제한이 심리적 압박이 큰 상황에서 빠르게 루트파인딩 해야하는게 어려운것 같습니다

  • @user-yo7nc6zo3w
    @user-yo7nc6zo3w 2 роки тому

    종원이형 사랑해요

  • @kshilohk
    @kshilohk 2 роки тому +19

    기술력도 기술력이었지만 그냥 비교된 다른선수들에 비해 피지컬이 월등하다 키도 더 클 뿐더러 리치가 더 넓다. 양옆에 대조하고 보여주는 장면만 봐도 어깨기준 각도의 팔의 구부러짐이나 다리 고정시키는 모습이 그 몇센티가 부족해서 지지력이 떨어지는게 보임… 천선수는 아마 다른선수들이 햇던 자세 그대로해도 통과는 되엇을듯. 그냥 좀 더 효율적인 기술을 잘 선보인것

  • @sisang666
    @sisang666 2 роки тому +3

    남색 1~2개 겨우 깨는 나한텐 의미없는 영상 이었다. 넘사벽이네 그냥

  • @user-ir4wz9nn8x
    @user-ir4wz9nn8x Рік тому +1

    그런데 저는 클라이밍이랑 볼더링을 보면서 궁금했던게 저 설계를 최초에 한 사람은 성공을 해보고서 저걸 만드는것인가요?
    밑도 끝도 없이 설계하진 않을거 같은데

    • @클라임투어티비
      @클라임투어티비  Рік тому +2

      자체 검증이 되는 것도 있고 안되는 것도 있고 그렇더라구요ㅎ 부분 무브로 검증하는 것 같기도 하구요. 여러명의 세터가 붙어 검증하기도 하고ㅎ 혼자 하기 힘든 부분은 그렇게 진행하는 것 같아요

  • @user-yw2si5jz8w
    @user-yw2si5jz8w 2 роки тому +1

    대회 티셔츠 제품 이름 아시는 분 있으실까요??

  • @ChoRodrigo8a
    @ChoRodrigo8a 2 роки тому +3

    와! 세계탑 레벨!!

  • @mrjaekwan73
    @mrjaekwan73 2 роки тому

    우와........

  • @user-xs3sv3bk4d
    @user-xs3sv3bk4d 2 роки тому +3

    몸진짜 잘쓴다

  • @GwivingTree
    @GwivingTree 2 роки тому

    약간 그 뭐랄까 점프킹 현실판 같은 느낌인가

  • @zzanbal
    @zzanbal 2 роки тому +1

    이걸 4분만에 어케품!!!

  • @ohsungc2
    @ohsungc2 2 роки тому

    와.. 이게 센스구나

  • @user-qk9xi4ek5c
    @user-qk9xi4ek5c 2 роки тому

    잘 몰라서 그러는데 키 작은 선수들은 아예 출전이 의미가 없는건가요? 보니까 팔다리 짧은 분들은 못할거같은데..

    • @클라임투어티비
      @클라임투어티비  2 роки тому

      현재 세계 탑클래스 선수 중 토모아 나라사키 라는 선수가 있는데 키는 170cm인데 팔길이가 길고 파워와 탄력이 좋아서 키가 작은 단점을 모두 보완해요ㅎ

    • @user-qk9xi4ek5c
      @user-qk9xi4ek5c 2 роки тому

      @@클라임투어티비 감사합니다.

  • @whiff5028
    @whiff5028 2 роки тому

    제가 보는데 손에 땀이 막 ㅋㅋㅋㅋ

  • @you_tube_.
    @you_tube_. 2 роки тому +2

    어...백종원 열명이 합쳐지면... 이렇게 되는구나

  • @ChoonDuckYee
    @ChoonDuckYee 2 роки тому

    이제 만종원은 뭘할지 기대된다

  • @user-fv7cs4ms2l
    @user-fv7cs4ms2l 2 роки тому +1

    이 종목 처음보는데 먼저한사람꺼 뒷사람이 보고 배낄수도있음??

  • @cinnamon_flavor
    @cinnamon_flavor 2 роки тому

    와... 진짜... 쩐다...

  • @user-kj9cg1ut8y
    @user-kj9cg1ut8y 2 роки тому

    피지컬도 지리네

  • @Hammer_Down815
    @Hammer_Down815 Рік тому

    역시 볼더링은 길어야 함.. 큰 키에 팔다리 긴 선수들의 종목

  • @user-vk6wu6ys7o
    @user-vk6wu6ys7o 2 роки тому

    신체 사이즈가 중요한거네요

    • @클라임투어티비
      @클라임투어티비  2 роки тому

      네 신체 사이즈 중요해요ㅎ 선수들은 자신에게 맞는 동작을 찾는게 포인트이구요ㅎ

  • @user-rk6ld6wv9k
    @user-rk6ld6wv9k 2 роки тому +1

    왜 크라이밍 설명들으러 왔는데 물리수업듣고있지

  • @hayoun3
    @hayoun3 2 роки тому +1

    그리고 이 영상을 보고있는 애초에 문제풀이가 가능한 피지컬이 없는 나

  • @user-dubu
    @user-dubu 2 роки тому

    되게 과학적이네..

    • @클라임투어티비
      @클라임투어티비  2 роки тому

      편집하면서 보면 동작 하나하나가 이유가 있더라구요ㅎ 대단합니다

  • @user-bl6yf4vu5k
    @user-bl6yf4vu5k 2 роки тому

    근데 이런거는 문제라고하는데 푸는사람만들고 내는건가요?

    • @클라임투어티비
      @클라임투어티비  2 роки тому

      네 올라가는 루트에 맞는 동작들이 있는데, 그걸 찾아서 올라가야해서 문제라고 부르는 것 같습니다ㅎ 1800년대에 유럽사람들이 문제라고 부르기 시작했어요ㅎ

  • @user-nd1bc9um9l
    @user-nd1bc9um9l 2 роки тому +3

    이정도면 스파이더맨 아니냐?

  • @stoh104
    @stoh104 2 роки тому

    초록색 다음을 못가겠던데…

  • @MrBrill99
    @MrBrill99 2 роки тому +15

    이런 말 하기 좀 그렇지만, 천종원 선수는 완등 후에 너무 흥분해서 빨리 손을 떼는 버릇을 고쳐야합니다. 엄격하게 심사할 경우 완등 판정을 못 받을 수도 있고, 예전 아디다스 볼더링 대회인가에서도 다 완등해놓고, 3초 홀드를 지키지 않아서 다시 올라간 경우도 있죠.

    • @user-ku5kj2ch3w
      @user-ku5kj2ch3w 2 роки тому +1

      3초간 홀드를 잡아야하는거 그런 룰 없어요
      심판 판단하에 컨트롤이 됐다고 판단되면 완등이에요

    • @MrBrill99
      @MrBrill99 2 роки тому +3

      @@user-ku5kj2ch3w 예전에 천종원 선수 해외 대회에서 완등 실패 판정 받았어요.

    • @user-ku5kj2ch3w
      @user-ku5kj2ch3w 2 роки тому +1

      @@MrBrill99 볼륨에 붙어있는 피스홀드가 탑인데
      볼륨만 잡아서 다시 붙은거 말씀하시는거 아닌가요??
      제가 말하는건 3초간 잡고 있어야 완등이란 규정이 없다는 말이에요

    • @MrBrill99
      @MrBrill99 2 роки тому +1

      @@user-ku5kj2ch3w 3초간 잡고 있어야 완등 된다는 규정이 없다는 건 알겠습니다.
      하지만, 천종원 선수는 너무 빨리 손을 뗀 거 아닌가요?
      물론 심판의 판정이 완등이라면 더 할 말이 없겠지만, 외국의 경우 어쨌든 몇 초간은 두 손을 마지막 홀드에 잡고 있죠. 그게 확실한 완등 증거구요.
      그리고 미리 말했지만, 예전 아디다스 컵인가 어디에서 저런 식으로 너무 빨리 손을 떼서 완등 판정 받지 못한 적도 있죠.
      어떻게 보면 우리나라 심판이라서 좋게 본 걸 수도 있는 거 아닌가요?

    • @user-jq2tn1hw6m
      @user-jq2tn1hw6m 2 роки тому +3

      @@MrBrill99 외국은 몇초간 잡고있는게 완등 증거라구요...? 똑같이 심판이 완등이라면 완등인거에요

  • @ssmm7424
    @ssmm7424 2 роки тому

    만종원 찾습니다

  • @user-fz1cy9gt2d
    @user-fz1cy9gt2d 2 роки тому

    이 문제는 몸이 작으면 도전도 힘들겠다

  • @im-gamja
    @im-gamja 2 роки тому

    백종원 상위호완인가

  • @hodandy2516
    @hodandy2516 2 роки тому

    백종원 열명모이면 천종원 ㅋ

  • @user-uj1cx7wk7d
    @user-uj1cx7wk7d 2 роки тому

    머리도 중요한듯

    • @클라임투어티비
      @클라임투어티비  2 роки тому

      빠르고 정확한 루트파인딩은 진짜 중요한 것 같습니다

  • @user-dy5hj7vq9l
    @user-dy5hj7vq9l 2 роки тому

    ㅁㅊ 무슨 툼레이더냐

  • @usershfjcnwhq
    @usershfjcnwhq 2 роки тому

    백종원보다 가치가 높은 천종원

  • @user-ne8or3cl5p
    @user-ne8or3cl5p 2 роки тому

    바봇

  • @Pre_0704
    @Pre_0704 2 роки тому

    저거 문제 만든 사람은 완등가능한가?

  • @user-dj5wg9yt6h
    @user-dj5wg9yt6h 2 роки тому

    이걸 왜 문제라고 불러요? 살짝 오글거린당

    • @클라임투어티비
      @클라임투어티비  2 роки тому

      정상에 오르기 위해 정해진 홀드와 루트에 따라 동작을 찾아나가는 과정 (정답지?)이 필요해서 문제라고 부르는 것 같습니다ㅎ 제 생각입니다ㅎ 실제로는 1800년대 후반 유럽에서 그렇게 부르기 시작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