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으로 성장한 한중일+독일은 앞으로 추락하게 될 겁니다 (한동대 ICT창업학부 김학주 교수)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1 вер 2023
  • ✨단백질러 9/8(금) ~ 9/22(금) 2주간 추석 특별 할인🌾
    👉syncombine.com/
    👉중국 전문가 이철 박사의 섬뜩한 경고. “달라진 중국 달라질 중국”
    apps.3protv.com/3pro/home/lec...
    👉3분만에 글로 읽는 "삼프로TV 하이라이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КОМЕНТАРІ • 778

  • @wlsduqwjd782
    @wlsduqwjd782 4 місяці тому +8

    마소,구글,애플,페북이 한해 영업이익으로 빨아들이는 돈 만 봐도 이 분이 하시는 말씀이 맞음. 어느정도 경제,세계 지식이 쌓이면 결국 이 분이 하시는 말씀으로 귀결 될 수 밖에 없음.

  • @borntoright
    @borntoright 8 місяців тому +261

    제조업 기반이 잘 되어 있는 국가는 세계경제 상황을 따라 가지만 제조업 기반이 없는 국가는 한 방에 훅 감 1차 산업 -> 2차 산업 -> 3차 산업이 잘 깔려 있어야 4차 산업이 잘 굴러간다고 생각합니다.

    • @user-cy4hp4fr5x
      @user-cy4hp4fr5x 7 місяців тому +20

      남미나 남유럽에 한방에 훅간 나라들 몇 있지요 ㅋㅋ
      기초가 튼튼해야합니다.
      집이 무너져도 기둥보가 살아남아야 다시 집짓고 편하고
      기둥이 무너져도 주춧돌이 살아남아야 터의 위치를 알수 있지요.

    • @zhuan5050
      @zhuan5050 7 місяців тому +31

      동감...독일 일본 한국 쉽게 망하지 않음.

    • @chajeong281
      @chajeong281 7 місяців тому +6

      나쁜 마사리아인 책읽으면 저 교수 논리 충분히 반박가능.

    • @user-go2qf2xm7j
      @user-go2qf2xm7j 6 місяців тому +12

      제조업기반인 나라가 튼튼해야 한다는거 인정하는데
      어느순간부터
      꼬리(제조업 기업)가 몸통(정부)을 흔드는 기분임

    • @doonascale1178
      @doonascale1178 6 місяців тому +2

      👍

  • @waltaeucken
    @waltaeucken 8 місяців тому +22

    난 그 반대에 한 표를 건다!

  • @TI-kv2st3pm8n
    @TI-kv2st3pm8n 6 місяців тому +72

    세상에 똑똑한 사람은 많아도.. 통찰력을 가지고 미래를 예측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는 걸.. 이분 보면 그런 생각이 듬.. 가끔씩 제조업 기술력을 우습게 보는 사람들이 있음.. 한중일독의 제조업 기술력을 아무나 자본투입하면 다 가능할 거란 착각을 하는 듯..

    • @user-ei4zk8hk6j
      @user-ei4zk8hk6j 4 місяці тому +2

      ㅇㅈ..

    • @zoodasamilly3191
      @zoodasamilly3191 4 місяці тому +4

      제목부터 어그로 끌려서 오긴 왔는데
      2,3차산업이 홍어ㅈ으로 보이나봄
      자본만 가지고 얘기하는 애들은 다른 나라와 비교,대조군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얘기를 해야하는데
      꼭 어설프게 말함

    • @johnnypotterim
      @johnnypotterim 4 місяці тому +1

      음? 내용을 아직 안보긴 했는데, 제조업만큼은 전쟁이 났을때도 가장 근본인데 제조업이 망하면 뭐가 흥한다는건가요

    • @smithjack3497
      @smithjack3497 4 місяці тому

      ​@@zoodasamilly3191 제조업에서도 좀비는 쳐내야지.
      그래야 남은근육도 튼튼해짐.

    • @user-xo5me5wt1z
      @user-xo5me5wt1z 4 місяці тому

      김학주 저게 어떻게 교수야? 대체?
      배터리 원자제 수급이 어려워질 것이고, 갈등 때문에? 뭔 개솔인지. 그리고 친환경 때문에
      다른 나라는 모르고 한중일 독일 만큼은 추락할 거다? 아... 증말 교수라는 닝겐이 이런 개망나니 소리를 하다니 ㅉ
      아니 어디서 납득을 해야 한중일 독일이 추락한다고 믿을 수 있는 거야?
      제조업을 돌리는 에너지가 배터리야?
      제조업은 베터리가 있어야만 돌아가냐고? 교수 님아.
      친환경이 유행할 거라 한중일 독일 만큼은 추락할 거다?
      친환경은 오직 배터리로만 돌아가?
      친환경은 오직 베터리로 만 돌려야 하냐고??
      아니, 뭔 개망나니 소리냐고??
      아랍 애들 힘이 얼마인지 알고나 씨부리나? 친환경?? 일부 가능하겠지. 일부. 일부 일부.
      중국 무시해? 중국이 친환경에 동참하겠냐고?
      여러 나라들 입장이 있는데, 친환경 친환경 몇 나라가 떠든다고 세계가 그리 돌아가냐고??
      초반 몇 분 듣다가 인내심 한계 와서 악플 단다. 뭐 좀 들을 거 있나 하고 왓다가
      쌍욕 나오고 가네. 신발 꺼.

  • @taewookrho9487
    @taewookrho9487 8 місяців тому +237

    이 분.. 뇌피셜이 매우 강한 스타일이신듯..

    • @user-myyoub
      @user-myyoub 8 місяців тому +44

      암호화폐 관련 얘기를 듣다보니 자기 중심적으로 이해를 하는 스타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user-gq4uy2mj5p
      @user-gq4uy2mj5p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앞으로는 동아시아 세대

    • @tuiontu4194
      @tuiontu4194 8 місяців тому +28

      교수라는 인간들이 미래예측 한답시고 씨부리는 것들 보면 막상 맞는게 거의 없음

    • @usergleg8eiw
      @usergleg8eiw 7 місяців тому +7

      동감

    • @user-sw9fs1qo3j
      @user-sw9fs1qo3j 7 місяців тому +12

      흠..ㅋㅋ 반도체만 봐도 제조업은 별거 없다구 미국이 일본 대만 한국에 던져버린거 지금 다시
      가져오려고 난리인데..ㅋㅋ 일정부분 무슨 말씀을 하려는지는 알겠는데 너무 편향적으로 판단하려 하시는듯

  • @user-ze9qt5sj7m
    @user-ze9qt5sj7m 8 місяців тому +33

    발언의 50프로는 당연한 말씀, 50프로는 어처구니 없네요. 😢

  • @user-wx7sr9xi3e
    @user-wx7sr9xi3e 8 місяців тому +17

    저 교수 얘기하는 거 반대로 되겠구만 제조업을 버린 국가는 미래가 없다고 보면 된다. 제조업이 기반이 되어야 금융업과 다른 산업이 발달을 하지

  • @dongukkang3463
    @dongukkang3463 8 місяців тому +68

    처음엔 솔깃했는데, 소형 원자로/암호화폐에서 신뢰도 추락

    • @kbp0412
      @kbp0412 8 місяців тому +3

      다 상상하면서 지어낸것같은데?ㅋㅋ

    • @parkherenow
      @parkherenow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전 전고체 배터리 이야기에서 팍
      결과물을 너무싑게 만든다고 생각하는것같기도하고..
      암호화패가 해킹이 어려운데..사기꾼들은 드글드글

    • @soba3818
      @soba3818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암호화폐의 가장 중요한게 추적불가인건데 미국ai 기업들이 암호화폐 추적기술을 개발해버림...

    • @jayh1087
      @jayh1087 8 місяців тому

      ​@@parkherenow디파해킹겁나터짐 북한 핵하나살돈범

    • @tsmh3910
      @tsmh3910 7 місяців тому

      지금 보는중인데 일단 전기로/고로 철강도 잘못 이해하고 있는 사람입니드

  • @user-ox4yg1cn1f
    @user-ox4yg1cn1f 8 місяців тому +14

    학자 교수들 얘기는 걸러서 듣는다

  • @user-lj7jm4cl7s
    @user-lj7jm4cl7s 8 місяців тому +23

    20년전, 쥬니어 시절, 이분 산업분석 강의 들으며 공부했었는데요. 한동대 가계시는군요. 별로 안늙으셨네요. 반갑습니다.

  • @yz7739
    @yz7739 8 місяців тому +21

    알리바바 다녀본 사람으로서 교수님 말씀이 너무 단편적이라 봅니다. 중국 빅테크는 가보셨는지 궁금하네요.

  • @usergleg8eiw
    @usergleg8eiw 9 днів тому +1

    항상 재미있고 쉽게 설명해주는 김교수님. 잘 경청하였습니다.

  • @user-kq9ik6ib2i
    @user-kq9ik6ib2i 8 місяців тому +12

    새로운 지식을 배우는 기쁨을 주는 언더스탠딩 ᆢ 감사합니다^-^😊😊😊

  • @greenavenger
    @greenavenger 8 місяців тому +7

    듣다가 보니 원자력 얘기도 잘 모르고 하는 소리고, 특히 최근 중국 배터리 공급과잉은 CRU그룹에서 조사했고 ft에서 보도한 건데 출처도 언급 안 하네요.
    이미 댓글에서 까이고 있어서 이정도만 합니다.

  • @changmyongryu6593
    @changmyongryu6593 7 місяців тому +8

    소형원전이 안전하다는 말은 학자가 다룰 주제가 아닙니다

  • @danteandrona1301
    @danteandrona1301 8 місяців тому +31

    역사+ (신)비전 + 통계(새빨간거짓말) + 공상 + 피셜(듣듣) + 마바라와 전문가 사이를 왔다갔다 하시는분인 듯. 듣는 재미는 있음 ㅎ

  • @taewookrho9487
    @taewookrho9487 8 місяців тому +70

    근데 반대로 보면 제조업 없는 국가는 성공하기 힘들다 라는 부분도 있지 않나요? 이 교수님의 핵심은 자원강국과 기술강국이 앞으로는 유리하다 정도로만 보면 될 듯하네요..

    • @vesslan4106
      @vesslan4106 8 місяців тому +12

      자원강국이 너무 유리합니다 ㅠㅠ

    • @choa3158
      @choa3158 8 місяців тому +21

      뭔가 잘못 이해하시는거 같은데...제조능력의 과잉이 문제라는 거죠....더 싸고 귀찮고 더러운 일이니까 하청을 줬는데...이제 본청이 자기가 하겠다는 겁니다...그럼 하청은 망하는거죠...만들 능력이 중국, 한국, 독일은 충분하지만 팔 곳이 없다는 거죠...미국은 이제 자기들이 만들면 세계 시장의 40%는 되는 소비시장을 자기들이 먹는거죠.. 우리나라는 기껏해야 4천만 시장이고 그것도 쪼그라들고 있죠...팔 곳이 없는 겁니다....직므 건설회사들 건물 지을 능력은 있는데 조달금리 조금 오르니까 수백개가 도산하는데.. 비슷한거죠. 우리도 기술 로열티 오르고 원자재 오르고 팔곳 없어지고 금리 오르면....버틸 수 있을지 의문이죠... 지금까지 우리나라, 중국, 독일 대기업이 잘 만들어서 성장한 것도 있지만...미국이 용인해준 혜택이라는 거죠...기분 상해서 이제 그 혜택을 거둬들일 예정이고요...

    • @user-tk4pd9lw6s
      @user-tk4pd9lw6s 7 місяців тому

      ​@@choa3158단시각적 의견으로 보입니다.
      경제가 좋을때가 있고 나쁠때가 있듯이.제조업도 마찬가지입니다!!
      미국 생활 용품의 90%이상이 중국제인데 이것을 미국이 자체적으로 생산할수 있다고 생각합니까?
      미국은 특정 분야(반도체.밧데리 산업)만 국가 지정 산업으로 지정하고 보호주의 정책을 한다는 것입니다.
      제조업 CEO가 바보입니까?
      과잉 생산이 아니라 미래 예측에 따른 계획 생산이라는 사실도 아셔야 할 것입니다.
      자유 무역을 하다가 보호 무역을 하게되면 당연히 경제 성장률은 떨어지고. 지금의 특수한 상황 (전쟁.고금리.고유가.고원자재.식량.등)이 변하면 또한 달라집니다.
      질문드리죠!
      제조업 없이 발전할수 있는 산업이 있습니까?
      왜 미국은 20년 넘게 리쇼어링 정책을 강력히 추진할까요?

    • @stanleydan9159
      @stanleydan9159 5 місяців тому

      작은 국가가 제조업을 잘 할 수 있는 시대가 종말한거죠. 그리고 제조업이 커지려면 인건비의 마지노선 같은게 있습니다.. 선진국에선 제조업이 어렵습니다. 제조업이 좋다 나쁘다 이야기할게 아니라 우리나라도 이제 선진국으로 올라와서 인건비도 비싸, 국가 규모도 작고, 인구감소가 시작되는데 제조업?? 가당치도 않는소리죠. 유럽이 괜히 쪼그라든게 아닙니다.

    • @Janghun13
      @Janghun13 4 місяці тому

      장하준 교수. 근데 그때랑도 시점 차이가 나긴 나는 듯.

  • @user-ze9qt5sj7m
    @user-ze9qt5sj7m 8 місяців тому +19

    언더스탠딩의 품격을 낮추는 발언이네요. 패널과 코인 업계의 관계를 확인하고 출연하면 좋겠습니다.

  • @kwangyeolpak2157
    @kwangyeolpak2157 8 місяців тому +21

    통찰력있는 의견 감사합니다. 미국이 re100을 무기로 석탄산업으로 에너지를창출하는 중국에게 타격을 준다는게 재밌습니다

  • @silverglass832
    @silverglass832 4 місяці тому +3

    새로운 지식과 다양한 인사이트를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power9119
    @power9119 8 місяців тому +6

    항상 놀라고 배우고 익히고 있습니다. 자주 나와 주세요^^

  • @user-hobaknong
    @user-hobaknong 8 місяців тому +75

    문과 교수님 같은데 원자로 이론 공부 많이하신 것은 인정할 만한데..대중앞에서는 확실히 아는 이야기만 하시기를..여러 방면의 전문가가 이 채널 시청합니다. 다른 이야기도 흘려듣게 되네요…

    • @CoreanEarthSpace
      @CoreanEarthSpace 6 місяців тому

      이번 영상만 보면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일반인들도 요즘 각종정보를 얼마나 신속하고 디테일하게 접하는데요... 저분은 아예 근거자체를 얘기를 못하는데... 왜 사람들은 좋니마니 하는지 모르겠네요...대머리 그사람을 봐도ㅠ그렇고 사람들은 뭔생각으로 이런얘기들을 받아들이는지..ㅡ

  • @user-dr5qt8gm7o
    @user-dr5qt8gm7o 8 місяців тому +16

    제조가 기본이 되어야 금융과 서비스도 빛나는거임 제조 없이 금융과 서비스로 사는 나라 ? 위기 시에 허울뿐인거 바로 드러나지 모든건 제조가 기반이 되고 금융과 서비스가 올라가야 진정한거야

    • @wlsduqwjd782
      @wlsduqwjd782 8 місяців тому

      좀 보고 말해라 댓글부터 쓰지말고

  • @fgjkns6982
    @fgjkns6982 8 місяців тому +32

    독일이나 우리나라나 다른 주요국들 보다 빈부격차가 심하지 않은게 제조업기반이라 그런것도 있음 첨단 산업은 사람이 많이 필요없음 근데 조선, 철강, 석유화학, 자동차 등등 제조업 기반 산업은 많은 사람이 필요하기 때문에 부가가치는 떨어질지 몰라도 고용을 많이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빈곤율을 떨어뜨릴 수 있음

    • @myungsunyi1064
      @myungsunyi1064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아 그렇군요

    • @gra6021
      @gra6021 5 місяців тому

      아무래도 3차산업은 빈부격차가 더 심하죠. 우리나라는 2차산업 위주라 나은편이지만 발전이 힘들어요

    • @stanleydan9159
      @stanleydan9159 5 місяців тому +2

      뇌피셜좀... 유럽에서 가장 빈부격차 심한나라가 독일입니다. 빈부격차라고 이야기하면 부정적인데, 중요한건 부가가치입니다. 제조업은 1을 만들어서 2를 남긴다면, 첨단 산업은 1을 만들어서 10-100을 남기는데 빈부격차 때문에 포기하자고 하는건 그냥 시대의 흐름을 거부하겠다 하는것과 같죠.

  • @user-nd4ec7of8r
    @user-nd4ec7of8r 8 місяців тому +8

    제조업은 건물로 말하면 뼈대가 아닐까요? 단순한 거 같으면서도 중요한, 뭐 그런거. 그런 의미에서 필수라고나 할까요. 다시 말해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데요. 근데, 뼈대만 갖고는 멋진 건물이 안되듯이, 거기에는 다양한 요소가 더해져야, 아름다운 건물이 될거 같습니다.

  • @Kwang-Min-Lee
    @Kwang-Min-Lee 4 місяці тому +19

    제조업은 모든 산업의 근간이 되는 뿌리이기때문에 아무리 세상이 최첨단화가 된다고 하더라도 제조업은 중요할수밖에 없는 핵심이죠!!

    • @you-nb7qb
      @you-nb7qb 4 місяці тому +2

      우리나라가 제조업이 발달했단 전제가 의아스러워요 사방에 메이드인 차이나 뿐인데……

    • @loveaintfree1409
      @loveaintfree1409 4 місяці тому

      @@you-nb7qb 님 쓰는 제품에 들어가있는 부품은 중국제가 아닙니다

  • @wdol5641
    @wdol5641 8 місяців тому +14

    근데 한중일독일이 제품안말들면
    어느나라꺼써야함??
    미국? 프랑스?
    만들만한 나라도 없음

    • @wlsduqwjd782
      @wlsduqwjd782 8 місяців тому +1

      다 자국에서 생산 한다는 소리임. 미국,유럽,중동 같은데서 ira법 같은게 나오기 시작한것처럼

  • @StarryX2
    @StarryX2 8 місяців тому +72

    국제분업이 약화되고 3차 산업 위주의 주요국들이 제조업을 강화하면 2차 산업 위주 국가들의 생산 감소가 불가피하다.. 는 정도로 이해하면 될 거 같음.

    • @Nobaksa78
      @Nobaksa78 6 місяців тому +7

      오히려.제조업 생태계가 구축된 몇몇 나라의 필요성과 희소성이 더욱 강화 될거라 생각합니다. 제조업 생산기반이 하루 아침에 정치인들 구호로 완성 될것 같으면 인도와 아프리카가 다 차지 했겠지요. 미국의 제조업 부활이 쉽게 될까요? 교수라는 인간이 너무 피상적이고 편하게 판단하고 있네요

    • @wlsduqwjd782
      @wlsduqwjd782 4 місяці тому +1

      ​@@Nobaksa78아니 좀 자의적으로 하석하지 마시고, 물론 얘내들이 제목을 자극적으로 해석해서 문제가 있긴 한데 나락까지 가지는 않을꺼고, 자국ㅂ제조업 보호와 세계경제 둔화, 고령화 등등 여러가지 제조업에 악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커지면서 자연스레 한중일독의 성장이 둔화할꺼라고 보시면 됩니다. 반면 미국은 이미 미래산업 다 선점해 놓은 상태입니다. 거시적으로 봤을때 미래에서 가장 유망한 산업은 ai+로봇+바이오산업이죠. 근데 미국은 이미 3개다 선점해놓은 상태고요. 기술격차가 다른나라와 봤을때 압도적으로 벌어져 있습니다.

  • @skylaryonniemok9537
    @skylaryonniemok9537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bestminer9419
    @bestminer9419 8 місяців тому +24

    우리나라는 죽으나사나 제조업에 올인해야 합니다 5천만 인구에서 그나마 줄어드는 인구에서 소비경제로 갈까요? 그렇다고 자원이 있는 나라도 아닌데요

    • @wlsduqwjd782
      @wlsduqwjd782 4 місяці тому

      삼성+sk하이닉스 영업이익이 페이스북 영업 이익 하나 못 이기는게 현실

    • @kini3234
      @kini3234 4 місяці тому +1

      바이오 AI를 신산업으로 키우면서 제조업도 유지해야죠 ㅋㅋ

  • @user-re7gs8cn9r
    @user-re7gs8cn9r 7 місяців тому +4

    대단한 뇌피셜이군요.
    애널리스트가 빈약한 대이터로 말하면 공상가가 되지요.
    닷컴버블 직전 이런 류의 썰이 시장을 휩쓸었지요

  • @DavidYun-vx4de
    @DavidYun-vx4de 6 місяців тому +7

    제조업은 뿌리산업인데 없어진다는게 납득이 안 되네요. 😢

  • @user-gw8nl6cq9u
    @user-gw8nl6cq9u 8 місяців тому +7

    이분은 자기주장을 너무 장황하게 어필함
    미래를 예측하는게 아니라 현재 진행을 과장
    확대 해석하는 느낌
    세상이 생각처럼 흘러간다면 을매나 좋겠냐마는
    단편적인팩트에 너무 확신에 찬 주장을 하는것같다
    주구장창 중구난방 말이 나오는게
    신기한 화법이네😂ㅋㅋㅋㅋㅋ

  • @spr6115
    @spr6115 8 місяців тому +6

    잘 모르는 원전 얘기할 때는 그런가보다 했는데 배터리에서는 기술적으로 넘 틀린 내용이 많아서 신뢰도 뚝뚝 떨어지네요;; 기술적으로 검증된 말을 해야지 그냥 하고 싶은 말을 아무거나 하면 어떡합니까

  • @user-dr5qt8gm7o
    @user-dr5qt8gm7o 8 місяців тому +12

    제조업 없이 금융으로 흥한 나라들은 사상 누각이지 제조가 약하면 지네 나라 무기도 비싼 돈 주고 남에게 사와야 하고 보급도 후져서 족밥되는건 한 순간임

  • @83nobleman
    @83nobleman 8 місяців тому +7

    자신이 모른다는 사실을 아는 자는 말이 없고
    자신이 모른다는 사실을 모르는 자는 말이 많다
    그래서 소크라테스가 한 말이 모르고 있는 너 자신을 알라

  • @user-fu9lt9sl8q
    @user-fu9lt9sl8q 8 місяців тому +74

    제조업없이 절대강대국은없다 모든것은 제조업에서온다

    • @user-ch1jf6hy9y
      @user-ch1jf6hy9y 8 місяців тому +5

      @@Juno_lee7443 틀린 말은 아니지 물건이 있어야하니까

    • @user-ch1jf6hy9y
      @user-ch1jf6hy9y 8 місяців тому +2

      @@Juno_lee7443 하지만 틀린 말이 아닌 부분과 거짓을 섞어서 진실인 것처럼 말하면 그게 선동 ㅋㅋㅋㅋㅋㅋㅋ

    • @hyunsikkim4498
      @hyunsikkim4498 8 місяців тому +2

      @@Juno_lee7443 ㅋ 책 한 권도 않읽은듯~~~

  • @kimjohansson5922
    @kimjohansson5922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완벽질문에 감사드려요

  • @user-db2mm7og6f
    @user-db2mm7og6f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자본력있고 규모있는 제조국가만이 살아 남을 것입니다.

  • @lhchoi843
    @lhchoi843 7 місяців тому +4

    희망사항을 말씀하시는 것 같아요

  • @mk-zb8cg
    @mk-zb8cg 8 місяців тому +10

    과연 그제조업을 대체할 수 있는 나라가 있을까???

  • @user-yv6yh2sg2i
    @user-yv6yh2sg2i 8 місяців тому +3

    하나만 보고 결론을 내버리시는듯 토요타가 차를 팔지 않고 빌려주는게 폐베터리와 고철 자원이 가겨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일본에서는 토요타가 독점적위치에 있고 중고차 시장을 두개다 하기때문에 중고차 가격 방어에 빌려 주는게 토요타 입장에서는 이득이고
    일본인들은 차를 사면 바꾸지 않고 오래 쓰기 때문에 빌려줘서 계속 새차로 갈아타게 만드는게 회사 입장에서 득이 많기 때문이라고 보는게 더 크다고 봅니다
    그리고 지금은 경기 침체 국면이기 때문에 제조국 입장에서 어려운 입장이지만 다시 경기가 살아나는 국면이면 당연히 제조국 입장이 유리한데
    한 측면만 보고 현상을 이야기 하는게 바람직 하지 않다고 봅니다

  • @kimjohansson5922
    @kimjohansson5922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이프로님 멋지십니다

  • @jessiekim7726
    @jessiekim7726 8 місяців тому +21

    1:22: 🇰🇷 한국 옆에 있는 중국의 경제 상황과 디플레이션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이 궁금하다.
    6:18: 🏭 제조업의 중요성과 환경적인 영향에 대한 얘기
    12:55: 🇰🇷 미국의 명목인플레가 하락하며 미국이 중동에서 패권을 잃어가고 있다.
    19:06: 💰 중국과 미국의 경제 갈등에 대한 이해
    26:09: 🇰🇷 미국은 세계 경제의 주축이며, 금리를 낮추면서 인공지능과 빅테크 등의 신기술을 통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2:18: 💡 원자력과 소형 원자로의 차이점과 안전성에 대한 설명
    39:43: 🔋 중국은 반도체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배터리 분야에서 전문 개발 업체들이 차별화된 제품을 설계하고 있음
    45:26: 💰 암호화폐는 새로운 경제를 만들어내고 규제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거래될 수 있는 화폐 대용품이다.
    51:34: 💰 빅텍들이 인공지능을 통해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면 중독성 있는 서비스가 되어 기꺼이 수수료를 낼 것이다.
    Tammy AI 로 요약했습니다. 구글에 Tammy AI 쳐보세요 아주 유용해요 긴긴 비디오 볼때 시간 없을때!

  • @bradj5228
    @bradj5228 8 місяців тому +20

    제조업은 인구를 유지 하기 위한 기초..
    모든 사람이 머리가 좋은것도 아니고 머리로 못먹고 산다..
    몸으로 일하는것도 중요함.

  • @sskim7690
    @sskim7690 6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 정도 예측을 하려면 전문적인 지식이 있어야 하는데
    경제전문가가 무슨 정치, 군사, 외교까지 예측하려 하니 점쟁이가 되는 거지

  • @user-lw3xg4wt2x
    @user-lw3xg4wt2x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인사이트를 주시지만 좀 과하게 단순화하는 느낌은 있네요. 주고자 하는 메시지만 잘 받아들이면 될 것 같습니다.

  • @user-ux2uv4ht2s
    @user-ux2uv4ht2s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코인에 대한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페이류들이 늘어나는 추세도 무시할순 없겠네요.

  • @jml4229
    @jml4229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김학주님 홧팅입니다

  • @user-bo1bb1oe7r
    @user-bo1bb1oe7r 4 місяці тому +1

    이 교수님은 외국기업(미국)으로부터 보조금받는듯요~
    미국기업 홍보하러 나온듯요.
    한국기업이 얼마나 애쓰고있는데 우리나라기업도 홍보해 주심 좋겠습니다

  • @sangjin8257
    @sangjin8257 8 місяців тому +9

    김학주 교수님이 오시다니... 💕

  • @user-sr5sg8ox6v
    @user-sr5sg8ox6v 8 місяців тому +8

    오늘도 깊은 인사이트에 감사드립니다...^^

  • @sooyeonlee2967
    @sooyeonlee2967 8 місяців тому +36

    언더스탠딩 장점이 다양한 의견을 들을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아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언더스탠딩 최고👍🏻👍🏻👍🏻

  • @paleice4116
    @paleice4116 8 місяців тому +10

    한국 경제가 진짜 하락세일지는 1~2년후에 반도체 사이클 돌아오면 알지 않을까?? 만약 그때도 성장률 일본보다 낮으면 진짜 하락세 인거고.

  • @user-dc7op8rt7w
    @user-dc7op8rt7w 8 місяців тому +87

    역시 김학주씨 ... 이 방송을 듣지 않았지만 댓글만 읽어봐도 충분하네요. 또 공감 안되는 기묘한 이야기를 했군요

    • @tacit8835
      @tacit8835 8 місяців тому +5

      ㅋㅋㅋㅋ

    • @user-vn6zi1yz7x
      @user-vn6zi1yz7x 8 місяців тому +3

      공감가는 이야기 들으시려면 소설척하나 읽으시죠ㅎ

    • @user-ok4il6yh7l
      @user-ok4il6yh7l 8 місяців тому +5

      개소리 장인😂😂😂

    • @bambu8873
      @bambu8873 8 місяців тому +1

      ㅋㅋㅋ

    • @sooyeonlee2967
      @sooyeonlee2967 8 місяців тому +2

      ​@@jp5500맞아요~ㅎㅎ 전 언더스탠딩에서 다양한 의견을 들을 수 있어서 좋습니다~^^

  • @passionsientemucho2180
    @passionsientemucho2180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제품을 만들어 팔수있다는게 축복

  • @episteme6165
    @episteme6165 8 місяців тому +160

    영국이 대영제국이 된 건 산업혁명과 제조업 때문이었죠. 영국이 제조업을 버린 대신 금융이나 지식산업의 강자이지만 제조업 없이 옛날의 영화를 찾긴 어려움.

    • @user-qd7ol2mh4f
      @user-qd7ol2mh4f 8 місяців тому +20

      영국의 산업이 망한것은 노조때문이다.
      제조업을 버린것이 아니고 노조가 권력이 세지니까 경쟁력이 없어 하는수 없이 버리게 된 것이다
      한국도 조심해야 한다. 노조 힘이 세지면 적조업이 망한다

    • @user-uc2sg1wi5u
      @user-uc2sg1wi5u 8 місяців тому +60

      @@user-qd7ol2mh4f 독일 프랑스 스웨덴은 노조 쎈데? 영국은 식민지에 의존하다 시장 경쟁력이 약해진거임

    • @cestlavie5990
      @cestlavie5990 8 місяців тому +16

      @@user-uc2sg1wi5u 프랑스가 파업했다는 얘기는 들어봤어도 독일 스웨덴이 파업했단 얘기는 잘 못듣는데.. 그만큼 노조의 권력이 세다는 건 아닌것 같음

    • @user-kk7hd6mg8g
      @user-kk7hd6mg8g 8 місяців тому +9

      식민지 다 독립하고 망

    • @ryuusungrune4285
      @ryuusungrune4285 8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qd7ol2mh4f 마가렛 대처가 대통령된 나라인데? 독일 노조 강한거 모르나?

  • @user-jo6fy9cy1s
    @user-jo6fy9cy1s 8 місяців тому +16

    제조업을 버리면 안됨. 왜냐 제조을 제대로 할 수 있는 나라는 독일 일본에 그나마 한국 뿐임. 수율 얼리고 더 부가가치로 계속 기술계발하야함

    • @user-ie6xc4ij1l
      @user-ie6xc4ij1l 7 місяців тому +4

      그럼요 제조업을 왜 버려요 고용을 많이 하는데

    • @user-ul7ks8ol6s
      @user-ul7ks8ol6s 6 місяців тому +2

      동의 합니다.

  • @SWYang-jl4uy
    @SWYang-jl4uy 8 місяців тому +39

    제조 안 하던 선진국이 제조업 한다고 하면 한중일, 독일 같은 수율 뽑을 수 있나? 억지로 한다고 할 수 있는 게 아님

    • @user-bl5ji6dy5l
      @user-bl5ji6dy5l 8 місяців тому +7

      그렇긴한데 너무 단순하게 말하려다보니 저리말한듯. 에너지 자급이 되는 나라들이 제조업까지 할거다 정도로 이해하는게 맞을듯. 그러면 몇몇 국가의 제조업 독점이 와해되며 우리에겐 불리하단거겠죠

    • @lcmpark
      @lcmpark 7 місяців тому +2

      그럼에도 인텔이 두렵긴 하다. 미국이 마구 퍼주기 시작했기 때문에.

  • @user-nh1zp4qb3j
    @user-nh1zp4qb3j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소형원전이 훨씬 안전하겠지만 사고는 항상 예상치 못한곳에서 나지요. 맹신 그자체가 사고의 씨앗입니다. 근데 진행자들도 의심의
    눈초리를.. 점점 듣다보니 걸러서 들어야겠다는..

  • @user-xm4bp2yc6f
    @user-xm4bp2yc6f 7 місяців тому +4

    김학수교수님중국에대해서더학습하시야겧네요

  • @user-rs2fq5kn7i
    @user-rs2fq5kn7i 8 місяців тому +3

    미국이 최고라는 얘기인데
    세상은 변하고 있고 영원한 건 없다

  • @sssss
    @sssss 4 місяці тому +1

    당연히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경제 체질 이동이 절실하지만, 제조업은 우리나라는 중요합니다. 제조업 밸류체인이 국가 경제 근간을 이루는 것을 차치하고서라도 우리나라는 전쟁중인 나라입니다. 빵빵한 제조업 밸류체인은 전시에 전쟁물자를 생산하는 기지로 변신합니다. 전쟁중인 나라에게 있어 제조업은 아주 중요합니다.

  • @user-xu4lc9bp2o
    @user-xu4lc9bp2o 5 місяців тому +1

    1,다양한 견해 잘 들었습니다.
    2,데이터비교로 말씀해주셨으면 하는생각 듭니다.
    3,응원합니다.

  • @user-ny1jx5bj2t
    @user-ny1jx5bj2t 8 місяців тому +7

    귀한 분 모셔 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들었습니다

  • @user-ericcartman
    @user-ericcartman 8 місяців тому +63

    지금이야 제조업이 과잉 공급이라 저평가되고 있지만
    이미 중국의 임금 상승에 따른 제조비 상승으로 인플레이션이 오고 있는걸 보면 결과는 뻔하죠.
    아무리 IT기술이 발전해서 넷플릭스나 엔비디아가 좋은 걸 만들어내도
    그걸 소비할 수 있는 큰 TV, 좋은 휴대폰, 그 금형들을 제조할 수 있는 능력들도 중요한데 말이죠.
    너무 한쪽으로 치우치면 결론이 산으로 가게 됩니다.

    • @choa3158
      @choa3158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과도기적 상황 아닐까요? 화성가서 흙퍼올 수 있는 미국이...기계로 제조업 못 돌릴꺼 같지는 않네요....저는 소비시장에 포커스를 맞춰야 될꺼 같은데요. 결국 미국시장 자기들이 먹겠다는 건데..수출로 성장한 나라는 악재겠죠..

    • @user-ericcartman
      @user-ericcartman 8 місяців тому +2

      @@choa3158 당연히 미국이 다 자급자족 할 수 있죠.
      근데 미국이 하면 얼마나 비쌀까요?
      중국 인건비가 올랐다고 해도 미국에서 만드는거랑 가격이 상대가 될까요?
      중국에서 싸게 만드는 물건들을 미국에서 만들면 지금도 심각한 인플레이션이 폭발해서 아마 폭동나고 미국이 망할수도 있을걸요?
      경제학의 비교우위론이 왜 나왔을지 한번 생각해 보세요.

    • @user-wj9tq4nu1r
      @user-wj9tq4nu1r 4 місяці тому

      ⁠@@user-ericcartman오히려 앞으로 미국이 더싸게 만들어낼수잇어요 중국은 인건비상승 더이상제조 공장으로의 매리트가 떨어지고 미국은 ai 발전으로 대부분공정을 사람없이 가능하게 만들어낼수도 지금준비과정에 진입햇을지도 모르죠

    • @user-ericcartman
      @user-ericcartman 4 місяці тому

      @@user-wj9tq4nu1r 99.8퍼센트 헛소리입니다.
      미국은 자동화 제조가 가능한 산업용 로봇 설치대수가 일본보다도 적어요.
      한국이랑 비슷한 수준이구요.
      중국이랑 비교하면 8배 차이납니다.

  • @richmond127
    @richmond127 8 місяців тому +279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부류는 전문가 혹은 듣도보도 못한 과의 교수라는 타이틀을 걸고 나와서 세상을 간단 명료하게 분석하는 사람들입니다. '제조업으로 성장한 한중일+독일은 앞으로 추락하게 될 겁니다'라는 명제 자체가 정치경제적 측면에서 얼마나 황당한 이야기인지..ㅠ 세상을 이해하려면 세상은 절대 하나 두개의 요소로 작동되지 않는 곳이라는 기본 명제에서 출발해야 합니다.

    • @wiscrutgersaustin
      @wiscrutgersaustin 8 місяців тому +37

      행간과 의도를 좀 읽어야 하지 않겠어요? 앞으로 몇년동안 공급과잉 국가들은 힘들 것이다라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맞을 듯합니다.

    • @user-ev2qm5ck6w
      @user-ev2qm5ck6w 8 місяців тому +25

      실제로 지금 독일은 추락중이에요 중국도 예전만큼 못하고 있고 일본은 뭐... 그렇다고 현재 한국이 잘 나가고 있을까요?

    • @kev2582
      @kev2582 8 місяців тому +10

      간단명료하게 디스하시네 방구석에서 맘에 안드시는듯 ㅋㅋㅋ

    • @richmond127
      @richmond127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 분은 교수라기 보다는 26년차 증권사 금융맨입니다. 그냥 26년 증권맨이 바라본 세계경제라고 타이틀이 걸린다면 저 역시 매우 즐겁게 시청했을 것 같습니다. 아 업계에서는 이런 관점으로 분석하는구나 등등. 하지만, 교수라는 타이틀을 달고 나왔죠. 저는 증권사 직원 출신이 국가 거시경제 현재와 미래를 (심지어 3국가씩이나) 명료하게 꿰뚫는 통찰력이 있을 것이라 보진 않습니다. 일례로 제조업의 과잉공급이 국가경제의 추락을 가져온다구요? 추락은 어떻게 정의할겁니까. 통화위기인가요 아니면 성장률의 '급격한' 둔화인가요. 독일 GDP성장률 10년치만 한 번 보고 오세요. 아래분들이 지적한 것처럼 xrp가 cbdc의 백본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 소형원자로, 암호화폐, 중국은 계획경제 때문에 망한다 등등 뭐 어떻게 분석해야 할 지 감도 안옵니다. 원래 사기를 치는 분들은 그럴 듯한 말들에 속이는 말을 잘 섞습니다. 물론 저 분이 사기꾼이라는 뜻은 아니지만요. 더불어 이 교수가 진짜 교수인가 싶은 분들은 말 보다는 '글'을 보면 됩니다. 구글에서 아무리 검색해도 유일한 저작은 '김학주의 40배 수익클럽'입니다. 제발 한국사회에서 '교수'라는 이름좀 남용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 @richmond127
      @richmond127 8 місяців тому

      방구석 좇문가는 전혀 위험하지 않습니다. 신뢰성이 없으니까요. @@Vincent_de_Paul

  • @tv-ni6ld
    @tv-ni6ld 8 місяців тому +4

    기승전 좋다가
    결론은 갓길로
    가시지

  • @user-nx8rm2nh1u
    @user-nx8rm2nh1u 8 місяців тому +11

    결국에는 교수님이 얘기한대로 흘러가고있는데 아직도 배터리에 물려서 배터리가 미래다 하고있으니 ㅠ
    이분이 몇년전 로보틱스,인공지능이 세상을바꾼다고했는데 우리나라 사람들 지식수준이 딱 제조업마인드긴하네

  • @younghoyoun8068
    @younghoyoun8068 8 місяців тому +58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알 수가 없네요. 이걸 강의로 본다면, 이 강의를 듣고 어떻게 학점을 잘 받을 수 있을까 고민됩니다.

    • @ylj832
      @ylj832 8 місяців тому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xw6xf2hy7q
      @user-xw6xf2hy7q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진짜 국평오가 괜한 말이 아니네. 한국어 알아쳐먹지를 못하니

  • @kyongjunlee1608
    @kyongjunlee1608 4 місяці тому +2

    오히려 제조업이 더 강해져야됨

  • @user-xf9pn1rq6w
    @user-xf9pn1rq6w 8 місяців тому +38

    처음 이 교수님 이야기를 들었을때 뭐 이런 교수가 있나 했는데
    지나보니 맞는 말 하더라...
    이번 이야기도 시간이 지나면 알게되겠지

    • @DdDd-uu8ol
      @DdDd-uu8ol 6 місяців тому +5

      어떤 이야기들이 있나요? 전 이분 영상 본인이나 vc만 할 수있는 엔젤투자나 초기투자해서 돈벌어라 했던거밖에 못봤어요.

  • @feelurheart
    @feelurheart 4 місяці тому

    다양힌 시각 좋네요~^^

  • @bostonchoir
    @bostonchoir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신소재가 부족 되는 것도 사실일 것이지만 다른 테크놀로지가 그 소재의 필요성을 없애버릴 가능성도 크지요.

    • @bostonchoir
      @bostonchoir 8 місяців тому

      @@user-wh3gu8en5l 반만 맞는 말씀. 러시아, 중동의 석유, 칠렌지 페룬지의 리튬, 아프리카의 다양한 자원들, 자원 팔아 먹는 나라들 발전이 없고 다른 나라들의 종이 돼요. 그리고 토인비가 말했듯, 부싯돌이 없어져서 성냥이 발명된 게 아니에요.
      지금으로 보아서는 한국이나 미국이나 민주당정권을 yuji 시키는 게 대체에너지 개발에 도움이 됩니다. 민주당정권 YUJI 가 살길이다!

  • @GB-sy7sh
    @GB-sy7sh 6 місяців тому +2

    뭔가 말도 안 되는
    논리…

  • @usergleg8eiw
    @usergleg8eiw 7 місяців тому

    역시 이기자 질문 잘합니다.

  • @kev2582
    @kev2582 8 місяців тому +1

    미국은 인구구조로 보나 다른 선진기술로 보나 떡상이고 나머지는 현상유지가 윈일듯합니다. 지금 유럽 선진국들 보세요. 지금 상황 나쁘지 않습니다. ㅠㅠ

  • @Whathe88
    @Whathe88 8 місяців тому +27

    제조업 없이 금융질*고차원사업어쩌고 하다가 골로간 나라가 역사적으로 한둘인가요?

    • @soba3818
      @soba3818 8 місяців тому +2

      @@chuckberry7749아르헨티나,홍콩,마카오,영국,스웨덴 등이 있습니다.

    • @user-su5ws4nc2g
      @user-su5ws4nc2g 8 місяців тому +1

      ​@@chuckberry7749 미국 일본 추가 리쇼어링을 괜히 하는게 아니죠

    • @yongdol73
      @yongdol73 8 місяців тому

      @@chuckberry7749유럽 국가들 쭉 함 보세요

    • @user-su5ws4nc2g
      @user-su5ws4nc2g 8 місяців тому

      @@jp5500 ㅋㅋㅋㅋ본인도 버텼다고 하면서 뭔 그럼 그 잘난 금융으로 계속 먹고 살지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 지도자들이 전부 니보다 덜 떨어져서 리쇼어링 하겠니? 팩트는 일본이 금융으로 30년 버틴건 그게 전부 세계화 시절이라 가능한거란다 미중처럼 서로 기업 제재하는 세상 러시아 사례처럼 수틀리면 금융결제 막아버리는 세상에선 불가능한거고 결국 진짜 경제는 돈놀이가 아닌 실물 제조업과 농업이고 이걸 알기 때문에 리쇼어링 하면서 금리는 인상하는 거란다 금융은 실물경제를 더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만들어 주는 보조제이지 절대 매인 산업일 수 없단다

  • @user-jm8sk9nh6p
    @user-jm8sk9nh6p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제조업이 확고 하게 있는 나라가 .. 끝까지.. 남아 있을 탠 대 뭔 이야기...

  • @user-nk7wy4fh4z
    @user-nk7wy4fh4z 8 місяців тому +6

    한편의 소설을 읽은 느낌

  • @0lsc2866
    @0lsc2866 4 місяці тому +3

    분단국가에서 제조업은 필수입니다😊

  • @changsuoh5996
    @changsuoh5996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언더스텐딩에 감사합니다
    유튜브의 순기능으로 이렇게 좋은 패널들의 방송을 보네요ᆢㅎㅎ

  • @jeremyp2509
    @jeremyp2509 8 місяців тому +54

    몇년전에 엔비디아를 콕 집어서 조정이 나올 때마다 사야될 기업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이렇게 오를 줄은 몰랐네요. 미래나 변화에 대한 인사이트가 있으신것 같습니다.

  • @user-jd4ro5ed5l
    @user-jd4ro5ed5l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쿠팡 물건가곀은 각 개인별로 보여지죠? 계속 한물건을 사면 살 때마다 가격을 올리고ᆢ 그 물건을 안사고 유사한 ,저렴한 다른 물건을 구매하면, 첨 샀던 물건가를 다시 내리는 것 이죠?

  • @mapx2100
    @mapx2100 8 місяців тому +8

    세상에... 리플을 샀다고 공공연하게 말씀하시는 분이 있네요.
    그건 은행들끼리 쓰라고 만드는거고 게다가 그건 기술만 같지 은행용 코인은 따로 만들거에요.
    게다가 완전 프라이빗 블록체인이라 온전히 신뢰만으로 움직이는거고요.
    신뢰가 필요한 코인이 무슨 의미인지도 전혀 모르는 분이군요.
    그건 그냥 투기에요.

  • @user-wx3vu1qg2x
    @user-wx3vu1qg2x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스마트폰이든 무슨 첨단기기든 만들지 못하면 무슨소용인가?
    제조업이 IT처럼 확타오르는건없어도
    가장 안정적 성장기반이다
    반도체를 기술력만갖고 일류가될수있나
    메가 팩토리없이 어떻게 승부를보나

  • @hwa81
    @hwa81 6 місяців тому +2

    과잉저축? ,
    부동산 자산 70% , 가계부채 GDP 대비 100% 수준, 그로인해 유효소비가 없는게 더 맞는듯 한데.
    투자 자산이 하락중이지만 어쨌든 고정비로 이자는 내야 하니 그만큼 소비를 못하죠.
    뭔가 꿈보다는 해몽하는 듯한 이야기네요. 잘 보고 갑니다.

  • @user-ek4hd8pj4u
    @user-ek4hd8pj4u 8 місяців тому +8

    한나디로 방구석 전문가네요!
    현실에 대해 깊이가 전혀없이 소설을 쓰고 있는데 어떻게 삼프로는 이런 사람을 데려다 이야기를 듣는지…

    • @user-nx8rm2nh1u
      @user-nx8rm2nh1u 8 місяців тому

      지나보면알겠지

    • @wlsduqwjd782
      @wlsduqwjd782 4 місяці тому

      배터리 얼마에 물리신거죠 ㅋㅋㅋ?

  • @peace77777
    @peace77777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국제 에너지 문제 1000년 동안 걱정 없습니다.~

  • @ML-zo7xv
    @ML-zo7xv 8 місяців тому +12

    제조업 무시하다 코피 터진다. 사람이 사는 데는 결국 필요한 물건이 있어. 당신이 아이티업종에 종사한다고 타업종 무시하면 안돼.

  • @childdocs8477
    @childdocs8477 8 місяців тому +3

    느낌적인 느낌~

  • @user-qj5bz7li6e
    @user-qj5bz7li6e 5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bostonchoir
    @bostonchoir 8 місяців тому +3

    고철 가격이 오히려 내려가야 되지 않을까요? 아무래도 recycle 하는 것이 탄광에서 새로 파오는 것보다 쌀테니까요.

    • @user-ji4km6jp3p
      @user-ji4km6jp3p 8 місяців тому

      독접하면 비싸지지 않나요

    • @user-xm9mp1fx6k
      @user-xm9mp1fx6k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고철가격은 탄소세 도입으로 가격 경쟁력이 더 있다.(예 EU탄소세)

    • @user-qe2ek5op9j
      @user-qe2ek5op9j 8 місяців тому +6

      우리나라에서 재활용 하는 비용보다...러시아나 아프리카에서 가져 오는게 훨씬 싸다...
      고철만 해도....재활용 단계가...고물상에 판매...고물상...중간 큰 거래상...공장...고철분리...중간 판매상....고객....
      이게 넌 싸 보이냐? 그냥 러시아에서 싼 걸 그냥 사 오는 게 싸 보이냐?

    • @hofffnung
      @hofffnung 8 місяців тому +1

      recycle이 그렇게 싸면 분리수거비율이 그렇게 낮겠나 ㅋㅋㅋㅋ 테니까요인거보면 추측성 망상인거 같은데... 현실은 아닙니다

    • @user-xm9mp1fx6k
      @user-xm9mp1fx6k 8 місяців тому +1

      @@hofffnung 전기로를 통한 리사이클링이 탄소세 도입으로 고로보다 3분의 1의 탄소를 배출합니다. 그 탄소배출권거래로 돈버는 구조입니다.

  • @heesoo0204
    @heesoo0204 4 місяці тому +1

    단기적으로는 이분말이 맞을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제조업이 가진 축적된 노하우와 기술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첨단 경쟁력이 사라진다.

  • @user-kl4xj2yv4n
    @user-kl4xj2yv4n 7 місяців тому +4

    명강의 이십니다.

  • @freesouli7027
    @freesouli7027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지금 그게 나타나고 있죠. AI 근원기술을 가진 미국만 돈벌수 있는 시대입니다. API로 AI 사업할려는 기업들 돈 못법니다

  • @gracefirst5597
    @gracefirst5597 8 місяців тому +14

    정말유익했습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 @tv-fk5sf
    @tv-fk5sf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야 선구자 시네요
    저도 하나 예언해도 되나요?
    되면좋고 안되면 말고

  • @bluesky3017
    @bluesky3017 8 місяців тому +1

    결국에는 미래에 발생할 기회 비용 절감을 잘하는 회사가 많은 나라일수록 유리하다는 것인가요?

  • @user-qn8wj6vs8l
    @user-qn8wj6vs8l 8 місяців тому

    사용자 정보가있으니
    재활용이 앞으로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