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구동방식별 특징 FR, 타임스탬프 0:22 FMR 차량은 뭐가 있을까? 3:18 FMR의 기본 구조 4:11 코너에서 FMR의 거동 특성 6:38 FMR의 하중 분포 7:36 FMR과 FR의 차이점 8:45 엔진과 미션이 따로 떨어져 있는 배치구조를 가질 경우 생기는 장/단점 * 추가 설명 아령과 같은 구조는 관성 모멘트를 커지게 하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10:05 FMR의 장점 1 11:00 FMR의 장점이자 단점인 부분(운전자마다 편차가 있음) 12:12 FMR의 장점 2 12:31 FMR이 어려운 이유, FMR 입문용 차량 추천 * 추가 설명 차량의 최소 회전반경(Minimum turning radius, R)은 축거(Wheel base, L)와 휠 오프셋(Wheel offset, alpha)이 클수록 커지며 회전방향의 외측 바퀴 조향각(theta)이 클수록 작아집니다. R=L/sin(theta)+alpha 14:52 이민재 감독님이 FMR을 권하는 이유(주의, 모두에게 권장하지 않음)
FR 차량의 언더스티어에 익숙해져서 FMR 차량을 운전하면 3을 조작했다고 생각했지만 5를 조작한것이라는 부분에서 아! 했네요 실제가 아니어서 부끄럽지만 시뮬레이션으로나마 운전연습을 하고 있는데 MR 차량만 조작하면 요잉이 너무 심하게 붙어서 트레일브레이킹을 전혀 할수가 없었습니다. 근데 말씀하신것처럼 스티어링을 넣는 기분만 내면서 톡톡 밀어주니 정말 상쾌하게 차를 돌릴 수 있게 되네요 이런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g37 세단스포츠도 대표적인 고출력에 fmr방식 52:48 코너링이 아주 좋습니다 전에 노사장 q50s리뷰중에 g37하고 비교시 g37이 더 빠릿빠릿하다고 했는데 그이유때문이죠 q50s는 fr , g37세단은 fmr에 차크기 무게도 g37이 더 작고가볍기 때문에 다른포맷이죠
RR차량도 곧 설명해주실꺼라 굳이 질문을 안해도 될것같긴한데 포르쉐의 경우 코너 공략시 트레일 브레이킹을 통해 하중을 앞으로 보내주어 트랙션을 확보하고 탈출시 정교한 악셀링을 통해(어느 차량이든 그렇겠지만 ㅎㅎ다른 포맷들보다 ) 가속하는게 맞는운전법이라고 들었습니다 과거 911 터보 하드코어 (ex 997 gt2 rs) 들이 과부 제조기로 불렸던것이 갑자기 터져 나오는 부스트를 정교하게 제어하지 못하면 리어의 움직임이 급격하게 변하고 리어가 미끄러지기 시작하면 제대로 바로 잡기도 어렵다고 들었습니다 현세대 991도 (ex 991 gt3,2 rs 전자장비 껏을때) 마찬가지라고 들었습니다 다만 그 탈출시 비교적 무거운 리어 하중에서 나오는 리어 트랙션이 엄청나다고 들었습니다. 하드코어 포르쉐들을 그맛에 탄다고 들었던것 같은데.. 카레라 모델들은 가벼운 프론트의 회두성..으루..모든 문단이 들었습니다라고 끝나네요 ㅎㅎ 포르쉐를 타본적이 없어서 ㅋㅋㅋ ㅠㅠ
개인적으로는 996GT2 나 997 GT2 모델은 선호하지 않습니다. GT3계열은 오히려 저회전에서 약간 힘이 약할 정도의 느낌으로 출력이 갑자기 터져나오는 편이 아니라 출력이 고회전까지 쪼~옥 빨려나오는 느낌입니다. RR 고유의 특성으로 당연히 리어하중의 도움으로 탈출트랙션이 엄청납니다. 안타보셨다는데도 잘 알고 계시네요.
차량 구동방식별 특징 FR, 타임스탬프
0:22 FMR 차량은 뭐가 있을까?
3:18 FMR의 기본 구조
4:11 코너에서 FMR의 거동 특성
6:38 FMR의 하중 분포
7:36 FMR과 FR의 차이점
8:45 엔진과 미션이 따로 떨어져 있는 배치구조를 가질 경우 생기는 장/단점
* 추가 설명
아령과 같은 구조는 관성 모멘트를 커지게 하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10:05 FMR의 장점 1
11:00 FMR의 장점이자 단점인 부분(운전자마다 편차가 있음)
12:12 FMR의 장점 2
12:31 FMR이 어려운 이유, FMR 입문용 차량 추천
* 추가 설명
차량의 최소 회전반경(Minimum turning radius, R)은 축거(Wheel base, L)와 휠 오프셋(Wheel offset, alpha)이 클수록 커지며 회전방향의
외측 바퀴 조향각(theta)이 클수록 작아집니다.
R=L/sin(theta)+alpha
14:52 이민재 감독님이 FMR을 권하는 이유(주의, 모두에게 권장하지 않음)
삼촌 한번뵙고 어디 카페같은데 앉아서 하루죙일 질릴때까지 차이야기만 해도 안질릴꺼같아요 진짜 팬입니다
FR 차량의 언더스티어에 익숙해져서 FMR 차량을 운전하면 3을 조작했다고 생각했지만 5를 조작한것이라는 부분에서 아! 했네요
실제가 아니어서 부끄럽지만 시뮬레이션으로나마 운전연습을 하고 있는데
MR 차량만 조작하면 요잉이 너무 심하게 붙어서 트레일브레이킹을 전혀 할수가 없었습니다.
근데 말씀하신것처럼 스티어링을 넣는 기분만 내면서 톡톡 밀어주니 정말 상쾌하게 차를 돌릴 수 있게 되네요
이런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알찬 강의 잘 봤습니다.
FF 주로 타다가 FMR 타면...
코너를 파고든다...핸들 조작한것 이상으로 점점 더 파고든다..
이런 느낌을 느꼈는데....그래서 그랬던거군요^^
앞으로도 좋은내용 기대하겠습니다!ㅎ
벤츠 slr은 어떤가요?
어쩐지 레이싱 게임에서 amg GT만 몰면 너무 무섭더라고요...
너무 즐거워보여요!!
타보고 싶어도 타볼 기회조차 없는
희소성 높고 실용성 없는 포맷이 바로
FMR (MR) ㅠㅠ ㅎㅎ
운전의 완성은 고출력 FMR .... 정말 차에 미치지 않고서는 도달하기 힘든영역이네요.
F30 328i나 G20 330i 같은 경우는 fmr에 가까운 fr 이라고 보면 될까요 ?
@@n288yfhf 역시 그렇군요 f30타는데 진짜 엄청나게 들어가 있더라구요
g37 세단스포츠도 대표적인 고출력에 fmr방식 52:48 코너링이 아주 좋습니다 전에 노사장 q50s리뷰중에 g37하고 비교시 g37이 더 빠릿빠릿하다고 했는데 그이유때문이죠 q50s는 fr , g37세단은 fmr에 차크기 무게도 g37이 더 작고가볍기 때문에 다른포맷이죠
RR차량도 곧 설명해주실꺼라 굳이 질문을 안해도 될것같긴한데 포르쉐의 경우 코너 공략시 트레일 브레이킹을 통해 하중을 앞으로 보내주어 트랙션을 확보하고 탈출시 정교한 악셀링을 통해(어느 차량이든 그렇겠지만 ㅎㅎ다른 포맷들보다 ) 가속하는게 맞는운전법이라고 들었습니다
과거 911 터보 하드코어 (ex 997 gt2 rs) 들이 과부 제조기로 불렸던것이 갑자기 터져 나오는 부스트를 정교하게 제어하지 못하면 리어의 움직임이 급격하게 변하고 리어가 미끄러지기 시작하면 제대로 바로 잡기도 어렵다고 들었습니다
현세대 991도 (ex 991 gt3,2 rs 전자장비 껏을때) 마찬가지라고 들었습니다
다만 그 탈출시 비교적 무거운 리어 하중에서 나오는 리어 트랙션이 엄청나다고 들었습니다. 하드코어 포르쉐들을 그맛에 탄다고 들었던것 같은데.. 카레라 모델들은 가벼운 프론트의 회두성..으루..모든 문단이 들었습니다라고 끝나네요 ㅎㅎ 포르쉐를 타본적이 없어서 ㅋㅋㅋ ㅠㅠ
개인적으로는 996GT2 나 997 GT2 모델은 선호하지 않습니다.
GT3계열은 오히려 저회전에서 약간 힘이 약할 정도의 느낌으로 출력이 갑자기 터져나오는 편이 아니라 출력이 고회전까지 쪼~옥 빨려나오는 느낌입니다.
RR 고유의 특성으로 당연히 리어하중의 도움으로 탈출트랙션이 엄청납니다.
안타보셨다는데도 잘 알고 계시네요.
해당 포맷(FMR) 인제 서킷 영상입니다.
메르세데스 SLS AMG 입니다.
ua-cam.com/video/ojMHB4rZnmI/v-deo.html
이런 고퀄 영상을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ㅜ 궁금한게 있습니다
BMW F30 3시리즈 330i(328i)도 홈페이지에 무게 배분이 50:50이라고 나왔는데, 4기통이기도 하구요 이것도 FMR이라고 볼수있을까요?
BMW 4기통 차량들은 e36부터 fmr 포맷으로 만드는 걸로 알고 있는데 엔진룸을 열어 쇽타워를 기준으로 운전석 쪽으로 안으로 들어와 있으면 fmr 포맷 입니다.
이정태 답변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그러한데 감독님
Amg gtr같은 fmr은 왜이렇게 무지막지하게빠를까요 뉘르상위랭크인데.....음
랩타임은 차량무게, 출력,타이어 종류를 고려하여 보아야 합니다.
ats 재밌습니다 ㅎ
스티어링조작보다 악셀로
운전해야되는차인가요
v6 세단에는 fmr 있나요?
캐딜락 CTS가 그나마 제일 FMR에 가까운 V6 세단입니다.
캐딜락 ATS-V도 그렇네요.
@@LeeMinjai1970
고맙습니다 :)
g37 세단도 v6 fmr입니다
복습합니다 차를논할때 포멧을알고논합시다
영상 잘 보았습니다 !
FMR차로 무리하면 난리 나겠네요..ㅋㅋ
최신 콜벳은 c8 말씀하신거죠?
C8은 RMR이구요 이전의 콜벳은 FMR입니다.
조만간 콜벳의 FMR 배치를 영상으로 올려드리겠습니다.
Lee MinJai 네 최신 콜벳은 fmr이 아니라고 하시길래 ㅎㅎ c7 어떨까 했는데 c8나온거 보니 콜벳은 몇년 더 기다려봐야겠더라구요 ㅎㅎ 7세대 고질병은 그렇다 치고 고알피엠 오토에선 안그런다는데 중저 알피엠에서 수동 패들 변속 속도가...
@@irvineoc4804 오토의 변속 속도도 조민간 직접 확인해보고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LeeMinjai1970 감사합니다 ㅎㅎ 영상을 많이 봤는데 변속이 엄청 빠른데 수동으로 조작하면 좀 그렇더라구요.. 중저알피엠에서의 업, 다운 쉬프트의 멍청함에 놀랐습니다.. ㅠㅠ
닛산 370z도 fmr?
아닙니다.
370Z는 전형적인 FR 입니다.
FR중에서는 2인승에 휠베이스와 차체의 길이가 짧은 편이므로 제법 빠릿한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역시나 한계 주행에서는 코너진입시 언더스티어가 심한 편입니다.
Lee MinJai
답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