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가난한 이유 f.김현성 『자살하는 대한민국』 작가 [신과대화]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6 тра 2024
  • 대한민국이 여러 부문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저출산과 관련되어 사회 시스템이 붕괴될 것이라는 우려가 강한데요. 지하자원이 없는 나라에서 인재만이 국력을 만들어낸다는 일념하에 이 사회를 지탱하고 성장시켜온 대한민국이 무려 '자살'하고 있다는 표현을 한 김현성 작가의 대한민국 진단과 해답에 대해 들어보시죠.
    📢 삼프로 앱에서 영상과 오디오를 한 번에!
    - 삼프로 앱이 "확" 달라졌어요! 영상을 시청하다가 자유롭게 오디오로 들을 수 있어요.
    -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지구본 연구소, 위즈덤 칼리지(구.일프로TV), 압권 등 모든 3PRO 유니버스의 방송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어요.
    - 지금 바로 3PRO 앱 또는 웹을 만나보세요!
    👉🏻 3protv.page.link/S7cX
    💎 각 분야 최고의 투자 마스터들과 함께 하는 '삼프로 멤버십'
    - 오직 멤버십 회원들만을 위한 비밀 콘텐츠
    - 품격있는 투자 소통이 이뤄지는 전용 커뮤니티 공간
    - 투자에 진심인 분들과 함께 건강한 투자 습관을 만들어 보세요!
    👉🏻 10일간 무료 체험하기 : bit.ly/3QmOuP7
    ❤️당부 말씀
    - 삼프로TV는 시청자의 다양한 해석과 의견을 존중합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비판과 평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하지만, 출연자에 대한 근거없는 비난, 욕설, 인신공격, 비하성 표현이 담긴 댓글은 안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삼프로TV가 건강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늘 감사합니다^^
    📢아래 프로그램은 3/4(월) 부터 [삼프로 머니]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삼프로 머니 바로가기 : / @3promoney
    -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中 월가 뉴스레터
    - 오프닝벨 라이브
    - 클로징벨 라이브
    -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 뉴스룸
    📺 평일 라이브 프로그램 안내
    [06:00-07:15]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글로벌 인터뷰)
    [07:15-09:00] 오늘아침 라이브 (뉴스3, 마켓 인사이드, 인뎁스60)
    [09:00-10:00] 오프닝벨 라이브
    [10:00-11:00] 맞동산 (부동산)
    [15:20-16:30] 클로징벨 라이브
    [16:30-17:10] 뉴스룸
    [17:10-18:00]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18:00-19:00] 퇴근길 라이브
    [19:00-21:00] 언더스탠딩
    🗂️ 영상에서 언급된 자료를 찾으시나요?
    웹사이트 : apps.3protv.com/original/pds
    모바일 앱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를 검색하세요.
    앱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오리지널] - [신의자료] 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3PRO 고객센터
    - (전화) 02-2118-0707, 010-3898-2324
    - (메일) edu.help@3protv.com
    - (1:1 문의 게시판) apps.3protv.com/myqna/write
    - 평일 09:00-18:00 운영됩니다.
    - 주말에는 메일 혹은 3PRO 앱/웹에서 1:1 문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즈니스 문의 채널 안내
    - 광고/협업/유튜브 제작대행 문의 : (메일) ad@3protv.com, (전화) 010-2090-6748, (설문지 제출) url.kr/yi4rpg
    - 전문가(연사) 섭외 및 기업교육 문의 : (메일) edu@3protv.com, (전화) 02-2118-0096, (웹사이트) zrr.kr/lRQq
    - 언더스탠딩 문의 : (메일) gygesring@naver.com
    - 삼프로TV IR 문의 : ir@3protv.com
    📢사칭 주의
    -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 출연자는 문자메시지/카카오톡/전화/텔레그램 등을 통해 절대 개인적인 투자권유 및 리딩방, SNS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КОМЕНТАРІ • 870

  • @3protv
    @3protv  Місяць тому +164

    대한민국이 여러 부문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저출산과 관련되어 사회 시스템이 붕괴될 것이라는 우려가 강한데요. 지하자원이 없는 나라에서 인재만이 국력을 만들어낸다는 일념하에 이 사회를 지탱하고 성장시켜온 대한민국이 무려 '자살'하고 있다는 표현을 한 김현성 작가의 대한민국 진단과 해답에 대해 들어보시죠.

    • @mookdo123
      @mookdo123 Місяць тому +8

      오피니언 리더들이 고민해야 할 부분이 이런 거시적 장기 전략적 관점과 부분 통합적 사례를 통한 고민과 대안 모색이라는데 참 빼어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 @dh5556
      @dh5556 Місяць тому +16

      걱정하는척 하면서 어그로 끌려고 하는 저런 제목에 화가 나네요. 지는 살만 하면서 저런 적극적인 제목으로 젊은 세대에게 너네는 희망이 없다고 가스라이팅하는거 같아요. 저런 사람은 섭외하지 마세요. 제목만 봐도 화가 나네요.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해야지..저런 제목은 뭐하자는건지.. 자기 자리에서 열심히 살아가는 젊은이들도 많습니다.

    • @callcallnet
      @callcallnet Місяць тому

      지하자원은 북한에 많지

    • @user-zv8fk8cq5j
      @user-zv8fk8cq5j Місяць тому +30

      @@dh5556 그만큼 심각한 상황이라는것이고 직시하라는 제목이지요? 현실을 도피하지마세요

    • @drhbxscb
      @drhbxscb Місяць тому +11

      그냥 대단히 새로운 인사이트도 해결책도 없는
      동어 반복적인 이야기에 자극적 제목 붙여서 책팔러 나온 거지. 이런 걸 뭘 듣고 앉아있냐

  • @user-oj3cu7nk6n
    @user-oj3cu7nk6n Місяць тому +334

    저출산은
    지금까지 한국이 가지고 있던
    구조적 모순(경쟁, 비교, 양극화 등)에 대한
    해결책으로 나온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uu8be2fz7v
      @user-uu8be2fz7v Місяць тому +24

      오. 이런게 창의적이고 제대로 된 답안이지.

    • @and6862
      @and6862 Місяць тому +15

      일이 이리되니 저출산을 찬양하는 인간들 나오는구나...거의 사이비 종교나 다름이 없다 세상 망하길 두손모아 바라는
      진짜 저출산이 해결책이라 생각하면 자기스스로 인구 1을 줄이는게 먼저다.

    • @moonster1632
      @moonster1632 Місяць тому

      @@and6862선착순 모집중

    • @user-ht8wq1yx8r
      @user-ht8wq1yx8r Місяць тому +28

      창의고 뭐고 당연한 거.
      농수산, 조선업 같은 1, 2차 산업들 봐라. 직업에 귀천이 존재하니, 이미 외국인 없이는 안돌아가고 앞으로 한민족 없는 한국이 되겠지.
      그 날이 올때까지 서로 손가락질이나 할 듯

    • @10bagger81
      @10bagger81 Місяць тому +17

      @@and6862 그분이 1뿐만 아니라, 님까지 2 줄이신다네요

  • @chumlee225
    @chumlee225 29 днів тому +195

    그냥 국민수준에 맞는 국가수준인 겁니다
    투표만 봐도

    • @tonychoi5425
      @tonychoi5425 27 днів тому +28

      정확하신말씀이십니다,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 @Percy-rf6uz
      @Percy-rf6uz 27 днів тому +20

      맞습니다. 사실 개혁해야 한다 바꿔야 한다 외칠 필요가 없습니다. 미봉책도 아닌 무대책으로 30년이 지났습니다. 국민 스스로가 선택한 길입니다. 슬퍼할 필요도 동정할 가치도 없어 보입니다. 때가 되면 자연스럽게 일어날 일은 일어나겠죠.

    • @user-gq1xj5tk1d
      @user-gq1xj5tk1d 27 днів тому +5

      이것이 관통 ㅋㅋㅋ 꿰뚫었다 ㅋ ㅇㅈ

    • @user-mb5fd4dv5m
      @user-mb5fd4dv5m 26 днів тому +9

      맞아요 결과가 룬통령 지도자😮

    • @unik7085
      @unik7085 26 днів тому +29

      @@user-mb5fd4dv5m 범죄자 대표 둘을 보고도 이 정도 인식 수준을 보여주네요. 국민 수준을 딱 보여 주는 샘플

  • @lukeskywalker9681
    @lukeskywalker9681 29 днів тому +63

    양극화도 심각한 문제지만, 가장 근원적으로는 우리나라 부모들이 '행복'하지 않은 것이 미혼과 저출산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본다.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가장이나 맞벌이 부부는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일을 한다.
    남들보다 더 열심히, 더 오래 일해야 돈을 벌고 그 결과 미래에는 행복해 질 수 있다고 믿는다.
    그래서 현실에서 그들은 항상 피곤에 절어있고, 비슷한 나이에 더 행복해 보이는 사람들에게 피해의식을 느끼고 있으며, 항상 불행하다.
    이게 당연하다고 생각한다면 당신은 한국인이다.
    내가 일 때문에 프랑스에 1년 가까이 출장나가 있는 동안 가장 쇼킹했던 장면은 해가 질 무렵 인도 위에 이불을 깔고 잘 준비를 하던 한 노숙자 가족을 봤던 것이다.
    단순히 가족 단위로 노숙하는 것 자체도 놀라운 일이었지만, 더 놀라운 사실은 웬만한 우리나가 가족보다 더 화목해 보였다는 것이다.
    부모는 아이들을 챙기고 있었고, 아이들은 해맑게 웃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이런 말을 하면 그건 아이가 어려서 세상 물정을 몰라서 그렇다던가, 가스라이팅 당한 것이라던가, 부모가 무책임하다던가 등 엄청난 비판이 이어질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행복은 사회가 그 기준을 정해주기 때문이다.
    그렇다. 우리 나라 사람들은 개인의 행복에 대한 감각이 없다.
    내가 행복하려면 무조건 평균 이상, 남들이 누리는 것 이상을 누려야 한다.
    즉 우리나라에서 행복은 개인적인 감각이 아니라 사회적인 감각이고 상대적인 감각이다.
    항상 남의 눈치를 보고 비교하기 때문에, 주변에 누군가, SNS 상에 누군가, TV에 나오는 누군가가 나보다 행복하게 사는 것 같으면 자신은 불행해진다.
    그래서 일반적인 직장인인 부모들은 항상 불행하고, 그런 부모의 불행감을 느끼며 자라온 아이들은 더욱 불행하며 불안하다.
    그런 불행감을 느끼며 자란 아이들은 성장한 후에 결혼하고 아이를 낳는 것을 꺼리게 될 수밖에 없다.
    부모가 불행했고, 그 때문에 자신들이 불행하며, 그 결과 자신의 자식들이 불행할 것이 눈에 뻔히 보이기 때문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만 바라보면 왜 우리나라는 소멸되고 아프리카에서는 인구가 급격하게 팽창하고 있는지 잘 설명할 수 없다.
    우리 모두는 행복하게 살고 싶어하고, 나의 자식도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게 되길 소망한다.
    당장 자본의 유무와 직장 선택에 따른 소득의 양극화를 해소함과 동시에, 행복에 대한 가치관의 다변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국가 소멸은 멀지 않아 보인다.

  • @ssh2432
    @ssh2432 Місяць тому +234

    "한국에서는 결혼 자체가 부모가 자식한테 주는 선물같은 게 된거라고 저는 보고 있거든요."
    너무 공감합니다.

    • @kusankr
      @kusankr Місяць тому +6

      또 조상 탓

    • @user-rz9tx1bx5f
      @user-rz9tx1bx5f 29 днів тому +4

      중산층 이상 부모가 지원해주는 거 보고 일반화 노노

    • @dbwodjwofbejbf
      @dbwodjwofbejbf 27 днів тому +2

      (이혼율 53%)

    • @user-wk9mq9vh1b
      @user-wk9mq9vh1b 25 днів тому +5

      남탓만 하는 세대

    • @dustjdbs75
      @dustjdbs75 16 днів тому

      이혼하면 부의 재분배네? 바람직 ㅋㅋㅋ

  • @terryra7389
    @terryra7389 Місяць тому +95

    나라의 근간이 되는 교육제도, 거기서부터 사회 전반에 퍼져나가는 치열한 경쟁. 나라 자체가 경쟁에 도태되면 곧 사회적 죽음이라는 생각을 심어놓다보니 모두가 살기 위해 게임에 참가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습니다. 우리끼리 싸우고 비교하고, 정신적으로 피폐해지고.
    이제는 저출산부터 시작해서 젊은이들이 취업을 포기하기 시작하고 나아가 삶 자체를 포기하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이란 것은 바로 모든 것을 포기한 하나의 젊은이 세대를 잃어버렸다는 뜻입니다. 그들은 그대로 4050으로 늙어버렸고 그러한 과도기를 지나 일본은 그 다음 세대라도 살리려는 노력을 꽤 일찍부터 시작했습니다. 우리나라도 잃어버린 젊은이들이 이제는 30대가 되어버렸고, 다음 세대라도 살릴 고민을 해야 할 때인데(교육제도 개혁, 양극화 해소) 국민연금 투표나 의대증원 문제 및 건보재정 악화현상 등으로 보아 나라의 주류를 이루는 계층들은 그럴 생각이 없어보이죠. 저출산 진행도 보면 일본뿐 아니라 그 어떤 선진국에서도 볼 수 없었던 속도입니다.

  • @user-sj5fy6jc9r
    @user-sj5fy6jc9r Місяць тому +193

    20-30대초반의 재산이 어느정도일까요? 의사들도 30대중후반이 넘어야 돈을 제대로 벌 수 있어요. 그러니 부모 재산 없이는 결혼이 어렵다는거 정확한 판단이라고 봅니다.
    인터넷 상에는 다들 500-1000만원 번다고 하는데 현실은 20대는 월소득 200만원대가 대부분이고 30대초반이 되어 대기업을 가도 300만원대인데 어떻게 2-5억의 집을 구할 수 있을까요?
    부모지원 없이 300-400만원의 소득이 있어도 1년에 1000만원 모으는 것도 잘하는겁니다. 거기다가 부모가 아프면 사실상 돈 모으는건 불가능하구요.
    그러니 부모의 재산 없이는 사실상 결혼이 불가능하다는거죠.

    • @wiseperson4071
      @wiseperson4071 Місяць тому +20

      동의합니다

    • @won6067
      @won6067 Місяць тому +20

      거기다 한국여자들 마인드는 어의가없죠

    • @user-tq2kz7uu6y
      @user-tq2kz7uu6y Місяць тому

      ​​@@won6067어의가 아니고 어이이고, 여자마인드를 이렇게 만든건 농경사회가 만든 남아선호사상이다. 낙태중절로 죽여좋고 향후 남자애들만 잔뜩 태어났으니 얼마나 콧대가 높겠냐? 모든게 희귀해지면 비싸지는게 자본주의 속성이다. 니가 태어나기위해 얼마나 많은 여자아기들이 죽었을지 생각해보고 여자탓하지말고 열심히 살아라

    • @user-lx4wg8vd5t
      @user-lx4wg8vd5t 29 днів тому +20

      @@won6067 어이 입니다

    • @user-jq1ex7ec9h
      @user-jq1ex7ec9h 29 днів тому +15

      @@user-nn1bk6ur7b 원래 짝짓기는 경쟁이라 비교는 당연한거고, 결혼출산은 혼자서 못하는 건데, 없으면 없는대로 어떻게 하나요? 없으면 없는대로 무성생식이라도 하실려나요?

  • @yunilee1004
    @yunilee1004 Місяць тому +22

    유착관계가 많아서 개혁이 못일어나는 것 같아요... 이미 권력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이해관계가 얽힐대로 얽혀있을테니까요.

  • @__foodman35__
    @__foodman35__ Місяць тому +166

    너 말고도 일할 사람 많다며? 사람 알기를 ㅈ으로 보고 존중하지 않은 그 결과지 ㅇㅇ 뿌린대로 거둔다

  • @sky_OoO_b
    @sky_OoO_b Місяць тому +53

    정말 50분 내내 제가 생각해오던 것들을 같은 관점에서 이야기 해주셔서 바로 책 구매했네요.
    진짜 현재 대한 민국에 가장 필요하고 많은 사람들이 봐야할 영상인거 같습니다.

  • @uraduraoh
    @uraduraoh Місяць тому +41

    과거의 발전공식이 부메랑이 되어 나 자신의 목을 치는 형국이 된거라고 봅니다. 싹 다 뜯어 고치지 않으면 안된다고 보고 가령 사지선다형 시험제도 하나만 고쳐도 좋고 기업본사의 강제적이전도 좋고 사립대학부속물이 내려가지말고 본부가 내려가도록 모든 부문에서 과거공식을 뒤집는 혁신이 있어야 미래가 있다고 봅니다.

    • @jaeyonglee296
      @jaeyonglee296 Місяць тому +1

      한반도에서 5천년을 숨죽이고 산 민족이 그렇게 쉽게 바뀔 수가 있을까요?

  • @sejin2892
    @sejin2892 Місяць тому +14

    권팀장님 우리가 그동안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에는 운좋게 1등 나라를 등에 업었다 눈치를 잘 봤고 시류를 잘 탔다라고 볼 수 있는 부분도 있죠. 언제나 항상 그 운이 나를 따라 다닐지는 알 수 없지만

  • @MP-tl5ri
    @MP-tl5ri Місяць тому +104

    국회의원 직업 출신별 비율을 보면 양극화 안되는게 이상한 것임.

    • @mosesl3105
      @mosesl3105 Місяць тому +10

      원래 먹고 살만한 놈들이 정치하려고 나서서 그럼.
      그리고 노동자 출신은 소수이니 그런 정치판에서 살아남기도 어렵고

    • @cualcualcual
      @cualcualcual Місяць тому +8

      노동자출신이 가난한 사람들을 부유하게 해줄까부터가 에러

    • @user-tp5sq7ae8e
      @user-tp5sq7ae8e 25 днів тому

      @@cualcualcual바보?

    • @younglee9411
      @younglee9411 16 днів тому

      못사는 사람들이 앞서서 부패집단을 먼저 뽑아주는 사회이니 님의 해석은 꼭 맞다고 할 수 없겠네요.

  • @haemin8759
    @haemin8759 Місяць тому +74

    한국은 IMF 이후로 노동의 가치는 땅바닥으로 떨어지고, 쉽게 돈버는데 수단과 방법을 총 동원하는 사회가 문화처럼 자리잡았다고 생각됩니다. 그냥 어디가서 밥을 먹든 술을 먹든 주위에 들리는 얘기가 전부 쉽게 어떻게 돈을 벌고, 누가 얼마를 벌었고 하는 이런 얘기들만 난무하는 것이 한국인의 가치는 그냥 돈이란 것을 증명해 주지 않나요?

    • @user-xg5ke8df8y
      @user-xg5ke8df8y Місяць тому +5

      이중잣대...지는 아침부터 밤까지 돈벌려고 돈돈하는×이
      "너는 돈밖에 모르냐"라고 내로남불.
      남의 덕이나 보려는걸 수치로 생각하지 않는 인간들 이건 또 뭘까...정말 궁금한 뇌구조??

    • @user-mc4gq6ko5d
      @user-mc4gq6ko5d 20 днів тому +5

      돈이 있어야 살아 남으니까요. 같은짓을 해도 돈있어야 무죄받고! 누가 퇴직금이라며 50억 갖다주고. 이나라는 돈이있어야 인간대접 받으니까.

    • @hyunaein5884
      @hyunaein5884 11 днів тому

      @user-jk9cu5mn3w 극한 경쟁 구조가 낳은 현상같습니다.
      늘 불안하고
      늘 비교하고
      잠도 부족하고
      신경이 예민해지고...
      문득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충분한 수면이 필요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

  • @ell6187
    @ell6187 29 днів тому +12

    입시과열,의대집중,사교육 과다지출 등의 한국교육의 어두운 면의 가장 큰 핵심 문제는, 말씀하신대로 안정적인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직업이 없다는 사회시스템이 원인이죠. 부모는 자식이 경제적,사회적 안정적 삶을 살기를 당연히 바라기에 그런 삶을 살 수 있을거라 예상가능한 직업이 여전히 몇가지 밖에 없으니 부모도 교육방향의 선택의 범위가 좁을 수 밖에 없고 사교육은 여전히 과다지출,입시위주 경쟁이 없어질 수가 없죠. 그로인한 청소년들의 희망없고 무기력한 경쟁분위기와 정서악화,우울증,OECD중 확고부동한 1위의 자살률 ...소득불안정으로 결혼,출산 거부 등등...연쇄적이고 반복적인 악순환의 구조.

  • @HFCKOREA
    @HFCKOREA Місяць тому +34

    뜬구름 잡는 소리 할 줄 알았는데 데이터와 수치를 제시 하면서 정확한 현 상황을 파악 해주니 정말 신뢰 라는 한 시간이었다. 정말 대단한 사람이.

  • @user-qp5xw9oz7y
    @user-qp5xw9oz7y Місяць тому +18

    팩트는 이 상태로 가면 지금 이 시점이 대한민국에 최 정점이고 이제 내려갈일만 남았다는 것
    뭔가 바뀌지 않는 이상 이 나라는 희망이 없네요.

    • @user-rq4uq7mv5t
      @user-rq4uq7mv5t 29 днів тому +4

      맞아요 한국 역사의 최대 정점은 이제 지났거나 지금 정도.. 씁쓸하네요 함께 즐기고 박수칠 때 떠나는게 아니라 이걸 기회삼아 떵떵거리는 데에나 신경쓰는 사람들이 많아서...

    • @gunnersim9626
      @gunnersim9626 29 днів тому +6

      이미 나락는중입니다
      회복은 불가합니다
      지금은 솔직히말하면 북한이랑 전쟁 또는 통일밖에 성장할수잇는길이 안보이네요..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JinnYoungKim
      @JinnYoungKim 29 днів тому +1

      ​@@gunnersim9626통일은 오히려 예멘이나 독일꼴 나오죠

  • @user-ln3iz7tf9w
    @user-ln3iz7tf9w 28 днів тому +9

    정말 말씀하신 부분들이 어느정도 이해는 갑니다. 문제는 서로 타협하고 협의하는 문화인데. 이게 참 어렵네요. 내가 먼저 내놓는 것...조금씩 실천해 보려구요.

  • @user-wd1jd4bj2z
    @user-wd1jd4bj2z Місяць тому +30

    정확하게 지적하는거같음 좋은대학 못나왔다고 자살하는 고등학생 뉴스에 연일나오고
    나도 좋은대학못가서 자존감 파괴 편입준비 공무원준비 그리고 실패
    한국은 힘든사회가맞음
    공부실패하면 자살or 포기하는삶 or 다른엄청난노력 3개중에 하나임
    너무 인생이 20살에 다결정나는거같음

    • @user-mc4gq6ko5d
      @user-mc4gq6ko5d 20 днів тому +2

      미쿡영화보면 3시쯤 다 놀고 있던데. 공부안해도 넘 즐거워 하고🙂 부럽다

  • @gsm479
    @gsm479 Місяць тому +99

    끝났다고 봅니다.
    희망이 없어요.
    1%도...

  • @Sinclair046
    @Sinclair046 Місяць тому +99

    이 나라는 정의가 무너졌다

    • @Eziekel10
      @Eziekel10 28 днів тому +14

      정의로웠던 기간이 별로 없었지…

    • @iwillretrograde
      @iwillretrograde 26 днів тому +4

      정의가 뭔지 정의해보세요.

    • @user-dz9sv8pn4g
      @user-dz9sv8pn4g 25 днів тому +1

      @@iwillretrograde 대부분의 사람들이 옳다고 생각하는것이 정의죠.

    • @user-lq3gu8fu6k
      @user-lq3gu8fu6k День тому

      ​@@user-dz9sv8pn4g그러면 가장 정의로운 국가는 중국, 북한이겠네.

    • @user-dz9sv8pn4g
      @user-dz9sv8pn4g День тому

      @@user-lq3gu8fu6k 중국,북한이 국민들이 원하는대로 사회가 돌아가고 있나요? 독재는 절대로 정의가 아닙니다.

  • @peterhan4173
    @peterhan4173 27 днів тому +37

    대학입학시험 단 한번의 기회로... 학벌을 가지고 한사람의 인생이 결정되는 나라가 정상적인 국가인가?? 자국에 미래와 가치가 없으니 죄다 해외로 눈을 돌리는듯... 투자건, 결혼이건, 여행이건 과연 좋은 현상이라고는 보이지 않는다. 자국에 대한 긍정적인 미래와 가치가 있다면 굳이 해외에 눈을 돌릴까? 😅 국내 정치인들은 수준도 그렇고 집값떨어질까바 묻지마 투표하는 현 국민들 수준만 보아도 탈조선이 답인듯...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노력도 1도 없고 그많은 국민들 세금으로 더낳은 국가 건설은 안하고 건설사들 일감나눠주기만 하는 반복속에 결과는 최근 세계적망신된😅 잼버리 사태... 저출산문제도 근본적인 원인은 규명안하고 항상 총대맬 책임질 사람만 찾고있음. 청년들입장에서는 노예를 생산 안하고 싶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입니다. 로스쿨과 의학전문대학원 시스템을 만든 현 기득권층의 작품만 보아도 공정한 시스템에서 자녀가 성장이 불가능함을 의미함... 수능시험 자체도 수시비율이 현저히 높은것 강남8학군 학원가 쪽집게 과외받으면서 심지어는 컨설팅 업체통해서 없는 상장에 공모전 스펙도 돈으로 만드는 사회시스템에서 과연 출산을 하고 싶을까요?? 교육시스템 부터 공정하지가 않죠. 이것부터 뜯어 고치는게 출발점이고 정치인들 공무원들이 국민을위한다는 마인드와 청렴도 없이는 그냥 소멸만이 남은것으로 보입니다.

  • @user-vy1hp8vu8f
    @user-vy1hp8vu8f 23 дні тому +6

    출산율을 걱정하는것 또한 본인들의 기득권 지위 상실 우려때문 아님?

  • @guyabong1590
    @guyabong1590 22 дні тому +6

    오직 대학 간판을위해 기술직을 천시하고 어린이부터 경쟁해서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어린이를 만드는 한국사회인데 왜 젊은이들이 가정을 안만드는지 포괄적으로 들여다봐야함. 부모의 증여 능력이 결혼을 좌우하는건 너무 편협한 생각임 부모가 여력이 있어도 연애를 안함 그리고 프랑스는 싱글이 애를 넣아도 따가운시선이 없지만 한국은 애를 낳기위해서 결혼이란 단계를 반드시 거쳐야함

  • @user-mq4mb1ib3s
    @user-mq4mb1ib3s Місяць тому +127

    해결책은 아는데 실행하려고 하지 않는거임

    • @nwkimnwkim
      @nwkimnwkim Місяць тому +17

      그렇지 그렇지 다이어트 해야 되는데 건강한 삶의 방식을 지향할 의지는 없음

    • @user-nj3dy9we3d
      @user-nj3dy9we3d Місяць тому +6

      정답

    • @doltwe4891
      @doltwe4891 Місяць тому +5

      목표지점은 아는데 가는 방법을 모를뿐

    • @youtubemoon-fj8tn
      @youtubemoon-fj8tn Місяць тому +11

      기득권

    • @user-sj5sx1ny1y
      @user-sj5sx1ny1y Місяць тому

      근데 능력도 없는거 같긴 해.

  • @user-wk9mq9vh1b
    @user-wk9mq9vh1b 28 днів тому +28

    서울기업을 지방이전시 상속세면제는 와 진짜 좋은방법인거같아요 👍👍생각지도 못했네요 김현성을 국회로!!!

    • @user-bo3bp1xg9h
      @user-bo3bp1xg9h 27 днів тому +5

      진짜 좋은 방법 이네요
      지방 일자리도 창출되고

    • @user-fj7kz5tm9b
      @user-fj7kz5tm9b 25 днів тому

      나도 찬성요
      아이디어 끝내줍니다

    • @jeongminji3610
      @jeongminji3610 23 дні тому +2

      전라도는 일단 제외하고 나머지로 가면 될거같아요

    • @user-xy1eb2fb4p
      @user-xy1eb2fb4p 23 дні тому +1

      @@jeongminji3610 도라전은 뺴야죠~~

    • @user-rc9bl7ji9x
      @user-rc9bl7ji9x 23 дні тому +3

      이거 진짜 좋은 정책임 정말 저런 정책을 발의한 정치인이라면 무조건 뽑아야함

  • @pearlb3
    @pearlb3 28 днів тому +8

    급성장하면서 오로지 성장만을 위해 달려온 '성공신화'에 뒤따르는 부작용 현상이라는데 동감해요. 밥 빨리먹다 체한 모양새랄까. 일등할 생각보다 체한거 푸는게 중요하지 않을까.

  • @user-fh6zm5xy8b
    @user-fh6zm5xy8b Місяць тому +56

    각 분야에서 제약 안 받고자유롭세 문제점 개선 사항을 들어보고 현실적으로 개선하면 답이 나 온다..살아보니 모든 문제해결은 솔직함과 단순함이다.

    • @user-my1of9lv3l
      @user-my1of9lv3l Місяць тому +3

      세금 증식을 할수없다고 했듯이 한국은 지역 통화를 사용하는 나라이기에 정부가 요즘 보듯,,,
      정부가 빚을 미국이나 일본처럼 지속적으로 낼수 없기에 세수 부족으로 저성장으로 갈수밖에 없다,,
      돈이 없다는 것은 한국 돈이 없는 것이 아니라 달러가 없기에 담보 부족으로 원화의 통화량을 늘려갈수 없다는 의미 일것이다,,

    • @user-tf9me8sg7z
      @user-tf9me8sg7z 12 днів тому

      제가 살아보니 최악이더라도 빚은 없어야 하는거 같음 우리나라 경제위기터져을때 아무리 죽을거 같이 힘들어도 개인이 빚이 없엇음 그래서 버틸수 잇엇는데
      어느날부터인가 카드장려하는 시대가 되버렷음 그리고 돈을 너무나 쉽게 취급하게되고 부동산폭등이 그때부터 시작되어죠 내젊은 시절 제일 기억남는사람이 경제위기때 10만원안빌f려준 사촌형님과 당신같은 사람에게 100만원 빌려줄 돈없다고한 사채업자 그분덕에 인생에 빚을 줘본적없어던거 같음 작은목표를 이뤄을때 그성취감,에 지금까지 버틴거 같음

  • @user-zs2pl6sv2o
    @user-zs2pl6sv2o 22 дні тому +17

    -이미 멸망이 확정된 나라다,
    저출산 문제 해결불가능 하다는거 다 알잖아?
    이제는 마음의 준비를 할 때다.
    욕심부리지 말고 비교하지 말고,
    작은 것에 만족하면서 오늘을 즐겁게 살자,
    마지막 순간에 "참 좋은 인생이었다." 라며
    웃을 수 있게.

  • @nellylee4356
    @nellylee4356 22 дні тому +31

    노동시간이 너무 김. 노동 생산성도 이거랑 같은 맥락일것임. 아이 없는 부부인데 하루에 2시간에서 3시간도 서로 대화를 하기가 어렵다. 빨리 밥차려먹고 씻고 공부할거하고 기절하듯 잠든다. 대기업임에도 나는 야근 안한다고 압박을 받았다. 동료 남직원들이 야근을 하니까. 이런 상황에 아이를 기를 방법이 없다.

    • @user-fc9eb3te2t
      @user-fc9eb3te2t 14 днів тому

      이유가 너무 많은듯 한국식 비교하며 까내리기 문화 + 5060들의 이기주의 + 부동산 울타리 강화 특히 서울 5구 + 초중고 커리큘럼 자체가 인간 자원에 초점만 맞추고 시민의식을 키우는 것에는 관심이없음 = 한국은 마치 호나유지뉴 리즈시절 짧지만 인상적

  • @ourinvestory
    @ourinvestory Місяць тому +46

    과거의 잘못된 선택이 오늘의 결과를 만든다 누적된 한국인들의 잘못된 선택이 오늘을 만듬

  • @user-wh8wo9wy1y
    @user-wh8wo9wy1y Місяць тому +22

    아들 필리핀에 보냈더니 초등졸업후에 학교안다닌다고 하네요 강압적 으로했다가는 큰일날것같아 긴대화끝에 허락했습니다
    아들 교육비로 준비한거로 필리핀에 집사고 식비외엔 특별이 들어갈게없어
    저도 일 그만하고 3식구
    봄가을 청주
    여름겨울 필리핀에서 거주합니다

  • @user-md1kl5ou8f
    @user-md1kl5ou8f 22 дні тому +6

    리더가 잘못 끓고 가면 그 나라가 힘든것은 사실이지?

  • @avapark1530
    @avapark1530 24 дні тому +7

    일본은 잃어버린 30년을 버틸 수 있었던게 가계는 건전해서였는데 우리나라는 가계 부채가 심각하게 높다. 침체기에 우리나라가 버틸 수 있을지 모르겠다.
    대기업들이 욕심을 내려놓고 같이 사는길을 택해야 하는데 그럴 재벌 총수는 없다. 국민세금을 어떻게 뽑아먹을지 궁리만 하고 있겠지. 그래서 대한민국은 답이 없다.

  • @drfunkenroll
    @drfunkenroll Місяць тому +20

    나도 힘드니까 너두 힘들어야 한다며 서로 아귀다툼하는 국민성. 자업자득

  • @user-jm4io2wy3h
    @user-jm4io2wy3h Місяць тому +35

    와 이분 통찰력 엄청나시네
    어떤 전문가도 거론하지않고 못했던 문제를 엄청 논리적으로 풀어서 자세히 설명하시네
    듣는 내내 엄청 공감되네

  • @benjamink8473
    @benjamink8473 29 днів тому +5

    한국에서 결혼은 부모가 해주는 선물이라는게 딱 알맞은 표현같네요
    한국은 원래 각자도생 해왔고 그 예로 맘카페를 들어주신 부분도 좋았습니다
    역사적으로 한국은 정신적 가치와 명예를 중시해왔고 개개인들이 주변인들에게 정보를 주고받으며 응답하라1988을 보면 알 수 있듯 상부상조하며 그나마 유지돼왔다고 생각합니다만 IMF를 기점으로 돈과 이기심이라는 가치가 최우선순위가 되버린게 크다고 봅니다
    지도자들도 열심히 한건 맞지만 따라와주는 국민들이 똑똑해서 지금까지 온거라고 봅니다
    그리고 중간에 정책입안자들이 추진하려다 정권이 바뀌어서 엎어지는 사례를 예로 드셨는데 정말 절실한 생각으로 대통령 4년 중임제로 바꿔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현 정권처럼 역량이 모자라면 4년만 해야지 5년은 너무 기네요..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 @dddjj2627
    @dddjj2627 Місяць тому +23

    결혼이 진짜 비싸

    • @user-xv8dk5db5s
      @user-xv8dk5db5s Місяць тому +6

      싸게 하면되죠. 누가 비싸게 하라고 강요하진 않잖아요. 결국 남눈 의식하는거죠.

    • @user-iw5rv7ne2e
      @user-iw5rv7ne2e Місяць тому

      @@user-xv8dk5db5s 넌 꼭 500만원만 주고 해라 청첩장 보내놓고 욕처먹기 딱 좋겠다 니는

  • @user-uo5ov5jd5r
    @user-uo5ov5jd5r Місяць тому +51

    우리 사회의 출산률 입시 노인 빈부격차 지역균형 등 모든 것의 문제점 2가지.
    1. 노동 공급이 많다.
    2. 노동 수요가 적다.
    매우 당연한 얘기다. 아래 글은 위 주장에 대한 나의 생각이다.
    첫 번째 이유. 일자리 대비 사람이 많아서 그렇다. 사람이 많아서 인건비가 낮게 책정되도 일할사람이 많음. 그래서 한계기업들이 살아남는 상황. 망해야하는 기업은 망해야함. 망할기업이 아무 노력하지 않고 그 자리를 먹고있을 수 있는 이유가 인건비가 싸서. 싼 이유는 일자리 대비 사람이 많아서이다. 결국 인건비가 오르면서 한계기업이 망하고 그틈을 생산성을 높인 젊은 기업들이 들어가야 부가가치가 올라감.
    두번째 이유. 고부가가치 일자리 공급이 안되서. 그 이유는 보수적인 정부와 정책때문.(기업인-정치권력과의 커넥션 때문에 개혁이 일어나기 힘듬) 고부가가치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첫 번째 이유에서 말한 기업의 순환으로 인한 효율성 개혁이다. 결국 인건비가 올라가면서 훨씬 효율적인 방법으로 망하는 기업을 대체해야한다. 이렇게 출산률이 낮아지기 전에 정부 정책이 이런 개혁을 잘 해냈어야했다. 지금은 관료주의 책임회피로 국가를 운영한다. 기존 기업들도 국가 검찰 등의 인맥으로 살아남는 기업이 많아진다. 새로운 효율적인 기업을 설립해도 이런 커넥션의 부재로 일감을 찾기 힘들다. 그리고 기존 기업들의 비효율적인 운영과 원리를 무시하는 주먹구구식 기술 개발 및 운영으로 결국 효율성이 낮게 된다. (기존 기업인들 중 기술개발에 진심이지 않은 사람들은 커넥션으로 어떻게든 운영하려한다.)

  • @user-bb9oo5is3j
    @user-bb9oo5is3j 21 день тому +4

    금융후진국 현주소입니다.
    부동산만 신나게 빚내서 부동산구매한댓가를 수십년간받게될겁니다

  • @user-wv5mx4vw3l
    @user-wv5mx4vw3l Місяць тому +77

    사교육, 골프, SNS. 비교, 타인의 시선 의식 ,허례의식 모두 삶을 피폐하게 만듭니다.

    • @rockugotcha
      @rockugotcha Місяць тому +9

      강의 듣기 전이나 후나 똑같은 얘기 되풀이한다면 왜 전문가 얘길 들었을까요.

    • @MP-tl5ri
      @MP-tl5ri Місяць тому

      @@rockugotcha 강의 들은 후 본인의 다른 얘기를 먼저 한후 되풀이 한다고 언급하는게 먼저 아닐까요?

  • @ljs2358
    @ljs2358 22 дні тому

    좋은 컨탠츠 감사합니다!

  • @user-or4ix6ei3r
    @user-or4ix6ei3r Місяць тому +10

    예전에는
    허례허식 규제도하고 눈치도 보던 시절이 있었는데 요새는
    오로시 과시하고 본다

  • @instarall1579
    @instarall1579 Місяць тому +13

    사회공동체가 부담해야는데..각자도생하게 내버려두니까 나아질 수가 없죠..그러니 금수저만 결혼하고..나머진 자신만 책임지기도 모두가 벅차니...이 상태론 나아질 기미는 없죠..자산배분에 적정성 양극화 해소 저렴한 공공주택 확대..그리고 교육의 기회균등..답이 없는게 아니라 내거 내놓기 싫어하는 모두의 이기심...

  • @sjlee318
    @sjlee318 29 днів тому +41

    애기만들려면 결혼해야하는데 나라에서 도와주지도 않으면서 부모가 도와주면 증여세내라고 통장검사하고 있으니 정말 한심합니다!

  • @a_country_bachelor
    @a_country_bachelor 26 днів тому +5

    저출산은 과거같으면 은퇴하고 물러나야될 나이에 수명이 늘어나면서 길어진 노후때문에 온갖명분을 다갔다붙이면서 은퇴를 미루고있으니 그들이 알게모르게 누리던 사회적 지위 이득 이권 같은것들이 다음세대로 전달이 안되고 정체되어있으니 먹을게 줄어든 다음세대는 덩치를 줄일수밖에😅 베이비부머 세대가 어지간히 많이 태어났어야 말이지 그시절 출산율 6 이상 찍으면서 태어나 그 많은 세대들이 은퇴를 못 하고 자리를 차지하고있는데 얼마나 정체 되어있겠나

  • @user-ir8fv9pr5q
    @user-ir8fv9pr5q Місяць тому +5

    위를 끌어내릴 것이 아니라 밑을 올려야 할 텐데, 위를 끌어내리지 않고 밑을 올리는 것은 불가능한 것인가

    • @user-yv4rd7ht6o
      @user-yv4rd7ht6o 29 днів тому +2

      어렵지 않을까요 어느 나라를 봐도

  • @blanc1971
    @blanc1971 Місяць тому +27

    세상을 살아보니 말입니다.

    모든사람들은 자신을 둘러싼 주위 사람들에게는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려고 행동하고 말하더군요.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100%는 그렇다고 봐요.

    하지만 이사람이 진정으로 좋은 사람인가 올바른 사람인가를 볼려면 자신과는 이해관계가 없는 타인에게 어떻게 행동하고, 말하고 생각하는지 보면 알겠더라구요.

    본인들은 잘 모를수 있어요.
    가식이 반복되면 진실이라는 착각에 빠지니까요.
    ​외국인은 경험해보지 못해서 모르지만 한국인은 다 그렇더군요.🤔🇰🇷

  • @user-qz1db2fh5n
    @user-qz1db2fh5n Місяць тому +33

    결국 식료품 가격의 하락을 목표를 움직여야하는데 현재 농업시스템이 기존 농업인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산업 구조 개혁이 어려운 게 문제. 스마트팜을 획기적으로 늘리면 충분히 가능하지만 그러려면 대기업의 농업진출을 허용해야하고 그러면 표 떨어짐 ㅋㅋㅋ

    • @uGreensom
      @uGreensom 26 днів тому +3

      다그래요ㅋㅋ....
      뮨제 하나 해결하려면 희생해야하고 표떨어짐...
      그러고 유지라도 되면 다행인데
      정권바뀌면서 엎어버리면 욕만먹고 남는것도 없음

  • @MP-tl5ri
    @MP-tl5ri Місяць тому +11

    기득권 출신 국회의원 비율이 대부분인데 생산성 배분하는 법안을 통과 시킬까? 그 기득권 출신 국회의원 선택한 자들은 누구지?

  • @user-ru2lq7hf2s
    @user-ru2lq7hf2s Місяць тому +16

    AI와 자동화, 로봇 등으로 일자리가 자꾸 없어진다는데, 누가 애를 낳아 키우려 할까요?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인구 감소는 어찌보면 자연스러운 현상일지도 모르잖아요. 이걸 또 빚내서 국가가 책임지라 하면, 결국 일자리도 못 만들고 빚만 남게 되겠네요. 영국도 일본도 미국도 빚내서 하지 않았나 하지만, 지금 영국, 일본, 미국이 정상이라 보시나요.....

    • @Snowflake_tv
      @Snowflake_tv Місяць тому

      깡패국가

    • @wiseperson4071
      @wiseperson4071 Місяць тому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ai와 자동화로 인한 일자리가 없어졌다로 저출산으로 영향이 있다 라고 보기 힘들다고 봅니다.. 다른 영향이 더 클것같네요.

    • @user-rk8ub8td3v
      @user-rk8ub8td3v Місяць тому +3

      결혼 안하는건 여성의 상승혼 욕구때문이지 ai 자동화 땜에 안놓는게 아니야 이아줌마야

    • @user-rq4uq7mv5t
      @user-rq4uq7mv5t 29 днів тому

      사람 쓰지 말고 걍 ai 로봇 썼으면 좋겠음
      돈은 그걸 쓰는 사람만 벌겠지.......

    • @user-mc4gq6ko5d
      @user-mc4gq6ko5d 20 днів тому

      ​@@user-rk8ub8td3v그럼 남자들이 잘나면 되겠네. 여자가 애 5명 낳으면 키울수는 있고?

  • @g9g968
    @g9g968 Місяць тому +36

    수도권에 있는 기업을 지방으로 이전하는것보다 정부 기관을 지방으로 먼저 이전시켜야함
    실제로 지방에 기업도시 만들었는데 성공한곳 없음, 하지만 각 지방 도청신도시처럼 정부기관을 옮겨버리면 그나마 활성화됨 일단 국회부터 이전해야..

    • @Bora_san
      @Bora_san Місяць тому +12

      국회 청와대 대법원을 세종으로... 관습헌법이라는 이상한 개념으로 서울 자기 집 지키려던 대법원장들 세종으로 오면 세종 기득권 사수에 열일할 꺼임.

    • @JR-ln5in
      @JR-ln5in Місяць тому +10

      전전전전 어느 대통령이 할라했는데 악착같이 막았잖아 그때 분권화 제대로 진행시작됬으면 지금 세종시 같은곳들 여러곳 생기고 기업들도 인구있는 분권화 사이 지역쯤에 양쪽 인구 활용할수있는곳에 공장세우는곳도 조금식 생기고 지금보다는 좀 나아졌을까

    • @user-ov5lh2gv1s
      @user-ov5lh2gv1s Місяць тому

      그나마 정부 기관은 거의다 세종으로 내려갔습니다
      현재 서울에 남은게
      법무부 외교부쯤???

    • @user-zv8fk8cq5j
      @user-zv8fk8cq5j Місяць тому +2

      세종은 ktx 역도 없고, 세종대전 주변에 국제공항 하나는 지어놓고 행정수도 이전해야지 할려면 확실히 해야 잡음이 없음

    • @ejsjdj
      @ejsjdj Місяць тому +1

      관습헌법이 안된다하네요

  • @DroolyBear2024
    @DroolyBear2024 10 днів тому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 @wisdom1819
    @wisdom1819 25 днів тому +5

    단위인구당 박사숫자가 가장 많은 나라가 한국일걸요, 그리고 미국에서 박사학위 받은 외국인들중 한국인이 중국인 인도인에.이어서 그 숫자가 3위입니다. 학력이 높아진 사람들은 많은데 아직 노벨상 수상자가 없음을 보면 뭔가 근본적인 부분에서 기존것을 깨뜨리지 못하는 것이 존재하고 있다고 봅니다. 남이 만든것은 잘 따라하고 배워도, 새로운 길이나 발상을 만들어 내는데는 많이 부족하죠. 그게 어릴때부터 모두가 똑같은 길만이 존재한다라는 사고에 세뇌를 당해서 그럴수도 있습니다.

  • @user-vv3hg8tx6h
    @user-vv3hg8tx6h Місяць тому +21

    나라가 개인한테 해준건 없지. 세금만 갈수록 많이 가져갈뿐.

    • @user-mc4gq6ko5d
      @user-mc4gq6ko5d 20 днів тому +3

      왜 해준게 없다 생각하세요? 저두 맬 정부욕하고 경멸하는 사람인데 나 살고 있는동안 전쟁안난것만해두 좋구만. 저두 당연하다 생각한것에서 감사함을 느낄려구요

    • @mercado9510
      @mercado9510 12 днів тому

      조만간 대규모 시위 일어날 것 같은데요 이대로 가다가는

  • @user-xe8zf9pd4g
    @user-xe8zf9pd4g 11 днів тому

    좋은 분석과 대안을 제시해주셨네요 ㅊㅊ

  • @SYK-kq5hj
    @SYK-kq5hj 3 дні тому +2

    ❤돈이 소수에게 몰려 있다 ❤❤❤

  • @user-qz9od9kl1s
    @user-qz9od9kl1s 25 днів тому

    정말 대박 공감합니다!

  • @user-hi3wh9ye4o
    @user-hi3wh9ye4o 24 дні тому +3

    공동체를 생각하는 마인드가 부족 ㆍ지들 생각만 하다가 죽는 꼴~
    심하게 말하면 인간성이 못된 민족성을 가지고 있고 이기적~씀쓸합니다~

  • @user-zl4dz6ts5j
    @user-zl4dz6ts5j Місяць тому +67

    한국사회는 전통적 가치관이 붕괴하고 그걸 황금만능주의가 대체했는데 황금만능주의를 대체할 새로운 개념의 가치관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 @cai47563
      @cai47563 Місяць тому +4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그렇지 않은 국가가 있을지 의문이네요…

    • @user-zl4dz6ts5j
      @user-zl4dz6ts5j Місяць тому +12

      @@cai47563 서구권이 의외로 황금만능주의가 아닙니다.

    • @suchulpark8522
      @suchulpark8522 Місяць тому

      @@user-zl4dz6ts5j 한국인들 도덕감정론이랑 국부론 안읽어서 자꾸 자본주의가 황금만능주의라고 떠들어대죠. 가장 이타적인 사상인데. 꼭 유교에서 하라고 한 적 없는 짓들 마음대로 해놓고 유교니 뭐니 떠들어 대는거랑 비슷합니다. 그냥 한국인들은 이기적인건데 들키기 싫은거죠.

    • @Poemwithkorea
      @Poemwithkorea Місяць тому +4

      와 맞아요!!
      제가 25년 전부터 했던
      생각입니다
      물질 만능주의가 우리의 모든 것을
      지배하고 있죠
      우리 사회는 아노미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것 같아요

    • @ssgssegga
      @ssgssegga Місяць тому +1

      가치관 예절등등이 망가져서 그렇죠 선악과를 먹지 말라했더니 선악과를 아예 없애버림.... 그래서 엃고 그름이 없어지져가는게 요즘 교육이죠 다양성.... 이지랄

  • @zepha2
    @zepha2 27 днів тому +3

    나이에 비해 통찰이 깊네요. 많이 배워갑니다

  • @user-tw1uo5lj2v
    @user-tw1uo5lj2v 26 днів тому +3

    소주집 아줌마도 월세주기 힘들어도,나같은 월200만원받는 월급쟁이 손님을 부러워하는 사회의식이 문제이다.월200받는게 정상으로 보는 사회이다

  • @TV-dk7ge
    @TV-dk7ge Місяць тому +22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인게 우리나라 적정 인구는 2500만이 아닐까 생각함
    그래서 2배인 지금이 몇 배가 더 극도의 경쟁이라는 생각이 듬

  • @user-rk4ny1bx5n
    @user-rk4ny1bx5n Місяць тому +5

    아무리 일해도???? ㅎㅎㅎㅎ 선동질 좀 그만

  • @miumi1566
    @miumi1566 28 днів тому +2

    많은 부분 공감해요. 자기주체성이 높은 한국인이라했는데 사실 정부주체가 공정한인프라나 시스템적으로 부재한부분이 많기 때문에(혹자는 나라가 인재들을 못담는다 라고 표현하더군요) 결국 뛰어난 개인이 보충하는 방식(자기 몫 찾으려면 한국에서는 눈똑바로 뜨고있어야합니다.)으로 이나란 해결해왔습니다. 그것이 개인들에겐 하나의 스트레스로 쌓이고 결론은 애를 안낳게 되었나하는 생각도 둡니다. 미디어는 너무 많은 미국주식얘기를 자제해야 하구요.

    • @miumi1566
      @miumi1566 28 днів тому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격차만큼 큰 것이 나이차별입니다. 이 나라만쿰 나이에 민감한 나라없고 노인빈곤도 결론은 고령자로 사회에서 차별받은 노인들이 많아짐 결과입니다. 해외에선 그저그런 기업이 한국에서 유독 피튀기는 입사 경쟁률을 보여 조사해보니 퇴직연령이 따로없더군여(연공서열, 나이로 세대가르기, 학벌이나 지역차별 모두없어져야합니다)

  • @lalalanolga
    @lalalanolga 16 днів тому +2

    잘못된 길을 가고있는것도 알고 원인도 알고 있지만 손도 못대고 소멸로 가고 있네요

  • @john-sn4yq
    @john-sn4yq 28 днів тому +5

    그렇게 어렵게 공부해서 sky가도 거기서 또 잘해야 우리가 아는 대기업 임원 5급.변호사 등등 되는게 함정 그래서 매디컬 가려고 하는거고 임원아닌 대기업 가봤자 수원용인 집사기도 힘든데 더웃긴건 70퍼정도 대기업은 학벌로만 평가하지 않는다는것 물론 학벌이 확률을 올려주겠지만 아 변호사도 요즘 힘들다는 소리 나오던데 이 말이 학벌필요없다는말처럼 들릴 수 있는데 무서운건 sky밑으로는 오죽하겠냐 이말임

  • @dexter8820
    @dexter8820 Місяць тому +6

    한국의 물가가 왜 비싼가?
    힌국은 토지의 비옥도가 낮은데 영세 농가들이 농사를 짓는다.
    영세 농가들의 생산성이 낮다.
    기업들이 농사를 짓는것을 허가를 안해주고 농산물 수입 자유화를 안한다.
    한국인들의 시간당 노동 생산성은 낮은데 시간당 임금은 너무 높다.
    자본주의 국가에서는 이해가 안되는 주휴수당이 존재한다.
    한국에서 우버가 안된다.
    우버가 안되서 국민들은 비싼 택시를 타야하고
    택시는 경쟁자가 없어서 생산성이 낮다.
    정부가 택시의 개인사업자 등록증을 모두 구입해서 소각하거나
    우버를 하겠다는 민간 기업이 택시의 개인 사업자 등록증을 모두 구입해서
    소각할수 있게 해야한다.
    생산성을 높일수 있는 방법은 창조적 파괴를 하거나
    수입 자유화를 해야한다.

    • @user-bo3bp1xg9h
      @user-bo3bp1xg9h 27 днів тому +1

      달콤 새콤 아삭한 과일들을 돈 걱정 없이 먹고 싶네요 ... 우리나라는 과일이 풍년이 들기 어려운 착박한 땅인건지... ㅜㅠ 태국 같은 나라는 길가다 걸리는게 나무에 과일이던데

    • @user-mc4gq6ko5d
      @user-mc4gq6ko5d 20 днів тому

      ​@@user-bo3bp1xg9h아 진짜 먹거리만큼은 싸면 좋겠어요 과일중에 바나나가 젤 싸요.난 새콤달콤 아삭이를 좋아하는데

  • @user-kl5si3or4h
    @user-kl5si3or4h Місяць тому +21

    사교육비,식재료 물가,주거비 등 다 너무비싸요 뭔가 변하지않음 무너지지않을까염려됩니다

    • @leeps7996
      @leeps7996 Місяць тому

      주거비는 싸다고 방송에서 몇번이나 말했는데 뭔소리하냐

    • @user-kl5si3or4h
      @user-kl5si3or4h Місяць тому

      @@leeps7996 님이 싸다느낌 걍 지나가 어디서 반말이야

    • @MP-tl5ri
      @MP-tl5ri Місяць тому

      @@leeps7996 어떤 방송에서 어느 도시보다 어떤 근거로 싸다고 했는데?

    • @leeps7996
      @leeps7996 Місяць тому

      @@MP-tl5ri 임대료 싸다고 몇번을 말했는데 너는 댜채 뭘 들은거냐?? 임대료 공공교통비 싸다고 몇번을 말하냐

    • @user-mt6yc6ji9x
      @user-mt6yc6ji9x 29 днів тому +2

      ​@@MP-tl5ri 이 방송 처음 부분에 나왔음. 교통비, 임대료, 에너지 등만 오이씨디 국가 중에서 상대적으로 싸다고. 나머지는 다 비싸다고!

  • @doltwe4891
    @doltwe4891 Місяць тому +20

    중소기업과 대기업과의 임금격차가 줄어들면 출산율도 오를것이고 한국의 고질적 문제들이 많이 완화될것으로 보이는데
    과연 이렇게 엉켜있는 실타래를 어떻게 하나씩 풀어낼지 국가의 숙제라고 보이네요

    • @Nossdreal
      @Nossdreal Місяць тому +7

      죽었다 깨나도 임금격차는 해결 못합니다. ㅎㅎㅎ

    • @user-fz6hz3uc9x
      @user-fz6hz3uc9x Місяць тому +6

      돈이 벌려야 임금을 올려주죠 중소기업이나 대기업이나.. 대기업 조차도 중국 추격에 다 뺏기고 있는 마당인데 석유화학 철강부터 생존이 어렵..

    • @starlightt20
      @starlightt20 Місяць тому +4

      생산성이 구리니까 임금이못올라가는겁니다. Opm 높은 중소반도체기업들은 연봉 높은곳도 많아요.

    • @MP-tl5ri
      @MP-tl5ri Місяць тому

      친 대기업 대통령, 고위직 관료, 판검사, 의사 출신, 부동산 많은 국회의원 비율을 조정하지 않는 이상 그럴 일 없음.

    • @MP-tl5ri
      @MP-tl5ri Місяць тому

      @@starlightt20 많다의 기준은?

  • @user-sj5sx1ny1y
    @user-sj5sx1ny1y Місяць тому +6

    진짜 개소름. 모두가 어렴풋이 느끼던 것들을 구체적으로 정리해줌…

  • @aaba0125
    @aaba0125 Місяць тому +5

    일단 망하고 다시 시작할 것 같습니다. 재난적인 리셋 시점이 언제냐에 차이가 있겠죠.

  • @blanc1971
    @blanc1971 Місяць тому +26

    한국인은 고집이 너무 강하다.
    틀려도 자기가 맞다고하면 맞는거다.
    흑백논리나 이분법적인 사고를 항상 가지고 있다.
    상대방이 자신의 생각과 다르면 나쁜사람으로 몰아간다.
    자신의 실수나 잘못은 절대 인정 안한다.
    겉은 민주주의인 척 하지만 서로의 의견을 항상 무시한다.
    다양성이 태동하려하면 싹을 잘라버린다.
    한국인의 인식속에 민주주의는 선거,투표에만 머물러 있다.🤔🇰🇷

    • @user-tf1mz9fe7u
      @user-tf1mz9fe7u 28 днів тому +1

      한국은 장기간 군사정권과 군사문화가 사회에 중독되어서 고집이 세고 편가르기와 기득권 카르텔이 문제다

  • @David_Lim_jungeun
    @David_Lim_jungeun 15 днів тому

    그나마 진실에 젤 가까이 가신분인듯. 문제는 해결방법이 없어. 그 누구도.

  • @pinball7604
    @pinball7604 Місяць тому +5

    1타!

  • @JIAEOUNPARK-lo8ld
    @JIAEOUNPARK-lo8ld Місяць тому

    차이가 커야 에너지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것이 자연의 이치라 많은 경제력을 얻으려면 양극단 더 커지는 거죠 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자연의 본성 질서 자체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가야 가능하겠죠

  • @leesanghun598
    @leesanghun598 25 днів тому

    이야 이분 진짜 똑똑하시네. 이런분이 국회에 있어야 했는데... 책이나 사서 봐야겠네.

  • @sang3655
    @sang3655 Місяць тому +14

    지금은 옛날 왕조시대와 달리 다른 나라로 쉽게 이민갈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부자들은 세금이 낮은 국가로 갈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어느정도 살게되면 부자들이 다 빠져나가서 미국외에 선진국들은 폭망할수 밖에 없습니다.

    • @user-sv2sl9jz3x
      @user-sv2sl9jz3x 29 днів тому +3

      부자들의 자녀들이 해외 이민 가서~~
      시민권 가지고 군대 면제 받고
      다시 한국와서 돈버는 사회~~
      정의가 있나?

    • @lifeissooofun
      @lifeissooofun 21 день тому +1

      ​@@user-sv2sl9jz3x진짜 멍청한게 뭔지 알아요? 기업가와 재벌들 부자들 싫어할 이유가 서민에게는 없습니다. 우리나라 인구중 37%는 전혀 세금을 내지 않습니다. 나머지 63%중의 세금을 재벌들이 우리나라의 70% 세금을 내고 있는건데 당신이라면 외국보다 많은 세금 감당 하겠어요? 부자들이 자유롭게 돈 쓰고 세금 좀 감면해주고 대신 고용을 자유롭게 비정규직 없애서 모두 정규직 만들고 하청 없애면 조금더 수월해집니다.
      비정규직 만든거 김대중이 한거고,

  • @user-rg9rs6ln4r
    @user-rg9rs6ln4r 28 днів тому +1

    진정한 선진국은 공기처럼 지연스레 시민들이 문화자본을 향유하며 삶을가치있게 살아가는 굿이다.

  • @EUNSOOPARK-em7yf
    @EUNSOOPARK-em7yf Місяць тому +10

    우리의 큰문제는 경제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부모와 자식과 지나치게
    의존되어있는것이라 보고
    독립적으로 스스로의 힘만 으로 살아가는게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 진다면
    많은 문제가 해결 될 수 있다 본다

    • @user-bg1vr7sh4u
      @user-bg1vr7sh4u 28 днів тому +4

      저도 님 말씀에 큰 틀에서 절대 동의하는데요.
      우리나라 부모들은 자녀가 독립적으로 살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자녀도 부모로부터 독립하기를 원하지 않아요. 둘 중 하나만 문제를 꼽자면 부모들!!! 자녀를 부양 목적(자기 아바타)으로 낳고 키운 부모가 80~90% 나머지 10% 자산가 부모라 치고 이거야.
      간단히 말해서 두 부류가 있죠.
      1. 부모가 돈이 많아서 그 돈 받을 수 있는, 받고자 하는 자녀가 있겠고
      2. 부모가 돈이 없어서 그 자녀가 부모의 생계까지 책임져야 하는 자녀
      정말 최상위층의 부모와 자녀라면 독립? 안 해도 되고 해도 되고 상관없다 봅니다. 물론 제 의견이지만 정말 초부자, 재벌은 자녀를 통한 상속과 세습을 아주 대놓고 하니까 우리가 알 바도 아니기도 하죠.
      그런데 나머지 어설픈, 돈 좀 있다는 부모들은 자녀에게 돈을 다 안 주고... 일단 애매하게 처신하면서 내 자식이 안 떨어져 나가게, 내가 가진 돈을 보고 나를 부양하는 꼴을 보고 상속할지 말지 부모가 결정하겠다는 거죠. 이런 집은 평생 부모와 자녀가 떨어질 수 없지요. 아마 이걸 많은 부모와 자녀들이 노리고 있는 것 같아요.
      그나마 상속받을 수 있는 재산이 있어서 기다리는 자녀는 한편 이해도 되고 그렇다 치지만 이것도 썩... 위험한 신호라고 보는데 다수 부모들은 자녀가 20살만 넘으면 내 자녀가 뭐 해 주지 않나 목 빼고 있고. 내 자녀 일거수일투족 부모 눈 밖에 나면 x... 이게 평타.
      절대 다수가 2번인데도 자녀 된 자들이 너무 효성이 지극해요. ㅎㅎㅎ 이거는 좀 웃픈 얘기.
      부모가 돈이 없으니까 걱정되고 내 미래도 걱정되고

  • @user-cn9zk1xl8v
    @user-cn9zk1xl8v Місяць тому +3

    통찰력 있는 의견이신것 같습니다

  • @sphinx7417
    @sphinx7417 Місяць тому +4

    모두가 의대를 갈려고 한다는 것은 말이 안됩니다.
    의대는 10% 정도만 준비합니다.

  • @user-jq1ex7ec9h
    @user-jq1ex7ec9h 29 днів тому +2

    그냥 성장율이 정체되서 지대추구 행위가 심해진 나머지 후발주자나 신규참여자의 성공여부가 점점 불투명해지고, 이에 따라 지대추구 행위만 점점 더 경쟁적으로 심화되는 것 같습니다. 서울 부동산, 전문직 라이센스, 대기업 입사 뭐 이런 것들처럼 공급이 제한된 재화에 사람들이 몰리는 거죠. 미래가 없는 건 결과가 아니라 원인인 것 같고 저출산은 그 결과죠. 우린 똑똑하니까요.

  • @hyuncheoulkim1673
    @hyuncheoulkim1673 8 днів тому +1

    반출생주의가 옳은 결정적 이유
    태어나지 않은 무의 상태는 말 그대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아무것도 아닌 상태이다.
    고통도 없고, 쾌락도 없다.
    태어나지 않으면 고통이 없지만, 고통이 없는 좋음을 느낄 존재가 없기에
    태어나지 않아 고통이 없는 건 나쁜 것도 좋은 것도 아니다.

    태어나지 않으면 쾌락을 느낄 수 없어도 애초에 쾌락을 필요로 한 존재가 없었기 때문에
    태어나지 않아 쾌락이 없는 건 나쁜 것도 좋은 것도 아니다.
    무의 상태는 아무것도 강제되지 않았고, 아무것도 필요없는 상태이지만,
    존재 상태는 제3자에 의해 삶과 죽음, 쾌락과 고통이 일방적으로 강제된 상태이다.
    무의 상태에선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무의 상태에서 존재하게 해서 쾌락을 주어야 할 필요성은 없다.
    하지만 무의 상태에서 존재하게 해서 무조건적인 생로병사의 고통과 죽음을 강제하는 것은 옳지 않은 것이다.
    생명체로 태어난 이상 쾌락과 행복만 있을 수는 없고, 결국 노화와 질병, 죽음으로 모든 것이 박탈되기 때문이다.
    결국 태어나지 않으면 아무것도 겪을 필요도 없지만, 태어나면 쾌락과 행복만 있을 수는 없기에
    태어나는 건 무조건 손해이다.
    물론 가장 중요한 사실은, 출산이란 행위는 무조건, 100% 부모의 의지와 선택으로만 이루어지기에
    아이가 태어나지 않아 쾌락을 누리지 못하여도 아무런 일도, 영향도 없었을거라는 팩트와 반대로, 출산은
    아이에게 고통의 가능성과 죽음을 일방적으로 강제했기 때문에 태어난 이후 아이의 고통과 죽음에 대한
    책임과 잘못은 온전히 부모에게 있다는 것이다.

  • @user-xe8ju4yb3b
    @user-xe8ju4yb3b Місяць тому +7

    나라 이미 망했어. 정치를 보면 수준이랑 방향이 보인다

  • @user-ye4qp9fm5i
    @user-ye4qp9fm5i 3 години тому

    젊은이들 희망이 있습니까
    연금개혁 의료개혁
    어느것하나 개악이 아닌것이없습니다

  • @user-pi6ny8lx8p
    @user-pi6ny8lx8p 25 днів тому +1

    돈이 없는게 아니라 돈을 거둬야 할 곳에서는 깎아주고
    허튼곳에 돈을 쓰니까 돈이 없다고 느껴지는 거임

  • @hiddenstory651
    @hiddenstory651 22 дні тому +5

    정의가 사라진 대한민국
    언론은 진실보다 누가 들어도 비 상식적인 괴변을 인용하며 논란을 부주키는 경우가 너무 많죠.
    그렇게 대부분의 심각한 문제도 이런 괴변으로 덮어버리니
    문제는 개선되지 않고 혼란만 가중되다 해결없이 결국 흐지부지 되버리고 맙니다.
    문제가 생길때마다 이런 수준의 논쟁이 계속 오고 가기 때문에 어떤 변화나 문제의 개선을 이끌어 낼 수 없게 되는 거죠.
    이런 문제는 현 시대가 사실과 진실을 추구하기보다
    교육에서 조차 경쟁에서 이기는 법만 가르키고
    그렇게 나온 괴변들이 넘처나며 생긴 문제 점으로 봐야하겠죠.
    그렇게 진실과 정의보다
    그런 사고를 요리조리 피해가고
    논점을 흐리는 식의 괴변을 누가 잘 하나
    그런 능력이 높은 사람을 사회는 더 인정해 주며 모두가 그런 사고로 세상을 바라보니 누가 어떤 주장을 하면 옳고 그름을 따지기 보다 너는 그렇게 생각하는구나
    라는 식으로 싸우지 않으려 그냥 지나가 버리고 말죠.
    살인자를 변호하라거나 훔친 사람 입장에서 사고하게 하거나
    그렇게 진실과 정의 보다는 의도적인 대립을 통해 무엇이 정의인지를 모호하게 만들고 결국 무엇이 옳고 그른지 구분할수 없는 혼란속에서 우리는 사회를 살아가게 된겁니다.
    출산 문제도 너무나 심각하라는 사실을 모두 알고 그 해결책도 사실 모두 알고 있지만
    현실에서는 회사 입장 경영자 입장 건설사 입장 집있는 사람들 투기꾼들의 입장과 괴론을 받아들이며 논쟁만 있지 아무런 해결책을 만들어 내지 못하고 있죠
    이미 대한민국은 논쟁으로 문제를 해결할 능력을 잃은 죽은 나라 라고 보면 됩니다.
    혁신적인 변화는 독재적 카리스마로 밀어 붙여야 하지만
    검찰과 언론이 적패가 된 나라
    다시말해 대통령도 힘을 쓸수 없는 나라가 되어 버린겁니다.
    절대 권력이 사라졌지만
    모든 기득권이 권력이 되어 버려 통제하기 더 힘든 나라가 되어 버렸죠.
    잘못됐다는걸 모두가 알고 있지만 해결할 능력은 잃어 버린 나라..

  • @seoul_Jin500
    @seoul_Jin500 28 днів тому +4

    한편으로 이 힘든 시기를 나혼자 겪는게 아니라 다른 사람과 함께 겪는다는게 안도감을 주네요 ㅠㅠ 우리 잘 버텨봐요 ㅠㅠ

  • @user-yj5rb5ox6w
    @user-yj5rb5ox6w Місяць тому +6

    이 나라 망해서 이민 준비들 하는데 이 나라 국채를 사라고?ㅋㅋ

    • @bktsys
      @bktsys 22 дні тому

      내말이 ㅋㅋ

  • @earthday798
    @earthday798 Місяць тому +6

    대대적으로 개혁을 할수있는 강한 지도자가 급히 필요함.

  • @user-bm4yq8xp7z
    @user-bm4yq8xp7z 6 днів тому

    인센티브가 아니라 페널티를 줘야합니다.
    서울에살면 전기료 올리고 법인세 올리고 각종 비용을 올려야합니다.

  • @man-jq5hx
    @man-jq5hx 24 дні тому +3

    기업이 지방에 가겠냐고...사람을 못구하는데
    결국 서울도시국가로 가야 하는게 한국의 숙명이다.
    쉽게 말해 한국은 망했다는 의미다.

  • @user-gb6st7up8o
    @user-gb6st7up8o 18 днів тому

    너무공감된다 책 구매해서 읽어봐야지

  • @user-pz5sj5zo8q
    @user-pz5sj5zo8q Місяць тому +40

    세금 .. 전세사기등 사기소득도 세금 거둬라 ~ , 사업소득만 소득이냐 ? 사기 소득도 소득이다 ! .. 매주 사기가 활활 타오르는 사기가 사업인 나라가 되었다 ! .

    • @MP-tl5ri
      @MP-tl5ri Місяць тому +7

      사기쳐 돈벌고 있는 놈들이 기득권이기 때문에 그들을 바꾸지 않는 이상 기득권 세금 올릴 일도 없고, 형량 늘어날 일도 없음.

  • @javaxerjack
    @javaxerjack 25 днів тому +1

    서울 몰입 개발 문제가 나온게 1970년대고 2000년도에 구체적인 해결책을(천도) 내었지만 부동산 가격이랑 맞 바꾸었죠. 이제 그 대가를 치루는 날이 온건데, 근본적 원인은 외면한체 엉뚱한걸 원인이라 매달리는데 해결될리가 있나.

  • @ksjang9892
    @ksjang9892 27 днів тому +2

    우리나라는 돈 많은 늙은이들을 위한 나라입니다.돈많은 늙은이한테는 천국입니다

  • @user-hl3mm5iw6w
    @user-hl3mm5iw6w 9 годин тому +1

    결혼을 할때는 사랑이 중요하지....
    결혼에 돈이 끼기 시작하니깐 망한거에요.

  • @user-zv8fk8cq5j
    @user-zv8fk8cq5j Місяць тому +21

    재능있는 사람 20% 정도만 대학교 진학해야 맞고 , 사회진출을 빠르게 해야하는것이고, 대학 못가도 자기일 열심히 하면 대기업의 70~80% 임금수준은 받고 먹고 살만한 사회가 되어야지요

    • @XV73
      @XV73 Місяць тому

      대기업에서 고졸 뽑겠습니까?
      대졸도 일 못한다고 까이는 애들 천지

    • @ele7521
      @ele7521 Місяць тому +3

      @@XV73 대졸자가 없으면 고졸 뽑아야지 으휴

    • @JinnYoungKim
      @JinnYoungKim 29 днів тому

      ​@@XV73이러니 조선이 망하죠

    •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29 днів тому

      ​@@XV73가방끈 긴 바보들도 있는데..

  • @blacks3701
    @blacks3701 15 днів тому

    전체적으로 너무 공감되는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