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승부수, 수소 경제를 잡아라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1 січ 2025
  • 자세한 내용은 매주 일요일 저녁 7시
    KBS1 "쌤과 함께" 차후 회차에서 확인하세요.
    어렵고 딱딱한 경제,시사,금융 이야기를
    쉽고 유쾌하게 풀어내는
    경제/시사/이슈/잡썰 토크방송입니다.
    #H2O #수소밸류체인

КОМЕНТАРІ • 480

  • @leechanghyun
    @leechanghyun 3 роки тому +272

    요즘 슈카형 tv에 자주 나오면서 여러 전문가들 만나서 그런지 영상 주제가 엄청 다양해지고 있네 ㅋㅋㅋㅋ 종합유튜버 클라스

  • @SwingBy-dy8jc
    @SwingBy-dy8jc 3 роки тому +330

    슈카형~! 영상 자주 올리느라 힘들죠? 항상 몸사리지 말고 영상 올려주세요~!! 찡긋~ ^.~

    • @고창환-k9z
      @고창환-k9z 3 роки тому +48

      형님 건강보다 영상이 중요한거 아시죵~~?^^

    • @jin.24.
      @jin.24. 3 роки тому +23

      님들이 야근 욕할때 사장님이 이런 마인듭니다 ㅋㅋ

    • @simon8710
      @simon8710 3 роки тому +17

      잠은 죽어서 자는것^^ 홧팅!!

    • @dragonkim515
      @dragonkim515 3 роки тому +1

      슈카형 365일 매일업로드 해주세요ㅋ 구독!

    • @데이지-y1g
      @데이지-y1g 3 роки тому +18

      다들 건강 건강 하는데... 영상이 우선이죠...

  • @문석진-r8i
    @문석진-r8i 3 роки тому +41

    아 준표형이 이방송을 보고 토론을 했어야 했는데 ㅋㅋㅋ

  • @gcr5468
    @gcr5468 3 роки тому +54

    1:00
    10분에서 15분이라고 했지만 17분이 넘는 다는것에 매우 깊은 감사

  • @hrudtnr77
    @hrudtnr77 3 роки тому +16

    완전 쉽고 잼있는 설명에 뿅~반했어요
    감사합니다~^^

  • @bluishiny
    @bluishiny 3 роки тому +110

    수소는 새로운 친환경 원료가 아니라 전력을 저장할 수단이다 (수소가 화석연료를 대체한다는 게 아니라는 뜻)
    전력을 저장할 수단으로서 의미를 찾는 거

    • @엘린-b5o
      @엘린-b5o 3 роки тому +8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려면 아직 기술적 난제가 너무 크죠. 수소원자는 모든 원자를 통틀어 가장 가볍기 때문에 저장도 어렵고 저장량도 얼마 안되고 수급조차 힘듭니다. 아직 제대로 쓰려면 시간이 훨씬 더 필요할 듯

    • @upupup222
      @upupup222 3 роки тому +3

      저장효율이 너무낮음

    • @innifree1469
      @innifree1469 3 роки тому +12

      @@엘린-b5o 기술적 난제보다는 규모의 경제와 인프라가 문제인 상황. 저장 자체는 큰 문제가 아님. 수소1kg이 디젤 10kg와 비슷한 수준이라서. 그 효율이 괜찮음. 그예로 이미 수소쪽 모빌리티는 되려 성장세가 빠른편. 반대로 인프라중 저장보단 유통쪽의 경제성을 확보해야 함.

    • @woon_in
      @woon_in 3 роки тому +1

      @@innifree1469 ㄹㅇ 유통이 힘들지.. 연료전지 통째로 운반하기엔 무게도 무게지만 전지 자체가 너무 비쌈...

    • @jpkkt1214
      @jpkkt1214 3 роки тому +1

      석유값 200달러 찍으면 바닷물 퍼서 수소 만들어도 남을거 같은데... 200달러 갈지는 모르겠지만

  • @Drone0
    @Drone0 3 роки тому +120

    수소경제 시스템을 선도하려면 기초적인것도 투자, 연구가 이뤄졌으면 좋겠네요

    • @팡팡코
      @팡팡코 3 роки тому +17

      그러면 대한민국이 아니죠

    • @user-ev
      @user-ev 3 роки тому +3

      @@팡팡코 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헬잘알

    • @sun-df8hy
      @sun-df8hy 3 роки тому

      한국은 돈 안되는건 잘 투자 안해요 ㅋㅋㅋㅋ

    • @truth1472
      @truth1472 Рік тому

      수소는 쓰레기입니다.

  • @green_youn
    @green_youn 3 роки тому +30

    주요 이슈들 재밌게 정리해주셔서 늘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appa.doctor
    @appa.doctor 3 роки тому +1

    투자얘기말고 다른얘기도 너무 재밌습니다 형님

  • @레드-y1v
    @레드-y1v 3 роки тому +39

    형님 요즘 영상 많이 올리시네요~
    건강보다 영상이 우선인거 아시죠?

  • @toryjaluniverse
    @toryjaluniverse 3 роки тому +6

    슈카형 형이 수소경제를 다뤄서 그런가, 뜬금없이 잠들어있던 제 채널의 수소 영상이 떡상 중이에요 감사합니다!!!!

  • @sonhh17
    @sonhh17 3 роки тому +29

    당장 어렵더라도 수소 생태계 차근차근 만들어 가야 합니다~
    수소 산업계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일선에 서길 바랍니다!

  • @312chychy
    @312chychy 3 роки тому +5

    수소의 위험성, 생산과정의 종류, 저장과 운송 사용방법의 고찰, 에너지라고 하는 정말 중요한 자원.

  • @JC-mn9yw
    @JC-mn9yw 3 роки тому +11

    밤에 영상 보다가 잠들어서 ㅋㅋ
    아침 출근길에 한번 더 보는게,, 패턴 ㅎㅎ

  • @tetramicin
    @tetramicin 3 роки тому +43

    8:30 수소차도 전기로 돌아갑니다 정확하게는 수소전기차 수소배터리차가 맞습니다 석유 대신 수소로 엔진을 돌리는게 수소차가 아니고 수소로 전기를 만들어 모터를 돌리는 개념입니다. 보통은 수소차하면 수소로 엔진을 돌린다는 착각을 많이 하죠 수소차도 전기차의 한 종류입니다

    • @minslife390
      @minslife390 3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역시 답은 LIT로군여 ㅋㅋㅋ

    • @dwio9042
      @dwio9042 3 роки тому

      수소로만 돌리면 수소가 제일 가벼워서 증발해버림 ㅋㅋㅋ

    • @jhingansandesh7789
      @jhingansandesh7789 3 роки тому

      현재 대세는 수소배터리차긴 한데 수소를 연소시켜서 운행하는 차도 존재하긴 함ㅋㅋ

  • @오솔길-q8w
    @오솔길-q8w 3 роки тому +3

    수소 다루기가 너무 어려워서 뭔가 하려면 고비용이 든다..

  • @박상욱-u7v
    @박상욱-u7v 3 роки тому +4

    지금 발전기술중 가장 취약하고 더딘 부분이 에너지 저장기술입니다
    에너지 저장을 수소로 저장한다고 생각하면 기존의 친환경에너지 효율이 대폭 증가하게 됩니다

  • @2odhwka
    @2odhwka 3 роки тому +38

    수소경제는 축전지의 개념입니다. 태양열의 가장큰 단점인 일광시간내에만 전기를 쓸수 있다는 점을 보완하기 딱 좋은 개념입니다. 다시말해서, 사막에 태양열 전지판 깔아놓고 전기생산-> 수소로 변환 충전하면 24시간 내에 전기를 안정적으로 쓰는 개념입니다.

    • @바나나킥-v5w
      @바나나킥-v5w 3 роки тому

      배터리에 저장하는 것보다 효율 좋아요?

    • @2odhwka
      @2odhwka 3 роки тому +1

      @@바나나킥-v5w 그 배터리라는게 고용량은 충전할 기술이 없습니다. 그래서 전기에너지를 수소로 변환한다는 개념자체가 잉여 생산 에너지를 보관해놓는 개념으로 봐야하죠. 참고로 잉여 전기 에너지는 항상 총 생산량을 불필요하게 늘리는 요소입니다.

    • @kimhansung1167
      @kimhansung1167 3 роки тому

      태양열x 태양광o 태양열 발전은 거의 안해요

  • @dalegwak3804
    @dalegwak3804 3 роки тому +1

    지금 중부유럽 나와있는데 아침기온이 2도까지 떨어졌더라구요 기후변화가 느껴지는 곳입니다 정말ㅜㅜ

  • @묘안-l3g
    @묘안-l3g 3 роки тому +2

    웃는게 너무 귀여워요~~
    슈카 잼나고~ 똑똑해서 부러워요~ 우리 초딩 아들이 저처럼 슈카형 좋아하네요~

  • @GongHwa0515
    @GongHwa0515 3 роки тому +7

    수소경제를 제대로 도입할 수 있다면 정말 어마어마한 발전의 계기가 될꺼에요. 하지만 자세히 보면 볼 수록 구 기술적, 환경적 한계가 너무 커보이더군요...

  • @하버-l3w
    @하버-l3w 11 місяців тому

    수소차는 필요함. 영상에도 나와있듯 수소차를 굴리려면 수소저장탱크랑 공기중의 산소랑 결합시켜 물과 전기를 얻어 물은 밖으로 내보내고 전기를 동력원으로 쓰는건데
    여기서 필요한 공기중 산소를 얻으려면 미세먼지나 불순물이 없어야해서 공기청정기역할을 해줌. 수소차나 수소버스 수소트램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미세먼지랑 매연이 줄어든다는 것임.
    수소차야 개인이 운영하기엔 충전소도 없어서 경쟁력이 없지만, 수소버스나 수소트램은 차고지에 수소충전소가 있다면 충분히 상용가능함.
    그래서 수소충전소를 겸비한 버스차고지가 지금 등장하고 있고 울산같은 도시는 수소트램을 굴리겠다고 선언함.
    옆나라 일본만 가도 알겠지만 우리나라는 공기질이 매우 안좋음.. 근데 돌아다니는 시내버스가 다 공기청정기라고 생각하면 많이 개선되기는 할듯.

  • @나윤호-g9p
    @나윤호-g9p 3 роки тому +7

    멋진 우리 슈카형~~ 오늘도 고마워요!!!

  • @LEEkyouho
    @LEEkyouho 3 роки тому +2

    국내 부생수소가 남아돌아서 그래요. 철강, 석유, 가스 관련 산업에서 부수적으로 생산되는 부생수소가 많은데 기존에는 쓸데도 없어서 대부분 그냥 버리다가 최근 몇년사이에 사용하기 시작한건데
    아직도 남아돌아서 수출합니다. 근데 수출하면 운송비때문에 단가가 안맞아서 애매하죠

  • @ysk9601
    @ysk9601 3 роки тому +3

    그린플레이션이 가장 우려되는 부분이네요.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분야 기술의 비약적 발전이 있지 않는이상 에너지가격 상승은 불가피할것같아요.
    고밀도 전기저장 방식중 수소전기 방식 이외의 대안이 아직 까지 없다는것도 문제고요

    • @갑비타
      @갑비타 3 роки тому

      사실 저것도 다 쑈죠 ㅋㅋㅋ 신재생 에너지가 얼만큼 제네레이터에 포션 먹으며 ㅋㅋㅋ 이거 다 알면 그냥 다 쑈잖아요 탄소절감? ㅋ 이거 하느니 생선 안먹는게 탄소절감에 더 도움되는데? 지금 뒤져가는 산호초들만 살려도 현 수준 이 아니고 그 이상으로 화력 막 때어도 된다는거 정도는 아시죠?

  • @whtjdgus1212
    @whtjdgus1212 3 роки тому

    잘보구가요 감사합니다~!!

  • @skyline0167
    @skyline0167 3 роки тому +4

    슈카월드는 진리입니다~♡♡♡

  • @부산알파카
    @부산알파카 3 роки тому +31

    편안. 슈카형 Shift 사용하기 시작함 언제부턴지 모르겠지만 ㅋㅋㅋㅋㅋ

    • @did5794
      @did5794 3 роки тому

      침착맨한테 불ㅡ편 소리듣고ㅋㅋㅋㅋ

  • @soyoungyoo2903
    @soyoungyoo2903 3 роки тому +1

    와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 @anglerrossi7857
    @anglerrossi7857 3 роки тому +2

    형 영상인트로에 왜 새우가 나오나 했더니. 이제보니 새우닮은거같아 형 .
    근데 광고에도 새우깡이 나오네요 형? 노린거임

  • @홉이-f7i
    @홉이-f7i 3 роки тому +15

    항상 영상보고 있어유!! 지루할 수 있는 내용이 덕분에 재미있게 보고 있어요ㅋㅋ

  • @StingTV
    @StingTV 3 роки тому +6

    오늘도 좋은 내용 잘 들었습니다

  • @Hyundai2B
    @Hyundai2B 3 роки тому +1

    신재생 에너지 ETF icln 파이팅

  • @b_mng
    @b_mng 3 роки тому +4

    쉽게 말해서
    화석연료 에너지- 쉽고 싼데 환경문제 땜에 밴당하고 있음
    신재생 에너지 - 친환경적인데 툭하면 문제 생기는 개복치
    수소 경제 - 신재생 에너지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보조배터리 저장장치, 에너지 수출입 수단
    '신재생 에너지 - 수소 ESS' 가 실현된다면 세계적인 에너지 산업 패러다임이 바뀜 (사실 에너지 산업 뿐이겠나..)
    하지만 슈카형이 말한 것처럼 '도전적 과제 산적'
    직면한 트렌드를 투자하고 싶다 => 투자ㄴㄴ
    10년 전에 테슬라 투자하던 사람처럼 미래산업 존버충이다 => 고려해볼만함

  • @희용o
    @희용o 3 роки тому +1

    여러분 잘자요~

  • @gundogan7531
    @gundogan7531 3 роки тому +45

    13:02 갈매기 배변패드라는게 정설의 학계

  • @tkqktls7
    @tkqktls7 3 роки тому

    요즘 형님 알림뜨면 구독하는재미에 삽니다

  • @ClTY-HUNTER
    @ClTY-HUNTER 3 роки тому +50

    수소 관련 세미나 많이 가봤는데...수명 문제가 쉽게 해결이 안되는 듯; 전기차 배터리는 수명이 10년이 지나도 쉽게 버티는데, 수소로 전기를 만드는 부품은 수명이 너무 짧다. 3500시간 정도면 수명 추락하는데, 이게 해결이 쉽게 안된다고함.

    • @tmslzlwl
      @tmslzlwl 3 роки тому

      역으로 대학원 가는애들한테는 굉장히 좋지않나

    • @ClTY-HUNTER
      @ClTY-HUNTER 3 роки тому +1

      @@tmslzlwl 무슨 뜻이죠??

    • @ilovepumpkinpie1452
      @ilovepumpkinpie1452 3 роки тому +3

      @@ClTY-HUNTER 연구할게 많다는 뜻

    • @ClTY-HUNTER
      @ClTY-HUNTER 3 роки тому +3

      @@ilovepumpkinpie1452 아... 그거 연구하는 연구진 며칠 전에도 만났는데, 답이 안나오는 상황이라고ㄷㄷㄷ쉽게 해결 안될 듯

    • @ClTY-HUNTER
      @ClTY-HUNTER 3 роки тому

      @JUN 하루 2시간 탄다면 1750일이면 성능 급락... 대략5년
      그래서 수명 2배 늘리는데에 올인하고 있지만 쉽지 않아보임요. 당장은 해결 안될 듯

  • @hsy737
    @hsy737 3 роки тому +20

    현다이가 수소에 투자하는건 다 이유가 있지.
    단거리는 배터리, 장거리/장기간에는 수소

    • @갑비타
      @갑비타 3 роки тому

      횬다이 안탐 ㅅㄱ 잘타셈 하나 사면 평생에 걸쳐 지금수준으로 대주면 탈께

  • @alexcs7616
    @alexcs7616 3 роки тому +40

    재생 에너지가 안정하지 않으니 수소기술을 발전하는겁니다.
    안정하지 않은 에너지는 전력망 공급에 적합하지 않지만, 수소생산에는 문제가 없거든요.
    그러니 수소를 일종 빠떼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 @정동혁-m4u
      @정동혁-m4u 3 роки тому

      이해가 됐습니다.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 @구-e6j
      @구-e6j 3 роки тому

      다른 친환경 에너지에 비해 꾸준한 에너지

    • @lastppta1934
      @lastppta1934 3 роки тому +2

      이게 수소 경제의 제일 핵심적인 내용

  • @iisookim2172
    @iisookim2172 3 роки тому

    자연스럽게 쌤과함께 홍보영상을 찍으시네. 이제 확실히 연예인이 다 되셨어.ㅋㅋㅋ

  • @mbtiintp3886
    @mbtiintp3886 3 роки тому +1

    슈카형 시스웍 녹고있던데요

  • @MsHitman332
    @MsHitman332 3 роки тому +9

    수소를 제일 싸게 만드는 방법이 핵융합 발전 부산물로 만드는 방법... 물론 핵융합 발전은 뭐......

  • @소금돌이
    @소금돌이 3 роки тому +5

    수소는 진짜 기대가 많이 되네요 ㅎㅎ

  • @jwl9578
    @jwl9578 3 роки тому

    잘보고있다가 plug 보고 ptsd 오네요... ㅜㅜ

  • @4do12
    @4do12 3 роки тому +1

    수소경제 꼭 필요함.
    다만 상용화되려면 30년은 되어야함
    유럽은 발전용 산업용 그리고 수전해기술이 많이 발전되었지만
    우린 겨우 모빌리티 하나임 ㅋㅋ 모빌리티는 만들수록 적자. 충전소사업한다는데 하나 만드는데 17억듬
    충전인프라 만들기에도 시간 오래걸림
    SOFC이외에 국내상용화될 발전용수소 공급기대해봐야함

  • @juni10281
    @juni10281 3 роки тому +12

    물론 아직은 수소를 만드는데 화석연료가 사용되는 부분에서 거부감이 들 수도 있지만 앞으로 수소를 만드는 기술이 발달하여 현명하게 쓸 수 있게 되길 바랍니다.

    • @91Coconuts
      @91Coconuts 3 роки тому

      사실 현재는 blue hydrogen이지만 완벽한 친환경 green hydrogen은 기술도 벌써 나왔고, 그냥 인프라만 깔리면 바로 사용가능한 수준입니다. 미래가 아니라 현재입니다.

  • @MYSY536
    @MYSY536 3 роки тому +2

    요즘 구독자가 하루에 만 명씩 늘어나는 듯.

  • @jiganlee
    @jiganlee 3 роки тому +1

    아직 슈카형 징기스칸 시리즈 안본친규들은 바로가서 보고와라 그때는 살짝 더 매운맛임ㅋㅋㅋ

  • @innifree1469
    @innifree1469 3 роки тому +8

    전기로 석유, 천연가스 만들어낸다고 생각하면 됨. 즉, '전기를 보관할 수 있다.'

  • @IAMCHIC
    @IAMCHIC 3 роки тому +4

    우주에 외계인이 있는지도 해주세요! 🧡

  • @이이이-w8h
    @이이이-w8h 3 роки тому

    이거 대량저장이된다는부분이 되게 매리트가 되는게 새벽대에 저장해놧다가 나중에 필요할때 쓸수있어서 좋긴할듯

  • @jeichina76
    @jeichina76 3 роки тому

    외평채에 대해서도 좀 해주세요.

  • @메밀꽃
    @메밀꽃 3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 @hy20120
    @hy20120 3 роки тому +1

    스페인에 스타트업 회사에서 날개없는 풍력발전기를 만들었다는데 이건 날개가 없어서 도심지에도 설치가 가능하대요
    이게 널리 퍼져야할듯해요

  • @The_Glory_of_My_Family
    @The_Glory_of_My_Family 3 роки тому

    12:00 신재생에너지의 최대단점 변동성이 심하다.. 즉, 기상환경의존도가 높다.. 그래서, ess같은 저장장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소비가 많은 대도시로 공급을 해야하는데, 기존 송전망에 연결하기 힘들다.. 용량 초과.. 따라서, 신규 송전망 건설을 해야하지만, 주민반대에 부딪힌다..

  • @baaraam1048
    @baaraam1048 3 роки тому +1

    핵융합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시대를 기대해 봅니다. 그리고 그 시대가 그리 멀어 보이지는 않네요.

    • @lastppta1934
      @lastppta1934 3 роки тому

      핵융합으로는 수소가 생산되지 않아요. 수소는 우주에서 가장 가벼운 물질이기 때문에 "융합"으로는 수소를 생산할 수 없습니다.
      오히려 수소는 연료로서 소모되게 됩니다.

    • @lastppta1934
      @lastppta1934 2 роки тому

      @President Biden 아하 무슨뜻인지 이해했음

  • @HooN822
    @HooN822 3 роки тому +1

    에너지를 다른에너지로 변환하는것도 어렵고 에너지의 효율성도 따져봐야하고 어렵다...

  • @루핀-l2j
    @루핀-l2j 3 роки тому +4

    슈카 좋아!

  • @이히리디비브리
    @이히리디비브리 3 роки тому

    오늘 저녁 반찬이 없습니다 형님!!

  • @soohosin3968
    @soohosin3968 3 роки тому

    오 바디프랜드 굉고 추카추카 ㅎㅎ

  • @groti120
    @groti120 3 роки тому +1

    슈카는 숏카월드말고 롱카월드 풀버젼을 내놓아라!!!

    • @Do_Chi
      @Do_Chi 3 роки тому

      롱카월드 대환영 :) 라디오 처럼 길게 듣고 싶어요

  • @ninanoswag1967
    @ninanoswag1967 3 роки тому +13

    지금이야 사람들이 테슬라를 찬양하지만 불과 3,4년? 전만해도 거의 대부분이 전기차는 안될 것이라는 둥, 한참 먼 미래라는 둥, 심지어 사기꾼이라는 말까지 했었음. 지금의 수소 경제, 혹은 수소관련 기업들의 현재가 과거의 테슬라 같은 위치라고 생각함. 결국 수소는 나중에 필연적인 에너지원이 될 것이라고 생각함. 정말 탄소를 줄이지 않으면 말 그대로 모두 더워 죽을 것이기 때문에.

  • @scaee74
    @scaee74 3 роки тому

    마지막 SK 깜놀입니다..

  • @가즈아-y4b
    @가즈아-y4b 3 роки тому +1

    샤워할때 보는 영상 슈카오빠

  • @이상헌-q2g
    @이상헌-q2g 3 роки тому +3

    ESS 불도 나지만 저거 다쓰고 나면 쓰레기 어찌 처리하나.

  • @cys1742
    @cys1742 3 роки тому +11

    2:36 열역학을 여기서 들을 줄이야 ㅋㅋㅋㅋ

  • @HTChoi-qo9ux
    @HTChoi-qo9ux 3 роки тому +3

    제발!!! 수소경제 가즈아!!!!

  • @eel6031
    @eel6031 3 роки тому

    근대 수소 에너지 수명이 얼마나 될지가 문제... 지금 연구중 인것이 상용화가 2050년 이면 의미 없을수도 그때 핵융합 태스트 기 완성 목표임 완성 되면 수소 필요함?
    그러니 앞으로 5년 내 완성보급 되야 경제적으로 의미 있지 않을까 합니다

  • @09lifehack
    @09lifehack 3 роки тому

    메칸더 브이 소환 ^^
    국환이 횽!!

  • @Iiililll-user
    @Iiililll-user 3 роки тому

    기초과학이 약하니까 생산부분의 원천기술이 딸리고... 결국 할수 있는게 마지막에 다 모아서 조립하게는 전부지...

  • @gabechoi1114
    @gabechoi1114 3 роки тому +2

    슈카월드 쵝오.

  • @Nationa1Socia1ist
    @Nationa1Socia1ist 3 роки тому +10

    수소경제가 필요한건 효율도 안나오고 비싸기만 한 풍력 태양광 따위가 아니라 핵융합 발전 하나만 나오면 와따임. 그거 노리고 가는거지

    • @GoldenHour_Korea
      @GoldenHour_Korea 3 роки тому

      배우신 분이네

    • @pqjbrhdj
      @pqjbrhdj 3 роки тому

      핵융합은 솔직히 기대걸만함 성과내고 있던데

    • @정지영-o5s
      @정지영-o5s 3 роки тому

      단기적으로는 smr 기술도 기대를 걸고있죠

  • @soomic4916
    @soomic4916 3 роки тому

    한온시스템 좀 분석해주실 수 있으신지요? 국정감사에서 수소관련회사로 나오더라구요

  • @wook0124
    @wook0124 3 роки тому

    수소 에너지 공부해보는 중인데 궁금한게 넘 많음. 백금 촉매를 대체할 수 있는가 수소 에너지로'만' 미래 에너지를 감당할 수 있는가 석유에서 나오는 화합물들은 계속 써야하는데 이 그레이수소는 미래에 어느정도 퍼센트를 차지하는가 등.
    댓글들 읽어보니 의외로 공부해 볼건 핵융합 쪽인듯

    • @innifree1469
      @innifree1469 3 роки тому

      수소는 당장에 5년뒤에도 유의미한 상용화로 가는거고, 핵융합은 2050년도 보장못함. 그리고 수소에너지와 핵융합은 그 규모가 다름. 핵융합은 발전에 한정되는거지만, 수소에너지는 전반적인 화석에너지의 대체임.

  • @sangeunpark7
    @sangeunpark7 3 роки тому +1

    육지에는 못설치한다는데 바다에 저걸 저렇게 많이 설치하면 바다 생태계는 괜찮은건가요? 오일같은것도 떨어지고 그런다는데 뭔가 부식된다거나

  • @jeonghwanyun2570
    @jeonghwanyun2570 Рік тому

    9:16 화이트 워싱은 반대. 톰크루즈가 사무라이 하는게 화이트 워싱.

  • @Daehwangnini
    @Daehwangnini 3 роки тому

    다들 안녕히주무세요

  • @헉우왕-r1k
    @헉우왕-r1k 3 роки тому

    핵융합에대한것도 해주세요 ㅋㅋㅋ

  • @힘들다-u1i
    @힘들다-u1i 3 роки тому +6

    5년전쯤 연료전지 연구하는 박사 형에게 들은소리가 있죠
    수소가 화력발전 이기는거보다 핵융합이 빠를거라고...
    달나라여행이라도 활성화 안되면 수소조차 못구하고 백금보다 10배이상 촉매 안발견되면 소형화 불가능하다는...

    • @dlgudwn783
      @dlgudwn783 3 роки тому +2

      수소는 배터리 역할을 하는건데 수소가 화력을 왜 이겨야되죠? 핵융합이 되면 핵융합 에너지로 수전해해서 수소 무한생산 가능한데 오히려 좋은거 아닌가 ㅋ

    • @힘들다-u1i
      @힘들다-u1i 3 роки тому +1

      @@dlgudwn783 압전소자, 전자기유도, 풍력, 태양열, 지력 등의 신재생에너지와 수소는 전혀 다른 카테고리입니다. 전자들은 불안정하지만 주력발전과 같이 쓰는 보너스개념이고, 수소는 사용하기위해서는 인프라가 충족되야되는 주력발전이에요.
      그런데 핵융합이 수소발전보다 활성화된다는 것은 그만큼 실효율이든... 온도... 재료의 수급 등에 장애가 많다는걸 표현하는 농담인거죠

  • @휘수이-m4r
    @휘수이-m4r 3 роки тому +2

    지구본연구소 콜라보 기원~

  • @DAVIDKIM83527
    @DAVIDKIM83527 3 роки тому +1

    근데 수소도 어느정도 맞는말입니다.전기차는 아마도 배터리가 유한하기 때문에 어느정도 한계가 있는건 다들 아니까요

  • @i별
    @i별 3 роки тому

    시프트 넘 편안...ㅋㅋㅋ

  • @isBaek
    @isBaek 3 роки тому

    이슈 픽 쎔과 함께 수소관련은 언제 한건가요?

    • @MYSY536
      @MYSY536 3 роки тому

      아직 안 했어요.
      몇 주 후에 한대요.

  • @김삐리릿
    @김삐리릿 3 роки тому

    잠자러 왔습니다아아🙆‍♂️

  • @쿠키-d5c
    @쿠키-d5c 3 роки тому

    ppt 편집 태그 없이 하면 좋겠습니다

  • @91Coconuts
    @91Coconuts 3 роки тому +6

    수소는 현재 모든 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친환경적인 에너지 대체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수소만이 유일하게 모든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고 에너지 효율성이 뛰어납니다. 외국에서는 수소 경제가 새로운 산업혁명이라고 보고 있더군요.

  • @yeonie8889
    @yeonie8889 3 роки тому +5

    수헬리베붕탄질산플네나마알규인황염아칼카로 외웠어요ㅋㅋㅋ

  • @silo754
    @silo754 2 роки тому

    참고로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이 있긴한데..(현재필요한숫자:미국gep의 절반수준의 돈이필요함)

  • @91Coconuts
    @91Coconuts 3 роки тому +3

    참고로 수소자동차는 충전도 베터리 충전보다 훨씬 빠르고 효율성도 훨씬 좋습니다. 앞으로 미래는 베터리가 아니라 수소라고 봅니다

    • @라예-d7d
      @라예-d7d 3 роки тому

      폭발도 훨씬 잘하는거아닌가요?

    • @renn9624
      @renn9624 3 роки тому

      @@라예-d7d 폭발 안해요

  • @박수진-r7y
    @박수진-r7y 3 роки тому +1

    1:24 한국인은 냉동만두인 겁니다
    얼렸다 쪘다 하지요..ㅠㅠ

  • @DDDaaa123
    @DDDaaa123 3 роки тому

    수소 관련 종목 추천좀~~~요

  • @leejihoon6484
    @leejihoon6484 3 роки тому +1

    수소는 전기를 저장하는 수단으로 봐야겠죠. 전기보다 저장하고 옮기기 간편하다! (+ 아마도 같은 전력을 저장하는데 배터리보다 더 적은 공간과 무게를 차지하지 않을지?)

  • @haroldkang3056
    @haroldkang3056 3 роки тому

    수헬리베붕탄산 플네나마... 이렇게 외웠었는데.
    벌써 40여년 전이네요. 정말 기억나는게 희한하네.

  • @bighole9136
    @bighole9136 3 роки тому

    기술혁신이 일어나기 전에는 수소경제 말이 안됩니다. 수소로 생산되는 에너지 보다 수소 생산에 투입되는 에너지가 더 많은데 어떻게 친환경이 되나요?

    • @innifree1469
      @innifree1469 3 роки тому

      지금 재생에너지의 가동률이 20~30%입니다. 이는 변동성에 따른 보수적인 공급량으로써 생산량을 잡았기 때문이고. 목표생산량을 맞춰버리면 발전을 멈춰버립니다. 근데 이제 수소로 전기가 저장된다면 재생에너지 가동률이 80%이상 늘릴수 있는데 단순 수소에너지 뿐만이 아니라, 재생에너지의 가동률까지 획기적으로 올리게 되고 시너지인한 경제성이 획기적으로 오르게 됩니다. 괜히 현 1만 5천원 수준의 수소가 향후 3천원까지 떨어지는게 아닙니다.

  • @rogo5646
    @rogo5646 3 роки тому +10

    수소를 만들기 위해 전기를 써야하는 아이러니한 상황 ㅋㅋ

    • @tikitaka8042
      @tikitaka8042 3 роки тому

      번개 전기 모으는 기술 개발 필요...비오는날 쇠로된 우산 들고 밖에 서 있기 ㅋ

  • @오미자-g8d
    @오미자-g8d 3 роки тому +33

    수소경제가 미래는 맞습니다.
    인류 역사상 에너지 전환 효율이 80% 넘는 에너지원은 없었습니다.
    다만, 수많은 미래중 하나일뿐 ㅋㅋ

    • @upupup222
      @upupup222 3 роки тому +2

      전기-수소-전기 전환효율은 25%인데요.....

    • @오미자-g8d
      @오미자-g8d 3 роки тому +1

      @@upupup222 전기 에너지로 수소 생산하는 효율이 낮아서 그렇습니다.
      지금 나노 촉매 기술이 많이 발전되고 있습니다. 지금은 블루 수소를 기반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 @jijjjijiiijijiijiijjijjjijijj
      @jijjjijiiijijiijiijjijjjijijj 3 роки тому +7

      에너지 전환 효율로 따지면 그렇고 순수 전력 생산 효율은 화석연료 발끝도 못따라갑니다
      수소에 보일러 붙여서 열까지 뽑아내서 만드는 에너지 전환 효율 80% 이상은 이미 가스 열병합으로 오래전에 90% 효율 찍었으니 역사상 최대도 아니죠

    • @jijjjijiiijijiijiijjijjjijijj
      @jijjjijiiijijiijiijjijjjijijj 3 роки тому +2

      @@오미자-g8d 그리고 연료전지의 문제는 촉매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셀 수명 등등 다양한 문제가 있습니다...

    • @91Coconuts
      @91Coconuts 3 роки тому

      수많은 미래중에서 가장 가능성이 높다는게 중요한거죠

  • @미사리짱
    @미사리짱 3 роки тому

    비트코인 얘기좀 해줘요
    블록체인과 4차산업 미래전략 우리의 투자방향
    부탁드립니다

    • @TV-ry2eo
      @TV-ry2eo 3 роки тому

      슈카 : 야수형들이나 하는거

  • @다캐릭증후군
    @다캐릭증후군 3 роки тому +3

    수소가 연료 가스들 중에서는 운송이 좋지는 않습니다.
    LPG는 가스통에 운반하지만 LNG(도시가스) 는 압축률 때문에 관 매립해서 사용 합니다.
    심지어 수소는 LNG 보다 압축률이 좋지 않습니다.
    수소를 가스상태로 사용하기에는 압축효율이 좋지 않고
    액화 상태로 쓰기엔 너무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 @dals1230
    @dals1230 3 роки тому

    오늘 2배속 같아요 ㄷ 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