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주 이 영상을 보기 전까지는 말더듬 장애에 대해 잘 몰랐는데, 이 영상을 통해 처음 알게 되어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고, 말더듬으로 인해 개인의 자신감이나 사회생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특히 일상 대화에서 겪는 어려움과 심리적 부담이 얼마나 큰지 느낄 수 있었고, 이에 대한 사회적 이해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말더듬 장애에 대한 인식이 더 널리 퍼져, 저 같이 말더듬 장애에 대해 잘 모르던 사람도 잘 알게 되면서 모두가 편안하게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으면 좋겠습니다
김현종 저 또한 모든 순간에 말을 저는 건 아니지만 어릴 때의 PTSD 적 증상으로 말을 절 때가 있습니다.이렇게 저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증상을 가진 것을 보니 "이 사람은 얼마나 힘들게 지내왔을까"라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들었고,저보다 더 심각한 수준의 병이라는 것을 알고 동정심이 들었습니다.이러한 말더듬 장애의 원인 중 하나인 강압적인 교육이 보다 예전보다 줄어서 요즘 아이들에게는 잘 생기지 않았는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어린 시절 체벌이 강한 시대와 이전 시대의 어른분들도 종종 말 더듬 증상이 있는 걸 보면 그 시절의 시대적 상황이 만든 문제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동겸 말더듬 장애라는 것이 존재한다는 것이 신기했는데 신기해서 본 것보다 아동기시기에 발병되고 그것이 계속해서 고착돼서 성인까지 가고 말더듬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힘든지 잘 보여주는 것 같아서 좋았습니다. 특히 조지 6세의 행동들과 DSM-5의 진단기준을 교차, 비교하면서 보여주어서 이해하기 편했습니다. 또 치료방식으로 영화의 부분을 같이 보여주면서 치료가 언어치료 뿐만이 아니 심리치료가 필요하고 PTSD인 부분을 치료하여 심리적인 부분을 치료하는 모습이 인상 깊었습니다. 특히 몸을 털면서 입을 풀면서 심리적인 부분을 이완시키는 모습이 인상 깊었습니다.
가장 답답한 것은 자신이 아닐까 싶습니다. 본인은 잘 말하고 싶지만 그렇지 못하는 현실에 자존감도 낮아질 것 같습니다. 다행히 심리치료와 행동치료를 병행하여 많이 호전되었고 장애를 극복하는 모습을 담아내서 좋았습니다. 의사소통이 제한된다는 것이 일상생활에서 얼마나 답답한지 보여주는 영화였습니다.
이성주
이 영상을 보기 전까지는 말더듬 장애에 대해 잘 몰랐는데, 이 영상을 통해 처음 알게 되어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고, 말더듬으로 인해 개인의 자신감이나 사회생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특히 일상 대화에서 겪는 어려움과 심리적 부담이 얼마나 큰지 느낄 수 있었고, 이에 대한 사회적 이해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말더듬 장애에 대한 인식이 더 널리 퍼져, 저 같이 말더듬 장애에 대해 잘 모르던 사람도 잘 알게 되면서 모두가 편안하게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으면 좋겠습니다
김현종
저 또한 모든 순간에 말을 저는 건 아니지만 어릴 때의 PTSD 적 증상으로 말을 절 때가 있습니다.이렇게 저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증상을 가진 것을 보니 "이 사람은 얼마나 힘들게 지내왔을까"라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들었고,저보다 더 심각한 수준의 병이라는 것을 알고 동정심이 들었습니다.이러한 말더듬 장애의 원인 중 하나인 강압적인 교육이 보다 예전보다 줄어서 요즘 아이들에게는 잘 생기지 않았는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어린 시절 체벌이 강한 시대와 이전 시대의 어른분들도 종종 말 더듬 증상이 있는 걸 보면 그 시절의 시대적 상황이 만든 문제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동겸
말더듬 장애라는 것이 존재한다는 것이 신기했는데 신기해서 본 것보다 아동기시기에 발병되고 그것이 계속해서 고착돼서 성인까지 가고 말더듬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힘든지 잘 보여주는 것 같아서 좋았습니다. 특히 조지 6세의 행동들과 DSM-5의 진단기준을 교차, 비교하면서 보여주어서 이해하기 편했습니다. 또 치료방식으로 영화의 부분을 같이 보여주면서 치료가 언어치료 뿐만이 아니 심리치료가 필요하고 PTSD인 부분을 치료하여 심리적인 부분을 치료하는 모습이 인상 깊었습니다. 특히 몸을 털면서 입을 풀면서 심리적인 부분을 이완시키는 모습이 인상 깊었습니다.
잘 때 듣기 좋아요
가장 답답한 것은 자신이 아닐까 싶습니다. 본인은 잘 말하고 싶지만 그렇지 못하는 현실에 자존감도 낮아질 것 같습니다. 다행히 심리치료와 행동치료를 병행하여 많이 호전되었고 장애를 극복하는 모습을 담아내서 좋았습니다. 의사소통이 제한된다는 것이 일상생활에서 얼마나 답답한지 보여주는 영화였습니다.
장형수
저는 말을 더듬는 사람들을 살아오며 여러 명을 보았는데 그들은 정상적인 삶을 살아오다 병의 후유증 또는 합병증으로 증상이 나타난 케이스였는데 이 영상을 보니 확연하게 다르구나를 느꼈고 어릴 때 여러 가지 이유들로 어릴 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하였습니다.
말더듬 장애라는 것을 거의 처음 보는 것 같은데 신기해서 바로 들어와 보게 된 것 같습니다 이러한 영상을 보고 나니 심리학과 언어치료는 뗄 수 없는 관계인 것 같습니다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