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올해 들어 7.3% 급등...'중동 사태' 최대 변수 / YTN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0 кві 2024
  • [앵커]
    올 들어 원/달러 환율이 7% 넘게 급등해 금융위기 때 상승 폭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원화가 과도하게 평가절하 됐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향후 중동 사태의 향배가 환율에 최대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
    [기자]
    올 들어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말 종가보다 7.3% 상승했습니다.
    연초 3개월 여 기간에 7%를 뛰어넘는 급등세는 이례적입니다.
    금융위기 때인 2008년과 2009년 같은 기간, 6.9%와 5.8%, 외환위기 사태가 불거진 1997년에도 같은 기간 환율은 6% 안팎 상승했습니다.
    원화가치 낙폭은 주요 교역국 26개 나라 가운데 7번째로 높았습니다.
    한국보다 통화 가치가 더 크게 떨어진 나라는 칠레와 일본, 아르헨티나 등이었고, 유로존과 영국 등은 달러 대비 통화 가치가 상승했습니다.
    원/달러 환율 상승은 무엇보다 달러화 강세 때문인데, 미국 경제가 '나홀로' 호황을 이어가며 연준의 금리 인하가 지연될 것이라는 전망이 강해졌습니다.
    통상 고금리는 통화가치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외환 당국인 정부와 한국은행은 원화 가치 하락이 지나치게 과도하다는 판단 속에 비상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최근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일 재무장관 회의에서도 엔화와 원화의 급격한 평가절하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공유한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최상목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지난 18일) : 실물경제 불확실성이 초래할 수 있는 금융 측면의 불안에 대해서도 3국이 협력하여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제통화기금 IMF는 한국의 환율 변동 상황이 우려할 정도는 아니라고 평가했습니다.
    [크리슈나 스리니바산 / IMF 아시아·태평양 국장 : 한국의 경우 통화 불일치가 제한적이고 인플레이션도 관리 가능한 수준이어서 환율 변동성이 경제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향후 환율의 향배는 강 달러와 중동 사태 추이에 달렸다는 분석입니다.
    이와 관련해 이창용 한은 총재는 많은 불확실성이 있지만 중동 사태가 확전이 안 된다면 환율은 안정세로 전환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하고 있는 정부도 중동 위기가 전면전으로 비화하지 않는다면 환율이 1,400원 선을 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는 분위기 입니다.
    YTN 오인석입니다.
    YTN 오인석 (insukoh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www.ytn.co.kr/_ln/0102_202404...
    ▶ 제보 하기 : 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КОМЕНТАРІ • 12

  • @user-sj2cj3fp3e
    @user-sj2cj3fp3e Місяць тому +2

    검찰청 수사관 따위를 검사로 여긴다면
    찰나의 순간에 피해가 가해로 바뀌거나
    해롭게 변호사 마저도 검사와 밀담으로
    체계적 범죄를 저지를 꼼수가 생깁니다.
    합리적 검사는 헌법12조 3항을 두고도
    시비를 가려서 헌법12조 2항의 고문을
    다시는 못하게 헌법12조 1항을 봅니다.

    • @user-sj2cj3fp3e
      @user-sj2cj3fp3e Місяць тому +1

      법무부 내부에 검찰청의 인사가 있으니
      무식한 장관이 헌법12조 3항을 법집행
      부실을 막으며 헌법12조 2항의 고문을
      무식한 수사로 헌법12조 1항의 자유를
      능력껏 영장의 집행에서 사전에 차단을
      함이란 사실도 검찰청이 모르게 하더라.
      OECD 주요국 물가 순위
      1위. 튀르키예( 터키 )
      2위. 아이슬란드
      3위. 한국
      . . .
      국가 화폐의 가치가 국력이다.

  • @user-in7vf3ej7q
    @user-in7vf3ej7q Місяць тому +2

    십만원권 나오겠네

  • @jeronimomartinez5087
    @jeronimomartinez5087 Місяць тому

    뭔 중동정세여 금리는 말을안하네 부동산어짜피 터지는데 자기때만 괜찮으면 된다는건가 미국이 기축통화지키면서 우위를 점하려면 아시아 국가들 약화시켜야됨

  • @user-yr8om7zq4u
    @user-yr8om7zq4u Місяць тому

    아파트 주식 금리 올려야 폭락한다 계속 금리 동결하면 원화가치 떨어지고 물가 존나 오르고 존나 멍청해 한국은행장❤❤

  • @Gjs739
    @Gjs739 Місяць тому +1

    금리 쳐 올려ㅡㅡ 영끌족들 한강에 떠오르는거 보게

    • @zilchkin7403
      @zilchkin7403 Місяць тому

      금리 떨군데. 거의 100프로임

  • @limboys2
    @limboys2 Місяць тому

    금리 올려

  • @oxbamjin8695
    @oxbamjin8695 Місяць тому

    🐑
    작전에 시작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