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 온도가 높아요 109도 컴퓨터가 꺼져 버리는 이유 | 전면 수랭쿨러 라디에이터 팬 방향은 | 컴퓨터 매장 수리 일상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КОМЕНТАРІ • 68

  • @skyzero7951
    @skyzero7951 2 роки тому +8

    사장님 덕분에 수냉쿨러의 원리에 대해서 또하나 배워갑니다. ㅎㅎ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번창하십쇼~~

    • @d12com
      @d12com  2 роки тому +2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Jungggeokgeuma
    @Jungggeokgeuma Рік тому

    저도 모르고 cpu ceiling에 2팬밖에 없는데 3팬 수랭을 구매해버려서 저도 이분처럼 앞에다가 설치하려고 그랬다가 더 큰 케이스를 사서 위에 달았는데 그렇게 한게 정말 다행이였군요.. 배보다 배꼽이 더 클뻔했습니다..

  • @이디하-k5t
    @이디하-k5t 7 місяців тому +2

    ㅋㅋㅋ 아.. 보는 내가 창피해지네. 팬의 위치는 크게 상관이 없어요. 진행방향으로 밀어주는 push냐 당기는 pull 이냐의 방식인데, 당연 push가 pull보다는 약간 좋지만 pull 방식도 쿨링이 안되는 게 아닙니다.

  • @정대만-i1j
    @정대만-i1j 2 роки тому +1

    정말 잘 점검해주시고 인상도 좋으신분입니다
    번창하시길^^

  • @거제로가자
    @거제로가자 2 роки тому

    아주 중요한거또 배우게 될것입니당

  • @KoreauserJames
    @KoreauserJames Рік тому +1

    호스까지 상단을 향하고 있으니 펌프가 물을 흡입하는 것도 쥐약이었겠네
    전면에 설치하면 하단으로

  • @TV-wx5rw
    @TV-wx5rw Рік тому

    수냉 쿨러가 작은 에어컨의 원리인데 두개의 호스가 순환구조에서 동맥,정맥이라고 봤을 때 온도차가 나야지 정상 아닌가?
    두개가 비슷한 온도면 냉각이 안되고 있다는데....이해할 수 없는 논리인데....? 지금처럼 온도차가 나야 정상 같은데....
    CPU에서 뜨거워진 물을 라지에이터로 보냄-->수온을 식힘--->다시 CPU가 있는 쪽으로 보냄..--->다시 뜨거워진 물을 펌프가 라지에이터로 보냄... 이 반복이
    수냉 쿨러의 동작원리인데 양쪽 파이프 온도가 비슷해야 한다는게...맞음??

    • @d12com
      @d12com  Рік тому

      비슷해야 한다는게 아니고요.. 두 호스 차이가 너무 심하게 뜨겁고.. 차가움

  • @time_memory
    @time_memory Рік тому +2

    전면 설치하면 펌프 호수가 위가 아니라 아래로 해야 냉매가 잘 돌아감. 호수 위로 해놔서 냉매 순환이 잘 안되는 이유도 있을 듯

  • @hydrarusk
    @hydrarusk 2 роки тому +5

    전면 수냉이 일단 가장 중요한 전면 흡기 자체를 방해하는 요소라.. 특히 저렇게 cpu를 많아 갈구는 작업용 pc의 경우일 수록 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dlx21 정도되는 케이스로 교체하고 상단 라디로 가는게 베스트 같아요~

    • @hydrarusk
      @hydrarusk 2 роки тому

      @왓더훈 하나는 알고 둘은 몰랐네요. 배워갑니다(_ _)

    • @남진현-y4i
      @남진현-y4i 2 роки тому +1

      @왓더훈 공기의 원리를 이용하면 상단은 흡기를 세팅하는게 아니라 배기가 맞는겁니다 뜨거운 공기는 상승하고 차가운 공기는 내려가는 현상을 이용해야죠 전면샌드위치는 왓더훈님 말대로 cpu의 온도를 최대한 떨구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이게 단점이 하나가 있는데 cpu는 온도를 떨궈도 그래픽카드, ssd, 메모리, 메인보드 전원부, 메인보드 칩셋부분 등은 온도가 오히려 상승합니다 그 이유는 전면에 차가운 바람만 들어오게 하면 이런 경우가 좀 덜한데 라디에이터를 어느정도 식힌 상태로 공기가 입장하다보니까 아주 찬 공기는 아닌 미지근한 공기를 내부에 흡수하게 되는거죠 전면 샌드위치의 단점을 극복하려면 하단 흡기를 통해서 그래픽카드의 뜨거운 공기를 어느정도 식혀주면 해결되기는 합니다 요즘 PC는 그래픽카드가 발열이 더 높지 cpu가 높은건 아니거든요 지금 영상에 나온 PC는 저사양의 그래픽카드여서 전면 샌드위치로 구성해도 문제될 정도는 아닙니다 다만 3070ti 이상의 그래픽카드를 사용중이라면 (그래픽카드의 vram이 GDDR6X 제품이 GDDR6 메모리보다 온도가 훨씬 높습니다 이런 문제때문에 3070ti 이상 사용자를 적은겁니다) 전면 샌드위치보다는 상단 배기방식의 일체형 수냉쿨러를 권장하는게 맞는거구요 영상처럼 저사양 그래픽카드면 전면샌드위치로 해도 문제될정도는 아니구요

    • @테미-g6f
      @테미-g6f 2 роки тому +1

      dlx21 상단 두께 제한 있어요 53mm(후면팬과의 간섭 심지어 후면팬이 메인팬)

    • @PC_OverClock
      @PC_OverClock 7 місяців тому

      단지 전면 라디 설치라서 문제가 되는게 아닙니다. 지금 영상의 상황은 팬 위치가 잘못된 것이에요. 라디에 바람을 불어 줄 수 있도록 라디 앞에 팬이 흡기로 놓여야 하는데,
      라디 뒷면에 놓였다는 거죠. 그리고 에너맥스 쿨러 자체에도 펌프 불량이 있습니다. 이 제품 펌프 사망 이슈 심합니다.
      제가 전면 샌드위치 세팅으로 수냉 운용 중인데 온도 좋습니다. 6년째 이 방식만 고집하고 있습니다. 실제로도 CPU 온도를 내리는데 제일 좋은 방식입니다.
      두 번 정도 일부러 상단 배기로 설치하고 테스트를 해봤었는데 전면 샌드위치가 훨씬 온도가 좋았습니다.

  • @HanDiyTV
    @HanDiyTV 2 роки тому +4

    안녕하세요. 데이리컴님 오늘도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수냉 잘 모르시는 분들은 일체형 수냉쿨러 속에 물만 가득 들어 있는 것 같지만...
    사실 공기가 조금 있어서...
    워터펌프가 라디보다 밑에 있어야 공기가 라디쪽으로 올라가고 워터펌프에 물이 꽉 찰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라디를 펌프 위쪽으로 설치하라고 하죠...
    공기가 라디쪽에 머물면...
    펌프 소음이 증가할 수 있고, 공기층이 생겨서 온도가 증가 할 수 있으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공기층이 팽창하고 누수의 원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생각보다 워터펌프 쪽의 에어빼기 작업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설치시 라디를 위로 들고 워터펌프를 아래에 놓고 살살 흔들어서 공기를 라디쪽으로 보낸다는 생각으로 액션을 취하고 장착하면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라디가 위에 있으면 펌프 작동으로 공기는 위로 가게 되어 있기에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지만....
    가끔 화면처럼 전면 라디 설치시... 라디와 워터블럭의 입, 출수구 높이 차이가 애매모호한 경우가 생길 수도 있는데..
    그럴 땐 펌프가 작동하는 상황에도 온도가 높다면... 에어가 찼는지 의심을 해볼 필요도 있다고 봅니다.

    • @d12com
      @d12com  2 роки тому +2

      자세한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테미-g6f
      @테미-g6f 2 роки тому +2

      해당 제품은 냉각수로 인한 펌프 부식으로 인한 불순물 발생으로 전제품 리콜 대상입니다
      아팔텍 펌프 조졌어요!

    • @HanDiyTV
      @HanDiyTV 2 роки тому +1

      @@테미-g6f 네. 맞는 말씀 같습니다.
      아세텍 펌프들 보다 아팔텍 oem 펌프들이 더 말성인 것 같더라고요.
      근데 어떤 것을 쓰던 결국엔... 일체형 펌프의 끝은 비슷 한 것 같습니다. 물론 불량은 당연히 걸러야 겠지만...
      개인 적으론 고장이 나면 스스로 펌프만 교체가 가능한 DIY 수냉이 편한 것 같더라고요. ^^;
      저는 그냥 냉각수를 제가 20L 만들어 놓고 7.6L 리저버 탱크에 자동 순환 되게 만들어서 3만원짜리 외장 펌프로 별로 신경 쓰지 않고 펌프 고장 날 때까지 건들지 않고 돌리고 있는데 고장도 잘 안나요. 소음도 거의 없고.

    • @테미-g6f
      @테미-g6f 2 роки тому +1

      @@HanDiyTV 커수가 입문하기 까다롭고 번거롭긴 하지만 터질 일이 거의 없긴하죠
      그렇지만 인식이 일체형도 아직은 반감이 있는 사람들 많아서 커수는 좀 더 걸릴 것 같습니다 ㅜㅜ

    • @HanDiyTV
      @HanDiyTV 2 роки тому

      @@테미-g6f 네 맞는 말씀 같습니다.^^
      공냉이 가장 편하고 좋은 것 같습니다.
      이것저것 만지는 것 좋아 하는 사람들은 물이 세든 공기가 세든 그걸 고치는 자체가 재미 있는데 그런 것 싫으신 분들은 공냉을 적극 추천하고 싶죠 ^^ 댓글과 관심 감사합니다.

  • @TV-oh6kk
    @TV-oh6kk 2 роки тому +1

    지금저도 똑같은 현상입니다 ㅜ 온도는 이미 100을넘어섯고 이제 아에 켜놓고 1분도 안대서 꺼져버립니다 혹시몰라서 서머구리스를 다시 발라줫는데도 현상이 같네요 ㅠ

  • @리림-w5h
    @리림-w5h Рік тому

    음 근데 저렇게 달면 결국 내부 공기는 뜨거워지니까 그래픽카드 온도는 올라가게ㅐㅆ네요

    • @user-qc8ii4hl9q
      @user-qc8ii4hl9q Рік тому

      그래서 상단 배기가 정답이라는 겁니당. 흡기보다 케이스 내부의 열이 빠져나가는게 더 중요해용

  • @quasar2259
    @quasar2259 2 роки тому

    추천 꾸욱~ㅎ

  • @김밥마리-o9x
    @김밥마리-o9x 2 роки тому +2

    흡배기 문제는 큰거같지는 않고
    단지 아팔텍이 아팔텍 한거같은데

  • @황재동-i4b
    @황재동-i4b Рік тому

    전에 들은게 있는데 일체형 수냉쿨러 내부 냉각수가 가득 안차 있다 하더라고요
    배관과 레디에이터 내부에 기포가 있기에 배관 방향이 아래로에서 들어게 해야지 냉각이 원활하다고 하더라고요 맞는말인지?~

  • @gomchoco
    @gomchoco 2 роки тому +2

    소문의 그 펌프군요

  • @watch_shoes
    @watch_shoes 2 роки тому

    프렉탈 디자인 메쉬파이2 컴팩트 케이스 같은데 해당 케이스는 상단 2열 240 다는게 공기 흐름상은 가장 좋습니다ㅎㅎ

  • @여채린-y3h
    @여채린-y3h Рік тому

    저렇게 흡기배치가 대중적인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잘못된것은 아닙니다.
    그것때문에 온도가 저렇게 놉다는것은 아무리 발열이 많은 5950x라도 정상은 아니죠
    바로 펌프고장의심 해봐야 합니다

  • @holiclove
    @holiclove 2 роки тому +1

    어 내 5950은 83~88도 자주 찍던뎅 렌더링시... 아이들 35~40 펑소 60~65 lc360 화이트사용중 92도를 넘어가지가 않던데 ㄷㄷ 제한 다풀어도 ...
    요즘들어 이쁜거로 바꾸고싶어요ㅋ

    • @테미-g6f
      @테미-g6f 2 роки тому +2

      이쁜 므시, 아팔텍만 거르면 됩니다
      므시므시 결착력 구려욧
      결착력은 12세대 수냉온도 비교보면 알 수 있어요

  • @솜사탕-z3t
    @솜사탕-z3t 2 роки тому +1

    에너맥스 쿨러 불량 유튭에서 자주 보는 듯

    • @d12com
      @d12com  2 роки тому +1

      특정 차수 모델 리콜 들어갔습니다..

  • @유호진-f9j
    @유호진-f9j 2 роки тому

    어휴 109도라구요??^^ 다운않돼면 이상한온도😅😅😅 고생하셨네여👍👍👍 역시컴터는 섬세한머신 ㅋㅋㅋ🤭🤭🤭

  • @김태원-z4r
    @김태원-z4r 2 роки тому

    오늘도 일마치고 가는길에 영상 시청합니다 온도가 후덜덜하네요 궁금한게 있는데 팬을보면 흡기 배기 구분을 어떻게할까요?

    • @d12com
      @d12com  2 роки тому

      시스템 팬 보실때 날개가 깔끔하게 다 보이는 쪽이 흡기로.. 공기가 들어가는 쪽...으로 보시면 됩니다.
      배기는 팬이 전체척인 틀과 함께.. 외관상 이뻐 보이지 않습니다. .. 얖 뒤로 보시면 아실 거에요

    • @김태원-z4r
      @김태원-z4r 2 роки тому

      @@d12com 아하 답글 감사합니다 ^^

  • @스와치시계
    @스와치시계 Рік тому +1

    역시또 에너맥스네 ㅋㅋㅋㅋㅋ

  • @KR컴퓨터
    @KR컴퓨터 2 роки тому

    영상 잘 봤습니다.~수냉불량으로 100도까지 가도 속도만 느려지고 안꺼지는 경우도 있더라고요.

    • @d12com
      @d12com  2 роки тому +1

      감사합니다. 120여도 까지 올라가는 보드들도 있더라고요.. 전원부가 튼튼한 보드들이 잘 견디는 거 같아요

  • @jueun0913
    @jueun0913 2 роки тому

    저도 같은 증상인데 팬 라디에이터 위치교환 업체통해서 해줆가요? ㅠㅠ

  • @도끼랑톱이랑
    @도끼랑톱이랑 2 роки тому

    흡기는 난방용, 배기는 냉방용!!!
    -.- 농담 이유!
    수고하셨습니다.

  • @aid3368
    @aid3368 Рік тому

    웃긴게 ㅋㅋㅋ 지금 역주행중인데 라디오같이 ㅋㅋ 리안리 애너맥스 수냉들 전부 털려나가고 ㅋㅋ 결국엔 크라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결국 수냉답은 아무리 비싸도 크라켄이 제일 걱정없이쓸수있을듯

  • @크로바-o4g
    @크로바-o4g 2 роки тому +2

    펌프고장 아니면 문제없었어요
    팬위치 실상 큰문제안되요

    • @d12com
      @d12com  2 роки тому

      네.. 라디에이터 전면. 상단.... 다 괜찮습니다..이 말씀 하신거죠?... 팬은 라디에이터를 향해 불어주는 게 맞습니다.

    • @8antares893
      @8antares893 2 роки тому

      공부좀 더 하셔야 할듯 수냉 저거 자동차 냉각수 원리로 컴터에 만들어 진것은 아시는지요? 차량같은경우는 안에서 밖으로 밀어 줍니다 흡입 하는것이 아니라 왜냐면 차는 직진으로 움직여서 밖에서 안으로안에서 밖으로 냉각을 극대화 하는거지요~ 컴터는 그게 안되니 샌드 혹은 적어도 팬 바람이 라디로 밀어 넣어 줘야 하는겁니다 ~ 펌프는요!!! 더워진 냉각수 순환 시키는 역활 하는거구요!!

  • @조준연-n7h
    @조준연-n7h 2 роки тому

    수냉은 호스끼리 온도차 크거나 흡기, 배기 쿨러가 이상하면 문제 터지는군요 ㄷㄷ

  • @테미-g6f
    @테미-g6f 2 роки тому +1

    에너맥스 리맥3군요
    리콜 대상 제품인데 모르고 계속 쓰셨나 보네요
    온도 제어가 전혀 안되는 이유는 펌프 내에 생긴 불순물탓.... 냉각수가 펌프를 부식시켜용
    리콜한 제품 아니면 1년 이내 리콜 필수
    80퍼가 1년 이내에 부식 발생.....
    한동안 아팔텍 펌프의 제품은 거르는게 최곱니다
    여지껏 이슈가 단 한번도 없는 아세텍이 진립니다 - 크라켄 x73, clc360 기타등등

    • @d12com
      @d12com  2 роки тому

      아팔텍. 아세텍... 이름도 비슷하고.. AS는 잘 해주긴 하는데 .. 불안해서 요즘 크라켄 제품을 권유하게 되더라고요...

  • @햇살좋은날-e4u
    @햇살좋은날-e4u 2 роки тому

    수냉쿨러 라디에이터 전면장착하는 이유가 뽀대나라고 하는거죠? 쿨링을 위해서는 상단장착이 좋은거구요.

    • @d12com
      @d12com  2 роки тому

      상단애 달지 못해서 전면에 다는 경우가 많아요

    • @PC_OverClock
      @PC_OverClock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단지 전면 라디 설치라서 문제가 되는게 아닙니다. 지금 영상의 상황은 팬 위치가 잘못된 것이에요. 라디에 바람을 불어 줄 수 있도록 라디 앞에 팬이 흡기로 놓여야 하는데,
      라디 뒷면에 놓였다는 거죠. 그리고 에너맥스 쿨러 자체에도 펌프 불량이 있습니다. 이 제품 펌프 사망 이슈 심합니다.
      제가 전면 샌드위치 세팅으로 수냉 운용 중인데 온도 좋습니다. 6년째 이 방식만 고집하고 있습니다. 실제로도 CPU 온도를 내리는데 제일 좋은 방식입니다.
      두 번 정도 일부러 상단 배기로 설치하고 테스트를 해봤었는데 전면 샌드위치가 훨씬 온도가 좋았습니다.

  • @user-tracker
    @user-tracker 2 роки тому

    수냉이 CPU 온도 96도?
    나중에 5800X 조립해봐야 겠네요.
    핵심: "뒷 쪽으로만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뽑아 내는게 정답입니다." (내부로 찬 공기를 많이 넣어 주는게 좋음) 뒷쪽 쿨러 방향 바뀐거 아닌가??? 먼지가 안쪽 프로펠러에 잔뜩 꼈음
    "맞네 뒷쪽 쿨러 방향 바꼈네 맙소사 저러니 내부의 뜨거운 공기가 뒷쪽 밖으로 안빠져 나가지 ㅉㅉㅉㅉ"
    본체 뚜껑을 열고 테스트 하니 공기가 밖으로 나와서 정상이지 다시 본체 뚜껑 닫고 사용하면 펄펄 끓듯!
    "뒷쪽 쿨러 방향 잘못 꼈음!"

  • @JH-ms4ib
    @JH-ms4ib 2 роки тому

    하여간 발열이 문제로다....
    상단에 360 수냉쿨러 장착 가능한 전면 메쉬 케이스 날 잡아서 교체하세요 cpu 발열도 중요하지만 그래픽카드 발열도 중요합니다

  • @조준연-n7h
    @조준연-n7h 2 роки тому

    바이오스에 나오는 온도는 정확하지 않을 때도 있군요!

  • @jetishie
    @jetishie 2 роки тому

    와 크라켄은 역시... 60도도 안되다니...

  • @Blacker02
    @Blacker02 2 роки тому

    흐미 자동차는 이동해서 정면에 달고 하는 건데 ..........................

    • @핸즈쥬델
      @핸즈쥬델 2 роки тому

      그래서 앞에다가 흡기팬으로 강제로 불어주잖아요

    • @Blacker02
      @Blacker02 2 роки тому

      @@핸즈쥬델 거의 반 강제적이죠 ㅋㅋㅋㅋ

    • @8antares893
      @8antares893 2 роки тому

      @@핸즈쥬델 부는게 아니고 안에서 밖으로 밀어 주지요~~^^

  • @sDH8988L
    @sDH8988L 2 роки тому

    개인적인 의견인데요...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뜨거운 공기가 본체 내부로 들어오는 건 바람직한 구성이 아닐 듯 합니다.
    차라리, 전면 라디에이터와 팬은 배기로, 상단과 후면 팬은 흡기로 바꾸는 것이 더 바람직한 공기 흐름을 만들지 않을까 합니다. 그렇게 한다면, 굳이 팬과 라디에이터의 자리를 바꿀 필요가 없겠지요.

  • @양념반후라이드반-s3t
    @양념반후라이드반-s3t 2 роки тому

    안좋은 사례군요 ㅎㅎㅎ^^

  • @young-rockyim58
    @young-rockyim58 2 роки тому

    ㄷㅇㄹㅋ???????????????????

    • @d12com
      @d12com  2 роки тому +1

      채널 이름 한글 자음 구성입니다

  • @아름아빠-k3h
    @아름아빠-k3h 2 роки тому +1

    이건 펌푸 문재입니다
    흡기 맞아요
    정면 흡기 후면및 위가 배기로 설치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