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력 솥을 쓰는 이유 높은 온도로 요리하기 위함 물은 100도에서 기화됩니다 기화하면서 온도를 뺏어가서 아무리 큰 화력이라도 100도이상 올라가지 않음 압력이 높을수록 기화점이 높아져서 높은 온도로 조리가 가능 옛날사람들은 아시죠 높은산에서 밥을 하면 설익는거 기압이낮아 낮은 온도에서 물이 끓엉서 설익어요 식용유는 기화점이 220도 이상이라서 튀김을하면 순간적으로 수분이 기화됨 수준이 빠져 바삭함
@@_AHN_ 이게 맞지 ㅋㅋㅋㅋ 음식 탄다고? 압력밥솥 사용하면 조리시간 줄일 수 있다.ㅋㅋ 원 요리가 15분이라 치면 밥솥 사용하면 10분으로 줄어든다 치자 그러면 압력을 빼면됨 ㅋㅋㅋㅋ 압력밥솥 사용법 잘못알려주면 저리됨 ㅋㅋ 압력밥솥을 누가 칙칙거리는걸 누가 꺼질때 까지 기다려 중간에 건드려서 압빼고 열어서 음식하지 ㅋㅋ
지나가던 공대생은 압력을 표시하는법 2가지?
파스칼이랑 프사이인가 까지 갔다가 요리채널임을 알았다ㅋㅋㅋㅋ
atm pa mmhg 이거 생각하고 들어왔는디 ㅋㅋㅋㅋ
계기압력 절대압력 2가지 인가.... 했네 ㅋㅋㅋ
파스칼생각하고 있는데 갑자기 추얘기나와서 읭??? 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전거타는사람이라 psi 랑 bar 인가..? 하고있었는데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씹ㅇㅈ
14분짜리 영상을 40초로 요약했다니.... 이건 귀하군요
오
증기가 빠져나온다=물이 증발하려는 힘이 압력보다 커졌다=높은 온도인 상태로 물이 사라진다=탄다
이거 고정각
@이지웅 그 증기압이 압력밥솥 뚜껑의 추가 가하는 압력을 이겨냈다는 의미였어요
@@user-qv7ds9yf6x 압력밥솥의 김 새는 구멍을 추가 누르는 힘도 압력이죠
압력밥솥 안의 증기 압력이 생기려면 외부의 또다른 압력이 필요하잖아요
증발하여 공기가 추를 들어올리는힘 > 추의 힘 ( 추질량 × 중력9.81)
= 누룽지 크으
시험 1주일전 선생님의 요약정리급....
압력으로 기압을 1기압이아닌 1.5기압으로 바꿔줘서
끓는점을 높여서 한번에 높은열로 익히는거임
그래서 밥 익는속도가 빠르고
맛있어지는거임
1.5기압이아니라 보통 1.2기압이다
압력 솥을 쓰는 이유
높은 온도로 요리하기 위함
물은 100도에서 기화됩니다 기화하면서 온도를 뺏어가서 아무리 큰 화력이라도 100도이상 올라가지 않음
압력이 높을수록 기화점이 높아져서 높은 온도로 조리가 가능
옛날사람들은 아시죠
높은산에서 밥을 하면 설익는거
기압이낮아 낮은 온도에서 물이 끓엉서 설익어요
식용유는 기화점이 220도 이상이라서
튀김을하면 순간적으로 수분이 기화됨 수준이 빠져 바삭함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쓸데없는 강의인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유익해서 놀랐다 ㅋㅋ
압력솥 일정 압력이상 되면 기준압력를 유지하기위해 칙칙 칙칙 하며 압력 빼주며 일정 압력 유지 해주는 거 아닌가
그압을 유지하기위해
수분이 밖으로 배출되고
수준이 모자라 음식이 타버립니다 ㅋㅋㅋ
@@youtae98 앗 결국 수분과는 상관 없이 조리자의 수준이 중요한거군요..
압력솥의 압력빼주는 장치는 압력이 충분히 높아졌다는 인디케이터 역할도 하지만 압력이 너무 높아져 솥이 터지는걸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에 더 가까울듯
@@_AHN_ 이게 맞지 ㅋㅋㅋㅋ
음식 탄다고? 압력밥솥 사용하면 조리시간 줄일 수 있다.ㅋㅋ 원 요리가 15분이라 치면 밥솥 사용하면 10분으로 줄어든다 치자 그러면 압력을 빼면됨 ㅋㅋㅋㅋ 압력밥솥 사용법 잘못알려주면 저리됨 ㅋㅋ 압력밥솥을 누가 칙칙거리는걸 누가 꺼질때 까지 기다려 중간에 건드려서 압빼고 열어서 음식하지 ㅋㅋ
우리 누나한테 이걸 제발 보여주세요. 닭 백숙한다고 압력솥을 쓰는데 신호추가 울리는게 잘되고 있는 소리라고 불을 더 올려요.
그러고 살라고 하세요 그냥
보여주는 건 님이 보여줘야지 영상은 만들어져 있는거고
대체 뭔소리임
그냥 드립이야😅
대박…!! 감사합니다
승우아빠 고마워요 가정주부 40년차에 압력솥 사용방법을 처음 알았어요
저 설명이 정답은 아니예요
종류마다 틀려요 ᆢ
@@김들꽃-e7u정답이 맞다
압력 표시 두 가지 방법이라길래
psi
bar
이거 두 가지인줄
ㅋㅋㅋ 저도 파스칼하고 하나 뭐더라 생각했네요
나도 파스칼하고 atm생각함 ㅋㅋ
@@안예찬-r5h 101325 ㅋㅋ
Kgf/cm2
00082
꿀영상 ❤ 압력솥 핵심을 알아갑니다 ~^^
칙칙 소리나자마자 바로 약불로 낮추면되나요? 칙칙소리나고 언제부터 불을 낮추나여?
칙칙칙치 소리나고 10초뒤에 끄면 됩니다
@@alcohol_soju_drunk1218 오 감사합니다 혹시 꼭집어서 추천하는 제품 있으실까요? 그대로 사게요 1인 인데 부들부들 푹익은거 좋아해서요 검정색있고 스텐색도 있고 담에 추천영상하나 만들어주세요👍👍👏💯💯
저 압력 배출구 관리가 엄청 중요합니다. 저기가 막혀버리면 그냥 고압 폭탄 되는거에요. 그래서 테러하는애들이 자주쓰죠. 죽같이 끈적한 요리같은거 압력솥으로 하면 안되는 이유기도 해요
와 이영상 너무 섹시하다
쇼트영상이 내용 부족한게 많은데
알짜배기 쏙쏙 담았네
결혼하고 전기밥솥만 쓰다가 엄마가 밥솥 물려주면서 써보니 역시 압력솥밥이 맛있더라구요 ㅜ 2년째 압력솥으로만 밥하는데 전기밥솥보다 빠르고 맛나게 밥할수 있어서 전기밥솥 창고행 되부렸네요 ㅋㅋㅋ
엄청 부지런하신가봐요...
전 그냥 귀찮아서 전기밥솥 쓰게되던..
@@SeparationAnxiety. 그건 아니에요 ㅠㅠㅋㅋ 매일 밥하지고 않고 쉬우니깐 남편도 밥해놓기도 해서 생각보다 힘들지는 않더라구요
까사니는 올라오는 추가 작아요 흔들거리거나 큰 추가 아니예요ㅠ 어떨땐 밥이 잘되고 어떨땐 밥이 잘 안되는거같아요 냉장고에서 마르는건지 생쌀과 밥 중간 먹는거 같을때가 있어요 분명 밥 하자마자는 괜찮은데 하루만 지나도 전자렌지로 돌리면 밥이 설익은것처럼 돌덩어리같아요ㅠㅠ
원래 밥은 냉장보관하면 돌덩어리가 되지 않나요
ㄹㅇ ㅋㅋ 엄마한테 아는척할 수 있는 귀한 기회라고!
하지만 엄마는 이미 알고있을 가능성이 크지 ㅋㅋㅋ
압력의신 압신 교수님 강의 잘봤습니다
저렇게 불을 줄여 추가 얌전하게 됐을때 불을 완전히 끄라는건가요? 아니면 약불로 유지하라는건가요?
끄래요 ㅠ
다 꺼요
저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 "엄마 도와줘~"
압력밥솥이 맛은 있는데 몇번 딴일하다가 태워먹으면 그냥 전기밥솥 쓰게됨
밥 타서 들러 붙었을때 탄거 긁어내기 개힘듬
엄마가 그랬지...소리나면 불 줄이라고....
난 지금까지 칙칙칙칙 소리가 나야 작동하는줄 알았는데..
로젤킹 먹어주세요.!
과학적임욤!☘️🤗🍀
압력솥 몇리터짜린가요?
쌀밥도 그렇게하나요?
어머니께 칙칙칙 3분~4분으로 배웠는데 그게 틀린거구나...
우리집은 칙칙칙 후 1분이었는데 그러면 끄고나서 뜸을 좀 오래 들여야했음
제가 알려드릴께요~~
다 맞지만 가장빠르고 가장쉽고 가장 맛있는 방법은 쌘불에 켜두고 칙칙칙 거리면 그냥 끄세요~ 그리고 3~5분뒤에 압력빼면됩니다~
아니 굳이 압력안빼도 천천히 3~5분뒤 압력이 다 빠져있을겁니다ㅋㅋㅋ
그럼 끝~
우리 엄마도 칙칙소리 나면 2 3분뒤에 끄라고 했는뒝...
어머님 말씀이 맞는거예요~ 갈비같은 경우에는 칙칙 소리나고 약불로 10분에서 15분 정도 더 끓여요~
누룽지 만드는 사람들을 위한 설명이 빠졌네요 ㅋㅋ
압력을 표시하는 법이 2가지 있다길래 파스칼하고 atm인가? 이러고 앉아있었네... 이건 요리 유튜브 영상인데...
이과가 또
이거 보고 압력밥솥 사고싶어서 인터넷 검색 하고있어요
압력밥솥 꿀팁.
그냥 쌘불에 켜두고 추가 흔들리면 불을끄고 3~5분뒤에 열면 끝~
근데 이거 모르고 불줄였다며 계속 칙칙대는 사람들많던데...
3분만에 뜸이 드나요? 저는 불끄고 10분은 방치하는데..
공대생이라길래 단위 설명 할줄알았는데
ㅋㅋㅋ
헐 아니 우리 엄마 밥할때 맨날 소리나면 불줄이고 칙칙거리는거 잠잠해지면 불끄고 김 바로 빼던데...
밥은 압력솥이지
백숙파는 식당에서는 계속 칙칙칙칙 끓이던데...
백숙처럼 국물 가득한 상태에서 고기 연하게 하려고 쓰는거면 탈 일은 없죠. 근데 찜처럼 국물 자작한것들 할 때는 불 안줄이면 쫄아서 타요
그럼 압력밪솥으로 밥할때 칙하는순간 불꺼야됨.??
서볼려다가 터질까봐 사용 못함 ㅡㅡ 왜 내 눈에 뉴스는 압력솥 터졌다는 뉴스만 보이는지….
근데 저 추달린 압력솥 으로 밥해먹으면 맛있음
평생 잘못썼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압력을 표시하는 2가지 방법이라기에 절대압이랑 대기압인줄
반쯤은 맞고 반은 틀린... 일정압과 온도가 유지 되어야 됩니다. 압력낭비는 열손실까지만 맞아요.
압력솥밥은 냄새로 불조절만해봐서 잘몰랐네
근데 진짜 형 영상 보고 압력솥 구매했어…
저거 설거지하기 귀찮은데
헐 압력 표시라길레 pf 생각하고 있었는뎅
그래서 생각보다 불 빨리 꺼도 괜찮았구나ㅋㅋ
오 하나 배웠다
오랜만에 진짜 도움이 되는 쇼츠영상
어차피 압력솥으로 요리 안하시잖아요...
다 알아요...
밑줄 쫘악 !!!!
명쾌한 해석에 부랄을 탁치고 갑니다
진지하게 귀한 영상이다 (도움됨)
알고 저렇게 쓴건 아니지만 쓰던 방법이 맞는방법이였네
근데 압으로 요리한다는 개념이 먼가요?? 압력솥은 원래 압력을 높혀서 끓는점을 높혀 100도씨 이상에서 조리하는게 목적아닌가요? 저렇게 불을 꺼버리면 압력도 낮아지고 온도도 낮아져서 압력솥을 사용하는 의미가 없을것같은데...
알고는 계신데 잘못 알려주는 거임 저것만 방법이 아님 ㅋㅋㅋ 아니 추를 밀어서 인위적으로 압을 뺄 수 있는데 뻘소리 하는거임. 자연적으로 뺄 수있긴한데 구지???? 압력을 주고서 요리를 한다음에 압빼고 뚜껑 열으면 되는데 뭘 기다려 ㅋㅋㅋㅋ 저게 이상한거에요
딸랑이도 일정압되면 안나와요.
다 나오신다고 생각하신듯...
화학 배관등에 쓰이는 압력 조절방식인 PSI도 딸랑이같은 원리입니다.
순간 파스칼 말고 뭐가있지? 하고 고민함
오.. 이건 몰랐던사실 유익한 채널일세
무친 난 칙칙하면 그때부터 시작이라고 생각했는데
순간 수학강의하는줄 ㅋㅋ
뭐 정확히 말하면 압력으로 요리하는게 아니라 높은 압력이 안에있는 물이 100도를 넘어가게해서 더 빨리 요리하게될수있는거죠.
추 달린거는 왜 설명 안 해줘요
어차피 입자는 빠져나가니까 압력이 더이상 올라가지도 않겠지
요리사가 뭐 이런거 까지 알지? 했는데 왠 추얘기를 해버리네 ㅋㅋ
밥할때 왜 불을 줄이는지 모르고 그냥 그렇게 하니까 햇는데 그런이유엿구나
짬형 때문에 찍으셨나? ㅋㅋㅋㅋ
처음 알았네...
이걸보고 또 나는이과구나 하고갑니다 ㅋㅋㅋ
몰랐다...그래서 맨날 탄거구나....그냥 두고 티비 보면 되는건줄 알았는데...흔들리면 불을 꺼야 하는거구나...저걸 뜸들인다고 하는건가?
오씨..PV=nRT..? 이러고있는데 ㅋㅋㅋㅋㅋ 압력밥솥..
그래서 밥할때 칙칙칙 울리고 1분후에 끄면 누룽지 개꿀
거기에 밥 다 퍼내고
물넣어서 숭늉 만들면 한끼의 완성
여기서 압력을 표시하는 법 2가지 했을 때, 왜 두가지 밖에 없지? 라고 생각했으면 당신은 이과입니다. Pa, Torr, Atm, Bar 등등... ㅜㅜㅜ
점심밥 양념 메모
저희 부모님은 치칙한후 1분뒤에 하면 누룽지 생긴다고 맨날 그렇게 하시던데..
작년여름 강으로 물놀이 갔다가 압력밥솥쓰는 법을 잘 모르는지 아니면 급한거였는 지몰라도 압차있는 상태로 뚜껑열어서 뚜껑 날아가는거 봤는데 뭔 뚜껑이 2~3미터 정도 날아올랐다 떨어지던데
본인도 핵심은 40초 짜리라는 걸 알고 있었다..!
오...
파스칼부터 생각난 내인생 공대..
그래서 하루종일 두나요?
파스칼..! 인줄 알았다면
당신은....
지니어스
승우아빠가 우리 학교 교수님이었으면..
압력 표시라고하길래
1bar 이런건줄....
군번이 오또케 되나요?
울엄마보면 기절할 내용인데?ㅋㅋㅋㅋㄲㅋㅋ
이분 맘마미안인가 거기서 밥 태우지 않았낰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몰랐다...
저 압력솥 중국산 입니다
독일제 휘슬러는 본체 옆에 칼라 무니가 잇읍니다
그건 버전이 다른겁니다. 독일도 민무늬있어요
말하장면 셀프티밸브네 일정압력이상이면 터지게끔
병원에서 일하는자는 mmHg냐 cmH2O일까 하고있엇읍니다...
우리 어머니께....서는 저렇게 하지 않지.
허어...그렇구나 예전에는 저 칙칙칙칙 하는 소리가 그렇게 쓰는 줄 알았는데
난 당연히 psi가 나올거라 생각했는데...
아하~~~~글쿤
김이 김이나~ 김이 김이나~
예전에 압력솥 김도 안빼고 뚜껑 연 사람이 이었다고 들었는데
김 안빼고 뚜껑이 열리긴함..??
열어도 보통 힘주고 연게 아닐텐데..
그분 무사하대요..??
그거 안열림 친구들이랑 펜션 놀러가서 사장님이 쓰는 법 알려줘서 압력솥으로 밥했는데 뜸 다 들이고나서 열려고 했는데 안열리더라구요
이과라서 순간 압력을 표시한다길래 바로 파스칼 떠올랐다.... hPa 공대에서 개많이 씀
헐 그렇구나
밥만 지어봐도 바로 이해가능하쥬?
칙칙하게 해도 안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