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 교향곡 No.3 E♭장조 op.55 "영웅" | Beethoven Symphony No.3 in E♭ Major, op.55 "Eroica" | 빈 필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чер 2024
  • - 수익 창출을 하지 않는 채널입니다.
    - 영상에 게재되는 광고는 “제 의도와 무관”하게 유튜브 저작권 규정상 자동으로 붙습니다.
    게오르그 솔티
    빈 필
    1958
    00:00 Symphony No.3 in E♭ Major, op.55 "Eroica": I. Allegro con brio
    19:14 Symphony No.3 in E♭ Major, op.55 "Eroica": II. Marcia funebre: Adagio assai
    35:40 Symphony No.3 in E♭ Major, op.55 "Eroica”: III. Scherzo, Allegro vivace
    41:16 Symphony No.3 in E♭ Major, op.55 "Eroica”: IV. Finale: Allegro molto
    이 작품은 작곡가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로, 베토벤의 혁신적인 중기의 시작을 알리는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1802년부터 1804년에 걸쳐 쓰인 이것은 교향곡의 형식, 길이, 화성, 감정과 문화의 경계를 허물었다. 이러한 사실들은, 고전주의와낭만주의 시대 사이의 과도기적 시기에서 획기적 사건으로 널리 간주되고 있고, 더불어 첫 번째 낭만주의적 교향곡으로 간주된다.
    작품의 초연은 1828년 3월에 프랑스 파리에서 파리음악원 관현악단에 의해 베토벤의 교향곡 중 첫 번째로 이루어졌다.
    베토벤은 2번 교향곡을 완성한 후인 1803년 5월경부터 이 곡의 작곡에 착수했고 1804년 초에 완성되었다. 하지만 이 곡에 대한 구상은 이보다 훨씬 이전인 1790년대 후반부터 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곡이 완성된 후 처음 표지에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성인 Bonaparte의 이름이 쓰여 있었는데, 작곡 당시에 나폴레옹에게 헌정할 생각이 있었음을 추측해볼 수 있다. 이 교향곡에 보나파르트라는 제목이 붙었던 것은 1798년경 당시 빈 주재 프랑스 공사였던 아 바티스트 베르나도트가 베토벤에게 나폴레옹에게 교향곡을 하나 써서 헌정해보는게 어떻겠소? 라는 제안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한편으로는 당대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 루돌프 크로이처로부터 베르나도트의 제안을 전달받았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 이야기의 진위여부는 불확실하지만 다만 두 사람이 나폴레옹에 대해서 대화를 몇차례 나눈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베토벤의 제자이자 비서 역할을 했던 페르디난트 리스에 따르면 이 교향곡의 아이디어는 작곡자 자신이 만든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베토벤은 본에 있었던 시절부터 프랑스 대혁명의 열기에 사로잡혀 있었으며 새로운 시대를 구현해 줄 영웅을 기리는 작품을 쓰려고 마음 먹었다고 한다. 이후 나폴레옹이 프랑스를 장악하고 유럽의 패권을 장악하면서 각지에 프랑스 혁명의 정신을 퍼뜨렸는데, 이를 지켜본 베토벤을 나폴레옹을 혁명의 기조인 '자유, 평등, 박애' 를 구현해줄 영웅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나폴레옹이 공화주의 보다는 쿠테타로 정권을 잡는 등의 독재적인 행보가 계속되자 베토벤은 점차 나폴레옹의 진심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그래도 영웅 교향곡을 작곡할 때까지는 여전히 나폴레옹에 대한 기대를 버리지 않고 있었고 심지어 베토벤은 이 교향곡을 나폴레옹에게 헌정하면서 빈을 떠나 파리로 옮길 생각까지 했었다고 한다. 하지만 1804년 12월 2일 나폴레옹이 마침내 프랑스 황제로 즉위하자 이런 계획들은 모두 취소되었다. 페리디난트 리스의 회고록에 따르면 나폴레옹의 즉위 소식을 베토벤에게 처음 전한 것이 바로 리스 본인이었는데, 이 소식을 듣고 격분한 베토벤은 나폴레옹에게 온갖 욕을 퍼부으면서 정성들여 작성된 악보의 표지를 찢어 버렸다고 한다
    리스에 의하면 이 때 찢겨나간 표지는 자필보가 아니라 필경사가 작성한 필사보의 표지였다. 하지만 자필보에서도 보나파르트라는 제목을 지워 버린 것이 이후에 확인됐다. 결국 이 교향곡에 최종적으로 붙여진 제목은 Sinfonia Eroica(교향곡 영웅)이었으며 이후 영웅 교향곡으로 대중들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1악장: Allegro con brio
    서주 격으로 두 번 꽝꽝 때려주고 시작하는데, 주제 두 개를 던져주는 것은 고전 시대와 마찬가지지만 그 주제를 주물러대는 전개부는 무려 200 마디를 훨씬 넘을 정도로 확장되어 있다. 길이만 길어진 게 아니라 리듬의 파격, 불협화음, 잦은 조바꿈 등으로 거의 폭력적인 인상까지 주고 있다. 물론 선배들인 하이든이나 모차르트의 경우에도 몇몇 교향곡들의 전개부에서 다양한 조바꿈을 시도하기도 했지만, 대개 원 조성의 4도 혹은 5도권 이내에서 왔다갔다 하는 정도였고 이렇게까지 길고 터프한 전개 방식을 취하지는 않았다. 주제를 다시 내놓는 재현부나 마무리짓는 종결부도 기존의 것과 달리 많이 변화시키고 있다.
    2악장: funeral march: Adagio assai
    "장송 행진곡"이라고 달아놓았는데, 나폴레옹의 죽음을 예견했다고 보는 사람도 있다. 한층 달아오른 기분을 한번에 주저앉히는 효과를 보이는 무겁고 어두운 대목인데, 물론 기본적으로는 그런 조용하고 어두운 정서를 유지하고 있으나 중간에는 다단조와 반대되는 조성인 다장조로 한층 밝아지게 되고, 후반에는 첼로와 콘트라베이스의 강음을 시작으로 한, 결코 다크하다고만은 볼 수 없는 가장 드라마틱한 악구가 등장한다.
    3악장: Scherzo, Allegro vivace
    전작인 교향곡 2번과 마찬가지로 스케르초인데, 템포가 훨씬 빨라져 4분음표 세 개가 한 박으로 취급되는 스피드를 보여준다. 중간 부분에서 호른 3개가 불리는 사냥 나팔식 악구가 튀어나오는 부분이라던지, 처음 부분이 다시 반복되는 대목에서 박자를 갑자기 확 바꿔 진행하는 부분 등도 꽤 신선한 대목이다.
    4악장: Finale: Allegro molto
    특이하게 주제 하나를 내놓고 여러 방법으로 가공하는 변주곡 형식을 썼는데, 그 주제가 예전 작품들에서 이미 여러 번 사용한 멜로디라서 재활용이 비교적 적었던 베토벤의 창작 방식상 꽤 이례적인 경우로 여겨진다. 그리고 그냥 변주만 죽어라 하는 것도 아니고, 텐션을 주기 위해 짧은 푸가를 도입하거나 소나타 형식의 전개부 원리를 응용하는 등 여러 가지 실험을 보여준다.

КОМЕНТАРІ • 25

  • @user-gw7pn5gg6c
    @user-gw7pn5gg6c 6 днів тому +1

    감사합니다~~♡

  • @sooya8348
    @sooya8348 2 місяці тому +15

    나폴레옹 동경하며 만든 작품이였다가, 그가 스스로 황제가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크게 실망하여 제목을 영웅으로 변경한 곡 [나폴레용 1769생 베토벤 1770년생]

  • @user-fq5de6xm5r
    @user-fq5de6xm5r 26 днів тому +2

    마음이.우울 할때....내...마음을 달래 주던곡......그건 나두 살수 있고..사회에 헌신 할수 있도록 깨우처 준곡.....힘이 납니다...

  • @juanchoi8007
    @juanchoi8007 24 дні тому +2

    역시 빈필, 게오르그 솔티의 베토벤교향곡 3번 감동적입니다 ❤

  • @user-fb4no7ww3w
    @user-fb4no7ww3w 5 місяців тому +6

    2023년을 마무리하는 마지막 날!
    정말 위대한 ❤ 베토밴의 영웅을 들으며
    송년을 하게되어 너무 영광 🎉이고
    기쁨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ew1ry1qf7d
    @user-ew1ry1qf7d 2 місяці тому +6

    넘 유익한. 유투브.감사함다. 🎉❤🎉

  • @user-sc5yn2mx9q
    @user-sc5yn2mx9q 6 місяців тому +9

    아름다워요~~~
    그리고 웅장합니다^^

  • @NativeBakJaesaram0001
    @NativeBakJaesaram0001 6 місяців тому +7

    처음 클래식에 접해서 카세트 테잎으로 사서 들었던 루드비히 할배 어르신이 자신의 삶에서 정점을 이룰 때 작곡한 위대한 심포니 3번 정말 개인적으로도 가장 좋아하는 곡입니다. 잘 듣고 갑니다. 58년 녹음인데 정말 좋네요. 고맙습니다.

  • @SaeJinJung-cq7kb
    @SaeJinJung-cq7kb 5 місяців тому +9

    베토벤의 힘이 느껴집니다!🙂

  • @user-yi9ck1fe2q
    @user-yi9ck1fe2q 6 місяців тому +6

    비 내려 조금 우울한데,좋은 곡
    스며오네요.
    감사합니다.

  • @user-lx9vb5oq2f
    @user-lx9vb5oq2f 5 місяців тому +6

    곡에 대한 자세한 설명까지~~
    넘 감사하게~~
    잘 듣겠습니다.🎉🎉🎉

  • @user-xw5vy5so3j
    @user-xw5vy5so3j 4 місяці тому +6

    정말 정말 힐링되네요

  • @seolhalbi2076
    @seolhalbi2076 3 місяці тому +3

    감사합니다

  • @user-kh5gi4cn4v
    @user-kh5gi4cn4v Місяць тому +4

    베토벤이 나폴레옹에게 헌정한 이곡을 창작하고난 후에 전쟁터를 누비며 싸울아비가 되고 황제의 자리를 찬탈해서 황위에 오르자 크게 후회를 했다는 에피소드가 있는 곡이지만 장엄하고 박력있는 교향곡으로써 부족함이 없는 수작으로 보여집니다. 신체적인 핸디캡에도 불구하고 그의 천재적인 음악가적 삶은 후대에 귀감이 되었음을 찬양합니다!

  • @ma5726
    @ma5726 4 місяці тому +4

    매우 유익한 유투버시네요 ! 가능하면 시간을 길게해주시면 좋겟습니다 !

  • @Happy_NewYear_
    @Happy_NewYear_ 6 місяців тому +5

    진짜 잘 듣고있어요!

  • @DAEDONG_antiques
    @DAEDONG_antiques Місяць тому +2

  • @user-fu6tt8qq4v
    @user-fu6tt8qq4v 6 місяців тому +7

    아름다운 연주곡 잘 들었습니다~감사합니다~🎵🎻🎻🎺📯🌿🍀☘🌹🌹☘🍀🌿❤❤수고 많으셨습니다~☕

  • @KHO-vn1iw
    @KHO-vn1iw 5 місяців тому +5

    🙏
    베토벤
    🙏
    삶의 음악
    🙏
    영웅
    오직 자기삶을 잘 살아가 볼까요?
    원기력(에너지 발전소)을 잃지마시고 빼앗기지 마시고 다시 회복합시다

  • @tongso2584
    @tongso2584 3 місяці тому +4

  • @user-pk6fs7gl5f
    @user-pk6fs7gl5f 11 днів тому

    청취중 광고로 중단하면 좋아요 삭제 청취기록도 삭제 광고 상품 도 꽝 구독자로 는 좋아요 충분히 보상 이라 생각@
    프리미엄에 유도하여 ₩€£¥$

  • @user-ld1ke5ec9v
    @user-ld1ke5ec9v 3 місяці тому +3

    임영웅

  • @user-hc9mn9bx3l
    @user-hc9mn9bx3l 6 місяців тому +5

    🎉🎉🎉🎉🎉🎉

  • @user-fr7tn6gp7k
    @user-fr7tn6gp7k 6 місяців тому +2

    돈 천원이 사람하나 살린다니
    정말 처음들어보는 희소식이다ㆍ없는 사람은 만원 있는사람은 1억 정도 기부하자ㆍ계좌안내는 보이지않는데 쓸데없는광고하지말고 계좌를쉽게볼수있도록올려놓읍시다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