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학과의 특징 알려드립니다. (f. 홍대 건축도시대학 캠퍼스 투어)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6 чер 2024
  • #건축학과 #건축과 #홍대
    건축학과 전공 소개 (f. 홍대 건축학과 캠퍼스 투어)
    00:00 시작
    00:29 전공 특징 : 건축학과와 건축공학과 차이?
    02:01 건축 전공의 진로는?
    04:48 건축학과 어떤 성향이 맞을까?
    09:26 대학별 건축과 특징?
    10:36 건축학과 입시 대외활동은?
    12:54 홍대 건축 도시대학 캠퍼스 투어

КОМЕНТАРІ • 414

  • @jhj3752
    @jhj3752 6 місяців тому +245

    홍대졸업생인데...생각하는법을 배우는 곳이라는말 공감돼여. 기획력, 문제해결력... 20년째 잘 써먹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5년간 교수님들과 소수정예로 머리 싸움 하다 졸업하는거에요. 건축이라는 룰안에서요. 그런데 다른분야에서도 룰만 바뀌지 사회에 나와보면 써먹을대가 많아요. 주입식 교육과는 다른 좀 고급 교육을 받은 느낌... 유교수님 졸작 때 a+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자랑이에요 ㅋㅋ

    • @jamesmacgill345
      @jamesmacgill345 6 місяців тому +52

      캬.. 유교수님에게 a+ 맞을 정도면 얼마나 열심히 공들여 준비하셨을지..ㅋㅋㅋ 너무 멋지네요

    • @kwonsunj3019
      @kwonsunj3019 3 місяці тому +1

      20년째 잘써먹고 있다는 말이.. 그럼 지금 나이가 어찌 되는 거에요??
      유현준교수님께 A+받았다면 나이가 그렇게 되지 않을거 같은데 이해가 잘..

    • @user-jp8nw3kn3i
      @user-jp8nw3kn3i 2 місяці тому

      @@kwonsunj3019 교수님이 들어 올 때쯤 댓글 쓴 분이 졸업했으면 지금 딱 20년 될 거 같은데요?

  • @JS_MARKET
    @JS_MARKET 6 місяців тому +118

    방황하던 젊은날 동경을 갖고 잠시 머물렀던 곳이네요
    결국은 제 성향과는 맞지 않아 다른곳으로 떠나갔지만
    국내 최고의 건축대학입니다.
    열정과 실력면에서 최고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다닐수 있는곳이죠
    다른곳에 비해 엄청난 시간과 에너지를 쏟아야 하는곳이고
    그 과정에서 피폐해지고 현실에 냉혹함에 부딪혀 힘들겠지만
    최고라는 자부심이 삶의 큰 원동력이 될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 @jsy3729
    @jsy3729 6 місяців тому +96

    디자인과 졸업생인데 교수님 교양강의 정말 재미있게 들었었습니다. 오랜만에 학교 모습 보니까 반갑네요 ㅎㅎ

    • @vamp_c502
      @vamp_c502 6 місяців тому +5

      교양강의 말씀하시니까 교양강의로 문화인류학 들었던 때 생각나네요. 대학공부란 이런 것이구나 알게 된 강의?
      그 교수님 성함도 얼굴도 다 잊어 버렸지만, 그 교수님께서 강의 초기 나눠주신, 매주 읽어야 할 책들이 쓰여진 강의계획서는 지금까지 초점 흐린 사진처럼 가끔 생각날 정도.
      한가지 확실한 건 거기 루스 베네딕트가 쓴 ‘국화와 칼’이라는 책도 있었는데 지금도 일본하면 바로 떠오르는 책.
      교수님 감사합니다 😊

  • @hayeonkim7838
    @hayeonkim7838 6 місяців тому +23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흥미로운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 @purplelightss
    @purplelightss 6 місяців тому +203

    정치 입문 제안 받았다는 기사보고 소름 돋아 달려왔습니다. 거절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지금처럼 건축가의 시선으로 보는 인문, 철학, 사회 등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이야기를 도서, 유튜브, 예능 등을 통해 우리들에게 들려쥬셨으면 좋겠습니다🤗

    • @user-jc3tc2ix1d
      @user-jc3tc2ix1d 6 місяців тому +34

      대한민국은 현재 양당제로 거대한 두당이 다 해먹기 때문에 어느당에 들어가던 들어가는 즉시 국민 절반을 적으로 돌리게 만듬 솔직히 셜록현준님 정도 되는 사람이 굳이 정치 입문 해서 그렇게 힘들게 살아가야할 이유가 없지

    • @engle8844
      @engle8844 6 місяців тому +3

      정치에 가면 좋다고 생각하는데요? 저런 전문가가 정부에 가서 도시행정이나 도시개발 같은걸 지휘해서 도시미관을 바꿔야..

    • @KIMSEUNGWOO_08
      @KIMSEUNGWOO_08 6 місяців тому +4

      ​@@engle8844우리나라 이미 도시미관 버려서 가망 없음 ㅋㅋㅋㅋ

    • @dalmyo_
      @dalmyo_ 6 місяців тому +16

      ​@@engle8844정부에 발 묶이는거보단 프리하게 공모전을 통해 도시를 바꿔나가시는 방향이 더 나을거같단생각이 드네요!

  • @iluvsxoe
    @iluvsxoe 6 місяців тому +64

    교수님 덕분에 홍대를 꿈꾸게 됐습니다 건축에 관련이 생겨 건축학과 진학을 고려하던 중 교수님의 영상을 접하게 되었고, 교수님 영상을 보면서 교수님을 존경하게 되었습니다 학교에서 하는 진로 관련 책 읽기 수업도 교수님 책을 읽으면서 교수님이 홍대 건축학과 교수님이라는 것을 알고 한 번도 생각해본 적이 없는 홍대 건축학과를 꿈꾸게 되었습니다 한 달 전 꿈만 꾸던 홍대에 문턱이라도 밟아보자라는 심정으로 홍대에 방문했습니다 홍대 교문 넘어 들어가보니 더 가고 싶어졌습니다 열심히 노력해서 홍대 건축학과에 갈 수 있게 노력하겠습니다 꼭 26학번 건축학과 신입생으로 만나서 교수님 밑에서 배울 수 있게 최선를 다해보겠습니다 꿈꾸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gr5wi3wj3q
      @user-gr5wi3wj3q 6 місяців тому +2

      같이가자

    • @Handle-379
      @Handle-379 6 місяців тому +3

      건축오지마……

    • @quf23tiq
      @quf23tiq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오지 마세요… 오지 마세요…

  • @user-fc6zb4hf3p
    @user-fc6zb4hf3p 6 місяців тому +40

    적절한시기에 입시생들에 좋은말씀잘들어습니다

  • @jingu0510
    @jingu0510 6 місяців тому +76

    지방국립대 건축학과학생으로로써 모든 건축학도들의 로망인 홍대 건축도시대학을 봐서 신기하고 즐겁네요 저희 대학과 커리큘럼을 비교하기도 하고 학생들의 수준을 보았을 때 많이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 @bayern1279
    @bayern1279 6 місяців тому +789

    교수님 죄송합니다. 홍대는 못갈 것 같습니다..

    • @UZ_Queen
      @UZ_Queen 6 місяців тому +7

      그럼 인서울은 아니노

    • @bayern1279
      @bayern1279 6 місяців тому +91

      인서울은 할 것 같아요 !

    • @user-xw1yp2hh9d
      @user-xw1yp2hh9d 6 місяців тому +315

      @@UZ_Queen홍대 건축이 인서울 끝자락인줄 아네 ㅋㅋㅋ

    • @nadonadodo
      @nadonadodo 6 місяців тому +214

      ​@@UZ_Queen건축은 설한홍이에요..

    • @amateurpropaganda
      @amateurpropaganda 6 місяців тому +5

      하하...

  • @chorong124
    @chorong124 6 місяців тому +35

    이제 막 1학기 끝낸 건축학과생인데 벌써부터 공감되는 부분이 많은 게 신기하네요! ㅋㅋㅋㅋ 다른 학교는 어떨지 궁금했었는데 이렇게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 @jyj496
      @jyj496 Місяць тому

      건축학과 대학생활 힘든가요..? 고3이고 건축학과 지망중인데

    • @user-sg8lj9jk3e
      @user-sg8lj9jk3e Місяць тому

      ⁠@@jyj496존나 힘들어요 시바 잠 좀 자자

  • @euphorim
    @euphorim 6 місяців тому +69

    수험생에게 도움될만한 조언이 많길래 홍대 건축과에서 수능을 맞아서 특별 제작지원한 영상인줄 알았어요.
    과사에서 마스터키도 안받고 그냥 등록 안된 교수님껄로 못 열고 돌아서는 모습을 보니 진짜 교수님이 찍고 싶어서 찍은 거구나 싶네요 ㅋㅋㅋㅋ

    • @vamp_c502
      @vamp_c502 6 місяців тому +13

      이쯤되면 홍익대학교에서 교수님 영상 제작지원도 해드려야 할 것 같은데 현실은 굳게 닫혀진 문 앞에서 제작진들 앞에 두고 머쓱해지신 교수님 ㅋㅋㅋ🤣

    • @user-de8ed9ok3q
      @user-de8ed9ok3q 6 місяців тому +26

      교수가 113만 유튜버인데 입학처랑 홍보처는 왜 써먹지를 못하니😂😂😂

  • @bominshin8617
    @bominshin8617 6 місяців тому +192

    이번 연대 학추 조기발표로 연대 건축공 합격했습니다!
    교수님 덕분에 처음으로 건축이라는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되었었는데 이렇게 건축에 대해 널리 알려주셔서 감사드려요:)
    좋은 건축가가 되겠습니다☺️

    • @vamp_c502
      @vamp_c502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축하드립니다 🎉

    • @Zinaida_Kang
      @Zinaida_Kang 6 місяців тому +4

      축하드려요 🥳

    • @roomiddle6070
      @roomiddle6070 6 місяців тому +9

      건축공학이요?! 스테이

    • @user-mr9pc2ng4c
      @user-mr9pc2ng4c 6 місяців тому +11

      임아....그 강을 건너지 마오

    • @user-zr6zk5lf8q
      @user-zr6zk5lf8q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아씨비~~ 아씨비~~

  • @krh6875
    @krh6875 6 місяців тому +22

    이 채널을 볼 때마다 이 거대한 사회에 실력있는 지식인 한 명의 파급력이 얼마나 크고 중요한지 배우게 됩니다. 유튜브 오래오래 운영해주세요!

  • @mindlene
    @mindlene 6 місяців тому +4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비전공자로서 건축디자인에 뜻을 두고 있습니다. 돌아가더라도 꿈을 이루겠습니다!

  • @user-ne3ul9il5q
    @user-ne3ul9il5q 6 місяців тому +44

    교수님 저희 홍대 지하캠퍼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랑 이대ECC랑 램콜의 OMA 프로젝트 비교해서 설명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당!!

  • @Kalien-rr3pp
    @Kalien-rr3pp 6 місяців тому +11

    건축가의 커리큘럼은 어느 나라나 다 같구 같네요. ㅋㅋㅋ. 대학교 졸업하고 화장실설계부터 다시 시작한다는 이 점 되게 공감입니다. 입시시간에 맞춰 학과를 고민하는 학생들을 위해서 만드신 이 콘텐츠는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우리 나라도 좋은 건축과 그것을 디자인 할수 있는 건축가들이 많이 나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그리고 또 정계에 계신 분들이나 스폰서 분들이 건축을 잘 이해하여 주시고 많은 지원을 한다면 한국이 건축에서도 앞도적으로 나아갈거라고 봅니다. 건축은 건축가 혼자서 하는 일이 아니니까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언제나 존경스럽고 늘 응원합니다.

    • @Hmm-zt2wv
      @Hmm-zt2wv 6 місяців тому +4

      건축학과 커리큘럼은 일종의 국제적 합의 및 인증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건축학과를 졸업하면 다른 나라에서도 어느정도 인정해 주는 부분이 있다고 하네요

  • @rose1004yu
    @rose1004yu 6 місяців тому +17

    오늘 모임에서 주제가 유현준 교수님였는데 ㅋㅋ 집에 오니 셜록현준 영상이 올라와 엄청 반갑네요~~
    교수님 의상부터 차분한 설명 최고이네요^^♡ 셜록현준 화이팅!!

    • @vamp_c502
      @vamp_c502 6 місяців тому

      어떤 모임이시길래…?

  • @h1ghflier
    @h1ghflier 6 місяців тому +22

    ㅋㅋㅋㅋ 건축학과 2학년까지 다니다가 도~저히 못해먹겠고 이대로 가다간 정신병 올거같아서 다른 과로 탈주했는데, 진짜 내인생 통틀어서 잘한 일인듯ㅋㅋ 주택설계까진 어찌어찌 참고 버텨도 스케일 커지는 3학년스튜디오부터는 여기에 진심이 아니라면 절대로 못함 ㅋㅋ 게다가 이성감성을 넘나드는 학과에서 나같은 감성 제로 인간은 버티기 넘힘들었음ㅠ 길을 걷다가 도로 옆의 건물들만 봐도 속이 미식거릴때 와이건 아니다 싶어서 아예 다른 계열로 왔는데, 정신도 건강해지고 신체도 건강해짐 ❤탈건하실분들은 빨리 탈건하고 행복해지세요❤

  • @HeraKang-st5dr
    @HeraKang-st5dr 6 місяців тому +1

    Wow~~~^^
    정말 흥미롭고 유익한 내용이었습니다 ~~~^^
    🤗👏👍
    재미있어서 몇 번이나 반복해서 보고있어요 ~~~^^👍

  • @yskwon3277
    @yskwon3277 6 місяців тому +12

    다시 대학생으로 돌아간다면 건축 전공하고 싶어지는 영상이네요

  • @minyoungmoon7300
    @minyoungmoon7300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아이가 막연히 건축가가 되고 싶다고 하는데, 이 영상 보여 줘야겠어요. 감사합니다.

  • @user-pk4pl3tc2h
    @user-pk4pl3tc2h 6 місяців тому +7

    교수님 다음 영상에서는 인테리어학과와 건축학과의 디테일한 차이점 취업 분야까지도 상세하게 다룬 컨텐츠를 보고싶습니다!

  • @gaga6703
    @gaga6703 6 місяців тому +4

    저도 교수님님 영상을 보면서 건축을 꿈꾸게 되었는데 어쩌다 진로를 조금 틀어서 토목쪽으로 가게 됬네요😂 사실 저는 토목이 더 맞는것 같긴 합니다.. 공공의 이익을 만들고 싶고 미적감각이 없다는 점 등등.. 내년에 공대로 유명한 대학에 가게 됬는데 부디 잘 적응했음 좋겠네요!!

  • @sophia50827
    @sophia50827 6 місяців тому +3

    멋진설명 감사합니다😊😊

  • @user-ld6ls7xj3v
    @user-ld6ls7xj3v 6 місяців тому +7

    오늘 아들이 건축학과 논술보고 왔어요
    내일도 보러가고
    4곳을 모두 건축학과 지원했는데 경쟁률이 만만치 않네요😂

  • @user-rt1sh3jg7k
    @user-rt1sh3jg7k 6 місяців тому +6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막연히 건축학과를 지망했었는데 이번 수능 결과는 홍대 실내건축 정도 나오는거 같네요 제가 감성적 성향이 강해서 실내건축 고려도 나쁘지 않을 것 같아요 ㅎㅎ

  • @yissmi2073
    @yissmi2073 6 місяців тому +27

    아들이 건축학과 희망해서 건축학과로 수시 몰아서 썼는데 교수님 영상보며 건축학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네요 더불어 걱정도 되는 현실입니다 학교마다 특징이 있다셨는데 그것도 자세히 알고 싶은 마음 ㅎㅎ 무튼 아들때문에 교수님 영상 엄청 열심히 시청하고 있어요 다음엔 건축학과에 입학하고나서 어떤 것들을 준비하면 좋을지 등등 학교 생활 팁 등의 정보로 건축학과 2탄 영상 있으면 좋겠네요 ㅎㅎ

  • @user-cd2ud7hj6f
    @user-cd2ud7hj6f 6 місяців тому +7

    와우관이 멋있어졌네요~
    멋모르고 건축학을 복수전공했지요~ ;;미대 보다 많은 과제에 깜놀하고 ㅎㅎㅎ
    합정동 작업실 가는 시간이 아까워서 실기실에서 숙식하던 기억이 새록새록하네요~
    거의 30년전?? 까마득한 추억인데;;
    교수님 덕에 철없던 시절이 떠올랐네요~ㅎㅎ 감사합니다~

  • @hew.030
    @hew.030 6 місяців тому +9

    건축/도시 쪽 지망하는 고1입니다!
    도서관에서 접한 한 책으로 인해 건축을 꿈꾸게 되었고, 교수님 알쓸 시리즈 보고 반해서 홍대 가고 싶다고 생각했는데 제 성적이 반대하네요 하하🥲 그래도 열심히 해서 좋은 학교 갈게요😁

    • @IVIKA1119
      @IVIKA1119 6 місяців тому

      김광현 교수님 책도 읽어보셔요

  • @HT45
    @HT45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조만간 미국 B.arch 원서 써야하는데 아주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 궁금한 점이나 몰랐던 점을 알게 되었어요.

  • @user-ij7lu6hn2r
    @user-ij7lu6hn2r 6 місяців тому +4

    고등학교 오기 전 한창 진로에 대해서 고민할 때에 유현준 교수님 덕분에 건축학도의 꿈을 가지게 된 현재 고3을 앞둔 학생입니다! 건축과에서 하는 것들이 쉽지 않아보이고 과연 저런 것들을 내가 가도 잘 해낼 수 있을까? 싶으면서도 저랑 정말 잘 맞아서 학교 생활이 즐거울 것 같다는 생각에 진로를 정하게 되었는데, 실제로 이 영상을 보니 더더욱 그런 생각이 많이 드는 것 같아요! 홍대 건축 목표로 열심히 공부하겠다고 들어와놓고 2년이라는 시간이 흐르면서 어느새 해이해지고 목표에서 멀어져가는 지금의 저를 발견했는데요, 교수님의 이 영상을 보고 공부 자극 받고 다시금 마음을 다잡게 되었습니다! 시간이 1년도 채 남지 않았지만 다시 한번 새로운 마음으로 예전처럼 열심히 공부해서 꿈의 1지망 홍대 건축과 합격증 꼭 손에 쥐어보고 싶네요ㅠㅠ 나태해질 때마다 이 영상 보면서 정신차릴게요!! 정말 열심히 한번 해보겠습니다:)

  • @user-mb5vc3qn6t
    @user-mb5vc3qn6t 6 місяців тому +2

    교수님 이제껏 영상들 정말 좋았는데 오늘 해주신 말들이 제 생각과 같은 생각이라 너무 좋았네요
    요즘 중고등학교에서 선생님들이 왜 애들한테 이걸 배워야하는지 "왜"를 던져주지를 않아요
    사실 왜 배워야하느냐 이건 학생 개개인이 느껴야하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학생들에게 말해줘야하는건 지금 너희들은 언어를 배우는거라고
    이세상 여러 일들을 보고 느끼고 생각하게되는 기술로서 지식을 배우고 있는거고 그걸 어떻게 써먹을까를 고민하라고 가르쳐줘야하는데 그러지못해서 너무 안타까웠거든요...
    요즘 애들한테 이걸 배워서 어디다 써먹느냐고 왜 배우냐고 할때 이걸로 써먹을데가 어딘지 너네가 못찾은거라고 찾아내는게 너희 삶에 숙제라고 말해주셔서 감사하네요~~~

  • @joshuakim77
    @joshuakim77 6 місяців тому +10

    홍대 전자전기 졸업생입니다 일단 학교만 오면 학교에 있는 동안은 비 안맞고 강의실 옮겨다닐 수 있었던 그 구조가 더 다듬어져 있네요 ㅎㅎ

  • @user-wp1vq7cb9s
    @user-wp1vq7cb9s 6 місяців тому +4

    도시공학과 학생인데 처음 이 학과에 들어왔을 때 건축학과랑 비슷할 거라는 생각을 가졌는데 도시랑 건축은 비슷하면서도 다른것 같아요. 둘다 사람과 환경을 생각하면서 계획을 하지만 도시가 건축의 포괄적인 개념이니 고려해야할 것도 많고 이상적인 도시를 만드는데 더 초점을 맞춘것 같아요
    교수님 영상 보면서 도시공학에서 배운 내용도 나오고 건축학의 입장에서 본 도시도 흥미로워요ㅎㅎ

  • @Jasmin-gj2rf
    @Jasmin-gj2rf 6 місяців тому +7

    힘들었지만 성취감도 있고 행복했던 학부생활과 설계사무소에서 주말과밤낮없이 일했던 저의 청춘이 떠올라서 울컥했습니다 지금은 현역을 떠난지 오래됐지만 여전히 저에게는 그리움의 분야입니다 건축은 생각보다 아름답고 생각보다 빡셉니다. 건축분야에서 일하고 싶다면 건강관리는 옵션아니고 필수입니다. 공간을 디자인한다는 것은 정말 큰 감동이 있습니다. 종합예술이라는 말이 딱 맞습니다. 공부도 중요하지만 다양하고 많은 경험이 더 도움이 될거에요. 학부 지망생 여러분 화이팅!

  • @sdy4830
    @sdy4830 6 місяців тому +26

    건축공학과 학생인데 생각보다 취향을 탑니다.. 교수님이 "탈건출"이라는 말을 하실 정도로 적성에 맞아야 할 수 있는 분야인거 같아요. 기본적으로 건축은 수많은 사람이 협의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회성이 좋고 사람 만나는걸 좋아하는 사람이 적성에 맞는거 같습니다 그의 연장선으로 술자리도 많을거구요. 타대보다 건축이 술을 잘먹어요 건축계열 학과 가실거면 신중히 선택하시는게 좋을거에요
    영상에선 건축학과를 주로 말하는데 공대인 건축공학과는 설계 감리 시공 구조 재료로 크게 5가지 계열이 있는데 보통 2~3학년에 전공을 선택하게 될거니 입시생분들은 차차 생각하시면 되겠구요 건축공학과는 남자가 절대 다수입니다. 보통 건축학과랑 건축공학과랑 붙어있을텐데 건축학과는 여성분들이 많아요 옆에서 보면 좀 부럽긴합니다

  • @striaism
    @striaism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첫댓글이라니! 두근! 영상 기대합니다😊

  • @user-kj4uk2ll8k
    @user-kj4uk2ll8k 6 місяців тому +12

    저의 학창 시절 이렇게 다양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고, 교수님들의 얘기도 직접 들을 수 있었다면 벌써 꿈을 정하고 방향을 잡았을것 같고, 진작 전공도 정하여 도전해 봤을텐데 아쉽습니다.
    그랬다면 이렇게 먼길을 돌아오지도 않았을텐데…
    40을 바라보는 나이에 올한해 준비하여 이달부터 건축업 관련 회사로 출근 중입니다. 이길이 20대때보다 어렵기는 하겠지만 두렵지는 않은 나이가 되었네요.
    항상 양질의 정보들 감사합니다^^
    건축학도분들, 지원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화이팅입니다.

  • @user-uz1hg2be2q
    @user-uz1hg2be2q 6 місяців тому +30

    정치거절하신다는 뉴스보고 바로 구독신청했습니다
    현명하신판단 잘하셨습니다
    저도 건축학도입니다

    • @vamp_c502
      @vamp_c502 6 місяців тому +10

      (정당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하신다면 바로 구독취소?
      건축관련 법규 바꾸고, 행정 업무 간소화하고, 건축학도 지원 늘리고, 건축사 시험요건 실무적으로 바꾸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정치하신다고 하셔도 반대?
      진짜 반대?
      정치 찬성 입장이 아니라 진짜 궁금해서 질문 드리는 것입니다. 정치 거절이 구독신청의 이유라고 하셔서…

    • @user-dz4ts6ye6p
      @user-dz4ts6ye6p 6 місяців тому +2

      ​@@vamp_c502
      최소한 그 당에선 그런거 못해요.

    • @JJuser
      @JJuser 6 місяців тому

      ⁠@@vamp_c502그런 것에 대해 전문가 자문을 해주고 도움을 주는 역할이어야지 정치인이 되는거면 인기와 돈만 쫓는 그들과 똑같은 사람일 뿐이죠. 진정한 건축가가 아니고.
      정치인 중에 정말 국가와 국민을 위해 일하는 사람 몇이나 있을까요?

  • @user-qp5rl8un7n
    @user-qp5rl8un7n 6 місяців тому +3

    이것도 안 돼 😂😂교수님 귀여우심. 우리 교수님 홍대 어디든 마음놓고 가실 수 있게 해주세요.❤ 내용도 유익한데 목소리까지 좋으세요. 정말 듣기 편한 목소리예요. 가지고 계신 재능이 많으심. 사랑하지 않을 수 없음. 🥰💘🫶

  • @user-gr7zk1pc7n
    @user-gr7zk1pc7n 6 місяців тому +27

    설계를 했고, 건축과는 전혀무관하게 살고있습니다. 뭐 주중에 3일은 밤샘하며 지냈던 기억이 있어요. 그래서 하고싶은 말은...돔황챠

    • @gnon0
      @gnon0 6 місяців тому

      혹시 지금은 무슨 일 하시나요??

    • @user-gr7zk1pc7n
      @user-gr7zk1pc7n 6 місяців тому +1

      ​@@gnon0농사지어요. 농담아니고 진짜

  • @leedonghyup
    @leedonghyup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예전에는 길거리에서도 T자 들고 다니는 학생들을 볼 수 있었는데 이제는 보기가 힘들군요.
    우리학교는 비가와도 우산을 쓰지 않고 정문에서 후문까지 갈 수 있다는 농담반 진담반 했던 기억이 있죠.
    오래간만에 학교 구경 잘 했습니다.

  • @user-br9cs5hk5y
    @user-br9cs5hk5y 6 місяців тому +50

    전 홍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정신과 의사로 일하고 있습니다. 오랜만에 학교를 보니 감회가 새롭네요.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vamp_c502
      @vamp_c502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신경건축학 공부하시는 분들이 정말 부러워할 스펙이네요 😊
      그럼 통합 몇 년을 공부하신 건지…
      존경스럽습니다.
      정신과 의사로서 게다가 건축학과까지 졸업하셨으니 고소공포증, 밀폐공포증 등의 환자 접하실 때 건축학과 공부시절 떠오르실 때도 있..겠죠?
      정신을 피폐하게 만드는 건물의 특징은 ?
      사람들의 외로움을 줄이기 위해 건축가한테 바라는 희망사항은?
      질문이 좀 많죠? 😅
      바쁘신 분이고 간단히 답변할 사항이 아니라는 것을 알기에 ‘읽씹’하셔도 이해합니다.
      앗, 참!
      교수님께서 ‘영화 건축학개론 속 주인공이 꼭 나같다’ 하신 것 아시나요?
      그러곤 대학 이야기 꺼내실 때마다 ‘(대학시절 공부한다고) 연애 안 해봤다’ 하시는데 결혼은 어떻게 하셨는지 몰라도 마감 트라우마가 아니라 교수님 연애 트라우마 있으신 것 같지 않나요? ㅋㅋㅋ 🤣
      알쓸신잡에서 데이트 코스도 추천하시고, 첫키스 장소도 공개하신 교수님인데 왠지… ㅋㅋㅋ 🤣

    • @user-br9cs5hk5y
      @user-br9cs5hk5y 6 місяців тому +2

      @@vamp_c502 꼭 답해달라고 하시는 것 같아 적어봅니다. ^^
      1. 질문을 듣고 공포증으로 진료실에 못 들어오고 로비에서 얘기를 나누었던 환자분이 떠오르네요. 행동을 결정하는 요소는 굉장히 다양하고 특히나 인간은 정교한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그 요소가 더 복잡해졌다고 합니다. 공간은 이러한 요소중 수반환경에 속하겠죠. 다른 정신과 선생님 얘기로는 환자분이 진료실에 들어와 앉았을때 정면에 창문이 보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층고나 교수님이 말씀하신 조명을 잘 사용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겠죠.
      2. 외로움에 관한 주제로 얼마전에 학회가 열렸었는데 서울대 인류학과 박한선 교수님의 답은 사회보장제도를 없애면 된다였습니다. 근대사회 이전 인류는 살아남기 위해 비동족간의 관계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했고 지금은 그럴 필요가 없음에도 그 본성은 지속되며 외로움을 느끼게 한다는 거죠. 이걸 공간으로 범위를 줄이면 방이나 집에서 온전히 뭐든 다 할 수 없게 하는 거겠죠. 집에서 개인공간인 방의 크기는 작아지고 공용공간의 크기는 커지는 것 처럼요.
      3. 건축학개론을 보면서 저역시 제얘기처럼 느껴졌습니다.^^ 건축을 전공했던 분들이라면 공감하실 겁니다. 이게 영화가 가진 힘이겠죠.
      용기내 질문해 주셔서 감사하고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 @bgm-A-ha
      @bgm-A-ha 6 місяців тому

      밑에분이 궁금하다고 합니다.

    • @vamp_c502
      @vamp_c502 6 місяців тому +3

      @@user-br9cs5hk5y 김홍진 선생님 !
      답변 감사드립니다.
      지금 손가락 하트 🫰날리고 있는데 직접 못 보심이 안타깝습니다.
      예상과는 다른 답변들이라서 굉장히 흥미롭게 읽었고,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외로움에 관한 해결책(?)으로 서울대 박한선 교수님의 ‘사회보장제도를 없애면 된다’는 말씀이 잘 이해가 가지 않지만, (공동 공간을 넓힌다는 설명을 해주신 것으로 보아) 각자도생이 가능한 사회적 제도대신 옛날 공동체 생활처럼 사회적 관계망을 넓힌다는 뜻으로 받아 들였습니다. 맞나요?
      그런데 시대가 변해서 제도를 폐지하고 관계망에만 의지하기에는 너무 위험요소가 크고, 오히려 제도를 더 철저히 보완하고 그 사이사이를 관계망이 메꾸는 쪽으로 가야할 듯 싶은데…
      치퍼필드 인터뷰에서도 느꼈지만, 공공건축이 가야할 방향에도 환경문제 포함 이 외로움/고독, 소통이라는 키워드가 포함되는 듯 합니다.
      솔직히 말씀드리면 정신이 피폐해지는 건물이라고 할 때 외부와 차단되고, 감시와 통제가 수월한 교도소나 강제수용소, 그리고 정신병원이 떠오릅니다 😅 치료와 정신건강을 위한 정신병원이 목적과 반대되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정말 아이러니합니다. 갑자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나온 영화 셔터 아일랜드가 떠오르네요 ㅋㅋㅋ
      다시 한 번 귀한 의견 나눠주셔서 감사드리고, 질문 폭탄대신 댓글 좋아요 누를 손가락은 언제나 준비되어 있으니 채널에서 자주 뵐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 @user-sz8iz8qh7w
    @user-sz8iz8qh7w 6 місяців тому +6

    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건축은 정말 재능도 필요하면서 즐기면서 해야 하는 학문인거 같아요 그런게 아니라면 5년간 하기엔 좀 힘들수도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전 좀 적성에 안맞았는지 4학년 되니까 지치더라고요 그래서 현재 직업은 안타깝게도 전공과는 전혀 상관없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같이 공부했던 제 친구는 재능도 있고 즐겁게 공부해서 그런지 하버드대 유학도 다녀와서 교수 생활하고 있습니다

  • @jaeypupo8121
    @jaeypupo8121 6 місяців тому +3

    다른과들에게도 도움되는 이야기네요... 융합이 새로운 장르로 뜨는데... 다른학과의 시각을 자신의 학문에 적용해보고 돌아보고 접목하는게 융합이 아닐런지...

  • @june2452
    @june2452 6 місяців тому +4

    홍대에 붙긴 했는데 20살땐 서울이 싫어서 안갔는데 갈걸 했어요....
    그리고 교수님은 우리 곁에 오래오래 남아주세요~

  • @user-qz7rd2qb1u
    @user-qz7rd2qb1u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성적에 맞는곳 아무데나 갈거라는 수능성적 기다는 아들..
    건축학과와 건축공학과가 좋을것같아 자료 찾고 있었는데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이 영상 보고 홍대도 지원했음 좋겠네요.

  • @youngranwoo8282
    @youngranwoo8282 6 місяців тому +4

    교수님이 이번 비디오를 지인에게 쉐어했습니다. 여기도 연말에 대학원서를 쓰는 기간이라 도움이 될거 같아서요. 제일 공감되는 것이, 졸업후 모두가 전공을 살리진 않는다는 말요. 여러방면으로 자리잡는데, 자양분을 길러주는것은 사실입니다.

  • @user-kv8xz7mo7h
    @user-kv8xz7mo7h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건축학과 가고 싶었지만 현제는 토목공학과에 있네요 😅ㅎㅎㅎ 요즘에 토목과 건축을 같이 할 방법이 고민하고 복수전공을할까 보니 저희 학교는 건축학과가 복수, 전과가 안되네요 … 그래도 오늘 건축전문대학원이라는 정보도 얻고 ㅎㅎㅎ

  • @rlaqudco
    @rlaqudco 6 місяців тому +8

    홍대 건축과는 못가겠지만…유익하네요!🙈

  • @user-mr3om4dv2d
    @user-mr3om4dv2d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sion_jeon_
    @sion_jeon_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교수님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문득 지하건축물이 언제부터 생겨났는지 궁금해져서요..! 옛날사람은 지하에 이런 큰 상권이 들어올걸 상상이나 할 수 있었을까 싶더라구요.:! 실례가 안된다면 영상만들어 주실 수 있나용🥹🥹?

  • @user-sp7xg5yh2g
    @user-sp7xg5yh2g 6 місяців тому +4

    건축사가 되는게 쉬운게 아니였음.
    설계와 시공의 학과가 다름을 배웠네요😊 다양한 학과들이 있다니 새롭네요.
    학과소개 감사해요!
    직접가서 볼일이 없는데 이렇게 보다니....💕

  • @YiChoyoung
    @YiChoyoung 6 місяців тому +5

    홍大얘기 여기저기 참 많이 나오는...
    연남동 한 집에 20년 정도 살면서 너무 자주 갔던 홍대 입구~홍대앞~피카소거리~지금은 망원동도 이어져?!☺️
    우리 어릴때도 좋았어요~
    건축학을 전공하신 분들이 만드신지는 몰랐고~동네 분위기가 예전부터 좋았지요~
    집에서 걸어다니던~나도 주차장길에 업장이 있었고 지인들이 꽤 일하고 있던 지역...
    늦게(?)라도 건축학 교수님이 다뤄주시는 얘기들이 관심가게..

  • @l_srsh_1888
    @l_srsh_1888 6 місяців тому

    저번에 썰플리에서 촬영해주신 소조?서양학도들? 건물 보다가 또 이번에 건축대학동을 대담하게 탐방 하신 거 보고 흥미로웠습니다.

  • @Beautifulpeople94
    @Beautifulpeople94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늘 겸손한 건축학도가 되고 싶습니다.ㅎㅎ 잘 구독해보겠습니다🎉😅😊

  • @user-un4yw6oe1q
    @user-un4yw6oe1q 6 місяців тому +12

    전 사학과를 나왔지만 생각하는 방식을 가르친다는 말이 공감갔습니다
    사학 공학 건축 배운 친구들끼리 모여서 얘기해보면 가장 큰 차이가 어떤 방식으로 사고하느냐 였던 것 같습니다
    또 자신의 학과의 사유법과 자신의 사유법이 불일치하면 고생 많이 하는 거 같더라구요 이런 부분까지 전부 고려해서 학과를 정하긴 힘들겠지만 한 번 고려해봐야할 요소인거 같아요

    • @vamp_c502
      @vamp_c502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갑자기 이 댓글 보니까 맥스웰 커피 마시고 있는데 느닷없이 맥스웰 방정식 이야기하던 학과생들이 떠오릅니다.
      전자공학과는 전류 밀도 이야기,
      항공우주공학과는 공기,
      조선공학과는 물.
      의과대학생도 ‘우리도 맥스웰 방정식 배워. 피 🩸 때문에‘

  • @kang4543
    @kang4543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올해 건축공학과 지망하고 있는 학생인데 경건동홍 중에 고민하고 있었는데 이거 보니까 홍대 건축학과에도 관심이 생기네요 ㅎㅎ

  • @sunnyk4572
    @sunnyk4572 6 місяців тому +47

    교수님 유튜브 보면서 항상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제발 정치에는 발 담그지 마시길 부탁드립니다.

  • @user-gn9ot8no4d
    @user-gn9ot8no4d 3 місяці тому

    정말 알고 싶은 정보들이었는데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꿈에 대한 고민이 확실해졌습니다. 내년에 홍대 건축학과에서 뵈길 기대합니다!

  • @junkim7398
    @junkim7398 6 місяців тому +3

    캐나다 건축공학과 재학중인데 과별 역할과 구분이 조금의 차이가 있네요. 여기선 실내/외 디자인 및 조경은 건축과, 설계에 필요한 재료, 구조, 기계 등 건물에 필요한 각종 계산들은 그 전문 분야의 엔지니어들, 그리고 이것들을 포괄적으로 묶어서 레빗이나 캐드 같은 프로그램으로 산출해내는 일을 건축공학하는 사람들이 하는 걸로 알려져 있거든요. 물론 회사마다 분담하는 일이 직종에 따른 구분이 없는 곳도 있지만 건물 하나 올리는데 진짜 여러 역할이 필요하다는건 다르지 않네요ㅋㅋ

  • @lisazz3036
    @lisazz3036 6 місяців тому +47

    우와... 뽀송뽀송한 대학생들이 셜록현준교수님을 실제로 뵈며 수업도 듣고, 과제에 머리도 싸매고, 고민하며 밤도 지새우고... 할 모습들을 상상하니 정말 부럽네요^^

    • @vamp_c502
      @vamp_c502 6 місяців тому

      갑자기 교수님 하신 말씀이 떠올라서 웃음이 나네요. 학창시절인가 직장근무 시절인가 정확히 기억은 잘 안 나는데 하여간 교수님께서 당시 교수/상사한테 설계 관련해서 대든 적 있다고…
      교수님!
      인생은 돌고 돌더이다.
      뽀송뽀송한 그 대학생들 중 분명히 교수님같은 학생 한 명은 있… ㅋㅋㅋ 🤣

  • @firepunch135
    @firepunch135 6 місяців тому +20

    말씀하신 홍대의 장점 저는 엄청난 단점이라고 생각하는😂 계단 너무 많고 복잡해서 매일 힘들어요... 장애인에게도 불친절한 구조...

    • @vamp_c502
      @vamp_c502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지하철에서 엘리베이터 고장난 뒤 휠체어 타신 분이 난간 잡고 어떤 지나가는 사람의 도움에 의지해 한 계단 한 계단 점프하듯 계단 오르시는 걸 본 뒤로 저렇게 계단만 많은 곳에서는 거동이 불편한, 다리가 아파서 계단 오르락내리락 잘 못 하시는 어르신들, 휠체어 타시는 분들의 ‘이동할 수 있는 권리’에 대해 생각해보게 됩니다.
      예전에 장애인용 엘리베이터를 휠체어 타신 분 기다려 주지도 않고, 그냥 문닫기 버튼 누르는 바람에 휠체어 타신 분이 화가 나서 엘리베이터로 돌진하다 밑에 떨어져 사망하신 사건 있었는데 그럴 정도까지야 하다가도 한편으로는 이동하고 싶어도 이동할 수 없는 그 절망감이 얼마나 클까 싶기도… 😢

  • @user-nowhere
    @user-nowhere 6 місяців тому +3

    항상 느끼지만 건축가는 예술적인 감수성과 더불어 공학가의 이성과 인문에 대한 폭넓은 이해, 거기에 비지니스 감각까지 갖춰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정육각형 인간만 가능하겠구나....싶더라는. 중고등학교 공부를 왜 해야 하는가에 대한 이유까지 설명해주셔서 너무 인상깊었어요. 자유학기제로 미래의 직업을 찾아보게 하는 현재 교육시스템 보면서 이게 맞나...하는 생각을 했었거든요. 살면서 직업이란게 꼭 자아실현의 도구로만 작동하는 것도 아니고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게 일치하는 것도 아닌 경우가 많아서...저희 아이들이 좀 더 크면 보여주고 싶네요. 그리고 그 니트는 혹시 리폼하신건가요? 교수님한테 잘 어울려서 기억하고 있었는데 같은 재질과 디자인인거 같은데 구멍숑숑^^ 멋스럽습니다. 누빔패딩코트 입고 교정 누비는 모습이 참 경쾌해보이시네요^^ 아니...stefan cooke 니트였군요. 리폼...ㅋㅋㅋㅋ 죄송합니다.ㅋㅋㅋㅋㅋ

  • @user-jd1uv7lq2q
    @user-jd1uv7lq2q 6 місяців тому +3

    늘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옷을 참 잘 입으시는것 같아요 패딩 넘 멋져요

  • @archiandtravel
    @archiandtravel 4 місяці тому

    건축학과 졸업생으로서 교수님 말씀하신 ”생각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는 것에 저도 굉장히 공감해왔습니다.
    물론 기본적으로 학과가 엄청나게 바빴지만… 확실히 더 나은 방법들은 없는지 다르게 생각해보면서 고정관념도 비틀어보고, 하나의 프로젝트를 끌어가면서 더 나은 공간을 기획하기 위한 방법들을 디자인을 통해서나 말, 그림 등으로 표현해내는 과정에서도 배운 게 많았습니다.

  • @bluechips4337
    @bluechips4337 5 місяців тому

    평소에 사실 이름만 알고 있었지 제대로 조사는 해본적 없는 학과인 건축학과를 이 영상으로 우연히 접하게 되었어요. 대학교 특징, 학풍, 그리고 그 학과의 분위기마다 형성되는 교육을 정말 잘 짚어주신 것 같고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매우 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phkair
    @phkair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건축의 다양한 분야 모두 멋지지만, 개인적으로 구조가 정말 멋지다는 생각입니다. 드러나지 않지만 큰 건물 올리는데 절대 없어서는 안되는게 구조죠....ㅎㅎ

  • @UZUGROOVE
    @UZUGROOVE 6 місяців тому +4

    교수님 본업하시는게 너무 멋지시네요 ㅜㅜ

  • @LeeSSang231
    @LeeSSang231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건축공학과를 졸업했지만 건축학과 친구들 보면 힘들지만 그들만의 매력이 있었던 기억이 있네요.

  • @btc_1217
    @btc_1217 6 місяців тому +2

    배울점이 많아서 좋습니다

  • @user-gu7tq3bv7v
    @user-gu7tq3bv7v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생뚱맞지만 교수님은 컬러티셔츠 핏은 누구도 따라올수없어요 티셔츠에 대해서 한번 말씀해주세요 특히 오늘 입으신 블랙 앤 화이트 티셔츠 극 동안이신 교수님과 찰떡 찰떡입니다 어는 브랜드인지 되게 궁금합니다?

  • @brandlee5089
    @brandlee5089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솔직히 이론과 실무의 갭차이는 상당하죠. 막상 전공 졸업하고 이론만 알고 그대로 일 하다가 실무에 질려서 다른 전공으로 가기도하고 반대로 실무에 잘 적응하는 케이스도 있더라고요. 일례로 천문학부 졸업하고 디지털 헬스케어에서 일하시는 분들도 종종 있고요 ㅎㅎ ❤
    결론은 어디에 가든 많은 경험을 통해 견문을 넓히면 나중에 다 쓸모있더라고요❤

    • @vamp_c502
      @vamp_c502 6 місяців тому

      뭐든 배워두면 ‘언젠가 어디선가 (무슨 일이 생기면)’ 써먹는다 ㅋㅋㅋ

  • @wildapple3909
    @wildapple3909 6 місяців тому +40

    딱 수능 끝나고 학생들 원서지원 고민할때 올리시는군요 ㅋㅋㅋㅋㅋㅋ

  • @onbluenight
    @onbluenight 6 місяців тому +1

    확실히 이공계열 이나 공학계열은 대학 때 연애를 할 것인가 아니면 자기 스펙을 채울 것인가 둘 중에 하나만 채우는 고민 속의 딜레마에 빠지게 되는군요

  • @daorio3319
    @daorio3319 6 місяців тому +4

    저학년때 선배들이 큰 건축물 설계한는 것 보면 너무 대단해 보였고
    고학년때 뭐든 설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붙어 있지만
    신입으로 갓입사한 직원보고 있으면 가르칠게 너무 많아서 한숨나오죠 ㅋㅋ

  • @user-pf1mg8pu7u
    @user-pf1mg8pu7u 6 місяців тому

    02학번입니다~ 건축과는 아니었지만 캠퍼스가 많이 변했네요 추억돋고 신기하고 하네요 ㅎㅎ

  • @yunnysunny
    @yunnysunny 6 місяців тому +4

    아니 자꾸 건축 하지 말라고만 해서 슬펐는데.. 설명을 잘해주셔서 집중해서 봤어요 :) 관련 학과가 진짜 많네요
    제가 3D영화/가끔 게임 작업을 하는데 건축이랑 비슷한 냄새가 나요ㅋㅋ 공간을 만들 때, 사람 손이 어떻게 타서 어디가 어떻게 낡았는지, 페인트가 어떻게 벗겨지는지, 이건 왜 이렇게 찌그러졌는지? 같은 뭔가의 존재 이유와 당연하게 생각했던 물건들의 스토리를 생각해야 하거든요. 관찰력과 배경지식 없이 그냥 만들 수가 없어서 끊임없이 새로운거 배우려고 노력중이에요.
    마찬가지로 건축법같은건 좀 어렵게 들리지만 일상에 필요한 모든 것을 공부하는 학문이라서 건축이 매력적인 것 같아요. 설록현준이 정말 많이 도움돼요ㅎㅎ 철학적 분석이 너무 재밌는 intj😀언젠가 건축설계!! 찍먹이라도 해볼래요ㅋㅋㅋ

    • @89hgb99
      @89hgb99 4 місяці тому

      근데 그건 재현의 영역에서의 디자인이고, 이건 실제 워킹이 되느냐 대한 정방향 디자인이라, 느낌은 좀 다들듯. 책임감도..

  • @ybkim7946
    @ybkim7946 6 місяців тому +4

    건축학을 나와 이 업종을 벗어나긴했지만
    학문적으로 굉장히 매력있는 학문이에요

  • @Salmon-song
    @Salmon-song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졸업학점이 140학점이었던지라 타전공 수업도 들었어야 했는데...이 교수님 수업을 들었어야 했어...

  • @bolt8785
    @bolt8785 6 місяців тому +8

    고2예요! 25학번으로 꼭 가고싶어요...

  • @Jamureable
    @Jamureable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음... 예전 제가 대학교 입학(2007) 시절이 떠오르네요. 그리고 제가 가장 좋아했던 교양과목 중 하나가 바로 '실내공간연구 '라는 과목이었습니다.(교양과목명은 정확치 않을 수도 있고, 교수님 이름 이 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네요...) 그 떄 다양한 교양을 쌓았던 경험이 있는데요. (그 떄 팀원들을 제가 가장 좋게 생각합니다.... 알고 있을 런지 모르겠지만....) 하여튼, 그 당시에 팀플 발표를 준비하면서 제가 파워포인트 일명 파.포를 제가 담당하였는데, 좀 충격적이 었던 게, 프랑스는 공용화장실을 쓰는데 1유로던가(?) 를 내고 쓴다는 사실 이었습니다. 전 고등학교 떄 불어(FR)를 이미 배우고 온 지라, 그런 내용은 들어본 적은 없었고 새로운 사실에 적잖지 않게 흥미롭거나 색달랐습니다. 흐음... 왜 그럴까(?) 를 고민 해 보다가 '그럴만한 이유가 있겠구나' 하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서양(서구) 문화권은 '프라이버시' 를 중요시 하다 보니 그렇고, 그 당시 국제정세가 심상치 않은 일이 일어난 뒤라 그런 게 아닐까(?) 하는 생각에 다 달랐죠. 하여튼 현재 2023년 11월 19일, 이제 2024년 7월에서 8월이면 '파리 올림픽' 이 치뤄 질 텐데요. 패션의 본 고장 답게 여태 까지 억눌려 있던 걸 뽐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하길 바래 봅니다.
    그리고 건폐율이라는 개념 확실히 익혔네요. 농촌과 도시의 비율을 또한, 건축가가 +조경 = 금상첨화 말에 동감 합니다. 인간이 만든 산물만이 모든 걸 덮어버릴 수 없겠죠 사람은 자연과 공존하며 살아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학풍이라는 테마는 흥미로웠어요.(저 또한 고민했던 지점이었기에...) 저희 학교를 깔 보웠던 제 생각이 철저히 무너지면서, 우리 학교를 만들고, 또 지탱해온 분들을 다시 한번 쯤 생각해 보는계기 가 되는 시간을 곱씹어 보았어요.
    그리고 저에게는 기초. 학문의 기초를 닦았던 시기는 아무래도 고등학교 시절인 거 같아요. 초등학교 떄 친구네 집에서 6학년 떄 혹독한 숙제가 있었지만(일필휘지 [一筆揮之] 아는 분야에 한정해서.. )로 적어 나가면서 답을 채워 나간 적도 있고 , 중학교 떄 아무래도 견제를 많이 당하면서 좋아하는 과목만 한 적도 있지만, 고등학교 떄 는 친구들과 한번 고지를 선점하고 나서부터, '이제 이만 하면 되었다.' "5등권만 유지하면서 친구들을 이끌면서 클래스 업을 해봐야겠다." 시도했습니다. 나간다는 느낌이 저에게는 신선하게 다가 왔습니다. 하여튼 저도 얼핏 하면 한시간 차이로 원서접수를 놓쳐서 원했던 학과에 (도시계획) 못 가고, 또 한 재수를 할 뻔 했지만 운 좋게 막차를 타서 보험성으로 둘 중에 하나를 고르는 처지가 되었죠.
    그 떄 느낀 것이, 운은 기다리는 자에게 오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노력하는 자에게 온다 를 뻐져 리게 느끼는 순간이었습니다!!! (그 떄 간절하게 바라 던 이상형을 봤던 것도 한 몫 했던 것도...ㅠ.ㅠ)

  • @Limhansol
    @Limhansol 6 місяців тому +20

    곧 24학번으로 건축과 들어가는데 향후 미래에 대해 좀 더 생각해봐야겠습니다

  • @jewelry615
    @jewelry615 6 місяців тому +4

    GIS 도 다뤄주세요~

  • @baeksang8434
    @baeksang8434 6 місяців тому +68

    절대 정치하지 마시고 존경 받는 교수로 남아주시길

  • @user-hl8gc1lx4x
    @user-hl8gc1lx4x 6 місяців тому +2

    3D프로그램(인벤터)로 미니어처 건축물 디자인하고 이걸 일러스트로 가져와 평면도면으로 만들고
    이 평면도면을 레이저커터로 가져가 아크릴 커팅해서 (디오라마)미니어처 만들기를 좋아하는데
    집중하다 보면 몇시간동안이나 물한모금도 안마시고 배고픈줄도 모르고 하고 있더라는....
    동영상 듣고보니 건축학과 성향이인것 같네요
    40년만 더 젊었으면 건축학과 도전해보는건데.... 아쉽
    당시엔 인터넷도 없어 이렇게 정보를 얻을수 있지가 않았고,
    주변에 조언해주는 사람도 하나 없고..
    막연히 서울에 있는 합격할수 있는 학과에 가고보니 적성에 안맞음
    꾸역꾸역 공부해도 성적은 별루.. 에휴 너무나 적성에 안맞는과를 가서 평생을 후회후회
    건축학과 갔더라면 힘들어도 재미있게 했을거 같군요.
    이런 동영상 보는걸루라도.. 아쉬움을 달래봅니다.

  • @user-vv9wf7ey5q
    @user-vv9wf7ey5q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교수님! 혹시 현대 대표적인 건축물인 잠실 올림픽 주경기장 (김수근)도 한번 다뤄주시면 감사드립니다!
    최근 리모델링 이슈가 있어 원형 유지에 대해 교수님은 어떤 생각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 @johndavid-ib2wu
    @johndavid-ib2wu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교수님 예전 페이커 관련 영상에 나오셨더라구요. 이번에 페이커가 우승했는데 우승 기념으로 LOL의 게임 속의 건축물에 대해서도 한번 영상 만들어 주시면 어떨까 싶어요. 페이커도 다루면서요. ㅎㅎ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스타크래프트와 LOL은 건축물을 빼 놓을 수 없거든요. 심시티도 그렇고요.

  • @user-pc3so3yv5k
    @user-pc3so3yv5k Місяць тому +1

    지나가던 도시공학과 졸업생입니다 와우관은 교양수업, 4층 편의점, I동 수업들을때만 들어가 본 건물인데 이렇게 보니 신기하고 재밌는공간이 많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 @TheMcHwang
    @TheMcHwang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지방 건축과 나왔지만
    열심히 하는 친구는 잘 되긴 합니다
    하지만 그 비율이 적긴 하네요 ㅎㅎ

  • @user-oo6nu3mt3t
    @user-oo6nu3mt3t 15 днів тому +1

    제가 알고싶은 궁금증에 많은 도움을 주신것 같아요
    감사 합니다~❤❤

  • @user-kw9hi8ls9n
    @user-kw9hi8ls9n 6 місяців тому +2

    교수님 하남에 스피어가 생긴다는데 그것에 대해서도 다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 @user-sd3ft1gs2d
    @user-sd3ft1gs2d 6 місяців тому

    고1 건축학과 희망하는 아들에게 도움되는 영상이네요 보내고 싶지만 보낼수 없는 학교ㅠ.ㅠ

  • @im_good_today
    @im_good_today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건축공학과 2학년 학생입니다.. 성향상 설계가 너무 하고 싶은데 내년에 전과를 할지 졸업후 대학원을 갈지 고민이 되네요.. 전과를 하게 되면 1,2학년 설계과정을 다시 들어야해서 1년이 소모되서 총 6년이 걸리게 됩니다. 대학원도 마찬가지로 2년의 과정이 필요해서 총 6년이 걸리게 됩니다. 어떤 길이 옳은걸까요?

    • @vamp_c502
      @vamp_c502 6 місяців тому

      건축 전공은 아니지만, 댓글 읽다 교수님 답변보다 댓글 쓰신 분 생각이 더 궁금해서…
      성향상 설계가 너무 하고 싶은데 전과를 하게 되면 1,2학년 ‘설계 과정’을 다시 들어야 된다? 설계가 너무 하고 싶으시면 문제될 것이 하나도 없는 것 같은데…😅
      아니면 말씀하시는 1,2학년 설계 과정이라는 것이 사실은 설계와 상관없는 기초공부를 다시 들어야 해서 1년 낭비하기 싫다 이 말씀이신지…?
      게다가 지금 하고 계신 건축공학 대학원까지 선택지에 두신 걸 보면 건축공학 공부를 나름 할 만 하다고 여기시는 분 같은데 정말 성향상의 문제인가요?

  • @joypianoj
    @joypianoj 4 місяці тому

    홍대에서 실내디자인을 공부하고 싶은데 실내건축학과와 산업디자인의 공간디자인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고3 문과생이라 자전으로 실내건축과를 가야할지 디자인과로 들어가야할지 고민입니다.

  • @whatyouname9756
    @whatyouname9756 6 місяців тому +8

    홍대 건축 정말 정말 가고싶었는데..

  • @user_evan0049k
    @user_evan0049k 6 місяців тому

    입으신 펀칭셔츠가 멋집니다. 👍

  • @user-sd3hm2bg9t
    @user-sd3hm2bg9t 27 днів тому

    건축과 들어가기 전에 이 영상 봣을 땐 이해가 잘 안됐는데.. 2개월이 지난 지금 너무 이해가 됨 다른 과처럼 암기하는 게 아니라 온전히 나만의 것에서 만들어내는 거라 적성에 잘맞아서 잘 다니고 있어요 ㅎㅎ

  • @user-vb6gv4gc8l
    @user-vb6gv4gc8l 6 місяців тому +4

    홍대 너무 멋지네요 👍

  • @lolcoinmath
    @lolcoinmath 6 місяців тому +3

    영상으로라도 모교를 보니 좋네요
    -08학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