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이 단거리 중거리 장거리로 나뉘는 것처럼 클라이밍이라는 큰 카테고리안에있지만 볼더링 스피드 리드는 결이 많이 다른 운동인데 이번올림픽 클라이밍 경기가 컴바인으로 정해지면서 개인적으로는 시작 전부터 흥미를 잃은것이 사실.그나마 다음 올림픽때부터는 리드+볼더링 스피드 따로라고하니 그나마 서채연선수에게 기대가 크네요.
스피드클라이밍같은 초고강도 운동에서는 탄수화물도 사용되겠지만 주로 PC(포스포크레아틴)를 많이 사용할 것 같습니다. 정리해보자면 대략 이런 느낌일 것 같네요.. 리드클라이밍: 주로 유산소성 볼더링: 무산소성+유산소성 (볼더링은 상황마다 다를 것 같습니다.) 스피드클라이밍: 주로 무산소성(ATP-PC체계+해당작용) 항상 좋은 영상감사합니다 덕분에 생리학 복습도 하고 좋네요..
솔직히 유연성.빠른 위주의 가벼운 선수들은 다 떨어졌고 키크고 근력강한 선수가 금메달땀. 여성부에서 1단계 2단계 다 풀어낸 선수처럼.. 키가 커야 더 높은 점프를하는데 유리하고 키가 커야 어렵게 갈곳도 유리해서 쉽게 가더라구요. 결국 피지컬이 좋은선수들이 남성부도 여성부도 금메달 따가심.
육상이 단거리 중거리 장거리로 나뉘는 것처럼 클라이밍이라는 큰 카테고리안에있지만 볼더링 스피드 리드는 결이 많이 다른 운동인데 이번올림픽 클라이밍 경기가 컴바인으로 정해지면서 개인적으로는 시작 전부터 흥미를 잃은것이 사실.그나마 다음 올림픽때부터는 리드+볼더링 스피드 따로라고하니 그나마 서채연선수에게 기대가 크네요.
파리 때 서채현선수의 활약이 벌써 기대됩니다ㅎ
도쿄 올림픽을 애타게 본 입장에서 이제라도 메달 수가 늘어나서 다행이네요. 각각으로 세분화 되어서 선수들도 더 많이 볼수 있기를!
우리나라 선수들도 본선에 많이 출전하면 좋겠네요!
육상경기에 딱 하나 금메달만 걸고,
100미터 달리기, 마라톤, 높이뛰기의 3종목을 컴바인으로 묶어서
3종목의 점수를 평균내서 한명한테 금메달 주겠다는 것과 마찬가지임.
너무했죠
일본이랑 올림픽위원회가 한짓이지
올림픽 처음 나오는 종목이라 그런가 컴바인 경기는 무리하게 구성한 느낌이 있었어오 그래도 스피드는 분리된다니 개선의 여지는 있어서 다행이에오
네 파리올림픽이 기대됩니다ㅎ
그냥 특화된 부분이 다르다고만 생각했는데 이렇게 풀어서 설명해주시니 너무 좋았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마라톤과 100m 그리고 400m 허들을 한종목으로 묶은거나 마찬가지죠
적절한 비유!
이게 2년 전 영상이고, 이제 파리 올림픽이 끝난 상태에서
채널장의 감상을 담은 영상을 만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장거리 단거리 그리고 장애물까지
모든 것을 잘 하는 단 한명만을 가려내는 경기였나 ㄷㄷ
따로 나눠야한다. 그래야 더 재미있게 본다. 스피드가 얼마나 박진감 넘치는데 버벅버벅
오!!! 초보들도 이 영상으로 클라이밍에 다가갈수 있겠어요~ 굿굿^^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타고난 건 지근인데 손바닥에 땀이 많아서 볼더링을 해야하는 1인은 웁니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8년전부터 아담온드라 팬이었습니다 ㅎㅎ 이번에 정말 아담선수 경기보고 기분 좋았어요 메달을 넘어 ㅎㅎㅎㅎ정말 대단합니다 ㅎㅎ 클라이밍 안해보신분들은 꼭 경험해 보세요 ㅎㅎㅎ정말 잼있는 운동입니다 ㅎㅎ
저도 정말 팬입니다ㅎㅎ
아담 온드라 채널 구독해서 보고있는데 클라이밍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평소 훈련하는 모습 보면 정말 멋지더군요
스피드클라이밍같은 초고강도 운동에서는 탄수화물도 사용되겠지만 주로 PC(포스포크레아틴)를 많이 사용할 것 같습니다.
정리해보자면 대략 이런 느낌일 것 같네요..
리드클라이밍: 주로 유산소성
볼더링: 무산소성+유산소성 (볼더링은 상황마다 다를 것 같습니다.)
스피드클라이밍: 주로 무산소성(ATP-PC체계+해당작용)
항상 좋은 영상감사합니다 덕분에 생리학 복습도 하고 좋네요..
오우 정보 공유 감사합니다!
스피드는 방식을 좀 바꿔야 하지 않을까요? 경기방식이 너무 단순하고 시간도 너무 짧은것 같아요.
ㄹㅇ 클라이밍에서 굳이 스피드 대회가 있어야 하나 싶음요. 오로지 대회를 위한 종목인데. 그냥 달리기 따라하는 느낌이고. 그밖에 이유는 글쎄 잘 모르겠음
3가지 종목이 독립적으로 분리되면 좋겠어요 클라이밍 흥해라❤
쉽게 말해 마라톤선수인 이봉주한테 200m 육상 시키고 우사인볼트한테 42.195 마라톤 시킨거죠ㅋㅋㅋ
그건 과장
@@왕왕-u5k 과장은 아닌듯 스피드 상위권 선수들 리드에서 거의 하위던데
솔직히 유연성.빠른 위주의 가벼운 선수들은 다 떨어졌고 키크고 근력강한 선수가 금메달땀. 여성부에서 1단계 2단계 다 풀어낸 선수처럼..
키가 커야 더 높은 점프를하는데 유리하고 키가 커야 어렵게 갈곳도 유리해서 쉽게 가더라구요. 결국 피지컬이 좋은선수들이 남성부도 여성부도 금메달 따가심.
일본 선수들 메달 따게 하려고 컴바인 한게 아닌가 하는게 저의 뇌피셜임다 ㅋㅋㅋㅋㅋㅋㅋ프랑스 때는 나누니까요ㅜㅜ
쉽게말해 우사인 볼트가 100m 5000m 마라톤 한다는거네요
정확하십니다
지근과 속근중 무엇이 발달했는지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
그냥 어떤 종목에 강하다 라는 걸론 막연하게 느껴져서요!
컴바인은 말도 안됨
세분화시켜야됨
육상의 적색근, 백색근과 비슷하네요
맞습니다 적색근 = 지근 / 백색근 = 속근으로 표현되기도 해요
리드. 볼더링도 분리해라
다잘하믄 사람이냐 .ㅋㅋ 하나도힘든데
같은 육상종목이라고 마라톤, 100m, 3단 뛰기 다 하란 건데 욕 안 나올래야 안나올 수가 없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