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올림픽은 어떻게 세계 최고 클라이머를 망쳤을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리드, 볼더링, 스피드를 모두 잘 할 수 없는 이유와 올림픽 클라이밍 경기가 추구해야 될 방향성에 대해 얘기합니다.

КОМЕНТАРІ • 41

  • @발올리고일어서
    @발올리고일어서 2 роки тому +75

    육상이 단거리 중거리 장거리로 나뉘는 것처럼 클라이밍이라는 큰 카테고리안에있지만 볼더링 스피드 리드는 결이 많이 다른 운동인데 이번올림픽 클라이밍 경기가 컴바인으로 정해지면서 개인적으로는 시작 전부터 흥미를 잃은것이 사실.그나마 다음 올림픽때부터는 리드+볼더링 스피드 따로라고하니 그나마 서채연선수에게 기대가 크네요.

  • @매일클라이밍
    @매일클라이밍 2 роки тому +36

    도쿄 올림픽을 애타게 본 입장에서 이제라도 메달 수가 늘어나서 다행이네요. 각각으로 세분화 되어서 선수들도 더 많이 볼수 있기를!

    • @클라임투어티비
      @클라임투어티비  2 роки тому +3

      우리나라 선수들도 본선에 많이 출전하면 좋겠네요!

  • @단이맘-p6q
    @단이맘-p6q 2 роки тому +41

    육상경기에 딱 하나 금메달만 걸고,
    100미터 달리기, 마라톤, 높이뛰기의 3종목을 컴바인으로 묶어서
    3종목의 점수를 평균내서 한명한테 금메달 주겠다는 것과 마찬가지임.

  • @yuno4026
    @yuno4026 2 роки тому +4

    올림픽 처음 나오는 종목이라 그런가 컴바인 경기는 무리하게 구성한 느낌이 있었어오 그래도 스피드는 분리된다니 개선의 여지는 있어서 다행이에오

  • @guny7756
    @guny7756 2 роки тому +15

    그냥 특화된 부분이 다르다고만 생각했는데 이렇게 풀어서 설명해주시니 너무 좋았습니다

  • @bakjina
    @bakjina 2 роки тому +25

    마라톤과 100m 그리고 400m 허들을 한종목으로 묶은거나 마찬가지죠

  • @MrSinusu
    @MrSinusu 5 місяців тому

    이게 2년 전 영상이고, 이제 파리 올림픽이 끝난 상태에서
    채널장의 감상을 담은 영상을 만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99boysJP
    @99boysJP 2 роки тому +6

    장거리 단거리 그리고 장애물까지
    모든 것을 잘 하는 단 한명만을 가려내는 경기였나 ㄷㄷ

  • @이승현-h6m7j
    @이승현-h6m7j 2 роки тому +2

    따로 나눠야한다. 그래야 더 재미있게 본다. 스피드가 얼마나 박진감 넘치는데 버벅버벅

  • @sjyoon3622
    @sjyoon3622 2 роки тому +2

    오!!! 초보들도 이 영상으로 클라이밍에 다가갈수 있겠어요~ 굿굿^^

  • @0muscleup0
    @0muscleup0 2 роки тому +1

    타고난 건 지근인데 손바닥에 땀이 많아서 볼더링을 해야하는 1인은 웁니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목표-w4l
    @목표-w4l 2 роки тому +1

    8년전부터 아담온드라 팬이었습니다 ㅎㅎ 이번에 정말 아담선수 경기보고 기분 좋았어요 메달을 넘어 ㅎㅎㅎㅎ정말 대단합니다 ㅎㅎ 클라이밍 안해보신분들은 꼭 경험해 보세요 ㅎㅎㅎ정말 잼있는 운동입니다 ㅎㅎ

    • @클라임투어티비
      @클라임투어티비  2 роки тому

      저도 정말 팬입니다ㅎㅎ

    • @uncut125f
      @uncut125f Рік тому

      아담 온드라 채널 구독해서 보고있는데 클라이밍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평소 훈련하는 모습 보면 정말 멋지더군요

  • @No_PainNo_Gain
    @No_PainNo_Gain 2 роки тому +14

    스피드클라이밍같은 초고강도 운동에서는 탄수화물도 사용되겠지만 주로 PC(포스포크레아틴)를 많이 사용할 것 같습니다.
    정리해보자면 대략 이런 느낌일 것 같네요..
    리드클라이밍: 주로 유산소성
    볼더링: 무산소성+유산소성 (볼더링은 상황마다 다를 것 같습니다.)
    스피드클라이밍: 주로 무산소성(ATP-PC체계+해당작용)
    항상 좋은 영상감사합니다 덕분에 생리학 복습도 하고 좋네요..

  • @dasoosam2027
    @dasoosam2027 2 роки тому +2

    스피드는 방식을 좀 바꿔야 하지 않을까요? 경기방식이 너무 단순하고 시간도 너무 짧은것 같아요.

    • @abcdefg9111
      @abcdefg9111 2 роки тому +1

      ㄹㅇ 클라이밍에서 굳이 스피드 대회가 있어야 하나 싶음요. 오로지 대회를 위한 종목인데. 그냥 달리기 따라하는 느낌이고. 그밖에 이유는 글쎄 잘 모르겠음

  • @ABC-pg8no
    @ABC-pg8no 6 місяців тому +1

    3가지 종목이 독립적으로 분리되면 좋겠어요 클라이밍 흥해라❤

  • @로보키오
    @로보키오 2 роки тому +5

    쉽게 말해 마라톤선수인 이봉주한테 200m 육상 시키고 우사인볼트한테 42.195 마라톤 시킨거죠ㅋㅋㅋ

    • @왕왕-u5k
      @왕왕-u5k 2 роки тому

      그건 과장

    • @junjun6394
      @junjun6394 2 роки тому +4

      @@왕왕-u5k 과장은 아닌듯 스피드 상위권 선수들 리드에서 거의 하위던데

  • @born47
    @born47 2 роки тому

    솔직히 유연성.빠른 위주의 가벼운 선수들은 다 떨어졌고 키크고 근력강한 선수가 금메달땀. 여성부에서 1단계 2단계 다 풀어낸 선수처럼..
    키가 커야 더 높은 점프를하는데 유리하고 키가 커야 어렵게 갈곳도 유리해서 쉽게 가더라구요. 결국 피지컬이 좋은선수들이 남성부도 여성부도 금메달 따가심.

  • @핸-b2c
    @핸-b2c Рік тому +1

    일본 선수들 메달 따게 하려고 컴바인 한게 아닌가 하는게 저의 뇌피셜임다 ㅋㅋㅋㅋㅋㅋㅋ프랑스 때는 나누니까요ㅜㅜ

  • @주니주니-i5j
    @주니주니-i5j 2 роки тому +5

    쉽게말해 우사인 볼트가 100m 5000m 마라톤 한다는거네요

  • @우우-n5k
    @우우-n5k Рік тому

    지근과 속근중 무엇이 발달했는지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
    그냥 어떤 종목에 강하다 라는 걸론 막연하게 느껴져서요!

  • @showeli2190
    @showeli2190 2 роки тому

    컴바인은 말도 안됨
    세분화시켜야됨

  • @sung1837
    @sung1837 2 роки тому

    육상의 적색근, 백색근과 비슷하네요

    • @클라임투어티비
      @클라임투어티비  2 роки тому +1

      맞습니다 적색근 = 지근 / 백색근 = 속근으로 표현되기도 해요

  • @대한국민만세
    @대한국민만세 Рік тому +1

    리드. 볼더링도 분리해라

  • @min2298
    @min2298 2 роки тому

    다잘하믄 사람이냐 .ㅋㅋ 하나도힘든데

  • @silverfosfos2056
    @silverfosfos2056 2 роки тому

    같은 육상종목이라고 마라톤, 100m, 3단 뛰기 다 하란 건데 욕 안 나올래야 안나올 수가 없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