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다 텅 비어버린 가게 충격적인 전통시장 상황 / KBS 2024.04.22.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전통시장 활성화와 청년 상인 육성을 내세운 청년몰 조성사업이 시행 초기에만 반짝 관심을 받았다가 대부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자치단체들이 공모사업에 선정되면서 받은 예산을 선심쓰듯 집행하다 사업기간이 끝나면 나몰라라 외면하기 때문입니다. 보도에 김지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구 산격종합시장 청년몰.
    점포는 죄다 비었습니다.
    대구 북구청이 소상공인진흥공단 공모사업에 선정돼 2018년 문을 열었지만, 현재 운영중인 점포는 전체 공간의 3분의 1수준인 6곳 뿐입니다.
    사업 초기 2년 동안 임대료와 공용 공간 운영 등 18억 원을 지원했지만, 그게 전부입니다.
    청년 상인들은 자생력을 갖기엔 부족하다고 호소합니다.
    [청년몰 입점 상인/음성변조 : "관리 주체가 없다는 게 사실 제일 크거든요. 자기 장사하기도 바쁜데 거기에다가 누군가가 대표를 맡아서 책임을 지고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죠.)"]
    2020년 문을 연 한방의료체험타운 청년몰도 상황은 마찬가지.
    대구시가 중소벤처기업부 공모사업에 선정되자 청년 상인들을 모으고 18억 원을 점포 임차료와 인테리어 등에 지원했습니다.
    하지만 사업기간 2년이 지나고 지원이 끊기자, 19개 점포 가운데 11곳이 문을 닫았고 남은 곳도 악순환을 겪고 있습니다.
    [백승철/청년몰 입점 상인 : "가게 이미지에도 타격이 있을 거고요. 제대로 영업도 못하고 음식점이면 음식점, 도소매점이면 도소매점, 전문적이지 않다는 이미지가 점점 강해지겠죠."]
    자치단체들은 청년몰의 쇠락을 경기침체 탓으로 돌렸지만, 전문가들은 청년 정책에 대한 사전 분석이 부족했다고 지적합니다.
    [이선희/대구가톨릭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 : "실질적으로 젊은 층들에게 얼마나 보탬이 될까라는 생각을 하고 하기보다는 지자체나 정부에서 경쟁적으로 시행한다라는 느낌이…."]
    전국에 조성된 청년몰은 40여 곳.
    전통시장과 청년 상인을 살린다는 명분으로 반짝 관심을 받았지만, 입점 업체의 절반이 문을 닫은 상태입니다.
    KBS 뉴스 김지훈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 KBS 기사 원문보기 : news.kbs.co.kr/...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청년몰 #전통시장 #청년창업

КОМЕНТАРІ • 15

  • @솜털님
    @솜털님 9 місяців тому +5

    상식적으로 좁은 땅덩이에 자영업자 인구가 700만인데
    너나 할 것 없이 자영업에 뛰어 들면 경쟁력이 있나?이게 무슨 치킨 게임도 아니고
    자기만의 아이템 경쟁력이 있어야 돌파구 마련해서 자영업도 해먹지
    직장 생활은 하기 싫고 힘들고 내 장사는 하고 싶고 그러다 쫄딱 망하면 남 탓하고

    • @unka2007
      @unka2007 6 місяців тому

      100% 맞는

  • @alllove2388
    @alllove2388 5 місяців тому

    상인회가 관리를 하면 망함. 시 , 군청이 직접 괄리를 해야한다. 청년몰 월세 10만 미만에 들어가면 장사도 안되고 그러니 그냥 창고로 쓰더라. 상인회가 암덩어리임

  • @열이열이-g1y
    @열이열이-g1y 2 місяці тому

    카드 거부 비위생적이고 주차불편

  • @장호훈-g7g
    @장호훈-g7g 5 місяців тому

    공무원들 재래시장 안와요
    명절때 와서 사진(산다는 시늉)만 찍고 가요

  • @준성이-d9u
    @준성이-d9u 4 місяці тому

    뭐 얼마나 도와주어야 하는거야?

  • @sfk1031
    @sfk1031 9 місяців тому

    요리학원에서 제대로 배우는것도 아니고 백종원이 요리 몇가지 전수했다고 공무원 동원해서 가짜손님으로 매출 올려놓고
    축협은 3천억 광고비로 광고하고 대선 출마할것처럼 광고하는게 문제지.
    5000만 대표는 결국 대선 출마하겠다는 뜻인데 소자 메뉴 없애서 가격 올린게 백종원인데
    뭐 가격 낮쳤다고 황당한 조삼모사 하고 있지.

  • @ukkim7159
    @ukkim7159 9 місяців тому +2

    돈이 문제가 아님. 창의적 아이디어와 진실된 열정이 문제지. 제발 “.청년 창업” 이런거 좀 하지말기를. 청년이든 중년이든 노년이든 누구나 창업할 수 있지! 그리고 맨날 하는게 먹거리 아니면 수공예품! 하기야 국가에서도 사기같은 ”창조경제“ 하는 수준이니.

  • @버하-x8r
    @버하-x8r 9 місяців тому +1

    나라돈은 먼저 먹는놈이 임자 눈먼돈

  • @unbalance3811
    @unbalance3811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여야정치권이 세금가지고 예산빼먹기바쁘니 저아래서는 지원금빼먹어 장사하고 돈끊기면 또 다른 지원금 기다리는것 아니오!

  • @Crayon..
    @Crayon.. 9 місяців тому +5

    청년몰에서 청년들 창업시켜서 장사하는거 보면 젊은애들 똑바로 장사하는거 본적이 없어...

  • @너구리-s1c
    @너구리-s1c 9 місяців тому

    본인 장사하는데 이게 관리를 탓할 문제니 독특하고 경쟁력 있어봐라 가지 말래도 가지 하여튼 열정도 없는것들이 남탓만 오지게 함

  • @훈남-e8f
    @훈남-e8f 9 місяців тому

    무당거ㆍㄴ상관사미다관상이다

  • @jhsywafqge26dh2
    @jhsywafqge26dh2 6 місяців тому

    ㅊㅋㅊㅋ

  • @그래서-i2k
    @그래서-i2k 9 місяців тому

    다음부터는 경력이나 아이템 조건보고 뽑죠 개나소나 오픈 하면
    장사될꺼라 생각했나 대기업이 미쳤다고 광고때리나 투자하나 멍석 깔아주도 못 놀면서 세바닥은 기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