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동 500년 5월호. 모두가 알지만 아무도 모르는 그 사람! 다산 정약용.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тра 2024
  • 격동500년 2024년 5월호. 모두가 알지만 아무도 모르는 그 사람! 다산 정약용.
    1. 정약용 선생의 출신과 저서의 대략
    - 가문과 출신 붕당
    - 화성 건설 관련 저술과 과학 수사 관련 저술
    - 그 외의 과학 관련 저술 및 각종 저술에 대한 개요 소개
    2. 과거 급제 이후의 활동과 화성 건설
    - 정조의 신임과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
    - "성설" 등 화성 건설 관련 기술 저술
    - 암행어사 활동과 붕당정치 상황에서 이루어진 다툼
    3. 귀양 살이 전후의 활동과 흠흠신서
    - 정약용 및 주변 인물과 천주교의 관계
    - 천주교 관련 파동과 정약용 및 주변 인물의 대처
    - 수사, 재판 과정에 대한 고민과 과학 수사 내용을 수록한 "흠흠신서" 저술
    4. 귀양 이후
    - 천주교로 인한 갈등과 정약용 스스로 평가한 붕당 간의 정치적 갈등
    - 전라남도에서의 귀양 생활과 은퇴 생활
    * 소설 같은 순간
    - 과학과사람들 제공
  • Наука та технологія

КОМЕНТАРІ • 37

  • @choegiveittome5433
    @choegiveittome5433 Місяць тому +33

    점점 쌓여가는 격동500년. 시간이 지날수록 귀한 영상이 될것임.

  • @windies21
    @windies21 Місяць тому +9

    과학하고 앉아있네는 격동 500년 하나만으로도 100만 구독자 가야 하는 방송입니다~~~ 다들 널리 알려주시길~~~

  • @user-wr3tm2qk4m
    @user-wr3tm2qk4m Місяць тому +8

    곽재식 작가님의 지식의 디테일과 넓이란^^ 대단하세요^^

  • @youngyicify
    @youngyicify Місяць тому +12

    너무 너무 기대 하고 있습니다. 다산 선생님을 심도 있게 업적을 방송 하는건 국내 최조 아닐까요! ㅋㅋ 신나요^^

  • @Uzunpapa
    @Uzunpapa Місяць тому +5

    과학과 역사를 동시에 즐기는 시간 . 너무 귀하다.

  • @GOMDARY
    @GOMDARY Місяць тому +3

    이번 영상도 재미나게 봤습니다 ^^

  • @user-cl6nz9ep2k
    @user-cl6nz9ep2k Місяць тому +2

    흠흠신서의 신은 새 신 입니다
    곽자가님 넘 재미있고 팀장님 기자님과의 케미도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wlsdhr22
    @wlsdhr22 Місяць тому +9

    다산 선생님의 과학적 업적 정말 기대됩니다. 100만뷰 기대합니다

  • @kdyu178
    @kdyu178 Місяць тому +3

    콜센터 고맙습니다.

  • @user-vq5vp8us1w
    @user-vq5vp8us1w 26 днів тому +1

    감사합니다.

  • @user-el2ne8xc8b
    @user-el2ne8xc8b Місяць тому +1

    영원한 제국 중학교때 읽었는데 새삼 반가웠어요~ 올빼미야 올빼미야..내자식을 잡아먹었거든 내집은 헐지마라~ 이런 내용이었었던듯 합니다. 이게 기억이 나다니..참 신기했습니다. 좋은 내용 주말에 좋은시간 너무 행복합니다 감사합니다 홧팅!

  • @user-li1id6oj7e
    @user-li1id6oj7e Місяць тому +1

    미뤘던 이 영상 다 봤네요 시간가는 줄 모르고 봤어요 정약용의 정부 개편안이 실현되었으면 좋았을텐데 아쉽네요

  • @estest82
    @estest82 Місяць тому +1

    ❤요새 넘재미짐ㅋㅋㅋ 감사합니다

  • @user-pr6rr4xx6d
    @user-pr6rr4xx6d Місяць тому +3

    웹소설 "혁명은 내 취향이 아니었다"에서 정약전과 정약용 선생님들의 다른 모습을 엿볼 수 있음

  • @user-sq7uq6rx9n
    @user-sq7uq6rx9n Місяць тому +2

    과학자가 말하는 역사 ..
    양념, 국물 다 뺀 소금구이 같은 맛 이랄까요....
    사마천의 사기와 영화 그 중간 어디쯤의 표현으로.
    예리한시각과 뛰어난 서술이라 생각됩니다.
    엄청 좋았습니다.

  • @KOR_J.H
    @KOR_J.H Місяць тому +2

    최팀장님. 저출산과 정약용의 다산 을 엮으시는거 실화입니까 ㅋㅋ 차라리 출산드라를...ㅎ

  • @londoner3816
    @londoner3816 Місяць тому +7

    영국에서도 늘 응원합니다~~

  • @happiness-yh7gp
    @happiness-yh7gp 28 днів тому +1

    무심코 듣고 있다가 빵 터짐 노란수건이 왜 나와 태진아야? ㅋㅋㅋㅋㅋㅋㅋㅋ 곽작가님 은근 웃기심

  • @user-eh5du9lz3k
    @user-eh5du9lz3k Місяць тому +2

    한국의 아리스토텔레스같아요. 유교철학 과학을 하는 학자

  • @daram_ie
    @daram_ie Місяць тому +1

    동해로 흘러들어가는 울산 태화강만 해도 밀물땐 태화교까지 짠물이 들어와요. 강 거슬러 헤엄처가기도 했어요.

  • @roomeda4723
    @roomeda4723 Місяць тому +2

    곽작가님은 혹시 분신이 있다거나 도플갱어가 존재하는게 아닐까 싶다. 어떻게 책이 쑥쑥 나오나 ㅎㅎ

  • @octobuddy
    @octobuddy Місяць тому +1

    들으면 들을수록 감탄이 나올 수밖에 없는 격동500년입니다.
    그 감탄에 아울러~
    중국은 주로 예수회선교단에 의해 포교가 이루어진 반면 우리나라는 파리외방선교회가 주를 이루었다고 합니다. 예수회는 마테오리치에서 보여지듯이 토착문화를 포용했던 반면 파리외방선교회는 타문화배타를 넘어서 동양문화를 비하하는 자세였다고 합니다.

  • @user-eh5du9lz3k
    @user-eh5du9lz3k Місяць тому +2

    캡틴 실학. 거중기늄. 이용님 유머에 빵빵 터집니다

    • @youngone999
      @youngone999 5 днів тому

      박식한 자, 재치있는 자, 예쁜 자

  • @NativeBakJaesaram0001
    @NativeBakJaesaram0001 Місяць тому +2

    고딩 때, 다산 선생이란 분은 알았지만 이 분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도 몰랐고, 대딩 되야서 목민심서를 번역한 창비판 책을 사서 읽었지만 도대체 무슨 말인지 몰랐고요, 노땅이 되야서 다산동에 사는 한국인으로서 생가도 가보고 다산 정약용 도서관에서 책도 빌려 보고 합니다. 이 어른이 애주가였다는 사실 정말 반갑고 또 듣고 들어도 언제나 좋네요. 술을 좋아하면서도 학문에 매진하여 대과도 급제하시고 천재들이 모인 성균관에서 뛰어나신 여유당 어르신. 사이트 찾아보면 도대체 임금이 내린 문제라 하는 역사, 사회, 경제, 자연(이 말이 맞는지 당시에 맞는지 모르겠지만)의 본질을 통섭하여 공부하지 않는 이상, 눈에 거슬리지 않고 유학의 이념에 벗어나지 않아야 하는데 어찌 그것도 한문으로 쓰셨을까 매우 궁금합니다. 게다가 이 어른은 사사하지 않고 독학 혹은 사숙한 분이라는데. 이런 분이 조선의 전반을 이끌어야 했는데 가끔 아쉬운 생각이 듭니다. 잘 듣고 보고 갑니다.

  • @detshowkawachi6646
    @detshowkawachi6646 Місяць тому +2

    3시간30분이면 엄청 짧게 줄인듯

  • @igniz2002
    @igniz2002 Місяць тому +1

    2:56:30 정조 만나기 전과 정조 만난 후의 사진 아닐까요? ㅋㅋ

  • @samsam-mj8bw
    @samsam-mj8bw Місяць тому +3

    다산 정약용 선생님 너무 존겨하는 분이라 기대하며 보는 중입니다.
    우리 최팀장님은 더 아름다워지셨어요~ 예뻐요~♡♡♡♡♡

  • @user-dr7dg9vq2e
    @user-dr7dg9vq2e Місяць тому +1

    유일한 컨텐츠 훗날 자산이 될거에요

  •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 Місяць тому +2

    경세유표 에서 "유"는 책 내용이 너무 개혁적이라 내가 죽은후에나 세상에 유포하라고 후손에게 당부하는 의미라고 합니다.

  • @hp6205
    @hp6205 Місяць тому +1

    매미 김치가 있는 거 아시나요...

  • @user-yr2fi8pj7v
    @user-yr2fi8pj7v Місяць тому +1

    아무리 돌아가신 분이라지만 '다 산'이라는 표현은 너무 무례하지 않냐던 드립이 자꾸 생각납니다

  • @ya4mo461
    @ya4mo461 25 днів тому +1

    용 기자님,미안하지만 ... 생략

  • @g00z0
    @g00z0 29 днів тому +1

    이해가 안가. 이렇게 재밌는데 아직 10만.

  • @myomyomyo3239
    @myomyomyo3239 Місяць тому

    정약용은 격동500년에 끼기에는 과대포장된 인물입니다 업적이 없는 사람이죠

  • @user-vj7en7pj6v
    @user-vj7en7pj6v Місяць тому +1

    과학채널하면서 세계적 철학자 도올선생의 명성이 메스컴 피디들이 만들어낸 허구란걸 못느낍니까? 제대로 공부했으면 주역공부는 늦어도 30대에 마쳤어야죠. 80에 다윈진화론 공부하면 세계적 과학자 대접해주나요?

  • @powera05
    @powera05 18 днів тому

    도올이 말했지. 실학은 없었다고.
    곽작가는 음모론자인가.
    다산 선생을 너무 띄우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