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만 하세요. 나쁜 의미는 아닙니다. '부락'(部落)은 한자어로 구성된 단어로, '부'(部)는 '부분'이나 '부서'를, '락'(落)은 '떨어지다' 또는 '정착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락'은 원래 특정 지역에 정착하여 사는 사람들의 집단이나 작은 마을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현대 한국어에서는 '부락'이라는 단어의 사용이 드물어졌으며, 특히 이 단어가 일본에서의 역사적 사회적 차별과 연관된 '부락민'(部落民)과 같은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할 수 있어 사용을 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체어로는 '마을', '동네', '촌락' 등이 있으며, 이러한 단어들은 지역 사회나 작은 규모의 거주지를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옛날 정취를 물씬 풍기는 옛 집을 스스럼 없이 보여준 할머님 고맙습니다. 6 25 동란도 모르고 지나갔다니 실화 인지요? 대단한 오지 였네요.
수수대를 대고 황토를덥고 첩첩 꼬부랑산속에서 어른들의 지혜가 대단하심니다 옛추억에 잠시 잠겻슴니다 마쌤!!
추운날히에 고생 만으셧슴니다 어르신ㅇ건강하십시요
옜날 찬장 저도 저런찬장 쓰고 살았었는데~
70년대 후반에 시골에는 저렇게 살던 사람들이
많았어요.할머님이 이야기 잘 하시네요~
90이 돼어가는 할머님이 젊어 보여요~
잔치집에 가셔서 맛있는거 많이 드셨네요~ㅎㅎ
수고 하신 덕분에 잘보고 갑니다~👍👍
오!~~할머님 친절 하시고.말씀도 잘 하시고 넘 귀엽네요~^^ 90세 할머님도.마카다님도. 건행 하시길 기원합니다.🙏👍😅❤️
건강하고 잘 돌아다니셔 어르신 말씀, 중년의 유튜버님께 친근한 말씀 듣는 구독자도 흐뭇합니다~
카멧나보시는 어르신모습과 조으신 당부의말씀도 감사드힘니다 항시건강하시고
감기조심하십시요😊😊
할머니 무병장수 하시길 빕니다.
아직도 저런집이 있었네요.
50년전의 우리집과 똑같아요. 자식분이 있으시면 새집 짓던지. 아니면 농촌주택개량사업으로 정부예산를 무상지원해주고 수리하는데 뭐가 이상해요?
아무것도 안하고 정말로 고생하셨습니다.
할머니 건강하게 오래오래 사세요.
좋은곳 다녀오셨네요.담에 나도 가야지~~구독~꾸욱
마카님 오랜만에 댓글 씁니다.
얼굴도 깨끗하시고 목소리도 깨끗하게 들립니다.
오지마을 잘 봤습니다.
옛날 집들은 우찌 다 저렇게 구조가 같을까 . 윗지방 아래지방 경상도도 집들구조 다. 똑같네 ., 옛날집 , ,
"세월이 흘러가면 그리움도 흘러갈까
연분홍빛 노을 속에 숨어있는 너의 얼굴도 함께
아 세월은 사랑인가요 세월은 눈물인가요
내 사랑도 내 눈물도 세월 속에 흘러가네"
노래ㅡ이종득
와 ! 천연 기념물이네
방송 감사 합니다
여름철애 시원한 외갓집 동래 같타요 그래서 일년애 한번은 갔다왔어요
첩첩산중 꼬불꼬불 꼬부랑길 지나서 오지 청정지역 한지마을 잘봤습니다. 찰영에 나오신 어르신 건강하세요^^ 마카다님 마침 잔치에 당첨되셨네요.마이 드시고 오세요^^😊
할머니 건강 하세요 ㅎㅎ
추운 날씨에도 동서남북으로 마카다님은 사시사철 수고가 많으시네요 항상 눈팅 귀팅 잘하고 있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할머니 건강 하시고 행복하세요 ❤❤❤❤❤
오늘도 올려주셔서 감사드려요
너무귀한영상보여주셔서감사합니다
새로운 곳을 여행한다는 것은 설램이죠 오늘도 영상 잘봤습니다👍
우리나라 지명이 정말 신기합니다.
여기 근처에 어부동 이라는 지명이 있습니다.
아주 오랜 옛날 부터 대청댐이 생기기 훨씬 전부터 어부동이라고 불렀습니다.
여기는 화전민이 살던 곳인데 대청호가 생기면서 고기를 잡는 어부가 생겼습니다.
오지탐방 하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닭우는소리 정겹네요 잘받습니다 ❤
엣날
울집생각납니다❤
오랜만에 벌랏마을 풍경을 다시 보내요.
마대카님 수고가 만으세요
편안한 마을 구경 잘 하였습니다...감사합니다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카다님 추운겨울 감기조심하시고
조심히 다니십시요
오늘도 영상 잘보고 갑니다~~^^
마카사장님오랜만임니다.무탈하신모습에감사드림니다
좋아요하고 풀청시작 ~~~😂😊
조아요 ㅎㅎ
오래만에 배게네요마카다님
할머니께서 참고우시네요
❤️ 샤방 ❤️ 샤방 ❤️ 💘 화이팅 샤방 ❤️
금일봉 주셔야 겠네요.ㅎㅎ
마카님오랜만입니다추운날씨감기조심건강조심하세요❤❤❤
조은정보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
멀리도 갔네요
마카다화이팅입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한지생산동네ㆍ 아ㆍ
꽃단장. 하시고
읍내 나가셔서 70이라 하세요 , , 90 은 버리시고 미용실가셔서. 머리도 뽁으시고 .,., 😂😂😅
맞아요 젊어보이시죠 😊
부락은 일본이 만든 말입니다.
마을이라고 쓰셔야지요
홍대표님
마니변했네요
진짜 진심
서산 63세
주매좀해주소
통화좀해요
저런찬장 저가 시골에 시가에. 결혼해서. 시가에가니 시골집. 시가 부엌에. 찬장이 저렇게 생겼습디다 가마솥에 불지피고 온돌방 불넣고 . 아마도 그앞세대 는 다 저렇게 살았나 봅니다, .,
주민들 동의받아서 영상 만들어 주시는 것이 널리 덕을 베푸는 것입니다 ㅎㅎ
하루에 일곱번이면 교통은 좋네요
버스가 어느쪽에서 오나요?
청주애서 얙30분거리 여름철 드라이부 코수 좋아요 가로수 벚꽃 나무 시원합니다 청주 삼거리 문의 청남대 구로리 회남
첩첩산중 ㅡ지금은 인적없는 적적한곳
시집잘못온겨
이곳은어디인가요 13:29
지금도 부락 이라는 말을 쓰네.
ㅋㅋㅋㅋㅋㅋㅋㅋ 할매 ❤
샤냥 허가좀 네주소
구경은 덕분에 잘합니다 옛고향을 보는것 같아서 마음이 아려 옵니다 모두 다 어디로 가셨을까요 누구나 다가는그길 갈수록 빈집 흔적만 남을것 생각하니 쓸쓸 합니다 촬영 잘하시고 건강 하세요 감사합니다
사냥 가서 저런집에서 민박하고 사냐하고 줄거워는대
참고만 하세요. 나쁜 의미는 아닙니다. '부락'(部落)은 한자어로 구성된 단어로, '부'(部)는 '부분'이나 '부서'를, '락'(落)은 '떨어지다' 또는 '정착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락'은 원래 특정 지역에 정착하여 사는 사람들의 집단이나 작은 마을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현대 한국어에서는 '부락'이라는 단어의 사용이 드물어졌으며, 특히 이 단어가 일본에서의 역사적 사회적 차별과 연관된 '부락민'(部落民)과 같은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할 수 있어 사용을 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체어로는 '마을', '동네', '촌락' 등이 있으며, 이러한 단어들은 지역 사회나 작은 규모의 거주지를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부락이라는 호칭은 좋지 않아요, 일본어로 후라쿠 라고 보잘것 없는 산촌이라는 뜻이지요
마을이라고 하면 좋겠습니다
청남대. 뒤에있는 동내 저언니. 신탄진동 시집간 언니네 잘알고 있어요. ㅋㅋㅋ ㅎㅎ
시집잘못온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