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초 대전게임(이라 주장하는) 장군의 아들 영화는 명작인데 과연 게임은? [30년만에 다시 만난 추억의 아니 악몽의 게임! 앞으론 다신 안볼래]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1992년에서 1993년으로 넘어가는 추운 겨울날 자랑스런(?) 국산게임 장군의 아들이 탄생하였습니다.
    패미컴으론 대전게임, 세가마스터시스템으론 벨트액션게임 이렇게 당대 최고 인기 장르로 만든게임이지만 두 기종 모두 완성도는 똑같이 바닥을 때렸으니...
    vrew 자막작업하는데 활용했습니다.

КОМЕНТАРІ • 126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번에도 졸면서 노트북으로 편집하다보니 오타가 많습니다. ㅠㅠ
    널리양해 부탁드려요
    '미증유'도 '미중유'라고 쓰고 여기저기 오타가 많네요.
    사실 이 게임은 음악도 단조로워서 형편없고 구색맞추기 수준도 안된다는 단점도 있고 이것저것 떠들다보니 단편 게임인데도 불구하고 20분이 넘어가서 좀 줄였습니다.
    특히나 이런 게임들은 시청자분들께서 구경하는 재미도 1도 없는 게임이라 더더욱.. 본의 아니게 영상이 길어져서 죄송합니다~

  • @Shawnshon
    @Shawnshon 7 місяців тому +6

    ㄷㄷ 음악 때문인지 아침인데도 영상 보면서 두 번 졸았어요. ASMR 수면 방송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음악도 진짜 단조로워서 정말 듣는게 괴로운데요. 제가 본 영상에 그부분도 넣었다가 뺐습니다. 옵션이 있으면 차라리 bgm을 끄고 하고 싶은데 그런 기능도 없다고 말이죠.

    • @marscast3176
      @marscast3176 7 місяців тому

      옛날 PC 게임 같아요. 애들립 카드 나오기 전까지는 단음으로만 배경음악이 나왔었죠. 전문 게임기에서 단음 배경음악은 진짜 처음 듣습니다.

  • @김태성-x1q9l
    @김태성-x1q9l 7 місяців тому +6

    맞고 시작하는거 웃기네요 ㅋㅋㅋ 잘봤어요^^

  • @계란라면-m4x
    @계란라면-m4x 7 місяців тому +3

    너무 반가워요❤

  • @legendhero5110
    @legendhero5110 7 місяців тому +3

    너무 재밋게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봐주셔서 저도 감사합니다~

  • @테리우스-w3e
    @테리우스-w3e 7 місяців тому +5

    무조건 한대 맞고 시작하는거 개웃기네. ㅎㅎ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선빵필승 ㅋㅋ 일단 선빵은 양보하는 게임입니다.

  • @Hariken81
    @Hariken81 7 місяців тому +4

    아케이드키드님이 17분동안 깐 게임은 이 게임이 처음일듯..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사실 더 깔꺼리는 있는데 그나마 정말 까야할 부분만 최소한으로 잡았는데도 분량이 이정도 나오네요 ㅠㅠ

  • @bjwe1921
    @bjwe1921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남다른 주제의 의미있고 재미진 콘텐츠!

  • @redprisoner
    @redprisoner 7 місяців тому +7

    이 게임 만드셨던 분들님 게임 브금이 고문에 가까운 소음이에요 이따위 팩이 수십만원짜리 레어템이라니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물량 적게 찍어서 레어같아요. 발매당시엔 정말시시했는데

  • @scottcho2613
    @scottcho2613 7 місяців тому +4

    1993년 조선일보에서 한국 게임을 소개하는 기사에 이 게임도 나왔던 기억이 떠오르네요.
    더블 드래곤 같은 벨트 액션일거라고 생각하고 게임 상점에서 한번 이 게임을 플레이해봤는데요, 대전격투라서 좀 실망해서 대전 시작하고 20초만 플레이했던 기억이 있지요. 31년만에 다시 보니 이렇게 게임이 제 기억보다 더욱 나빴던게 믿어지지않네요.
    같은 제작사의 게임인 둘리 부라보 랜드 때하고 비교하면 시작부분에 제작사의 로고를 넣은 연출은 나름대로 맘에 듭니다.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1

      20초만에 잘 못된걸 느끼셨다면 합격!

  • @dodam-2021
    @dodam-2021 7 місяців тому +3

    까는 영상이 재미잇네요 ㅋㅋㅋ 좀더 올려주세요!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저도 중간중간 쿠소게임들 해본게 있어가지고 걔네들도 종종 소개해볼게요.

  • @moose4844
    @moose4844 7 місяців тому +4

    순수예술 ㅋㅋㅋ 한국의 avgn이시네.. 구독하고 갑니다.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구독 감사합니다.

  • @자룡-q4j
    @자룡-q4j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저 당시면 스트리터 파이터2가 오락실을 점령한 시절인데 그런 시대에 저런 수준의 게임이라니...

  • @stgemini
    @stgemini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말도 안되는 수준의 괴작에 무려 18분짜리 영상을 뽑아낸 아케이드 키드님이 진짜 대단하네요ㄷㄷㄷㄷㄷ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 @aphextriplet.
    @aphextriplet.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건 장군의 아들 은 커녕
    장군의 오촌당숙아재 딸내미 친구의 동생
    수준 밖에 안 될 듯

  • @Volkanovski00
    @Volkanovski00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 영상의 재미포인트는 아케이드키드님의 욕설입니다 ㅎㅎㅎ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oldgamegood-and-meatgood
    @oldgamegood-and-meatgood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늦게나마 영상 잘보고갑니다~^^
    그래픽과 게임성 어떤면을 보더라도
    너무 후지네요~ 물론..저는 이게임 생전처음보는게임입니다 ㅎㅎ
    저시대때 있더라도저는전혀안한것같네요...
    지금가격이 엄청고가 이네요?? 이딴게임이 50만원이라니;;;;헐...
    오늘영상도 잼있게 보고갑니다~😊👍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제육볶음님 감사합니다^^ 친구가 수십만원이라해서 한 20~30만원 할려나 했는데 50만원씩이나 하는 고가의 게임이었군요. 정확한 시세는 몰랐거든요.
      이럴줄 알았음 요거 옛날에 팩 싹쓸이해서 쟁여놨다가 팔껄 그랬어요 ㅋㅋ

  • @진구짱-w5u
    @진구짱-w5u 7 місяців тому +1

    👍👍👍👍👍👍👍👍👍👍👍

  • @aphextriplet.
    @aphextriplet.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너무 화 내지 마세요 아조씨…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영상 봐주셔서 고마워요~~

  • @v13m73
    @v13m73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당시 게임 잡지에서 이 게임 광고하던거 보고, 이런게 있내 하다가.
    용산인가,? 동네인가.? 게임 매장에서 돌아가는거 보고는 그대로 머리속에서 지워버린 게임 이내요.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도 매장에서 플레이라도 해봤으면 좋았을텐데 그때만 해도 가던 매장에서 신작들은 절대 시연용으로 플레이해볼 수 없고 중고교환용 알팩 같은거나 시연할 수 있게 해서요. 지금은 게임 출시전에 미리 웹진 리뷰도 뜨고, 플레이 영상도 뜨고 게이머들끼리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정보교류도 하니까 이런 참사는 없지요.

  • @FloweredSky
    @FloweredSky 7 місяців тому +2

    ㅋㅋㅋ 재밌네요
    김두한 경례 손방향은 아마 좌 우 캐릭이 위치될 때 캐릭 스프라이트 반전 처리를 승리모션까지 포함시켜서 그런게 아닐까 싶은데요
    전 구매는 고사하고 있는지도 몰랐어서 빡치기 보다는 약간의 실소가 나오네요
    저런 망겜은 한마디로 모든 부분에서의 능력 부족이 원인이라고 봅니다
    나름 각잡고 만든 빅콤의 왕중왕도 당시 기준 평작 미만이었으니까요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빅콤의 왕중왕은 그래도 격투게임이라 불릴만한 정도는 됐는데, 커맨드 입력 방식만 잘 했어도 어느정도 팔렸을건데 말이죠.
      경례하는 손은 말씀하신 그 이유가 맞습니다. 본 영상에선 웃자고 넣어논건데요. 저는 실제로 구입했다가 버리듯 처분했는데 또 이게 엄청 비싸졌다니 ㅠㅠ 30년만에 다시 만났는데도 불구하고 옛날 기억에 빡치더라고요 ㅋㅋ

  • @sanggyunkim6404
    @sanggyunkim6404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레퍼런스를 제 생각에는 쿵푸게임 쿵푸친미인가 패미컴에 늘 딸려있던 그걸 따라한것같은데요 그 게임의 반에 반도 못한것같네요 92년도 93년도면 정말 전설적인 게임이 많이 나오던 시기였는데 참 못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깜빡깜박거리고 컴퓨터가 먼저 필살기 갈기는거 엄청 화났을것같은데 잘 참고 끝까지 다 하신 인내력 끈질김에 박수를 드리고 싶네요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그 쿵푸게임이면 코나미의 이얼쿵푸 말씀이신것 같아요. 이얼쿵푸도 가드가 없는 대전게임이지만 판정은 정확해서 괜찮았죠.

  • @suremind1958
    @suremind1958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역시 장군의 아들 ㄷㄷ 가드는 하지 않는다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가드따윈 없는 상남자대전게임의 갓취를 몰라보고 제가 ㅠㅠ

  • @이가이-j9f
    @이가이-j9f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지금 레트로시장은 물량 적게 나온 소프트가 고가에 거래되는게 일상이죠 명작은 너무 많이 풀렸고 명작인데 게임도 안풀렸다 이건 훨씬 더쳐주고 아무쪼록 영상 재밌게 봤습니다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맞는 말씀입니다. 영상 잘 봐주셔서 고마워요~

  • @kewmetal
    @kewmeta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다우정보 시스템..
    당시 삼성겜보이와 패미컴으로 나온 아기공룡 둘리도 여기서 만든거였죠.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맞습니다. 부라보랜드도 그렇고 몇개 출시한 역사가 있죠^^

  • @overdriver99
    @overdriver99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와 이런게임이 있는지조차 몰랐었네요. 순수예술의 영역이라 ㅋㅋㅋㅋ 엄청난 표현이네요. AVGN에 보내주면 좋아할거 같긴한데.. 한국게임이라 비난받는거는 또 아쉽겠네요 ㅋ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magoaustin1775
    @magoaustin1775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전 당시 중1이었는데 이미 도트 그래픽만 봐도 아 이게 천하의 잡눔이겠구나를 판별할 짬은 됐었던것 같습니다. 당시 패미컴으로 용량이 4메가비트 이상이면 '오오 뭔가 대작인가봐'하는 느낌은 있던 시절인데 5메가비트라니?! 그래도 저 게임의 타이틀 화면에선 구린내가 너무 진동했죠.
    패미컴 대작 스트리트 파이터3로 어떻게든 6개월을 견디며 결국 그해 중고 너덜너덜한 헐값의 슈패로 넘어간 제 자신을 칭찬하고 싶네요.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맞아요. 일부러 용량까지 공개하고 그래서 좀 기대감을 줬습니다. 용량=재미는 아니지만 그래도 용량이 받춰주는 게임들은 어느정도 플레이타임도 나오고 그래픽이나 사운드, 특히 사운드도 괜찮은 게임들이 있었거든요.
      역시 제 또래셔서 시대상을 잘 아시네요 ㅎㅎ

  • @김용재-n2r
    @김용재-n2r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개발자 이력서에 한 줄 넣으려고 만들었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

  • @인연-v6o
    @인연-v6o 7 місяців тому +1

    화면에서 볼 때 적을 왼쪽에 두고 이기면 왼손으로 경례하고 오른쪽에 두고 이기면 오른손으로 경례하나보네요 ㅋㅋㅋ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냥 아무생각없이 좌우반전 시켜가지고 경례하는 손이 오락가락하네요. 반전 시키는거야 나쁜건 아닌데 이런 부분은 생각을 좀 했어야 했는데 말이죠.

  • @bronze55
    @bronze55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야인시대 게임은 아는데 이건 처음보네요 ㄷㄷ

    • @arcadekido
      @arcadekido  6 місяців тому

      영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swordman7330
    @swordman7330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거 나오던 시대면 뭐...게임에 대한 제대로 된 지식이나 정보없이 전자기기 좀 만질줄 안다는 사람들이 대충 해외게임들 가져다가 주물러서 내는게 일상다반사라...라이센스나 제대로 받고 만들었는지 의문이네요. 장군의 아들인데 정작 등장하는 인물들은 전혀 아닌거같은 묘한 느낌...

  • @kgbbank
    @kgbbank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런 게임이 있었다는 사실을 오늘 처음 알았습니다(...).
    이건 뭐, 플레이 영상만 봐도 똥겜이라는 사실을 바로 알겠네요.
    그리고 이걸 공략한 국내 게임잡지 기자분 존경합니다(...).

  • @부장아재해돌쿤
    @부장아재해돌쿤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잠깐만 본건데도 각이 나오네요
    아무리 패밀리여도 이건 쿠소게임
    오히려 쿠소계 매니아들이 좋아할듯한
    92년도 6월10일에 슈페용 스파2가 나왔었죠 초갓겜
    당시엔 게임잡지에 위상이 매우 중요했죠 저두 그래서 잡지를 전부 구입해서 봤는데 ㅋㅋㅋ

    • @kewmetal
      @kewmetal 7 місяців тому

      92년이 아니고 94년.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그러게 말입니다 ㅎㅎ

  • @webtoon_creator
    @webtoon_creator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개인적으로 키드님 똥겜리뷰를 정말 좋아합니다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1

      크 ㅎㅎ 매번은 어렵고 종종 플레이해볼게요. 사실 쿠소겜도 일부러 찾아서 한다기보다 제가 그 옛날 실제 플레이해보고 플레이해본 게임들을 소개하는 차원에서 쿠소게임도 선정되어 있는건데요. 보시는 분들 중엔 쿠소겜 영상도 좋아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나름의 니즈는 있는것 같네요.

  • @demianpark8081
    @demianpark8081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청룡오락실" 저도이거 기억나고 해봤다면 믿으실려나?....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그럼요. 당시 물량이 엄청 많이 풀린건 아니어도, 잡지광고도 하고 큰 게임샵에는 입고되고 그래서 저처럼 해보셨을거에요 ㅠㅠ

  • @smallroom52
    @smallroom52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도 게임 잡지에서 이 장군의 아들 많이 봤었죠. 이게 3편까지 본 기억이 있는데... 쿠소 게임이였군요. 저는 이게임보다 스파 짝퉁 구매하고 see발 이라고 샹욕했었는데 ㅋㅋ 당시 패미컴으로 오락실 게임을 할수 있다고 생각한 제 잘못이었죠😅 패미컴 추억도 많아서 지금은 웃어 넘길수 있는 아재들만의 씁씁한....^^;;

    • @arcadekido
      @arcadekido  6 місяців тому

      ㅋㅋ 어렸을땐 겜하나 잘못사면 입에서 쌍욕 나오는 게임들 한두개가 아니었습니다.

  • @marscast3176
    @marscast3176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게임은 엉터리지만 영상은 재밌었어요. 그런데 이런 엉터리 게임도 어린시절의 추억인 분들이 확실히 있는 모양입니다.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zigzo3070
    @zigzo3070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때당시 게임잡지가 구매여부에 큰 영향을 줬었던게
    안한글화 영향도 무시못함;;;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그쵸 언어의 압박이 컸죠 ㅠㅠ

  • @트레비스스캇-j8e
    @트레비스스캇-j8e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장군의 아들이지만 미필

  • @gomanaru222
    @gomanaru222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때 어느 게임잡지에서도 할말이 없는 지 긴 설명은 안하고 이런 게임이 있다고만 설명했었죠.
    단지 지금은 부족하지만 언젠가는 한국에서도 일본과 대등한 수준의 게임이 나올거라고는 했는 데 ...모르겠네요. 30년이 지난 지금 봐서도 흠....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모바일이나 mmo쪽은 발전을 했는데, 이번에 스텔라 블레이드보니까 엄청 많이 따라온것 같아요. 아직 바빠서 플레이는 못해봤지만요.

  • @JW-7
    @JW-7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보이스카웃은 경례 왼손..

  • @파파존스죠아
    @파파존스죠아 7 місяців тому +1

    하는사람이 고생인것 같은 게임은 간만이에요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저는 좀 괴로웠어도 보시는 분들 재밌게 보셨음 만족합니다^^

  • @youngk5366
    @youngk5366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장군의 아들이면 조낸 금수저

  • @김명수-u3x
    @김명수-u3x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거 세가마스터시스템 버전도 있는데 그래픽 이좋음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저도 둘다 해본바로는 차라리 sms로 나온 액션게임이 좀 더 낫더라고요.

  • @R드레이크
    @R드레이크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장군의 아들 게임이 이런 똥이었군요. 전 당시 게임책에 나온 사진만 보고 가볍게 기억에서 지웠는데, 참 다행이었네요.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현명한 어린이셨습니다 ㅎㅎ

  • @aall
    @aal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마스터 파이터 2가 1992년에 출시되었던가요? 스트리트 파이터2 패밀리 버젼이라고 구라치고 정품팩으로 교환받고, 가격 후려쳤던 기억이 나네요. 장군의 아들도 봤던것 같은데.. 이건 안해봤네요. 오웅.. 그냥 똥이죠 ㅋ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맞아요 하시면 손해 ㅠㅠ 지금해도 시간 손해

  • @user-sksky83
    @user-sksky83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전 김두한 게임 하면...
    PC 게임이지만 야화 라는 게임이 기억나네요. ㅎ
    나름 괜찮은 퀄리티 였던거 같은...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잘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또 좋은 주제로 영상 올려볼게요.

  • @CrazyBoyWolf
    @CrazyBoyWolf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거랑 비교하면 마스터파이터2는 갓겜이네 ㅋㅋㅋㅋㅋㅋ 닌자거북이 토너먼트파이터같은 격겜이 패미컴으로 나온게 신기할지경

  • @reddgi
    @reddgi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래도 패미콤게임치고 할만한게임으로 평가받지 않나요😂😂😂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1

      '패미콤게임치고' 아니에요~~ 패미컴에 얼마나 명작이 많고 수작도 많고 평작도 많은데요 ㅎㅎ
      물론 쿠소도 엄청 많습니다. 쿠소게에서는 평범한, 할만한 수준같긴해요.

    • @reddgi
      @reddgi 7 місяців тому

      @@arcadekido 그렇군요...ㅎㅎ^^;;

  • @and1_2chi
    @and1_2chi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래도 어릴때 친구들이랑 재밌게했었는데 ㅋㅋ 쌈마이감성으로 ㅋㅋ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쿠소격겜들 친구랑 하면 오히려 박장대소하면서 재밌게 한경험이 많습니다. 저도 ㅎㅎ

  • @BONOBONOSARANG
    @BONOBONOSARANG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처음부터 끝까지 칭찬없는 게임소개는 처음인것같네요.ㅋㅋ 그나저나 스파2보다 1년뒤에 나왔는데 이모양이라니..ㅜㅜ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보시느라 괴로우셨을텐데 감사합니다^^

  • @giantp
    @giantp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스카우트인가봄

  • @고래등-m7t
    @고래등-m7t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충격적인 게임이네요. 이걸 수십만원으로 산다니 ㅋ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발매가격은 몇만원이지만 현재 중고 시세가 그렇더라고요. 레어가 그런거같아요.

  • @성이름-l9m7l
    @성이름-l9m7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게임 미개봉판 가지고있으면 넥슨게임력사박물관에 진열되었을것 같읍니다..

  • @derthun9370
    @derthun9370 4 місяці тому

    솔직히 저시절 일본과 한국의 게임분야 컨텐츠력 차이는 지금의 북한과 한국정도 차이인듯ㅎ

  • @이정우-o5h8t
    @이정우-o5h8t 7 місяців тому +1

    ㅠㅠ 삼성 겜보이로 나온거 해봤었는데 ㅎㅎ 이거보다는 괜찮았다는 ㅋㅋ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저도 sms로 출시된 벨트액션 버전이 그나마 이거보단 좀 더 나았다고 생각합니다^^

  • @러브체이서
    @러브체이서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전혀 대전격투 게임에 대한 지식이나 연구도 없는 사람들이 만든거네요 그 시대를 감안하더라도 처참한 퀄리티네요ㅋㅋㅋ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시대를 감안하더라도 퀄리티가 처참하다는 말씀이 한줄평으로 딱 이네요^^

  • @pbxpri
    @pbxpri 3 місяці тому

    그러고 보면 일본이 본인들의 국뽕인 와패니즈를 참 잘 갈아서 넣었구나 라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 @다크애쉬
    @다크애쉬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숨은 똥게임이네요

  • @protoss722
    @protoss722 7 місяців тому +1

    13:13 일본 쪽에 붙었으니 전자라고 생각합니다(?)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아무리 봐도 그런거 같죠? 하야시 밑으로 들어갔으니..

  • @Viewtizen
    @Viewtizen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장군의 아들 이름에 먹칠한 게임이군요. 만들기만 하면 팔리니까 성의없이 억지로 만든 게임 같습니다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저 시절이면 개발비 일부 정부지원 받아 만든건 아닌것 같기도 하고...
      무슨 업체 무슨 어플이라고 말씀은 못드리지만, 제 아는 지인이 그쪽일을 하는데, 정부지원은 다 신청해서 빼먹더라고요.
      예를들어 개발비지원 100만원 그러면 한 70만원에 개발할 수 있는데 하청줘서 자긴 30만원 챙기고 이런식...
      여튼 장군의 아들 게임이 개발비 지원받았는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팔릴만한 퀄리티는 아닌데 이상합니다 ㅎㅎ

  • @한도경-n2i
    @한도경-n2i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대한민국 사람들은 장군의아들 김두한보다 야인시대2부 김두한을 기억하고 있음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맞아요. 1부에서 안재모 인기 대박이었다가 2부에서 잉? 해서 실제로 시청률은 2부가 더 떨어졌는데요. 주인공 배우가 바뀐점도 있겠지만, 1부에선 1세대 낭만파 주먹들이 나오다가 2부부턴 2세대 정치깡패들이 나오니 내용도 그냥 단순하게 활극처럼 볼 수 있는 1부와 분위기가 사뭇달랐죠.

    • @한도경-n2i
      @한도경-n2i 7 місяців тому +1

      @@arcadekido 소위 내가고자라니,사딸라가 밈이생기고 1부에서 2부가 인지도가 더많아지게 되었죠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맞아요 인터넷 시대와서 밈 생기면서 역주행 제대로해서 나중이지만 2부가 훨씬화제고 지금 다 2부만 기억하고 있지요^^

  • @KFPS-pv8qv
    @KFPS-pv8qv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재밌게 봤습니다. 근데 저 당시 패미컴 게임들 중엔 열혈시리즈 제외하면 "재밌다"라고 느낀 대전격투 게임은 없던 것 같긴 하네요. 그나마 스파 9명 고를 수 있던 게임 정도? 4명짜리는 쓰레기였고..하드웨어가 너무 후진 영향이 좀 있는 것 같습니다.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열혈 시리즈는 정말 명작이죠. 특히 열혈 농구, 축구 너무 재밌었어요.

  • @니꺼먹어-x9l
    @니꺼먹어-x9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삼성 겜보이판은 같은 게임이라고 볼 수 없을 정도로 틀리네요.
    어떻게 제작사, 출시일, 제목 소재까지 똑같은데 이렇게 다를 수 있는건지... 그리고 겜보이판은 벨트 스크롤 방식입니다.
    언제 리뷰해 주세요. ^^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맞습니다. 세가마스터시스템 버전은 특이하게 벨트액션으로 나왔고요. 제가 스텝롤까지 확인해본건 아직 아니지만 그래픽풍도 그렇고 회사내 다른 팀에서 개발한것 같아요. 요것도 다른 게임이랑 두개 묶어서 한주제로 영상을 만들려고 초안까진 만든 상태입니다.

  • @김두한-c5k
    @김두한-c5k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런게임도 있었구나?
    왜 나는 처음 볼까?

    • @arcadekido
      @arcadekido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본인등판 ㄷㄷㄷ

    • @김두한-c5k
      @김두한-c5k 7 місяців тому

      @@arcadekido 나 종로 우미관의 김두한이오!!

    • @SHS-d2h
      @SHS-d2h 7 місяців тому

      ​@@김두한-c5kㅋㅋㅋㅋ 쉬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