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72
- 1 178 317
서강대학교Sogang University
South Korea
Приєднався 12 сер 2013
서강대학교 공식 유튜브 채널입니다
www.sogang.ac.kr/
www.sogang.ac.kr/
[서강학개론]“반도체가 곧 돈이다”| 전자공학과, 시스템반도체공학과 범진욱 교수 Ep.14
▶이 영상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서강대학교 유튜브 채널 "구독" 부탁드립니다◀
“서강학개론(SOGANG101)-대중이 궁금해하는 다양한 이슈와 궁금증에 서강대 교수진이 답하다.”
이번 서강학개론에서는 한국의 1위 수출품 반도체에 대해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시스템반도체 공학과 범진욱 교수의 의견을 들어본다.
반도체 기술의 기초부터 최신 트렌드까지 폭넓게 말하며, 반도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 구조와 역할을 쉽게 설명하고, 현대 전자기기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중요한 위치를 소개한다.
또한, 반도체 산업의 발전 과정과 미래 기술, 예를 들어 5G, AI, IoT와 같은 혁신적인 기술들이 어떻게 반도체와 연결되는지도 알아본다.
반도체가 우리의 일상과 산업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를 서강대학교 범진욱 교수를 통해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 타임라인 -
00:20 교수 소개
00:30 강의 주제 반도체 소개
01:30 반도체를 구하지 못한다면?
03:32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
05:42 반도체 산업 구조
06:20 반도체 기술 혁신
07:22 반도체 산업 전망
09:30 마치며
• 기획 및 제작 : 서강대학교 교수학습센터
• 촬영 및 편집 : 엠아이앤컴퍼니(주)
※ 이 영상 속 내용은 학자 개인의 소견입니다.
※ 이 영상은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서강학개론(SOGANG101)-대중이 궁금해하는 다양한 이슈와 궁금증에 서강대 교수진이 답하다.”
이번 서강학개론에서는 한국의 1위 수출품 반도체에 대해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시스템반도체 공학과 범진욱 교수의 의견을 들어본다.
반도체 기술의 기초부터 최신 트렌드까지 폭넓게 말하며, 반도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 구조와 역할을 쉽게 설명하고, 현대 전자기기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중요한 위치를 소개한다.
또한, 반도체 산업의 발전 과정과 미래 기술, 예를 들어 5G, AI, IoT와 같은 혁신적인 기술들이 어떻게 반도체와 연결되는지도 알아본다.
반도체가 우리의 일상과 산업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를 서강대학교 범진욱 교수를 통해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 타임라인 -
00:20 교수 소개
00:30 강의 주제 반도체 소개
01:30 반도체를 구하지 못한다면?
03:32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
05:42 반도체 산업 구조
06:20 반도체 기술 혁신
07:22 반도체 산업 전망
09:30 마치며
• 기획 및 제작 : 서강대학교 교수학습센터
• 촬영 및 편집 : 엠아이앤컴퍼니(주)
※ 이 영상 속 내용은 학자 개인의 소견입니다.
※ 이 영상은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Переглядів: 744
Відео
[서강 보이는 라디오] 2024년 서강에서는 무슨 일이??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21 день тому
2024년, 한해의 끝자락에 마주한 안타까운 소식에 본 콘텐츠는 업로드를 연기하여 신년에 공개하였습니다. 서강대학교는 사고 희생자 분들의 안식을 기도하며 유가족 분들께 깊은 위로와 애도를 표합니다. @제작 : 서강대학교_SNS기자(하현지), 서강대학교_SNS기자(최정섭) @출연 : 박윤지(국문22), 황우리(중문21), 이예은(아텍23)
서강대학교 24학번 새내기 교외 오리엔테이션 코멘터리
Переглядів 2,7 тис.21 день тому
@2024학년도 새내기 교외 오리엔테이션 현장을 소개합니다. 지난 2024년 2월 25일(일)부터 27(화)까지 2박 3일간 24학번 새내기들은 강원도 홍천에 위치한 대명 리조트로 교외 오리엔테이션을 다녀왔습니다^^ 25학년도 새내기 교외 오리엔테이션을 앞둔 지금 되돌아보는 24학번 교외OR 현장을 같이 만나보러 가실까요? 제공 서강대학교 학생지원팀 제작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센터 연출 임소연(커뮤니케이션센터 영상제작단 MEGS) 조연출 백가영(커뮤니케이션센터 영상제작단 MEGS) 편집/사운드 임소연, 백가영 (커뮤니케이션센터 영상제작단 MEGS) 신입생 OR 촬영/조명 강정모, 박민준, 이제원 (커뮤니케이션센터 TV스튜디오 기술조교) 코멘터리 패널토크 촬영/조명 김영건, 박연진, 임윤상, 장진규 (커...
[토크쇼] 서강대학교 발전기금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28 днів тому
※ 2025 새해맞이 이벤트 안내 1) 서강대학교 대외교류처 카카오톡 친구추가 후에 발전홍보팀 (본관 301호)에 방문해 주신 모두에게 학교 기념품(스위스 볼펜)을 드립니다. 2) 10, 30, 50, 70, 100번째 방문자에게는 추가 기념품 (고급형)을 증정합니다. 3) 근무시간: 주중 10:00~17:00 방문 가능 (점심 휴게시간 12:00~13:00 제외) 4) 이벤트 기간: 2025.01.31. (금) 까지 @제작 : 서강대학교_SNS기자(하현지), 서강대학교_SNS기자(최정섭) @쿠키영상 : 우자미
나눔으로 따뜻했던 서강의 2024년 / 기부후원 감사인사
Переглядів 393Місяць тому
언제나 따뜻한 관심과 애정으로 서강대학교 발전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2025 청사년 새해에 후원자 여러분 가정에 축복과 평화가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제작 ㅣ 우자미 내레이션 ㅣ 박민영
서강의 동아리를 찾아서 | 시즌3 | EPISODE 09 [손짓사랑]
Переглядів 1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서강의 동아리를 찾아서' 크리스마스 특집 서강대학교 중앙수어봉사동아리 손짓사랑을 소개합니다! 나이, 학번, 국적, 장애와 상관없이 수어와 농문화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함께하는 손짓사랑. 수어 스터디와 봉사활동을 통해 따듯한 마음을 전하는 손짓사랑 부원들의 이야기, 영상을 통해 만나보세요! [본 영상은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제공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센터 서강동아리연합회 제작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센터 기획 김가을(커뮤니케이션센터 기획홍보단 SPC) 연출 정세희(커뮤니케이션센터 영상제작단 MEGS) 조연출 박선영(커뮤니케이션센터 영상제작단 MEGS) DOP 이제원(커뮤니케이션센터 TV스튜디오 기술조교) 촬영/조명 김태영, 박민준, 서지웅, 황일영 (커뮤니케이션센터 TV...
또 새내기 | 시즌1 | EPISODE 05 '스튜디오 이둘' 이지원 동문
Переглядів 405Місяць тому
대학교를 졸업한 후 사회초년생으로, 또! '새내기'가 된 서강인들. 회사의 새내기로서, 하지만 졸업생 선배로서 직접 경험한 직무 정보를 디테일하게 알려주는 토크 예능, 또 새내기! 미디어 아트 작품 제작을 위한 작품 기획서 작성 및 전시 서문을 정리하고, 미디어 아트 전시에 필요한 기술적 지원을 돕는 스튜디오 이둘 프리랜서 미디어 아트 기획자 이지원 동문(아텍 18)의 하루를 함께 만나볼까요? [본 영상은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제공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센터 제작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센터 기획PD 김가을 (커뮤니케이션센터 기획홍보단 SPC) 제작PD 김영웅 (커뮤니케이션센터 기획홍보단 SPC) 연출 김혜빈 (커뮤니케이션센터 영상제작단 MEGS) 조연출 이지수 (커뮤니케이션센...
Welcome to SOGANG | 시즌2 | EPISODE 2 | MORISAWA HIYORI
Переглядів 1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외국인 유학생들의 리얼한 한국 생활을 엿보는 '웰컴 투 서강 시즌 2' 지난화에 이어, EP2에서도 일본에서 온 한국 생활 4년 차 '명예 한국인' 히요리가 함께해주었습니다! ✨오늘의 이야기✨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일본인 친구와 특별한 하루를 보낸 히요리! 잔디밭에 앉아 한강 필수 코스인 치킨과 라면으로 배를 채우고, 유학 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는데요. 서강에서 만나는 세계, 웰컴 투 서강! 지금 바로 히요리의 힐링 가득한 한강 나들이를 만나보시죠! [본 영상은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Experience the real live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Welcome to Sogang Season 2' Following th...
[서강학개론]“중국은 왜 한류에 열광하는가?”| 중국문화학과 이욱연 교수 Ep.13
Переглядів 9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서강학개론]“중국은 왜 한류에 열광하는가?”| 중국문화학과 이욱연 교수 Ep.13
Welcome to SOGANG | 시즌2 | EPISODE 1 | MORISAWA HIYORI
Переглядів 2,3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Welcome to SOGANG | 시즌2 | EPISODE 1 | MORISAWA HIYORI
[서강학개론] MBTI가 아닌 '몸BTI'를 반드시 이해해야 하는 이유| 교육대학원 최대혁 교수 Ep.12
Переглядів 8382 місяці тому
[서강학개론] MBTI가 아닌 '몸BTI'를 반드시 이해해야 하는 이유| 교육대학원 최대혁 교수 Ep.12
또 새내기 | 시즌1 | EPISODE 04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윤수민 동문
Переглядів 5812 місяці тому
또 새내기 | 시즌1 | EPISODE 04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윤수민 동문
[2025 서강대학교 수능 응원 영상] 수능을 앞둔 예비 서강인들에게 보내는 응원 메세지
Переглядів 2,6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2025 서강대학교 수능 응원 영상] 수능을 앞둔 예비 서강인들에게 보내는 응원 메세지
[2025학년도 서강대학교 수험생 응원 영상] 서강을 위하여 | with. 서강대학교 응원단 트라이파시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2025학년도 서강대학교 수험생 응원 영상] 서강을 위하여 | with. 서강대학교 응원단 트라이파시
[서강학개론] “오타니의 연봉은 철저한 시장 경제학의 산출물입니다.” | 경제학과 이영훈 교수 Ep.11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서강학개론] “오타니의 연봉은 철저한 시장 경제학의 산출물입니다.” | 경제학과 이영훈 교수 Ep.11
[FALL in CARDINAL] 2024 서강대학교 CARDINAL 스케치
Переглядів 6553 місяці тому
[FALL in CARDINAL] 2024 서강대학교 CARDINAL 스케치
Welcome to SOGANG | 시즌2 | EPISODE 0 | Welcome Dinner
Переглядів 7523 місяці тому
Welcome to SOGANG | 시즌2 | EPISODE 0 | Welcome Dinner
[창업지원단] '서강 스타티움(Sogang Startium)'운영 안내_2탄
Переглядів 8014 місяці тому
[창업지원단] '서강 스타티움(Sogang Startium)'운영 안내_2탄
Jan Peter Balkenende 네덜란드 前 총리명예 경제학 박사 학위수여식
Переглядів 5324 місяці тому
Jan Peter Balkenende 네덜란드 前 총리명예 경제학 박사 학위수여식
[창업지원단] '서강 스타티움(Sogang Startium)'운영 안내
Переглядів 4984 місяці тому
[창업지원단] '서강 스타티움(Sogang Startium)'운영 안내
[서강학개론] “AI도 환각을 일으킵니다.”| 인공지능학과 장부루 교수 | 온라인숏강의 Ep.10
Переглядів 2,8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서강학개론] “AI도 환각을 일으킵니다.”| 인공지능학과 장부루 교수 | 온라인숏강의 Ep.10
Welcome to SOGANG I 2024 Sogang International Summer Program
Переглядів 1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Welcome to SOGANG I 2024 Sogang International Summer Program
[서강학개론] 문화전쟁이 미국대선의 승패를 좌우한다. | 정치외교학과 하상응 교수 | 온라인숏강의 Ep.9
Переглядів 6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서강학개론] 문화전쟁이 미국대선의 승패를 좌우한다. | 정치외교학과 하상응 교수 | 온라인숏강의 Ep.9
2024학년도 2학기 [4차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글쓰기] 개설 안내
Переглядів 1,6 тис.5 місяців тому
2024학년도 2학기 [4차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글쓰기] 개설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