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76
- 2 520 455
KRRI한국철도기술연구원
Приєднався 20 лип 2014
[1~3분 레일테크] 철도 관제센터는 열차의 현재 위치를 어떻게 알까요?
열차가 몇 분 후에 도착하는지 승객들에게 알려주려면 현재 위치를 알아야 합니다! 🚆
관제센터는 어떤 과학적 원리로 열차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까요? 😮
궤도 위에서 열차의 위치를 파악하는 원리와,
궤도회로를 활용한 신호 장치 기술에 대해서도 알아보세요! 📶📡
관제센터는 어떤 과학적 원리로 열차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까요? 😮
궤도 위에서 열차의 위치를 파악하는 원리와,
궤도회로를 활용한 신호 장치 기술에 대해서도 알아보세요! 📶📡
Переглядів: 374
Відео
[1~3분 레일테크] 심야열차, 우리나라엔 없는 이유는?
Переглядів 10 тис.Місяць тому
밤새 열차를 타고 새벽에 도착하는 낭만적인 심야열차! 🚆 그런데 왜 우리나라엔 심야열차가 없을까요? 열차 속도가 빨라져 밤새 달릴 필요가 없어진 데다, 선로 유지보수 시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심야열차는 점점 우리의 기억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답니다. 영상에서 더 자세한 이야기를 확인해 보세요! 😊
[1~3분 레일테크] 열차 브레이크에선 왜 '끼이익~' 소리가 들리나요?
Переглядів 2432 місяці тому
[1~3분 레일테크] 열차 브레이크에선 왜 '끼이익~' 소리가 들리나요?
[1~3분 레일테크] 일본에서 600km/h대 열차가 나왔다는데요?
Переглядів 7722 місяці тому
[1~3분 레일테크] 일본에서 600km/h대 열차가 나왔다는데요?
[Full] [세계의 고속철도] 국제철도연맹(UIC) 공식 자료로 살펴보는 고속철도 이야기!
Переглядів 5133 місяці тому
[Full] [세계의 고속철도] 국제철도연맹(UIC) 공식 자료로 살펴보는 고속철도 이야기!
[세계의 고속철도] #5. 세계 열차 속도 랭킹 & 앞으로의 고속철도는?
Переглядів 6873 місяці тому
[세계의 고속철도] #5. 세계 열차 속도 랭킹 & 앞으로의 고속철도는?
[세계의 고속철도] #4. 고속철도의 운영속도, 어떤 나라가 가장 빠를까?
Переглядів 3493 місяці тому
[세계의 고속철도] #4. 고속철도의 운영속도, 어떤 나라가 가장 빠를까?
[세계의 고속철도] #3. 한국의 고속철도 노선은 세계 몇 위인가!?
Переглядів 9793 місяці тому
[세계의 고속철도] #3. 한국의 고속철도 노선은 세계 몇 위인가!?
[세계의 고속철도] #1. 고속열차란 무엇인가? (feat 우즈베키스탄 수출열차 비하인드)
Переглядів 6143 місяці тому
[세계의 고속철도] #1. 고속열차란 무엇인가? (feat 우즈베키스탄 수출열차 비하인드)
[1분 레일테크] 철도소음을 생생하게 재현하는 '초실감 음향 시뮬레이터' 개발!
Переглядів 2233 місяці тому
[1분 레일테크] 철도소음을 생생하게 재현하는 '초실감 음향 시뮬레이터' 개발!
[InnoTrans 2024 전시열차] 다양한 열차들③ 화물열차, 차량운송열차 등
Переглядів 663 місяці тому
[InnoTrans 2024 전시열차] 다양한 열차들③ 화물열차, 차량운송열차 등
[InnoTrans 2024 전시열차] 다양한 열차들② 하이브리드, 추진방식, 연료가 다양한 열차들
Переглядів 583 місяці тому
[InnoTrans 2024 전시열차] 다양한 열차들② 하이브리드, 추진방식, 연료가 다양한 열차들
[InnoTrans 2024 전시열차] 다양한 열차들① 특수차량 모음
Переглядів 423 місяці тому
[InnoTrans 2024 전시열차] 다양한 열차들① 특수차량 모음
[InnoTrans 2024 전시열차] [STADLER] FLIRT AKKU 2-CAR UNIT
Переглядів 1333 місяці тому
[InnoTrans 2024 전시열차] [STADLER] FLIRT AKKU 2-CAR UNIT
[InnoTrans 2024 전시열차] [STADLER] Saarbahn
Переглядів 983 місяці тому
[InnoTrans 2024 전시열차] [STADLER] Saarbahn
[InnoTrans 2024 전시열차] [STADLER] U-BAHN BAUREIHE JK
Переглядів 1863 місяці тому
[InnoTrans 2024 전시열차] [STADLER] U-BAHN BAUREIHE JK
[InnoTrans 2024 전시열차] [STADLER] RS ZERO HEMU
Переглядів 1173 місяці тому
[InnoTrans 2024 전시열차] [STADLER] RS ZERO HEMU
[InnoTrans 2024 전시열차] [STADLER] KISS-EMU
Переглядів 863 місяці тому
[InnoTrans 2024 전시열차] [STADLER] KISS-EMU
[InnoTrans 2024 전시열차] [STADLER] ELECTRICAL LOW-FLOW AREA MULTIPLE UNIT
Переглядів 1193 місяці тому
[InnoTrans 2024 전시열차] [STADLER] ELECTRICAL LOW-FLOW AREA MULTIPLE UNIT
[InnoTrans 2024 전시열차] [STADLER] CITYLINK TRAM-TRAIN
Переглядів 5223 місяці тому
[InnoTrans 2024 전시열차] [STADLER] CITYLINK TRAM-TRAIN
[InnoTrans 2024 전시열차] [SKODA] STRASSENBAHN SKODA FORCITY SMART BONN
Переглядів 1063 місяці тому
[InnoTrans 2024 전시열차] [SKODA] STRASSENBAHN SKODA FORCITY SMART BONN
[InnoTrans 2024 전시열차] [HITACHI] FRECCIAROSSA
Переглядів 3903 місяці тому
[InnoTrans 2024 전시열차] [HITACHI] FRECCIAROSSA
[InnoTrans 2024 전시열차] [SIEMENS] Velaro for Egypt
Переглядів 6593 місяці тому
[InnoTrans 2024 전시열차] [SIEMENS] Velaro for Egypt
서울~부산간 경부선 itx와 청량리~ 부전itx는 거리가 거의 비슷하죠. 두 열차 정차역이 중앙선이 3개 많은데 열차 시간은 중앙.동해남부가 나름 신선인데 중앙선 마음이 40분이나 더 걸리는 이유가 있나요? 중앙선.동해남부선 모두 150킬로 가능하고 신선인데도 경부본선 보다 운행 시간이 40분이나 느린게 이해가 안되네요.
디젤열차 대체와 전동 설비를 하지 않아도 되는 비용절감 차원이 있으니 빨리 개발해야합니다. 더불어 교외선등 전동화가 되지 않는 구간을 더 많이 이용할수 있게 빠르게 진행 됬으면 합니다.
1:33 그림이 잘못됬습니다. 정지 - 정지 - 경계 - 주의 - 감속 - 진행이 아니라 진행 - 경계 - 주의 - 감속 - 진행으로 되어있습니다. 이러면 충돌입니다?
저는 시간표와 폐색을 통해서 추정하는줄 알았습니다. 그래서 가끔씩 선로 위에 25000v에 전류가 흐르고 있다고 경고하는것인가요?
분명히 그 영향도 있고 무엇보다 위에 매달린 급전선에 의한 감전사고도 사례도 많았기 때문입니다.
상용화 안돼고 더미 데이터로 남은게 너무 아쉽네요.ㅠ_ㅠ
정차역부터 줄이 고 말해라
나라로 보지말고 밀도와 속도로 보면 유럽, 중국, 일본, 한국, 대만이 실제 이용한다고 본다. 미국은 노선이 하나로 200구간은 제한적이다.
1226,1227,1228,1692,1691,1624,1623 열차들이 그립습니다......
프랑스에서 기술을 배우러 온다 절대 아르켜 주지 마라!
실제 운행 속도가 시속 350km를 넘기면 열차의 수명이 짧아지고 열차와 시설들의 유지 보수 비용이 큰폭으로 상승 하기때문에 고속열차를 운영하는 대부분의 나라들 에서는 시속 350을 넘기지 않음! 시속 400km, 500km, 600km 이런 속도는 테스트 할때만 내는 속도임.
저걸 어떻게 다 외우지? 철도기관사님 정말 수고 많으십니다
철제궤도형 차량은 주행저항 때문에 400정도가 상한선입니다. 그래서 500 이상으로 달리는 차량들은 거의 다 자기부상열차죠
뭐 기술이 안되서 그렇다는 얘기를 뭐 이리 복잡하게 얘기하냐
그러면 전차선이 두 줄로 이루어진 이유는 무었인가요?
하나는 전선을 지지해주는 조가선입니다.
디자인좀 좀 산뜻 하게 해라 좀 인본꺼 좀 바라
수소열차가 4량이나 6량 으로 나왔다면
해무가 출고되면 뭐하나여 300을 넘을 일이 없는데.. 350 이상 400이상 속도내려면 선로, 노반, 신호설비 그리고 전차선품질, 전기품질 등등 이런 제반 환경이 갖춰야 가능합니다. 그리고 드 넒은 국토가 받쳐 준다면 더 좋겠죠 하지만 우리 대한민국 현실에선 300고속과 260이음이 최선입니다. 속도향상은 정차역 통과 검토와 기존선을 고속화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해무 고속차량기술은 해외로 수출하는 것이 최고..
500km이상 고속은 사실상 자기부상열차 외에는 답없는 상황이고 안전을 생각하면 400km대부터 하는게 답
연구 하지마라 수지타산 안나온다
그래도 민영화 전까지는 한국으로 치면 재래선 기반 준고속첯도 개발은 많이 했죠. 디젤기관차 최고속도 기록도 보유한 나라라서...
침대 열차 있으면 좋겠음 😢
일본치하에서 우리나라도 명암이 있는거야. 철도 전기 거의 많은 문명의 이기들이 일제시대에 국내에 들어왔어. 반일만 외치는 민주당이라면 일본서 배워온 삼성의 반도체도 포항제철도 없었어.
수소열차가 교외선에도 다니면
수소열차가 교외선에도 다녔으면.
수소열차가 교외선에 도 다녔으면
이 수소열차가 교외선에 다니면 좋을텐데
이제 인구도 줄고, 가용노동인구도 줄어서 유지보수나 차량운행할 기관사 인력도 점점 부족해질테니 운행시간 점점 줄어들듯.
생각해보니 동력집중식은 무시무시한 모터가 들어갔었겠군요
교외선 복선화 사업과 함께 빠른 도입이 필요합니다
노조의 힘 이라고 합니다
그럼 예전 경부선 호남선 중앙 동해선 야간열차 7~8개 운행 할때는 선로보수 못했냐? 그리고 지금 화물열차는 심야에 안다니냐? 말도 안되는 헛소리로 국민들 기만 하지 말고 고속열차는 운행을 정지 하더라도 무궁화호 기준으로 경부선 2회, 호남 전라선 1회 영동중앙선1회 정도는 운행 해야지, 버스도 다니지 않는 시골 중소도시는 열차가 필요하다.그리고 열차 선로도 복선에 복복선으로 늘려서 얼마나 일하기 좋으냐? 그리고 야간열차 운행에 다소 적자가 나는것은 감수를 해야하고. 그리고 전기선로 단전을 이유로 못한다면 디젤기관차로 운행하면 될테고.
한줄요약 : 다른나라는 다 심야 열차가 있다(유지보수 하면서도) 철도청애들이 밤에 일 안하고 싶다
유럽에 국제노선 침대열차 수지타산이 안맞지만 상징성 때문에 운행한다고 들었어요.
밤 11시 청량리발 강릉행 통일호 열차 타고 정동진역에 새벽 일출 보러 내린 추억이 새록새록 철도여행 낭만이 사라짐
03년 광주 - 서울 , 99년 목포 - 부산 야간기차 있었어요
그럼 예전에 심야열차 다닐때는 선로보수를 어떻게 했던건가요??
선로 보수 작업자들의 안전, 열차의 고속화, 면적이 작은 국토, 북괴뢰로 인한 사실상 섬나라 신세, 고속도로를 위시한 도로교통 인프라의 고도화
유지보수는 핑계고 사실 돈이 안 되니까 그러는 거죠. 전차선 단전 하면 전기가 아니라 디젤로 다녀야 하는데 유류비가 만만치 않습니다. 심야열차는 1~2편성 정도 밖에 안 되는데, 유지보수 구간만 지나가면 다음 첫차까지 그 구간은 수 시간 이상 유휴구간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면 경부선이라면 경부선 전 구간에 걸쳐 동시에 유지보수 할리도 없고, 운행안전이 걱정이라면 그만큼 안전인력을 충원하면 되는 겁니다. 결국 돈 문제로 귀결되는데, 그냥 운영자 입장에서 편하자고 돈 쓰기 싫어서 그런거죠.
당연히 동시에 유지보수 하죠 그럼 안하겠어요?
@lIlIllIIlIlIlllIIlI 한 날 한 시에 경부선 440km를 동시에 유지보수 한다고요? ㅋㅋ
@@REJECT-p6u 그럼 뭐 서울에서 출발해서 부산까지 내려가면서 하는 줄 압니까? 지역본부가 괜히 있는 게 아니에요
@@lIlIllIIlIlIlllIIlI 각 지역본부 구간 전체를 한 날 한 시에 한다고요? ㅋㅋ
@REJECT-p6u 대경선 저거 몇키로나 된다고 매일 점심 운휴 때리는거 안보여요?
Ktx 등장으로 필요가없어짐
한국은 심야열차 안필요하죠 어딜가도 짧은시간내로 가니 효율때문이라도 이용할사람도없고 새벽에 다니면 민원 쩔듯 통일이라도 하면 모를까 심야열차는 단순 이동수단뿐만아니라 숙박개념도있어서
나라가 작아, 차로도 서울 부산반나절인데
심냐열차 전라선 여수에서 사고나서 없어짐 원가절감을 되게 장황하게찍네😢
너무 빨라서 문제가 되는거면 일부러 천천히 가면 되는거 아닌가요?;;
왜 굳이? 그냥 심야를 안하면 되지
돈이 않되잔아
안전도 안전이겠지만.. 돈이 안되요. 돈도 안되는데 근로기준법도 맞춰야 하고. 코로 이후 다 없어졌죠.
야간 작업자 사망사고가 워낙 많아 없어진개 가장큼
코레일 망해받야 야간열차 부활하게지 우리영세민위해서 무궁화호도 계속운행하라 코레일조간나 사장아
우리나라 물가에 지금 ktx 가격만큼 무궁화호 운임을 받는게 맞는데 드럽게 징징거리네
어휴 틀딱징징
심야 수요는 있는데 이게 열차가 투입되어야 할 정도로 수요가 있는지는 모르겠음... 근데 지금도 경부선 심야버스는 대체로 만석인 경우가 많음...
야간 작업조 문제가 아니라 심야 대부분 무궁화인데 수익이 안나는거 심야까지 굴리기 싫어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