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걸 클라쓰
신현걸 클라쓰
  • 298
  • 299 338

Відео

IFRS 고급회계 제13판_No.6_1장(6) 단계적 취득, 역취득
Переглядів 839 годин тому
IFRS 고급회계 제13판_No.6_1장(6) 단계적 취득, 역취득
IFRS 고급회계 제13판_No.5_1장(5) 영업권과 염가매수차익, 영업권손상차손
Переглядів 13714 днів тому
IFRS 고급회계 제13판_No.5_1장(5) 영업권과 염가매수차익, 영업권손상차손
IFRS 고급회계 제13판_No.4_1장(4) 사업결합거래와 별도거래의 구분
Переглядів 10021 день тому
IFRS 고급회계 제13판_No.4_1장(4) 사업결합거래와 별도거래의 구분
IFRS 고급회계 제13판_No.3_1장(3) 식별할 수 있는 자산과 부채의 인식과 측정, 이전대가
Переглядів 13321 день тому
IFRS 고급회계 제13판_No.3_1장(3) 식별할 수 있는 자산과 부채의 인식과 측정, 이전대가
IFRS 고급회계 제13판_No.2_1장(2)_식별할 수 있는 자산, 부채의 인식과 측정
Переглядів 16928 днів тому
IFRS 고급회계 제13판_No.2_1장(2)_식별할 수 있는 자산, 부채의 인식과 측정
IFRS 고급회계 제13판_No.1_1장(1)_사업결합의 의의, 사업결합의 회계처리
Переглядів 37028 днів тому
2025년 초에 출간한 고급회계 제13판에 대한 동영상 강의입니다. 고급회계 13판은 2025년 1월에 e Book(4도 인쇄)을 먼저 출간(노팅과 교보에서 구입 가능)하고, 종이책(2도 인쇄)은 2월에 출간합니다. 독자 여러분들의 취향에 따라 구입하시면 됩니다.
IFRS 고급회계 제13판_No.6_1장(6)_취득관련 원가, 기타의 사업결합(역취득 등)
Переглядів 36Місяць тому
IFRS 고급회계 제13판_No.6_1장(6)_취득관련 원가, 기타의 사업결합(역취득 등)
중급회계 11판 No.68_18장(6) 예제 16 오류를 바로 잡는 강의
Переглядів 316Місяць тому
중급회계 11판 8장 예제 16의 물음 3에 대한 풀이에 오류가 있어 이를 바로 잡는 강의를 올립니다.
회계이슈6 여러 가지 회계처리 중 어느 것을 먼저 해야 하나?
Переглядів 188Місяць тому
자산에 대해서 2가지 이상 회계처리를 적용해야 할 때 어느 회계처리를 먼저해야하는지 명쾌하게 설명합니다.
회계이슈5 자기주식을 소각해도 재무상태표상 자본은 불변
Переглядів 2332 місяці тому
취득한 자기주식을 소각할 경우 자본금이 변동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일까를 설명합니다.
회계이슈4 전환권은 자본인가 금융부채인가?
Переглядів 2742 місяці тому
전환사채에 부가된 전환권은 자본과 금융부채 중 어느 것으로 분류되는가를 명확하게 설명합니다.
회계이슈3 복합계약과 복합금융상품
Переглядів 2493 місяці тому
복합계약과 복합금융상품이 뭐가 다른지 투자자와 발행자 관점에서 알기 쉽게 설명합니다.
회계이슈2_재평가모형 적용 자산의 손상차손환입에 한도?
Переглядів 3203 місяці тому
회계이슈2_재평가모형 적용 자산의 손상차손환입에 한도?
회계이슈1
Переглядів 4553 місяці тому
헷갈리는 회계 이슈들을 시원하게 해결하는 강의입니다. 앞으로 다양한 이슈들을 다룰 예정입니다. 비록 부정기적이지만 많이 구독하시고, 해결이 필요한 회계이슈가 있으시면 댓글에 올려주십시오.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45_18장(2) 영업활동 현금흐름-간접법, 투자 및 재무활동 현금흐름
Переглядів 3854 місяці тому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45_18장(2) 영업활동 현금흐름-간접법, 투자 및 재무활동 현금흐름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44_18장(1) 현금흐름의 분류, 영업활동 현금흐름-직접법
Переглядів 2994 місяці тому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44_18장(1) 현금흐름의 분류, 영업활동 현금흐름-직접법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43_17장(2) 오류수정
Переглядів 1964 місяці тому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43_17장(2) 오류수정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42_17장(1) 회계정책 변경, 회계추정치 변경
Переглядів 1944 місяці тому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42_17장(1) 회계정책 변경, 회계추정치 변경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41_16장(2) 리스제공자의 회계처리
Переглядів 2664 місяці тому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41_16장(2) 리스제공자의 회계처리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40_16장(1) 리스의 의의, 리스이용자의 회계처리
Переглядів 3364 місяці тому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40_16장(1) 리스의 의의, 리스이용자의 회계처리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39_15장 기본주당이익, 희석주당이익
Переглядів 2104 місяці тому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39_15장 기본주당이익, 희석주당이익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38_14장(2) 이연법인세의 인식
Переглядів 2534 місяці тому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38_14장(2) 이연법인세의 인식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37_14장(1) 법인세회계의 의의, 일시적차이
Переглядів 3104 місяці тому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37_14장(1) 법인세회계의 의의, 일시적차이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36_13장(3) 주식기준보상
Переглядів 3074 місяці тому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36_13장(3) 주식기준보상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35_13장(2) 확정급여제도(2)
Переглядів 2004 місяці тому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35_13장(2) 확정급여제도(2)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34_13장(1) 확정기여제도, 확정급여제도
Переглядів 2914 місяці тому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34_13장(1) 확정기여제도, 확정급여제도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33_12장(4) 계약자산, 계약부채, 보증, 고객선택권 등
Переглядів 2945 місяців тому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33_12장(4) 계약자산, 계약부채, 보증, 고객선택권 등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32_12장(3) 수익의 인식 과정 - 단계 4, 5
Переглядів 2385 місяців тому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32_12장(3) 수익의 인식 과정 - 단계 4, 5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31_12장(2) 수익의 인식과정(단계 3)
Переглядів 2755 місяців тому
중급회계 입문 제6판_No.31_12장(2) 수익의 인식과정(단계 3)

КОМЕНТАРІ

  • @user-ox-qxi1
    @user-ox-qxi1 2 дні тому

    자료와 강의가 정말 좋네요!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슈딩-x1b
    @슈딩-x1b 2 дні тому

    신현걸 교수님 안녕하세요! 회계사 시험 준비중인 학생입니다.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ㅠㅠ 좋은 강의와 교재 정말 감사해요!! 예제 9번 관련하여 질문이 있어서 댓글 드려요. <경우 3>에서 을회사가 자기주식 160주를 연결실체 외부로 매각한 것이 ×2년 말이므로 ×2년 중에는 내내 비지배지분 지분율이 25%였고, 그러므로 ×2년 중에 발생한 당기순이익 150,000원 중 150,000×0.25=37,500원이 비지배지분의 몫으로 귀속되어야 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즉, 이익잉여금 37,500│비지배지분 37,500의 분개를 한 다음에 자기주식 250,000│비지배지분 250,000의 분개를 하는 것이 맞지 않나 하고 생각했는데요..! 혹시 제가 어느 부분을 잘못 생각한 것인가요?? ㅠㅠ 교수님 항상 감사드립니다 :)

    • @shgclass
      @shgclass День тому

      강의 내용 중에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 올리세요.

    • @슈딩-x1b
      @슈딩-x1b День тому

      @@shgclass 교수님 답글 감사합니다!!! 그런데 제 댓글이 길어서 내용이 한 번에 표시되지 않나 봐요. 혹시 '자세히 보기' 누르셔서 질문 한 번 확인해 주실 수 있으실까요..?? :)

  • @TeruTami
    @TeruTami 2 дні тому

    감사합니다

  • @Xueji11
    @Xueji11 2 дні тому

    교수님 P.325 무형자산 기준서 번호 오기되어 있습니다. 1036호 -> 1038호 참고 부탁드립니다

    • @shgclass
      @shgclass 16 годин тому

      지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인쇄 때 반영하겠습니다.

  • @inwooklee6058
    @inwooklee6058 8 дн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 2회차 듣기 시작합니다.

    • @shgclass
      @shgclass 8 днів тому

      이해가 어려운 부분이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 올리세요.

    • @inwooklee6058
      @inwooklee6058 8 днів тому

      @shgclass 교수님. 늦었지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추운데 건강 잘 챙기세요. 감사드립니다.

  • @greenchex8938
    @greenchex8938 10 дн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교수님. 교수님 덕분에 즐겁게 공부하고있습니다. 25년도에 중급회계 출간일정이 있는지요. 문의드립니다. 즐거운 연휴 보내셔요!

    • @shgclass
      @shgclass 10 днів тому

      재무제표 표시 관련 기준서 1118호가 이미 2024년 4월에 공표되었고 2027년 1월 1일부터 적용할 예정입니다. 이는 2027년 회계사 1차시험부터 출제된다는 것이므로 2026년 학교 강의에 반영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2026년 1월에 개정 기준서를 반영한 중급회계를 출간할 예정이며, 2025년 중에 중급회계 개정판을 출간할 계획은 없습니다.

    • @greenchex8938
      @greenchex8938 10 днів тому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즐겁게 공부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DLGUSRB21
    @DLGUSRB21 11 дн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교재 P.173 7번 문제 질문드립니다. Q. 수정전 시산표상 소모품 18,000원이고, 기말 현재 미사용 소모품은 5,000원일때, 당기 말에 하는 결산수정분개는? 1. (차)소모품비 13,000 (대) 소모품 13,000 2. (차)소모품 5,000 (대)소모품비 5,000 답은 1번이라는데 이건 소모품을 모두 자산으로 인식했을 때고, 소모품을 모두 비용으로 인식했다면 2번도 되는 것 아닌가요?

    • @shgclass
      @shgclass 10 днів тому

      좋은 질문입니다. 문제에서 수정전 시산표에 소모품이 18,000이 있다고 했는데, 회사가 소모품을 취득하면서 모두 비용으로 인식하는 회계처리를 했다면 수정전 시산표에는 소모품이라는 계정이 표시되지 않았겠죠.

    • @DLGUSRB21
      @DLGUSRB21 10 днів тому

      @@shgclass 아하 답변 감사합니다!

  • @홍정의-w1i
    @홍정의-w1i 14 днів тому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열심히 듣고 공부하고 반복하고있어요

    • @shgclass
      @shgclass 14 днів тому

      회계원리를 천천히 꼼꼼하게 공부하는 것 같네요. 속도를 내려고 회계원리를 대충 이해하고 중급회계에 뛰어 들었다가 시간만 낭비하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 @inwooklee6058
    @inwooklee6058 15 днів тому

    감사드립니다. 연휴 잘 보내세요.

  • @DLGUSRB21
    @DLGUSRB21 19 днів тому

    재경관리사 시험준비를 하다가 막혀서 기초를 다시 다지기 위해 회계원리 강의가 필요했는데 감사히 듣겠습니다.

    • @shgclass
      @shgclass 18 днів тому

      동영상 내용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 올리세요^^

  • @김승우-p5r
    @김승우-p5r 20 днів тому

    회계원리에 이어 중급회계도 열심히 들어보겠습니다 양질의 강의 감사드립니다 교수님!

    • @shgclass
      @shgclass 19 днів тому

      중급회계는 회계원리보다 어렵습니다. 천천히 꾸준하게 복습하면서 진도를 나아가기 바랍니다.

  • @inwooklee6058
    @inwooklee6058 22 дні тому

    감사합니다.

  • @어남영
    @어남영 22 дні тому

    교수님덕분에 너무재미쏘요 회계가

    • @shgclass
      @shgclass 22 дні тому

      회계가 재미있다니 정말 다행이네요^^

  • @TeruTami
    @TeruTami 22 дні тому

    감사합니다

  • @inwooklee6058
    @inwooklee6058 22 дні тому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어남영
    @어남영 23 дні тому

    와진짜 모든걸아우르는 강의..

  • @inwooklee6058
    @inwooklee6058 27 днів тому

    좋은 강의 감사 합니다^^

  • @헤헤헷콩
    @헤헤헷콩 27 днів тому

    선생님 회계사를 꿈꾸고 있는데 회계원리-중급회계-고급회계 로 공부를 시작하면 맞는걸까요? 그리고 관리회계, 회계감사 등등 수업도 들을 예정입니다! 현재 경영학과 재학생입니다.

    • @shgclass
      @shgclass 27 днів тому

      회계원리, 중급회계, 고급회계 순서로 공부하는 것은 맞습니다. 다만 원가관리회계는 회계원리 공부 후에 중급회계를 마치지 않더라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세무회계는 중급회계를 마친 후에 공부하는 것을 권합니다. 회계감사도 중급회계를 마친 후에 공부하세요.

  • @inwooklee6058
    @inwooklee6058 27 днів тому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교수님

  • @Hyunseokim0513
    @Hyunseokim0513 27 дн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DNCE_DNCE
    @DNCE_DNCE 28 днів тому

    ㅠㅠ 지난달 말에 12판 새 교재를 구입했는데 13판이...

  • @한계사
    @한계사 28 дн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inwooklee6058
    @inwooklee6058 28 дн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교수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교재와 강의 모두 너무 좋습니다. 혹시 원가관리회계 강의는 안 올리시는지요?

  • @TeruTami
    @TeruTami 28 дн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inwooklee6058
    @inwooklee6058 29 днів тому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Hyunseokim0513
    @Hyunseokim0513 29 днів тому

    감사합니당. 잘 공부하겠습니다😊

  • @필승-g1g
    @필승-g1g Місяць тому

    책내용이 상당히 괜찮지 않을까 싶어서 곧 구매 예정입니다ㅎㅎ

  • @TeruTami
    @TeruTami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다

  • @hsk5106
    @hsk5106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다! 노팅 기다리고 있습니다!

    • @shgclass
      @shgclass Місяць тому

      노팅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 @최영진-s5r
    @최영진-s5r Місяць тому

    교수님 강의 잘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shgclass
      @shgclass Місяць тому

      동영상으로 공부하다가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에 질문을 올려 놓으세요.

  • @영소고
    @영소고 Місяць тому

    강의에서 언급하진 않으셨지만 혹시 왜 복구충당부채의 경우 복구예상비용이나 이자율이 변경됐을 때 최초이자율로 측정하지않고, 현행이자율로 측정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충당부채의 변동은 매 보고기간 말마다 최선의 추정치를 반영해야한다는 문장때문에 그렇게 적용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shgclass
      @shgclass Місяць тому

      충당부채는 보고기간 말 현재, 미래의 현금유출 금액을 추정하고, 보고기간 말 현재의 이자율을 적용하여 현재가치로 측정합니다. 그런데 1년 후에 다시 미래의 현금유출 금액을 추정하니 그 금액이 달라질 수 있고, 1년 후 현재의 이자율도 변동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독자님도 질문에 언급한 것처럼 매 보고기간 말마다 최선의 추정치로 충당부채를 보고해야 하므로 최초 이자율이 아닌 현행이자율로 현재가치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 @TeruTami
    @TeruTami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다

  • @TeruTami
    @TeruTami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다

  • @TeruTami
    @TeruTami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다

  • @TeruTami
    @TeruTami Місяць тому

  • @TeruTami
    @TeruTami Місяць тому

  • @TeruTami
    @TeruTami Місяць тому

  • @방동진-b8v
    @방동진-b8v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교수님 영상 보고 한가지 여쭤봅니다. 전기에 손상차손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했고 당기에 재평가했을때 공정가치가 재평가전 금액보다 더 높은 상황에서 전기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손상차손을 먼저 없애는게 맞는지 아니면 손상차손은 그대로 냅두는지가 궁금합니다.

    • @shgclass
      @shgclass Місяць тому

      재평가모형을 적용하는 상각대상 유형자산의 회계처리를 정리해 봅니다. 보고기간 말에 우선 감가상각비를 인식합니다. 이렇게 감가상각비를 반영한 장부금액을 공 정가치와 비교하여 재평가 증가 또는 재평가 감소의 회계처리를 합니다. 이때 재평가 증가의 회계처리는 기본적으로 OCI(재평가잉여금)의 증가로 인식하지만, 만약 과년도에 당기손실(그것이 과년도의 재평가손실이든 손상차손이든 관계없이)을 인식했더라면 그 금액만큼 재평가 증가액을 당기이익으로 인식하고, 그래도 모자라는 재평가 증가가 있다면 이를 OCI로 인식하는 것입니다. 질문을 보면 약간 혼란스러운데, 질문에서는 "전기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손상차손을 먼저 없애는 것이 맞는지"라고 서술하였는데 해당 문장 자체만 보면 옳지 않은 서술입니다. 왜냐하면 전기에 손상차손을 당기손실로 인식했다면 전기오류수정이 아닌 한 당기에 이를 "없애는" 회계처리를 할 수는 없죠. 전기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손상차손이 있다면 그 금액만큼 당기에 재평가 증가의 회계처리를 할 때 OCI가 아니라 당기이익(일반적으로 재평가이익 계정 사용)으로 인식하고, 이렇게 하고도 재평가 증가를 모두 인식하지 못한다면 남은 금액을 OCI로 인식하는 것입니다. 이해하셨죠?

    • @방동진-b8v
      @방동진-b8v Місяць тому

      @ 네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구구구-i7d
    @구구구-i7d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원가회계는 강의 계획이 있으실까요?

    • @shgclass
      @shgclass Місяць тому

      예전에 학교에서 원가회계 강의를 했습니다만, 지금은 재무회계 분야만 강의하고 있습니다.

    • @구구구-i7d
      @구구구-i7d Місяць тому

      @ 그러시군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조옥란-i3c
    @조옥란-i3c Місяць тому

    이제 고급회계 시작하려는 학생인데요 1-2강 없는 이유는 3강부터 시작해도 충분하기때문인거겠죠? 감사합니다

    • @shgclass
      @shgclass Місяць тому

      고급회계는 개정 제13판이 다음 주에 e Book으로 출간(노팅 교보)되고 종이책은 2월 중에 출간될 예정입니다. 제13판 동영상 강의는 다음 주부터 순차적으로 업로드됩니다.

    • @조옥란-i3c
      @조옥란-i3c Місяць тому

      @@shgclass우왛 감사합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TeruTami
    @TeruTami Місяць тому

  • @TeruTami
    @TeruTami Місяць тому

  • @kosik-fy4hl
    @kosik-fy4hl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십니까 교수님? 해당 강의 예제 5번과 관련해 질문있습니다. 20X4년 초에 종업원이 가득한 주식선택권의 절반을 행사한 거래의 회계처리에서, 주식선택권의 절반이 행사되어 현금납입액1,380,000원과 주식선택권 552,000원이 차변에 기록되고 대변에 자본금 920,000원과 주식발행초과금이 1,012,000원으로 인식되었는데, 행사된 주식선택권 가치가 왜 주식발행초과금에 포함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임직원은 주식선택권을 행사해서 기업에 1,380,000원만 입금했고 자본도 주식이 발행된 만큼 920,000원만 늘었는데, 왜 주식발행초과금에 현금 납입액과 자본금의차이인 460,000원에 주식선택권 552,000까지 포함되는 것인가요?? 임직원이 주식선택권을 행사하면 자본조정인 주식선택권이 자본잉여금인 주식발행초과금으로 대체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하는 것인가요??

    • @shgclass
      @shgclass Місяць тому

      회사의 입장에서 볼 때 종업원이 주식선택권을 행사한다는 것은 유상증자와 그 실질이 유사합니다. 즉, 종업원으로부터 주식발행 대가를 수취하고 주식을 교부하는 것인데, 그 전에 종업원으로부터 용역을 제공받으면서 주식보상비용과 주식선택권을 인식했으므로 주식을 교부할 때 차변에 종업원으로부터 수취한 현금뿐만 아니라 이미 (대변으로) 인식했던 주식선택권 중 행사한 부분만큼도 차변으로 제거해야 합니다. 이렇게 차변 항목이 결정되면 대변으로 교부한 주식의 액면금액만큼 자본금의 증가를 인식하게 되는데 대변에 차액이 생기므로 이를 대차일치 금액으로 하여 자본잉여금 중 주식발행초과금으로 인식하는 것입니다.

    • @kosik-fy4hl
      @kosik-fy4hl Місяць тому

      @@shgclass 답변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그러면 종업원이 납입한 현금 금액 1,380,000원이 교부한 주식의 액면금액이 아니라, 거기에 주식선택권 552,000원을 합친 가격인 1,932,000원이 교부한 주식의 액면금액인 것인가요?!

  • @김재원-j5b
    @김재원-j5b Місяць тому

    안녕하세요 18분35초에 중단영업이면 매각예정비유동자산이라고 말씀해주셨는데 이 명제가 반드시 성립하는 건가요? 1105호 문단13 '폐기될 비유동자산은 매각예정으로 분류할 수 없다.....문단32를 만족하면 중단영업으로 표시한다' 이렇게 나와 있어서 중단영업이라도 매각예정비유동자산이 아닐 수 있다고 생각이 들어 댓글 남깁니다

    • @shgclass
      @shgclass Місяць тому

      중단영업에 해당된다면 이는 매각처분을 앞두고 있는 사업부 등을 말하므로 중단영업 사업부에 속해 있는 토지, 건물 등 비유동자산은 당연히 재무상태표에 매각예정비유동자산으로 분류 표시해야 합니다. 혼동하지 말아야 할 것은 중단영업에는 여러 가지 자산과 부채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 중에서 비유동자산 및 해당 비유동자산과 관련되어 있는 부채 및 OCI만 매각예정항목으로 재무상태표에 구분표시하는 것입니다. 또한 중단영업에서 발생한 수익과 비용은 세후 순액으로 하여 손익계산서의 하단에 중단영업손익으로 별도 표시하는 것입니다. 한편 사용하다가 폐기하기로 결정한 자산은 매각예정이 아니므로 매각예정비유동자산이 아니며, 상각자산이라면 폐기 직전까지 감가상각을 계속해야 합니다.

  • @TeruTami
    @TeruTami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다

  • @TeruTami
    @TeruTami Місяць тому

  • @TeruTami
    @TeruTami Місяць тому

  • @TeruTami
    @TeruTami Місяць тому

  • @TeruTami
    @TeruTami Місяць тому

  • @TeruTami
    @TeruTami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