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자형방향타관련해서는 범고래급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 우선은 현대 hds2400 은 .. 100%로 수출용잠수함이고 이에대해서는 디젤잠수함 설계까지 마친모델입니다. 뭐 .. 관련해서는 최대속도 24노트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 그다지 이야기나오지 않은 상황이고, 이건 동남아 몇몇 국가를 대상으로 철저히 수출형모델로 개발설계한 모델인데. 한화 역시 2000톤급으로 설계하고 있는중입니다. 하지만.. hds 수출형과 장보고4는 전혀 다른 모델입니다. x방향타 는 장보고 4에는. 장착할지 몰라도. . hds 2400 모델은 십자형일 가능성이 높고 . 현재 이건 수출모델제안형일뿐 큰의미는 없습니다. 까치살모님께서 언급한 현대 물건이 유리한 것도 아닙니다. hds2400 은 철저하게 동남아수출형모델을 제시한 설계안일뿐이지. 전혀 다른 물건입니다. 이부분에서 몇몇 동남아의 한국가의 요구사항을 적용 해서 만든 설계안이라는 사실입니다. 거의 손원일급의 확장형이라고 보시는게 더 나을겁니다. x방향타관련해서는 적용된다 안된다 하지만, 이부분은 관련한 가격에 있습니다. 범고래급 운영하면서 상당히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는듯 합니다. 뭐 x 방향타가 첨이라서 그런지 . 제대로운 운영하기에 조작관련한 부분이 있는 알수는 없습니다. 뭐 이게 또 보안사 관련한 배속문제라서 실질적으로 운영이 되는지 않되는지 조차도 알수 없는 물건이니까요. 워낙 시험적인 물건이라서 정확히 알려진 정보도 없고, 범고래급의 몇몇 항간에 떠도는 이야기로는 모체와 자체의 의 소형잠수정을 싣는다라는 이야기도 있어서. 뭐 5인용잠수정을 싣는다라는 이야기도 있어서 .. 제대로 알려진것도 없습니다. x방향타관련해서는 충분한 실전배치되어서 이를 굉장히 분석하고 있겠지만, 2400톤급을 적용하기에는 아직까지는 제대로된 데이터확보가 부족한것도 사실입니다. 심지어는 돌고래급운영당시에 .. 중국불법선박의 쌍끌이망에 걸려서 그물을 찢었다라는 이야기도 있고 해서. 착선관련한 이야기는 아직은 의문점이 많은것도 사실입니다. 결국 장보고4급으로 x방향타관련해서는 설계안으로는 사실인듯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만, 현대hds 2400 관련해서는 x방향타가 아닙니다. 요구는 했지만, 가격적인 부분에서 싼가격으로 제시하기 위해서 손원일급함의 확장형이라고 보시면됩니다. 잠수함을 첨 운영하는국가라서 교육이라던가 거주환경에대해서 상당히 요구한 상황이라서 . 약 500톤이상으로 확장한 모델이 현대hds2400 모델전의 . 설계안입니다. 그러니 기존의 함정설계안으로 장보고4급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말할수 있습니다. 수출용 모델 과 장보고4급의 모델 설계안이 따로 나왔을 것이지 이게 서로간에 상관관계로 볼때 전혀 다른 물건이라는 사실입니다. 지금 한화 와 현대의 설계안이 핵심이 달리 하고 있는데. 현대는 순수 잠수함의 성능업을 노린 x방향타와 관련해서 순항속도관련해서 설계안을 내고 있엇고, 한화는 생뚱맞게 무인잠수정의 모체로서 옆구명에 이나 상부에 엊혀가는 자함을 거치하는 형태로 .. 설계안을 내보이고 있습니다. 예. 범고래사업은 2척이 끝입니다. 관련 사업은 원래 6척으로 알려졌는데. 향후..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모델로 추가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때.. 나오는 물건이 바로 펌프제트.. 추진방식입니다. 실제로 장보고4에 워터제트추진방식은 장착되지 않습니다. 이건 확정입니다. 즉, 한화가 자함체의 무인잠수정관련해서 .. 모체의 잠수함을 선보인데는 범고래급사업후속으로 개발될 침투형잠수정에. 사용될 무인화잠수정을 개발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부분은 a26관련해서 모티브를 하고서 설계안을 내놓고 있다라는 이야기입니다. 현대는 이부분에서 침투형잠수정을 .. 운영하는데 제대로 .. 만들겠다라는 이야기고 . 뭐 이건.. 해군에서 .. 결정할 부분인데 해군에서는 이침투형잠수정관련해서는 크게 신경을 쓰는 경우도 아니고. 장보고4 관련해서는 현재는 설왕설래가 심한 편입니다. 제대로 확정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것이죠.. 우선은 침투형잠수정관련해서는 이미 사업성을 시작한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때 장착한 추진기관이 펌프젯 추진방식으로 선정될 가능성이 매우높습니다. 사실상 add 에서 연구개발에 착수한지는 꽤오래되었습니다. 관련한 연구실수준의 선행연구개발과제급으로 수행되어오던 방식이였습니다. 이걸 실전배치될 물건으로 만드는 연구는 내년에 시작된다라는 이야기 일뿐입니다. 심지어 현재 add 관련해서 얼마전에 나온 . 이중프로펠러.관련해서 전자기식해서 . 이중프로펠러 관련한 내용도 적용과제도 있습니다.. 이중 프로펠러에서. 케니스터 현상이 급격히 줄어든다고해서.. 적용될 가능성에 대해서 연구중입니다. 겨우 실험실에서 나와서 이와관련한 연구데이터를 축척한다고 보시면됩니다. 다만 이게 민관군 합동사업으로 인해서 실제로 적용될지는 알수는 없지만, 현재는 수상함기준으로 실물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것으로 알려져 잇습니다. 펌프젯관련해서는 보안사 관련해서 요구사항이기에. . 범고래급이후의 사업에 . 그냥 범고래2사업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정확한 명칭은 나온게 없습니다. 하지만 실질적인 장보고4에 . 적용되리라고는 보지 않습니다 . 관련한 기술해서라기 보다는 현재 한화의 무인잠수정의 운영관련해서 . 설계안을 내놓은 상황에서 펌프젯을 장착하기에는 실내공간의 축소는 현실적인 문제가되고 있습니다.
지금 썸네일에 있는게 hds2300입니다. 그리고 기존에 현대에서 2천톤급 수출형 모델을 만들어서 동남아에 재안한적은 있지만요 이것과 hds2300은 다른 모델이고요. 정확히 이건 폴란드에 처음으로 재안된 모델입니다. 그전에는 다른 나라에 제안된적이 없습니다. 폴란드에도 현대는 처음에 장보고3 블록1을 제안했다가 나중에서야 hds2300을 제안했습니다. 아마 그때서와 기본설계가 완성되어서 같습니다.
@@kkachisalmo 아 그렇네요. 제가 착각했보네요... 폴란드제안형은 아직은 결정단계가 아니라서. 뭐라 하기 힘든데. 거기에 한화 와 현대가 원팀구성이 되어서 위에 모델은 사장되는것으로 .. 알고 있는데.. 폴란드 제안형은 두회사가 모두 달라서 .. 내년? 하루남았네요. ^^. 이나 되어야 새모델 설계안이 제시될듯 합니다. 아직도 폴란드관련해서는 워낙 변수가 많으니. 제안 모델은.. 사장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오히려 폴란드에서는 한화가 제시한 상부 무인잠수정장착형이나 침투형 소형잠수정을 운영하는 모델을 선호하고 있는듯 합니다.
@@billee5759 무인잠수정 장착능력은 한화에 한정된 능력이 아닙니다. 그건 우리나라 잠수함 전부에 적용되는 개념입니다. 그 무인잠수함은 정확히는 잠수함 세일 후반에 있는 탈출용 출입구에 도킹을 하는것입니다. 원래 모든 잠수함에는 심해구조잠수정이 도킹하기 위한 후방 출입구가 있고 이곳에 무인 잠수정이나 소형 잠수정이 도킹하는것이기 때문에 한화에 국한되는 능력도 아닙니다. 정확히 우리는 이 기능을 우선은 장보고 쓰리부터 시험을 할거지만 이건 모든 잠수함에게 다 해당되는 일입니다.
@@kkachisalmo 예.... 모든 잠수함에 해당되죠. 하지만 현대의 설계안 과 한화의 설계안의 차이를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현대는 아직 무인잠수정관련해서는 아직은 . 제대로 개발하지는 않는다라는 것이고, 무인잠수정관련해서는 500톤이상급으로 의외로 대형잠수정관련해서 . 더 신경쓰고 있다라는 것이죠. 한화는 완전한 침투용 잠수정과 소형무인잠수정의 장착에 집착한다라는 이야기입니다. 현대는 장거리 무인잠수정..... 한화는 단거리 잠수정에 집착한다라는 차이를 말하고 싶었습니다.
전고체 에너지밀도도 2030년대 되면 더 고밀도화 됩니다. 원자력 추진을 대신해 전고체 잠수함이 훌륭한 차선책이 될수 있고 전기추진이기에 그 정숙성은 그 어떤 추진체보다 조용할겁니다. 한국이 가장 앞서고 잘할 수 있는 분야를 초격차로 독보적인 전력을 갖춰야 하며 이런 기술을 유출하는 자들은 극형에 처하는 법안이 조속히 만들어져야 할겁니다.
@@kkachisalmo 현대자동차까지도 자체 전고체 배터리 양산 공장을 건설중이니까 삼성 LG SK 등등 여러군데서 국내생산이 가능해지면 아무래도 유리하겠지요. 하지만, 님이 말씀하시는 독점까지는 아닐 꺼구요. 왜냐면, 전고체는 일본쪽이 먼저 시작했고, 현재도 만만찮아요. 결국 배터리 업체에서 납품하는 거니까 일본은 물론 프랑스 같은 다른 나라들도 적극 채용하리라고 봅니다.
@@brandonpak2445 문제는 우리는 바로 업체로부터 시재품을 받아서 잠수함용 베터리를 개발할수 있고요. 프랑스등은 일본등에서 양산품을 받아서 개발해야 합니다. 더욱이 웃기는건 베터리 셀을 받아서 완성품 베터리를 개발하는 속도도 우리가 앞도적으로 빠릅니다. 당연히 그래서 영원히 우리만 전고체 베터리 잠수함을 만들수는 없겠지만 일시적으로는 우리가 독점을 할수는 있습니다.^^
전고체배터리관련해서. 몇몇 이야기를 하자면 현재. 대안책이 나와서. 중국이 전고체배터리기술이 떨어지니. 새로운 기술을 개발햇습니다. 인산철배터리를 ... 젤 로해서 젤배터리방식이 새로나왓습니다. 이걸 자국잠수함에 적용하거나, 거기에 . 무인잠수정에 장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부분은 향후 전고체배터리의 발전과 젤베터리관련해서 주시할 필요가 잇을듯 합니다.
젤 배터리는 반고체 배터리라고 마케팅을 해서 그런데...사실 리튬폴리머라고 꽤나 오래된 기술입니다. 전고체와는 전혀 다른 물건이고 그냥 인산철 배터리입니다. 인산철 배터리는 온도 특성이 안좋고 C-rate를 낮게 가져갈 수 밖에 없습니다. 즉, 강한 순발력을 발생시키면 위태로워지는 녀석입니다. 에너지 밀도도 낮고요.
7:50 케비테이션 현상에 대해 설명하면서 왜 이것이 수중에서의 소음을 직접적으로 유도하는지에 대해서는 설명이 부족했는데요, . 케비테이션이 수중소음에 어떻게 직접적으로 관여하게되냐면, 어뢰나 잠수함의 프로펠러가 액체 (바다 속) 내에서 빠르게 이동(스크류가 빠르게 회전함) 하거나 압력이 낮아지는 환경(스크류가 회전하면서 어느부분에는 고압이, 어느 부분에는 저압이 형성)에서 액체 내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어뢰나 잠수함이 활동하는 영역인 심해에서는 대기압보다 훨씬 강한 수압으로 인해 증기압(물의 끓는 점)이 낮아지고 물이 수증기로 바뀌는데, 이것이 기포를 형성하는겁니다. 그리고 이 기포들이 스크류의 마모를 유도하지만 직접적으로 수중소음을 만들어내는데에는 기포들이 터지면서 수중소음 및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것을 최대한 잘 통제하는것이 잠수함의 은밀성을 지키는 키 포인트인겁니다.
그래서 이중프로펠러관련해서 연구중입니다.. 이건 add 에서 연구하는게 아니라 민관군해서 합동개발체로 구성되어서 연구실에서 벗어나서 이제 실증모델을 적용해서 수상함에 먼저 적용한다고 합니다. 얼마전 . 자기식 프로펠러 해서 . 이중로터 관련한 부분을 아덱스에서 공개했었죠 예 바로 그회사입니다.
틀렸음! 액체의 비등점(끓는 온도)은 압력이 높아질수록 높아짐. 거꾸로 생각하면 액체가 받고 있는 압력이 낮아지면 액체의 비등점도 낮아짐. 외항 화물선의 증발식 조수기는 거의 60도에서 바닷물을 증발시킴.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조수기의 증발부를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으로 유지시키기 때문임. 캐비테이션은 액체가 받고 있는 압력과 온도, 그리고 액체의 유동속도(흐르는 속도)와의 관계에서 결정됨. 프로펠러의 팁(끝단)에서는 액체의 속도가 아주 빠르기 때문에 동압이 높아지고 정압이 낮아짐. 즉 압력이 낮아졌고, 액체의 온도가 그 압력에 대응하는 포화압력보다 낮아지면 증기가 발생함. 프로펠러 끄단에서 이탈된 증기는 바로 액체로 응축되고 이 때 큰 소음이 발생됨. 도움이 되셨기를...
@@soon-hochoi2886사실 그렇게 따지면 말이 안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실제로 엔진토크수와 회전속도 및 산소함유량 과 그에 따른 수온까지 겸하고 그에 따른 염분농도상황에 따른 발생량이모두 달라지게 됩니다. 거기에 기포발생기관련한 기포에 대한 실전운영에 관련해서는 또다른 이야기가 됩니다. 가장큰부분은 바로 해류방향에 따른 역해류나 측면해류를 지고 있다면 그에 대한 기포발생의 편중화로 인해서 소음이 더심해지게 됩니다. 가장 무서운 해양의 쓰레기 관련해서는 그심각도가 더욱심해지죠. 거기에 뻘이냐 모래냐 따라서 또달라지고.. 탁도 에따른 음파의 저해성까지도 영향미치게 됩니다. 중금속관련한 오염수에도 심각한 영향력을 끼치고 .. 그모든 실전적인성향의 한부분씩만을 이야기하니. 틀리다고 할수도 없고 맞다고도 할수도 없는 부분입니다. 쉽게 이야기해서 .... 인생은 실전이라는 것이죠. ㅡ.ㅡ
유압식이 아닌 공간이 적게 차지라는 전기 모터식 제어방식, 그리고 액스자형은 처음 적용해 보는것이라 말씀하신것 처럼 시행착오가 많았다 합니다. 지금은 다 해결되었다니 다행이네요 끝으로 액스차형 운영데이터를 토대로 미국처럼 0000급 공격 잠수함 (SSN), 장보고급 탄도 미사일 잠수함 (SSBN), 0000급 유도 미사일 잠수함 (SSGN)을 만들어 졌으면 좋겠습니다.
아직은 없습니다. 잠수함용 엔진이라는게 개발이 어려운게 아니라 문제는 신뢰성을 높여야 하는데 그게 쉬운게 아니라서요. 한마디로 개발만 한다고 끝인 물건이 아닙니다. 심지어 오래동안 자국산 엔진을 사용하던 일본 조차도 앞으로는 해외에서 엔진을 도입할수도 있다고 하는 실정이라.
굳이 잠수함용엔진개발을 할 이유가 없습니다. . 향후.. 20년이내에. 이 동력체계의 변화가 심하게 올것이라서. 아직가지 뭐가 표준일지는 알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관련한 엔진부분에서 잠수함의 매우 비싸고 무거운 물건이니 . 경량화를 위해서도. 다른 엔진방식이나 모터방식으로 바뀌는 경향으로 갈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실제로. 엔진관련해서 소형화 2개 넣어서 발전기로만 돌리는 방안까지 나와서 . 어떻게 될지는 아직까지는 모릅니다. 북유럽관련해서 모터만으로 운영하는 설계안을 내놓은적이 있어서. 모터 관련한 개발속도도 만만치 않게 개발되고 있어서 향후 어떻게 될련지는 알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현대 및 stx 관련해서 잠수함 엔진관련해서 기술은 가지고 있습니다. 근데.. 그게 팔릴까요.. 라는 의문을 한다면. 쉽지 않죠. 다음세대 모터운영으로 개발준비중입니다.
@@김동현-t1t1h 이미 개발했습니다. 힘쎈 엔진이라고.. ^^ 다만 고출력엔진관련해서는 향후 어떠한 방향성을 갈지는 두고볼일입니다. 전투함선관련해서도.... 디젤엔진은 발전기로서만 사용하는 형국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힘쎈엔진을 축소화해서 두기 장착하는게 더나을수도 있다라는 이야기입니다.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갈지는 두고볼일이지만, 엔진관련해서는 현재 호위함을 기준으로 몇몇 해서 국산화노력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재 이중프로펠러기술이. 우리나라에서 개발중입니다. 관련한 프로펠러가공기술은 이미 독자적으로 개발된 상황이고 프로펠러관련한 부분에서 현재 자기식 이중프로펠러.... 로 개발하려고 움직임이 있습니다. 첫째로 고장이 안납니다. 케비네이터 관련한 부분에서도 굉장히 효울적이고, 향후. 펌프젯 보다는 이중프로펠러방식이.. 될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일전에 비밀에서 위성에서 포착했다는 잠수함이 정보사 잠수함인 모양 이내요! 비밀이 토론이 워낙에 급나개 꼬리에 꼬리를 물고 늘어지는 분들이 많아서 회원가입은 안고 그냥 눈팅만 하면서 밀리터리 지식을 좀 올려는대 그때 까치살모님 닉을 봐는대 그까치사모님이 맟으신지? 균형잡는건 선박처럼 스테비 라이져를 달면 안될까요?
출력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는데 고속에 유리한 펌프제트라면 좀 이상하지 않을까요? 오히려 중고속 기동에 유리한게 펌프제트고 저속 기동에 유리한게 프로펠러라고 설명하는게 오히려 더 좋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복합재를 쓴다는 것은 양쪽 다 해당되는 사항이 아닐까 하구요. 그럼 결국 설계사상이 뭐냐인건데... 작전 수심이 얕기는 해도 얕은 곳에서 느리게 매복할 것인가? 빠르게 기동하며 복잡한 해안선을 움직일 것인가? 로 보면 맞을까요? 거기에 배터리와 추진 모터의 세팅이 어떤 방향으로 갈지도 궁금합니다.
까치님은 아니지만, 당연한 말이지만 핵추진과 전고체는 그냥 클라스가 달라요. 우리가 항모만 달랑 개발을 하기가 좀 난감한 이유가 핵추진 잠수함이 없어서 이기도 하죠. 항모는 적 잠수함 공격에 취약하기에, 아군 잠수함 호위가 필수적이라고 하죠. 그런데 전고체 마져도 이 항모의 순항속도(약 15노드)와 전투기 발진을 위한 속도 (약 30노트)를 수십일을 장시간 같이 다녀야 하는데, 이는 전고체로도 아에 불가능한 임무죠. 그외 거의 대부분의 모든 임무와 작전에서 작은 선체 사이즈로 인한 이점 정도 빼고는 핵추진을 능가할 수 없다고 보면 됩니다.
매우 안좋은데..... 범고래급처럼 침투형잠수정이라면 정보사에서 먼저 원했습니다. roc 가.. 관련한 잠항은밀성 관련해서 상향요구를 했다고 합니다. 사실 장보고4에는 적용되지 않고 범고래2급사업에. 적용될 물건이 될 가능성이 매우높습니다. 이부분은 까치살모님께서.. 좀 너무나가신듯 하네요.
누가 그런 말도 안되는 소리를 ㅎㅎㅎㅎ 러시아 잠수함은 지금까지 단 한번도 소음레벨에서 미국 잠수함을 앞서본적이 없고요. 당연히 그 잠수함이 뭔지 아는데요. 그 잠수함은 크기도 작아서 오히려 방진장치가 일반잠수함보다도 적에서 소음이 엄청나게 큼니다. 누가 그런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고 다니나요 ^^;;
아무리 전고체 배터리를 적용해도 배터리 에너지는 한정되어 있고 디젤 잠수함이 20노트 수준의 고속을 내는 것은 매우 짧은 시간이고 그것도 대부분 적에게 들켜서 도망갈 때나 내는 속도이니 소음 감소 효과 보다는 에너지를 추진력으로 변환해 주는 효율이 높은 방식을 택해야 한다고 봅니다 국방과학 연구소가 펌프제트를 연구한다면 그것은 장보고4를 위한 것 보다는 만약에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하게 된다면 사용할 목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아닌지 추측해 봅니다
베터리의 방전율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베터리를 보면 용량을 표시하는데 V(전압)과 A(용량)으로 표시하는데 리듐 전지의 경우 C(방전율)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베터리에 12V 25A이렇게 표시되어 있으면 12V전압에 25A로 1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할수 있는 용량 입니다 여기에 10C 이런 표식이 있다면 12V 250A 용량으로 전력을 6분동안 공급해 줄수 있다는 표식 입니다 즉 공급 용량을 배수 형식으로 올려줄수 있지만 공급 시간은 반비례해서 줄어들게 됩니다 방전율에 비례 고용량의 전력을 사용할수 있지만 그만큼 가동시간은 줄어듭니다 이런높은 방전율의 베터리들은 그만큼 충전시간도 고전압으로 빨리 충전이 가능 합니다 최근 나오는 리듐 베터리의 경우 방전율이 100~200C까지도 가능한 베터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kkachisalmo 제글을 끝까지 전부 읽어 보신건가요? 모가 높다고 말하시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설명한것은 리듐 베터리의 방전율에 관한 것 입니다 일반적인 납 전지의 경우 방전율을 표시하지 않습니다 리듐 베터리의 경우 만 방전율을 표시하는데 방전율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전고체 베터리 10MW출력의 베터리가 있고 이 베터리의 방전율이 100C라고 가정 하면 이베터리의 최대 출력은 1GW까지 높일수 있지만 지속 시간은 36초밖에 지속을 못합니다 즉 베터리 용량은 1시간 지속기준의 용량을 표시하는데 방전율이 높을수록 출력은 높아지지만 전력 지속시간은 줄어듭니다 잠수함도 마찬가지 입니다 높은 전력으로 속도를 높일수는 있지만 최고속도를 지속할수 있는 베터리의 지속시간은 줄어듭니다 전 드론 개발자 입니다 10년전 부터 드론 개발하면서 리튬 베터리를 다루다 보니 남들보다는 조금더 아는 수준 입니다
x자형방향타관련해서는 범고래급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
우선은 현대 hds2400 은 .. 100%로 수출용잠수함이고 이에대해서는 디젤잠수함 설계까지 마친모델입니다.
뭐 .. 관련해서는 최대속도 24노트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 그다지 이야기나오지 않은 상황이고,
이건 동남아 몇몇 국가를 대상으로 철저히 수출형모델로 개발설계한 모델인데.
한화 역시 2000톤급으로 설계하고 있는중입니다.
하지만.. hds 수출형과 장보고4는 전혀 다른 모델입니다.
x방향타 는 장보고 4에는. 장착할지 몰라도. . hds 2400 모델은 십자형일 가능성이 높고 .
현재 이건 수출모델제안형일뿐 큰의미는 없습니다.
까치살모님께서 언급한 현대 물건이 유리한 것도 아닙니다.
hds2400 은 철저하게 동남아수출형모델을 제시한 설계안일뿐이지. 전혀 다른 물건입니다.
이부분에서 몇몇 동남아의 한국가의 요구사항을 적용 해서 만든 설계안이라는 사실입니다.
거의 손원일급의 확장형이라고 보시는게 더 나을겁니다.
x방향타관련해서는 적용된다 안된다 하지만, 이부분은 관련한 가격에 있습니다.
범고래급 운영하면서 상당히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는듯 합니다.
뭐 x 방향타가 첨이라서 그런지 . 제대로운 운영하기에 조작관련한 부분이 있는 알수는 없습니다.
뭐 이게 또 보안사 관련한 배속문제라서 실질적으로 운영이 되는지 않되는지 조차도 알수 없는 물건이니까요.
워낙 시험적인 물건이라서 정확히 알려진 정보도 없고, 범고래급의 몇몇 항간에 떠도는 이야기로는 모체와 자체의 의 소형잠수정을 싣는다라는 이야기도 있어서.
뭐 5인용잠수정을 싣는다라는 이야기도 있어서 .. 제대로 알려진것도 없습니다.
x방향타관련해서는 충분한 실전배치되어서 이를 굉장히 분석하고 있겠지만, 2400톤급을 적용하기에는 아직까지는 제대로된 데이터확보가 부족한것도 사실입니다.
심지어는 돌고래급운영당시에 .. 중국불법선박의 쌍끌이망에 걸려서 그물을 찢었다라는 이야기도 있고 해서.
착선관련한 이야기는 아직은 의문점이 많은것도 사실입니다.
결국 장보고4급으로 x방향타관련해서는 설계안으로는 사실인듯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만, 현대hds 2400 관련해서는 x방향타가 아닙니다.
요구는 했지만, 가격적인 부분에서 싼가격으로 제시하기 위해서 손원일급함의 확장형이라고 보시면됩니다.
잠수함을 첨 운영하는국가라서 교육이라던가 거주환경에대해서 상당히 요구한 상황이라서 .
약 500톤이상으로 확장한 모델이 현대hds2400 모델전의 . 설계안입니다.
그러니 기존의 함정설계안으로 장보고4급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말할수 있습니다.
수출용 모델 과 장보고4급의 모델 설계안이 따로 나왔을 것이지 이게 서로간에 상관관계로 볼때 전혀 다른 물건이라는 사실입니다.
지금 한화 와 현대의 설계안이 핵심이 달리 하고 있는데.
현대는 순수 잠수함의 성능업을 노린 x방향타와 관련해서 순항속도관련해서 설계안을 내고 있엇고,
한화는 생뚱맞게 무인잠수정의 모체로서 옆구명에 이나 상부에 엊혀가는 자함을 거치하는 형태로 .. 설계안을 내보이고 있습니다.
예. 범고래사업은 2척이 끝입니다. 관련 사업은 원래 6척으로 알려졌는데. 향후..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모델로 추가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때.. 나오는 물건이 바로 펌프제트.. 추진방식입니다.
실제로 장보고4에 워터제트추진방식은 장착되지 않습니다. 이건 확정입니다.
즉, 한화가 자함체의 무인잠수정관련해서 .. 모체의 잠수함을 선보인데는 범고래급사업후속으로 개발될 침투형잠수정에. 사용될 무인화잠수정을 개발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부분은 a26관련해서 모티브를 하고서 설계안을 내놓고 있다라는 이야기입니다.
현대는 이부분에서 침투형잠수정을 .. 운영하는데 제대로 .. 만들겠다라는 이야기고 .
뭐 이건.. 해군에서 .. 결정할 부분인데 해군에서는 이침투형잠수정관련해서는 크게 신경을 쓰는 경우도 아니고.
장보고4 관련해서는 현재는 설왕설래가 심한 편입니다.
제대로 확정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것이죠..
우선은 침투형잠수정관련해서는 이미 사업성을 시작한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때 장착한 추진기관이 펌프젯 추진방식으로 선정될 가능성이 매우높습니다.
사실상 add 에서 연구개발에 착수한지는 꽤오래되었습니다. 관련한 연구실수준의 선행연구개발과제급으로 수행되어오던 방식이였습니다.
이걸 실전배치될 물건으로 만드는 연구는 내년에 시작된다라는 이야기 일뿐입니다.
심지어 현재 add 관련해서 얼마전에 나온 . 이중프로펠러.관련해서 전자기식해서 . 이중프로펠러 관련한 내용도 적용과제도 있습니다..
이중 프로펠러에서. 케니스터 현상이 급격히 줄어든다고해서.. 적용될 가능성에 대해서 연구중입니다.
겨우 실험실에서 나와서 이와관련한 연구데이터를 축척한다고 보시면됩니다.
다만 이게 민관군 합동사업으로 인해서 실제로 적용될지는 알수는 없지만, 현재는 수상함기준으로 실물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것으로 알려져 잇습니다.
펌프젯관련해서는 보안사 관련해서 요구사항이기에. . 범고래급이후의 사업에 . 그냥 범고래2사업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정확한 명칭은 나온게 없습니다.
하지만 실질적인 장보고4에 . 적용되리라고는 보지 않습니다 . 관련한 기술해서라기 보다는
현재 한화의 무인잠수정의 운영관련해서 . 설계안을 내놓은 상황에서 펌프젯을 장착하기에는 실내공간의 축소는 현실적인 문제가되고 있습니다.
지금 썸네일에 있는게 hds2300입니다.
그리고 기존에 현대에서 2천톤급 수출형 모델을 만들어서 동남아에 재안한적은 있지만요
이것과 hds2300은 다른 모델이고요.
정확히 이건 폴란드에 처음으로 재안된 모델입니다.
그전에는 다른 나라에 제안된적이 없습니다.
폴란드에도 현대는 처음에 장보고3 블록1을 제안했다가
나중에서야 hds2300을 제안했습니다.
아마 그때서와 기본설계가 완성되어서 같습니다.
@@kkachisalmo 아 그렇네요. 제가 착각했보네요... 폴란드제안형은 아직은 결정단계가 아니라서. 뭐라 하기 힘든데.
거기에 한화 와 현대가 원팀구성이 되어서 위에 모델은 사장되는것으로 .. 알고 있는데..
폴란드 제안형은 두회사가 모두 달라서 ..
내년? 하루남았네요. ^^. 이나 되어야 새모델 설계안이 제시될듯 합니다. 아직도 폴란드관련해서는 워낙 변수가 많으니.
제안 모델은.. 사장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오히려 폴란드에서는 한화가 제시한 상부 무인잠수정장착형이나 침투형 소형잠수정을 운영하는 모델을 선호하고 있는듯 합니다.
@@billee5759 무인잠수정 장착능력은 한화에 한정된 능력이 아닙니다.
그건 우리나라 잠수함 전부에 적용되는 개념입니다.
그 무인잠수함은 정확히는 잠수함 세일 후반에 있는 탈출용 출입구에 도킹을 하는것입니다.
원래 모든 잠수함에는 심해구조잠수정이 도킹하기 위한 후방 출입구가 있고
이곳에 무인 잠수정이나
소형 잠수정이 도킹하는것이기 때문에
한화에 국한되는 능력도 아닙니다.
정확히 우리는 이 기능을 우선은 장보고 쓰리부터 시험을 할거지만
이건 모든 잠수함에게 다 해당되는 일입니다.
@@kkachisalmo 예.... 모든 잠수함에 해당되죠.
하지만 현대의 설계안 과 한화의 설계안의 차이를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현대는 아직 무인잠수정관련해서는 아직은 . 제대로 개발하지는 않는다라는 것이고,
무인잠수정관련해서는 500톤이상급으로 의외로 대형잠수정관련해서 . 더 신경쓰고 있다라는 것이죠.
한화는 완전한 침투용 잠수정과 소형무인잠수정의 장착에 집착한다라는 이야기입니다.
현대는 장거리 무인잠수정..... 한화는 단거리 잠수정에 집착한다라는 차이를 말하고 싶었습니다.
전고체 에너지밀도도 2030년대 되면 더 고밀도화 됩니다. 원자력 추진을 대신해 전고체 잠수함이 훌륭한 차선책이 될수 있고 전기추진이기에 그 정숙성은 그 어떤 추진체보다 조용할겁니다. 한국이 가장 앞서고 잘할 수 있는 분야를 초격차로 독보적인 전력을 갖춰야 하며 이런 기술을 유출하는 자들은 극형에 처하는 법안이 조속히 만들어져야 할겁니다.
그래서 우리가 장보고4에 거는 기대가 큰것입니다.
2030년대에는 바로 그 전고체 덕에 우리가 잠수함 수출시장을 독점하게 될것입니다.
미안하지만, 핵추진을 대신하거나 차선책이 될 수 없습니다. 예를들어 항모를 호위한다면, 전고체로도 항모 호위가 불가능합니다. 전고체는 그냥 현재 리튬전지보다 나은 성능 향상 정도 입니다.
@@kkachisalmo 현대자동차까지도 자체 전고체 배터리 양산 공장을 건설중이니까 삼성 LG SK 등등 여러군데서 국내생산이 가능해지면 아무래도 유리하겠지요. 하지만, 님이 말씀하시는 독점까지는 아닐 꺼구요. 왜냐면, 전고체는 일본쪽이 먼저 시작했고, 현재도 만만찮아요. 결국 배터리 업체에서 납품하는 거니까 일본은 물론 프랑스 같은 다른 나라들도 적극 채용하리라고 봅니다.
@@brandonpak2445 문제는 우리는 바로 업체로부터 시재품을 받아서 잠수함용 베터리를 개발할수 있고요.
프랑스등은
일본등에서 양산품을 받아서 개발해야 합니다.
더욱이 웃기는건 베터리 셀을 받아서 완성품 베터리를 개발하는 속도도 우리가 앞도적으로 빠릅니다.
당연히 그래서 영원히 우리만 전고체 베터리 잠수함을 만들수는 없겠지만
일시적으로는 우리가 독점을 할수는 있습니다.^^
@@brandonpak2445 하지만 항모보유국가는 극히 드물죠. 항모건조할 국가면 이미 잠수함정도는 자국함으로 건조하는 국가이니까요.
향후.. 잠수함 시장성을 볼때에는 수출형으로...본다면 굉장히 유리한 입장이라는 소리죠. ^^
우리업체들도 놀고는 있지 않다는걸 확인했고요!X형 방향타,잠수함용 프로펠러,펌프제트를 개발하고 있군요!!내 생각으로는 X형 방향타,펌프제트를 개발해야 합니다!
그것 말고도 아주 많은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잠수함 개발이라는건 국가 전략사업이나 같은거라
엄청나게 많은 분야를 천문학적 비용을 들여서 개발하는거라
관련 사업은 한도 끝도 없을겁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전고체배터리관련해서. 몇몇 이야기를 하자면 현재. 대안책이 나와서.
중국이 전고체배터리기술이 떨어지니. 새로운 기술을 개발햇습니다. 인산철배터리를 ... 젤 로해서 젤배터리방식이 새로나왓습니다.
이걸 자국잠수함에 적용하거나, 거기에 . 무인잠수정에 장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부분은 향후 전고체배터리의 발전과 젤베터리관련해서 주시할 필요가 잇을듯 합니다.
젤 배터리는 반고체 배터리라고 마케팅을 해서 그런데...사실 리튬폴리머라고 꽤나 오래된 기술입니다. 전고체와는 전혀 다른 물건이고 그냥 인산철 배터리입니다. 인산철 배터리는 온도 특성이 안좋고 C-rate를 낮게 가져갈 수 밖에 없습니다. 즉, 강한 순발력을 발생시키면 위태로워지는 녀석입니다. 에너지 밀도도 낮고요.
@@cryingbug134 메이드인 중국 싸니까....... ㅡ.ㅡ 이말뿐입니다.
7:50 케비테이션 현상에 대해 설명하면서 왜 이것이 수중에서의 소음을 직접적으로 유도하는지에 대해서는 설명이 부족했는데요,
.
케비테이션이 수중소음에 어떻게 직접적으로 관여하게되냐면, 어뢰나 잠수함의 프로펠러가 액체 (바다 속) 내에서 빠르게 이동(스크류가 빠르게 회전함) 하거나 압력이 낮아지는 환경(스크류가 회전하면서 어느부분에는 고압이, 어느 부분에는 저압이 형성)에서 액체 내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어뢰나 잠수함이 활동하는 영역인 심해에서는 대기압보다 훨씬 강한 수압으로 인해 증기압(물의 끓는 점)이 낮아지고 물이 수증기로 바뀌는데, 이것이 기포를 형성하는겁니다. 그리고 이 기포들이 스크류의 마모를 유도하지만 직접적으로 수중소음을 만들어내는데에는 기포들이 터지면서 수중소음 및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것을 최대한 잘 통제하는것이 잠수함의 은밀성을 지키는 키 포인트인겁니다.
그래서 이중프로펠러관련해서 연구중입니다..
이건 add 에서 연구하는게 아니라 민관군해서 합동개발체로 구성되어서 연구실에서 벗어나서 이제 실증모델을 적용해서
수상함에 먼저 적용한다고 합니다.
얼마전 . 자기식 프로펠러 해서 . 이중로터 관련한 부분을 아덱스에서 공개했었죠 예 바로 그회사입니다.
예.. 케비테이션관련한 내용만 보면 정확한 내용입니다. ^^
근데. 프로펠러의 구동력을 높이기위해서 일부로 기포발생기를 후방에 내보내기도 합니다.
이부분에서 실제운영에서 상당한 소음을 발생하게되죠.
급속전진시나. 전력사용을 감소하기 위해서 후방에 기포발생기를 구동하기도 합니다.
아마도 이부분을 이야기한듯합니다.
@@billee5759 자세한 부연 설명 감사합니다 ^^
틀렸음! 액체의 비등점(끓는 온도)은 압력이 높아질수록 높아짐.
거꾸로 생각하면 액체가 받고 있는 압력이 낮아지면 액체의 비등점도 낮아짐.
외항 화물선의 증발식 조수기는 거의 60도에서 바닷물을 증발시킴.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조수기의 증발부를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으로 유지시키기 때문임.
캐비테이션은 액체가 받고 있는 압력과 온도, 그리고 액체의 유동속도(흐르는 속도)와의 관계에서 결정됨.
프로펠러의 팁(끝단)에서는 액체의 속도가 아주 빠르기 때문에 동압이 높아지고 정압이 낮아짐. 즉 압력이 낮아졌고, 액체의 온도가 그 압력에 대응하는 포화압력보다 낮아지면 증기가 발생함.
프로펠러 끄단에서 이탈된 증기는 바로 액체로 응축되고 이 때 큰 소음이 발생됨.
도움이 되셨기를...
@@soon-hochoi2886사실 그렇게 따지면 말이 안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실제로 엔진토크수와 회전속도 및 산소함유량 과 그에 따른 수온까지 겸하고 그에 따른 염분농도상황에 따른 발생량이모두 달라지게 됩니다.
거기에 기포발생기관련한 기포에 대한 실전운영에 관련해서는 또다른 이야기가 됩니다.
가장큰부분은 바로 해류방향에 따른 역해류나 측면해류를 지고 있다면 그에 대한 기포발생의 편중화로 인해서 소음이 더심해지게 됩니다.
가장 무서운 해양의 쓰레기 관련해서는 그심각도가 더욱심해지죠.
거기에 뻘이냐 모래냐 따라서 또달라지고.. 탁도 에따른 음파의 저해성까지도 영향미치게 됩니다.
중금속관련한 오염수에도 심각한 영향력을 끼치고 ..
그모든 실전적인성향의 한부분씩만을 이야기하니. 틀리다고 할수도 없고 맞다고도 할수도 없는 부분입니다.
쉽게 이야기해서 .... 인생은 실전이라는 것이죠. ㅡ.ㅡ
오 그렇군요. 우린 X자형 방향타를 언제 적용할지 궁금해 했었는데 이미 개발했다니 다행입니다.
펌프제트 추진장치 장점 중 다른 하나가 서해 같은 낮은 수심에서 폐 그물 등에 스크류가 꼬이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적극 추천합니다.
네 그것도 있습니다.^^
펌프제트에도 그물등이 걸립니다. 임펠러가 완전히 밀폐되어 있지 않습니다. 펌프제트에 그물이 감기면 제거가 더 어렵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네^^
항상 감사합니다.
유압식이 아닌 공간이 적게 차지라는 전기 모터식 제어방식, 그리고 액스자형은 처음 적용해 보는것이라 말씀하신것 처럼 시행착오가 많았다 합니다. 지금은 다 해결되었다니 다행이네요 끝으로 액스차형 운영데이터를 토대로 미국처럼 0000급 공격 잠수함 (SSN), 장보고급 탄도 미사일 잠수함 (SSBN), 0000급 유도 미사일 잠수함 (SSGN)을 만들어 졌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좋은정보 좋은영상으로 즐겁게 시청하였습니다^^
우리 재래식 잠수함 기술이 날로 발전함과 그 기술을 현대와 한화가 양분하고 있다는 사실은 좋은 소식임이 분명하네요 ㅎㅎㅎ
장보고4에서는 이제 더이상 일본과 독일과 기술격차가 전혀 없게 될것입니다.^^
뭐 좀 과외적인 말이지만, 현대자동차가 소음 잡는데 나름 일가견이 있기에, 잠수함 소음 잡는데도 상당히 도움을 주고 있다고 합니다. ㅋ
님께서 언급하신 잠수함은 돌고래정 후속으로 개발한 '범고래함' 같은데, 이미 이전 영상에 문제가 많고 대부분의 부속이 외국산이라고 하셨고 , 1000톤 이상의 잠수함에 장착하는 건 아직 기술이 확보되지 않은게 아닌가요 ?
이제 전투함과 잠수함에 들어가는 엔진만 개발하면 왠만한 것은 다 개발되겠네요.
엔진은 개발할 계획이 없을까요?
아직은 없습니다.
잠수함용 엔진이라는게
개발이 어려운게 아니라
문제는 신뢰성을 높여야 하는데
그게 쉬운게 아니라서요.
한마디로 개발만 한다고 끝인 물건이 아닙니다.
심지어 오래동안 자국산 엔진을 사용하던 일본 조차도 앞으로는 해외에서 엔진을 도입할수도 있다고 하는 실정이라.
굳이 잠수함용엔진개발을 할 이유가 없습니다. . 향후.. 20년이내에. 이 동력체계의 변화가 심하게 올것이라서.
아직가지 뭐가 표준일지는 알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관련한 엔진부분에서 잠수함의 매우 비싸고 무거운 물건이니 . 경량화를 위해서도. 다른 엔진방식이나 모터방식으로 바뀌는 경향으로 갈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실제로. 엔진관련해서 소형화 2개 넣어서 발전기로만 돌리는 방안까지 나와서 .
어떻게 될지는 아직까지는 모릅니다.
북유럽관련해서 모터만으로 운영하는 설계안을 내놓은적이 있어서.
모터 관련한 개발속도도 만만치 않게 개발되고 있어서 향후 어떻게 될련지는 알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현대 및 stx 관련해서 잠수함 엔진관련해서 기술은 가지고 있습니다.
근데.. 그게 팔릴까요.. 라는 의문을 한다면. 쉽지 않죠.
다음세대 모터운영으로 개발준비중입니다.
@@billee5759 잠수함은 신뢰성때문에 힘들다고 봐야 겠네요.
그럼 전투함용으로는 가능성이 있을까요?
우리나라 전투함은 보니까 영국과 미국제를 사용하는 것 같은데요.
@@김동현-t1t1h 이미 개발했습니다. 힘쎈 엔진이라고.. ^^ 다만 고출력엔진관련해서는 향후 어떠한 방향성을 갈지는 두고볼일입니다.
전투함선관련해서도.... 디젤엔진은 발전기로서만 사용하는 형국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힘쎈엔진을 축소화해서 두기 장착하는게 더나을수도 있다라는 이야기입니다.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갈지는 두고볼일이지만,
엔진관련해서는 현재 호위함을 기준으로 몇몇 해서 국산화노력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미 개발, 굿이네요
솔찍히 이 이야기는 제가 이미 전에 했던 이야기입니다.^^;;
펌프젯의 단점은 출력 감소가 아니라, 연비가 안 좋은 것 아닌가요? 원래 펌프젯이 고속 소형함을 위한 것이니까...!
듣고보니 일반 복합재 프로펠러 적용이 더 좋아보이네요.
저는 판단을 못하겠습니다.
우선 장보고4에는 전고체가 들어가니^^
현재 이중프로펠러기술이. 우리나라에서 개발중입니다.
관련한 프로펠러가공기술은 이미 독자적으로 개발된 상황이고
프로펠러관련한 부분에서 현재 자기식 이중프로펠러.... 로 개발하려고 움직임이 있습니다.
첫째로 고장이 안납니다.
케비네이터 관련한 부분에서도 굉장히 효울적이고,
향후. 펌프젯 보다는 이중프로펠러방식이.. 될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일전에 비밀에서 위성에서 포착했다는 잠수함이 정보사 잠수함인 모양 이내요!
비밀이 토론이 워낙에 급나개 꼬리에 꼬리를 물고 늘어지는 분들이 많아서 회원가입은 안고 그냥 눈팅만 하면서 밀리터리 지식을 좀 올려는대 그때 까치살모님 닉을 봐는대 그까치사모님이 맟으신지?
균형잡는건 선박처럼 스테비 라이져를 달면 안될까요?
비밀에서 활동했습니다.^^;;
스테빌라이저는 상대적으로 대형 함선에서 주로 사용하고요.
최소 잠수함에서 스테빌라이저를 사용한다는 이야기는 저는 듣지는 못했네요
@@kkachisalmo 2차대전때. 달았죠. .. 뭐 그때는 잠항타 관련해서 발전되면서. 없어지긴 했죠.
장보고4에 펌프제트가 채택된다면 우리나라 해군은 핵추진잠수함 사업을 대비하고있는거라고 봐야겠네요 아마도 미국의 동의만 얻으면 장보고5가 되어서 동해에 취역할....
출력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는데 고속에 유리한 펌프제트라면 좀 이상하지 않을까요? 오히려 중고속 기동에 유리한게 펌프제트고 저속 기동에 유리한게 프로펠러라고 설명하는게 오히려 더 좋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복합재를 쓴다는 것은 양쪽 다 해당되는 사항이 아닐까 하구요. 그럼 결국 설계사상이 뭐냐인건데... 작전 수심이 얕기는 해도 얕은 곳에서 느리게 매복할 것인가? 빠르게 기동하며 복잡한 해안선을 움직일 것인가? 로 보면 맞을까요? 거기에 배터리와 추진 모터의 세팅이 어떤 방향으로 갈지도 궁금합니다.
방향타 특성상 개발하기 어렵다던 X자형 방향타를 개발했다니 반가운 소식입니다.
이게 방향타만 개발하는게 아니라 비행기의 Fly by wire시스템 처럼 사람의 조종의사가 들어가 컴퓨터가 이를 해석해 최적화된 제어 명령을 내리는 식의 시스템을 전부 개발해야하는 일이라서요
@ashfordstainer1924 누가 몰라? 그러니 그동안 수십년간 개발이 어려워 헤맸잖어.
첫빠...감사합니다..😊😊
축하드립니다.^^
특허 중에 수압차를 이용한 발전 및 추진시스템이 등록되어 있던데 적용하면 되지 않을까요?
발전량이... 그다지.... ㅡ.ㅡ 차라리 수소발생기가 현재로서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합니다.
잠수함의 길이를 변경해서 2천톤에서 3천톤까지 대응가능하게 개발하면 좋겠습니다.
장보고1급으로.. 퇴역시기 맞물리는 사업이기에.. 3000천톤급은 안될겁니다. 장보고3 관련해서 6대 사업이니.
현재 2대 한화가 수주했으니 그다음사업으로 3대가 더건조됩니다.
현재 장보고1급 3척을 퇴역시키고. 이에대해서 교체되는 사업이니. 크게.. 염려될 부분은 아닌듯 합니다.
잠수함 속도 100km 넘으면 어뢰고 뭐고 다 안맞음....
2024년 울산급이나 포항급은 혹시 퇴역 소식은 없나요?
몇척 했던것으로 기억하는데
어떤 함선들인지 함명까지는 모르겠네요.
초공동어뢰는 ... 개발하고 있는걸까요?
예..... 개발되고 있습니다. 다만 무소식이 희소식이라고... 좀만 더기다려야 할듯.
속도를 100Km 이상 올리면 대박 날것
펌프젯에 한표~ 어차피 전고체가 대세가 될거고... 마지막은 핵추진 잠수함을 가져함.
펌프젯은 범고래2 사업관련해서 500톤이하급에 적용될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장보고4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CFRP 카본파이버 레인포스드 플라스틱
현대에서 헛고생은 안 했네요
그러게 말입니다.
아무튼 고생은 했지만 개발에는 성공 했으니까요^^
어뢰 발사관 또한 국산 개발 한다는 이야기 는 없는지요?? 영국 의 밥콕 이 거의 독점 이라 장보고 3 에 들어가는 발사관 가격 을 엄청 올렸다고 하는데..
무소식이 희소식입니다. .. 국산화과정이 쉽지는 않은듯 합니다. 정확히는 어뢰사이즈관련해서 문제가 되는듯 하고.
여기에 무인잠수정관련한 부분까지 겹쳐서.
530mm 관련해선 조금은 기다려보는게 나을듯 합니다.
까치님😮 SMR이 만일 정말 탑재가 가능할 정도로 현실화 된다면.. 제 아무리 전고체라도 비교불가인가요?
물론 까치님께서 SMR에 관하여 어떤 입장이신지는 알고있습니다!!
까치님은 아니지만,
당연한 말이지만 핵추진과 전고체는 그냥 클라스가 달라요.
우리가 항모만 달랑 개발을 하기가 좀 난감한 이유가 핵추진 잠수함이 없어서 이기도 하죠. 항모는 적 잠수함 공격에 취약하기에, 아군 잠수함 호위가 필수적이라고 하죠.
그런데 전고체 마져도 이 항모의 순항속도(약 15노드)와 전투기 발진을 위한 속도 (약 30노트)를 수십일을 장시간 같이 다녀야 하는데, 이는 전고체로도 아에 불가능한 임무죠.
그외 거의 대부분의 모든 임무와 작전에서 작은 선체 사이즈로 인한 이점 정도 빼고는 핵추진을 능가할 수 없다고 보면 됩니다.
친절한 설명 감사드립니다!!👍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brandonpak2445
2000톤급 만들면 흡음타일 붙일까요??
장보고1 도 흡음타일 붙였습니다. ㅡ.ㅡ
까치님😮 영상을 아직 보기전인데요!!
재래식 잠수함에는 펌프제트가 효율이 안좋지 않나요?
네 원래 않좋습니다.
그런데 그건 어디까지나 디젤 잠수함의 출력이 낮기 때문이고요.
출력만 충분하다면 디젤잠수함에도 펌프제트가 좋긴 하죠.
매우 안좋은데..... 범고래급처럼 침투형잠수정이라면 정보사에서 먼저 원했습니다. roc 가.. 관련한 잠항은밀성 관련해서 상향요구를 했다고 합니다.
사실 장보고4에는 적용되지 않고 범고래2급사업에. 적용될 물건이 될 가능성이 매우높습니다.
이부분은 까치살모님께서.. 좀 너무나가신듯 하네요.
러시아 신형 핵추진 잠수함은 40노트가 넘는데다 소음도 극히 낮다고 들었네요.그리고 30노트를 갈수 있는데 안가는 것과 못가는 것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성능이 있나 없나의 차이니까요.
누가 그런 말도 안되는 소리를 ㅎㅎㅎㅎ
러시아 잠수함은 지금까지 단 한번도 소음레벨에서 미국 잠수함을 앞서본적이 없고요.
당연히 그 잠수함이 뭔지 아는데요.
그 잠수함은 크기도 작아서
오히려 방진장치가 일반잠수함보다도 적에서 소음이 엄청나게 큼니다.
누가 그런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고 다니나요 ^^;;
아마 그런 소리를 하게 냉각 펌프가 없는 원자로라
소음이 작을거라고 생각해서일건데요.
잠수함의 소음원이 냉각펌프만 있는게 아니죠 쩝....
아무리 전고체 배터리를 적용해도
배터리 에너지는 한정되어 있고
디젤 잠수함이 20노트 수준의 고속을 내는 것은
매우 짧은 시간이고
그것도 대부분 적에게 들켜서 도망갈 때나 내는 속도이니
소음 감소 효과 보다는
에너지를 추진력으로 변환해 주는 효율이 높은
방식을 택해야 한다고 봅니다
국방과학 연구소가 펌프제트를 연구한다면
그것은 장보고4를 위한 것 보다는
만약에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하게 된다면
사용할 목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아닌지 추측해 봅니다
그게 사업기간이 2025년부터 2030년이라 딱 장보고 4에 적용하기 적합한 개발기간입니다.
그래서 지금 시점에서는 장보고4용으로 보는게 타당할겁니다.
3빠 인가~~~
안타까운 사고로 유명을 달리하신 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그러게 말입니다.
삼가 고인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베터리의 방전율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베터리를 보면 용량을 표시하는데 V(전압)과 A(용량)으로 표시하는데 리듐 전지의 경우
C(방전율)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베터리에 12V 25A이렇게 표시되어 있으면 12V전압에 25A로 1시간동안 전력을 공급할수
있는 용량 입니다
여기에 10C 이런 표식이 있다면 12V 250A 용량으로 전력을 6분동안 공급해 줄수 있다는
표식 입니다 즉 공급 용량을 배수 형식으로 올려줄수 있지만 공급 시간은 반비례해서
줄어들게 됩니다
방전율에 비례 고용량의 전력을 사용할수 있지만 그만큼 가동시간은 줄어듭니다
이런높은 방전율의 베터리들은 그만큼 충전시간도 고전압으로 빨리 충전이 가능 합니다
최근 나오는 리듐 베터리의 경우 방전율이 100~200C까지도 가능한 베터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전고체는 그보다도 더 높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잠수함도 최대속도가 증가한다고 합니다.
아닌데요
@@kkachisalmo 제글을 끝까지 전부 읽어 보신건가요? 모가 높다고 말하시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설명한것은 리듐 베터리의 방전율에 관한 것 입니다
일반적인 납 전지의 경우 방전율을 표시하지 않습니다 리듐 베터리의 경우 만 방전율을 표시하는데 방전율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전고체 베터리 10MW출력의 베터리가 있고 이 베터리의 방전율이 100C라고 가정 하면 이베터리의 최대 출력은 1GW까지 높일수 있지만 지속 시간은 36초밖에 지속을 못합니다
즉 베터리 용량은 1시간 지속기준의 용량을 표시하는데 방전율이 높을수록 출력은 높아지지만 전력 지속시간은 줄어듭니다
잠수함도 마찬가지 입니다 높은 전력으로 속도를 높일수는 있지만 최고속도를 지속할수 있는 베터리의 지속시간은 줄어듭니다 전 드론 개발자 입니다 10년전 부터 드론 개발하면서 리튬 베터리를 다루다 보니 남들보다는 조금더 아는 수준 입니다
200C면 폭발 아닌가요? 1회용 일지도?
@@김철곤-f4z 100MW에 100C면 최고출력 10GW / 36sec 아닌가요??? K-star가 100MW로 이니시에이션하는데 10GW면...대폭발인데요? ㅋㅋㅋ
장보고4 잠수함 펌프개발하나요 까치살모님 😂
펌프가 이나고 펌프제트요^^;;
@kkachisalmo 아 그래요
'이번 사고..?".. 어느 사고를 말 하시는 건가요.. 적어도 제대로 된 문장을 갖추는 최소한의 성의를 보여주셨으면 좋겠는데.. 구독자로서 안타깝습니다
모 체널 (거의 제목만 보고 스킵하지만) 영상보니 루마니아 천궁2가 미역국 먹었다는 내용이 있던데 뭐 아시는거 있으신기요?
아니요 모르겠네요.
그런데 루마니아는 원래 천궁이 별로 가능성이 높지는 않았습니다.
방사청 서류실수 말하는가 보네요.. ㅡ.ㅡ 좀더 두고 봐야 될 상황입니다.
한두달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