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산당의 일당 독재, 만만한 시스템이 아니다! [조영남의 중국통 1화]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гру 2022
  • ■ 2023년 투자 계획을 고민하고 있다면? "2023 베스트 투자 전략"
    ✨다이어리 전원 증정 & 수강료 최대 37% 할인✨ (~12/22 마감)
    👉링크 클릭 : bit.ly/3UmGAED
    ■ 2023년이 다가오는 지금,
    송길영 부사장님의 차원이 다른 인사이트가 궁금하다면?
    새롭게 공개된 ✨미래대학 확장판+✨에 함께하세요.
    👉링크 클릭 : bit.ly/3VnkeEe
    ■ [무릎팍도사], [상상플러스], [무한도전] 레전드 예능 작가 문은애가 전하는 이야기
    ✨빠르게 대체되는 시대, 내 안의 창의성을 일깨우는 시간✨
    👉링크 클릭 : bit.ly/3VESXNV
    ---------------------------------------------------------------------------------------------------
    ■ 2023년을 이웃을 위한 나눔과 함께 준비해보세요.
    2023년 삼프로TV 다이어리 & 캘린더 세트 판매 수익금은 자립준비청년을 위하여 기부됩니다.
    👉 📕다이어리 & 캘린더세트 구매하러 가기 : smartstore.naver.com/withgodp...
    ---------------------------------------------------------------------------------------------------
    📞기업에서도 삼프로TV의 강연을 만나고 싶다면!
    edu@3protv.com 또는 02-2118-0705로 연락주세요.
    ---------------------------------------------------------------------------------------------------
    ★ 삼프로TV 고객센터 : 02-2118-0707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까지)
    ★ 광고 및 협업 문의 :
    - 설문지 작성 : url.kr/yi4rpg
    - 연락처 : 010-2090-6748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까지)
    - 이메일 : ad@ebroadcasting.co.kr
    #경제의신과함께 #삼프로TV #신과함께
    [주의요망]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에 출연하시는 분들은 문자/카톡/전화를 통해 절대 주식 리딩방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 클릭하시어 스미싱 또는 사기 피해 받지 않으시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КОМЕНТАРІ • 983

  • @3protv
    @3protv  Рік тому +57

    해당 영상에 나온 조영남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저서를 만나고 싶다면?
    『중국의 통치체제 1』
    bit.ly/3AGB4pj
    『중국의 통치체제 2』
    bit.ly/3EXLaox
    ■ 2023년 투자 계획을 고민하고 있다면? "2023 베스트 투자 전략"
    ✨다이어리 전원 증정 & 수강료 최대 37% 할인✨ (~12/22 마감)
    👉링크 클릭 : bit.ly/3UmGAED
    ■ 2023년이 다가오는 지금,
    송길영 부사장님의 차원이 다른 인사이트가 궁금하다면?
    새롭게 공개된 ✨미래대학 확장판+✨에 함께하세요.
    👉링크 클릭 : bit.ly/3VnkeEe
    ■ [무릎팍도사], [상상플러스], [무한도전] 레전드 예능 작가 문은애가 전하는 이야기
    ✨빠르게 대체되는 시대, 내 안의 창의성을 일깨우는 시간✨
    👉링크 클릭 : bit.ly/3VESXNV
    ---------------------------------------------------------------------------------------------------
    ■ 2023년을 이웃을 위한 나눔과 함께 준비해보세요.
    2023년 삼프로TV 다이어리 & 캘린더 세트 판매 수익금은 자립준비청년을 위하여 기부됩니다.
    👉 📕다이어리 & 캘린더세트 구매하러 가기 : smartstore.naver.com/withgodp...
    ---------------------------------------------------------------------------------------------------
    📞기업에서도 삼프로TV의 강연을 만나고 싶다면!
    edu@3protv.com 또는 02-2118-0705로 연락주세요.
    ---------------------------------------------------------------------------------------------------
    ★ 삼프로TV 고객센터 : 02-2118-0707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까지)
    ★ 광고 및 협업 문의 :
    - 설문지 작성 : url.kr/yi4rpg
    - 연락처 : 010-2090-6748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까지)
    - 이메일 : ad@ebroadcasting.co.kr

    • @user-lh7jj1eb5w
      @user-lh7jj1eb5w Рік тому

      인간은 타락할 수 있어서 권력을 분립하고 시민들에게 에코파워를 주는데
      그게없는 나라는 원시문명 부족 국가임 인류 6세기~15세기쯤 독재 통치체제
      서양 유럽권은 인구의 60%가 흑사병으로 뒤지고 노예해방 운동 기독교등 인간 귀한지 알아서 짐승사회에서 벗어나기 시작했지
      농경사회에서 공업사회 전환점에선 다 성장함 시민권이 없는 독재자 밑에서 누가 살고 싶어함?

    • @dynamo3590
      @dynamo3590 7 місяців тому

      😎😎😎😎

    • @koreanomade
      @koreanomade 7 місяців тому

      영문캡션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 @yjkwon821
    @yjkwon821 Рік тому +199

    삼프로 보면서 처음 댓글 달아보네요. 중국 주재원 근무중이고, 실제 현지에서 기업 활동을 하면서 만나는 모순적인 중국 상황에 대해 이해를 할 수 있는 이론적인 이야기를 해 주신 듯 합니다. 지피지기 백전불태라고 한국과 뗄래야 뗄수없는 나라가...도대체 어떤 구조로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알아야 그들의 약점이 비로소 보인다고 생각합니다. 무비판적인 긍정 혹은 감정적인 반대가 아닌 이론에 입각하여 중국을 바라보려는 교수님의 노력에 응원을 한표를 드려봅니다. 이런 좋은 강의 마련해 주신 삼프로에도 감사드립니다.

    •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Рік тому

      @@waitaoyuanshi5081
      힘이 없어서 얻어맞고 뺏긴다고 가르치지는 않습니다. 낙후하면 즉 시대에 뒤떨어지면 그렇게 된다고 가르치죠. 즉, 발전만이 살아남는 길이라고 가르칩니다. 중국에 대해 잘 모르시는거 같은데 이런 낭설은 하지 마세요.

    • @zet6515
      @zet6515 Рік тому +12

      @@user-dj3oy5rc7u 뭐가 낭설인지? 지금 우리는 중국에 대해 감정적으로만 바라보는 시각이 많은게 사실 아닌가요?

    • @user-hopark114
      @user-hopark114 Рік тому

      중국

    • @dynamo3590
      @dynamo3590 7 місяців тому

      👍👍👍👍

  • @user-cd8yj3gm2q
    @user-cd8yj3gm2q Рік тому +6

    조영남 교수님 반갑습니다.
    몇년전, 1976~1992 중국현대사를 분석한 교수님의 세권짜리 책을 읽었습니다.
    제가 놀란 몇 장면 중 하나가 천안문 사태였읍니다. 물론 비극으로 끝났습니다만 당시 중국 공산당 지도부가 강,온파로 나눠 치열하게 대립하였고 끝까지 시위대와 협상을 시도한 부문이 너무 인상 깊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의 부탁드립니다.

  • @user-uv9hv4cy4j
    @user-uv9hv4cy4j Рік тому +45

    적대감. 증오. 혐오를 유발하는 파토스와 일방적인 자료로 논리를 전개하는 유튜브 강사들과 달리 오랜세월 강단에서 객관성과 타당성. 정확성. 신뢰성 등과 같은 가치로 단련된 진짜 지성을 갖춘 교수님의 강의를 보니 정말 강의가 즐겁네요

  • @xiaojiang9159
    @xiaojiang9159 Рік тому +30

    드디어 제대로 된 중국전문가의 강의를 듣네요!!! 훌륭한 강의 해주시는 조영남 교수님 감사합니다. 이런 교수님을 찾아 섭외하신 삼프로티비도 감사합니다

  • @edge163
    @edge163 Рік тому +23

    대략 들어보면 일당독재기때문에 2등전략으로는 맞을지몰라도 1등은 될수없는 따라가기 전법 다양성이 없기때문에 한번실패하면 그날로끝장

    • @cmk1750
      @cmk1750 Рік тому +7

      벌써 끝장의 길로 접어듬. 우리가 집중할건 망해가는 체제가 아니라, 자본민주주의 단점을 더욱 좋게 진화시키는거에 집중해도 모자름.

  • @Leo-uu3os
    @Leo-uu3os Рік тому +16

    서울대 학생만 들었던 강의를 전국민 지식향상을 위해서 공유해주시는것에 너무 감사합니다.
    최근 인도에대해서도 즐겨 들었는데 중국도 재미있네요.

  • @dytksdytn123
    @dytksdytn123 Рік тому +60

    다양한 시각으로 중국을 볼 필요가 있습니다. 소중한 강의 감사합니다.

  • @VintageXO79
    @VintageXO79 Рік тому +21

    겉으로는 그럴 듯하지만 정말 시스템이 잘돌아간다면 굳이 시진핑이 3연임할 필요가 없겠죠. 라는 의문이 안들 수 없네요. 시스템에 큰 허점이 있는거죠.

    • @VintageXO79
      @VintageXO79 Рік тому

      @@user-gp4fs3qd8y 그건 아마 어디나 마찬가지 아닐까요? 한국 이해 못할지도 모르지 않을까 라는... ㅋㅋㅋ

    • @user-fz6hz3uc9x
      @user-fz6hz3uc9x Рік тому +2

      이전엔 경제성과 위주 발탁이었는데 이젠 시진핑 연줄 위주로 좀 달라지고 있다고 안유화 교수도 말함 아래 관리들 꽌시는 옛날부터고..

    • @user-fz6hz3uc9x
      @user-fz6hz3uc9x Рік тому

      @@user-gp4fs3qd8y 고구려가 중국꺼라는 동북공정이나 찬성하지 마라

  • @seansong3378
    @seansong3378 Рік тому +95

    "인남식 교수의 중동 이야기"와 "강성용 교수의 인도 이야기"에 이어 드디어 "조영남 교수의 중국 이야기"까지 대단한 삼프로...

  • @eugene5857
    @eugene5857 Рік тому +24

    👍 강의 퀄리티가...
    땡큐 삼프로!!! 😘

  • @user-eo8ql4bx2z
    @user-eo8ql4bx2z Рік тому +69

    중국 상해에서 10년동안 주재한 적이 있었는데,실재로 공무원들 부정 부폐가 심하더군요.인민 위에 군림하면서 서류 1장 떼는데도 당담자를 만날 수가 없어서 이틀을 쫓아다니고,뭐든 신고하는데도 브로커가 끼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일 처리하기가 엄청 힘들었어요.지방은 공무원 횡포가 더 심해서 서류 떼는데도 와이로를 줘야 뗄수 있다는 말을 중국인에게서 들었어요.민주사회에선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비합리적인 체계였어요.인민들이 그 횡포를 참는 것도 이상했고,나라가 돌아가는 것도 이상했음.

    • @user-gw4rd6fw1t
      @user-gw4rd6fw1t Рік тому +14

      독재국가의 공통점이 부정부패죠. 독재를 유지하기 위해 조직관련자들의 부패를 통한 수입확보를 눈감아주는 구조이죠.

    • @kimnamcho1142
      @kimnamcho1142 Рік тому +6

      100퍼, 완전 공감!!!

    •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Рік тому +14

      그것도 2008년 이전의 얘기입니다. 요즘엔 그러면 바로 옷을 벗어야 하고 당적도 해제해 버립니다.

    • @user-fd8dq4qv1k
      @user-fd8dq4qv1k Рік тому +7

      그런현상이,일어날수있어요.그런부패가공산당에게발각되면,공산당은그사람을용납하지안치요.그사라은모든것을일어버릴수있어요.

    • @user-ij6jv1gl4c
      @user-ij6jv1gl4c Рік тому +2

      @@user-dj3oy5rc7u 다 그렇지는 않는 것 같아요
      제 지인은 코로나 바로 전에 중국서 사업하다 귀국했는데 되는 일도 없고 안되는 일도 없는 나라가 중국이라고 ㅎㅎ 공무원 담당 직원이 있었다네요

  • @user-fm5rk7od3i
    @user-fm5rk7od3i Рік тому +70

    교수님의 열정적인 강의. 정말 잘들었습니다. 10강으로 제작된다니 정말 기대 많이 됩니다. 위즈덤 칼리지에도 출현하셔서 체계적인 강의 들을수 있도록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요즘 중국. 차이나 런/ 봉쇄 시위등의 말들이 많은데, 시의 적절한 강의 같습니다.
    최근 "보이지 않은 중국(스콧 로젤 저)" 책을 보면, 겉으로 보이는 중국과 대다수의 중국인의 상황의 괴리를 얘기하고 있고,
    특히나 교육수준의 저하(고등진학율이 30%~50%밖에 안됨)로 인한 산업계에 필요로 하는 인력을 찾기가 어려움을 얘기하며, 미래 중국에 대한 상황(중진국의 함정을 벗어나기 어려울것으로 봄)을 비관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설명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baushankinson8962
      @baushankinson8962 Рік тому +1

      中国人口基数庞大,14亿人口中有30%受到高等教育,总人数都是韩国+日本的3倍。
      中国教育的竞争压力很大,并且以理科为主。
      但是未来谁也说不准,只能拭目以待了

    • @user-fz6hz3uc9x
      @user-fz6hz3uc9x Рік тому +10

      @@baushankinson8962 우리는 고등학교 졸업률이 90프로임 35세이하 4년제 대학 졸업률은 70프로이고.. 중국의 거대인구는 장점이자 짐이기도 함

    • @user-xq4ew7sr9n
      @user-xq4ew7sr9n Рік тому +9

      고등진학률이 고등학교 진학률이면 크게 의미 없습니다. 현재 세대는 이미 9할이 고등학교 진학합니다. 어른들이 고등학교도 안 간 경우가 많아서 평균적으로는 그렇게 보일 뿐입니다. 당장 한국도, 어른들 중 고등학교 안 간 경우도 엄청 많아요.
      만약 고등교육 진학률을 뜻하면, 저 정도 수치만 해도 충분합니다. 오히려 우리나라가 학력 인플레가 심한 거죠

    • @dear2707
      @dear2707 Рік тому +3

      @@user-xq4ew7sr9n 학력인플레라고 하는 것은 좀 다른 얘기같습니다. 고등학교 진학률이라는 거는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사람 그 기반이 된 사람을 얘기합니다. 그건 나라의 발전가능성과도 같은 얘기죠 고등학교 교육을 우습게 보면 안됩니다. 최소 고졸은 되어야 4차혁명의 변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인간 기반이 되는 겁니다. 세상은 변하고 있고 단순한 일로 먹고 사는 시대는 지났기 때문에 지난 과거 얘기를 하면서 적용하면 오류가 생깁니다. 1차 제조업으로 먹고 사는 나라는 이제 선진국이 될수도 선진 세상을 이끌어갈 나라가 될 수도 없어요 고로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진학률은 앞으로 나라의 기반이 될 중요한 기반입니다. 학력 인플레가 아니죠

    • @user-xq4ew7sr9n
      @user-xq4ew7sr9n Рік тому +2

      @@dear2707 저기서 말한 고등교육 진학률이 고등학교 진학률이면 당연합니다. 그런데, 고등교육 진학률은 일반적으로 대학교 진학률을 뜻합니다. 그래서 용어를 명확히 해야됩니다. 대학교 진학률이면 우리나라는 학력 인플레가 크죠ㅇㅅㅇ

  • @ykjanchae
    @ykjanchae Рік тому +58

    강성용, 안병진 교수님에 이어 너무 기대되는 또 하나의 국가 시리즈네요~ 중간선거 후 다이내믹도 너무 듣고 싶은데 안병진 교수님 또 모셔주세요~^^

    • @user-fj4nc1xm1s
      @user-fj4nc1xm1s Рік тому

      인구 천만에서 이천만 도시를 한달 가까이 집밖에도 못나오게 하는 사회주의며 국민을 억압하는 체제를 너무 미화하시는것 같아요, 아마도 이분은 중국 공산당이나 주변단체에서 연구비를 후원받는게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듭니다, 일반 사람들이 이해할수 있는 강연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신장 위구루와 천안문사태 일대일로 같은 그런것도 얘기해 보세요,

  • @user-fj8nv1tl1o
    @user-fj8nv1tl1o Рік тому +31

    지금까지 선입견을 가지고 중국의 문제점만 보곤 했는데 중국을 보는 다각적 시각이 필요하다는 깨달음을 갖게 된 좋은 강의였어요. 앞으로 강의도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

  • @kym6923
    @kym6923 Рік тому +25

    중국에 20년 살고 있는데, 조영남교수님의 시각이 젤 적확한 것 같습니다. 공감하고 자주 출연하셔서 고견 부탁 드립니다.

  • @MKHan-qe8pd
    @MKHan-qe8pd Рік тому +57

    대단한 강의네요.고맙습니다.

  • @sarangiplawofficekorea6754
    @sarangiplawofficekorea6754 Рік тому +4

    조영남교수님 중국에 대해 제대로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그동안 편견속에 살아왔네요ㅠㅠ

  • @user-fn7nj1fp7g
    @user-fn7nj1fp7g Рік тому +7

    다음 컨텐츠가 기대되네요

  • @jnfeilong
    @jnfeilong Рік тому +63

    전공 관련한 학생으로써 보면 아주 귀한 강의입니다~

  • @ruby-ur4sj
    @ruby-ur4sj Рік тому +18

    유익한강의 감사드리고 제작해주신 삼프로도 넘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jx1gq7dn3u
    @user-jx1gq7dn3u Рік тому +14

    와 진짜 좋은 강의네요 앞으로 너무 기대됩니다!

  • @susu_c
    @susu_c Рік тому +13

    최고의 중국 전문가 조영남 교수님 ! 다음회도 빨리 보고 싶네요 ^^

  • @user-cw7il3mw1f
    @user-cw7il3mw1f Рік тому +8

    교수님강의들으시면 은근이중독성강합니다 중국에서오래동안있으면서 이해하지못한것들만핬는데 이렇게상세하게설명해주니 피부에와닫네요 교수님말씀데로 진짜똑같아요 고맙고잘들었습니다

  • @user-ij6jq8zw4f
    @user-ij6jq8zw4f Рік тому +6

    현명한 말씀 잘 듣고 갑니다.

  • @kitbal
    @kitbal Рік тому +19

    정말 훌륭한 강의입니다. 중국과 중공당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중국은 우리의 이웃국가고 좋든 싫든 우리나라는 중국과 더불어 살 수 밖에 없는 운명입니다.
    편견을 걷어내고 실체를 접해야 우리가 나갈 길도 보일거라 생각합니다.

    • @sys879
      @sys879 Рік тому

      경제적으로는 등소핑이 박정희시대를 벤치마킹해서 그렇지만 군사적으로는 적입니다

  • @comtroo
    @comtroo Рік тому +2

    김용옥 교수의 설명에 따르자면, 공산당을 처음 창설하고 공산당이 군대를 만들고, 그 군대를 이용해 국가를 건설했기 때문에 서열을 따지면 공산당, 군대, 국가라고 합니다.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제일 이해하기 쉬운 설명 같아요.

  • @tonyjeong5423
    @tonyjeong5423 Рік тому +32

    너무 놀라운 얘기.
    내가 알고 있던 단어들이 가지고 있던 불균형과 편향성을 알고
    깜짝 놀랐습니다.
    어느 분 댓글 말씀처럼 이렇게 사실을 찾아내고 발굴하고 연구하셔서
    있는 그대로 국민들에게 알려주시는
    더 훌륭한 국민들을 더 많이
    더 길러질 수있어지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삼프로 구독자가 많은 이유를 알겠네요.

  • @user-rax146
    @user-rax146 Рік тому +3

    교수님 설명이 아주 좋습니다. 이해가 잘가게 설명도 잘해주시네요

  • @user-nt3jn9qu3c
    @user-nt3jn9qu3c Рік тому +6

    정말 유익합니다
    감사

  • @user-io1fs9jn1g
    @user-io1fs9jn1g Рік тому +4

    중국얘기 넘 잼있게 잘들었습니다 담편도 기대가됩니다~~~

  • @islee3289
    @islee3289 Рік тому +56

    중국의 통치체제를 명쾌하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최근 여러가지 사건사고로 중국의 정치경제에 대해 궁금하던 차에 이 영상을 보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시리즈로 진행하신다 하니 앞으로의 강의도 기대됩니다. 이번 기회에 중국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강의 부탁드립니다.

  • @jaekim5563
    @jaekim5563 Рік тому +4

    많이 배우고 갑니다.. 몰랐던 게 많네요.

  • @user-ii6cl8ky1f
    @user-ii6cl8ky1f Рік тому +6

    많이 배웠습니다. 비난과 문제점을 지적할래도 정확히 몰랐는데 이해가 갈 듯 합니다. 그래서 베트남도 중국과 다르지만 문제가 있는거군요.

  • @kmckim77
    @kmckim77 Рік тому +76

    중국의 실체에 대한 쉽게 듣기 어려운 신선한 고퀄러티 강의,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기대합니다!

  • @user-of6lj3yn6t
    @user-of6lj3yn6t Рік тому +12

    그리해서 결국 빅 부러더 체제를 만들지 않고서는 유지 될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 @user-jc3jh4qi6t
    @user-jc3jh4qi6t Рік тому +4

    세상을 좀더 깊게 생각할수 있게 하는 콘텐트 감사합니다.

  • @lulukim1724
    @lulukim1724 Рік тому

    좋은책이네요. 읽어봐야 겠어요

  • @dbswn6360
    @dbswn6360 Рік тому +56

    교수님 덕분에 중국에 대해서 좀 알게 됐어요 그동안 왜 저러나 하고 비난만 했는데 이젠 좀 알고 비판을 할 수 있겠어요 질 높은 강의를 무료로 들을 수 있다니 너무 좋네요

  • @icemankwh
    @icemankwh Рік тому +21

    들으면 들을수록 소름 돋네요. 오히려 너무 체계적이어서 무섭고 위협적이네요.

  • @user-xf1kx1ui1b
    @user-xf1kx1ui1b Рік тому +3

    2001년 처음 중국으로 일하러 갔었는데 너무 막막하고 낮선 나라였는데 그 다음부터 중국 얘기 꼼꼼하게 챙겨보고 있어요 . 너무 흥미진진 합니다 . 교수님 감사합니다 ^^

    • @user-eb6mh5dh4l
      @user-eb6mh5dh4l Рік тому

      2001년은 바로 중국이 WTO(세계무역조직)로 참가한 때임

  • @rkym2047
    @rkym2047 Рік тому +2

    삼프로tv 를 통해 글로벌 사회 경제 ....전반적으로 깊고 높은 수준의 상식을 착착 쌓아가ㅂ니다,,,, 삼프로 최고수준 👍

  • @jikim9345
    @jikim9345 Рік тому +69

    교수는 중국 체제를 설명하는데, 찬양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안타깝네요.

    • @user-fz6hz3uc9x
      @user-fz6hz3uc9x Рік тому +10

      경제성과만 내면 권력이 국민으로 부터 나오든 일당이 영도하든 상관이 없다는 식인 건 사실이죠

    • @ldavid2001
      @ldavid2001 Рік тому +3

      @@user-fz6hz3uc9x 이해력이 상당하시네요

    • @sjwclover
      @sjwclover Рік тому +3

      @@user-fz6hz3uc9x 거기 더해서 생활안전과 최소한이라도 발언자유

    • @user-he6xl5vr9h
      @user-he6xl5vr9h Рік тому +3

      오해라...

    • @juellmoon7422
      @juellmoon7422 Рік тому +1

      그런데 ....
      공산당이 어떻게 만들어(형성) 지느냐 하는게 중요합니다.
      어차피 공산주의는 힘없는 백성을, 국민의 의사를 대변할 수 없다는 것이지요 !!!....

  • @ykp0010
    @ykp0010 Рік тому +17

    공산당 정치는 이슬람 등 종교가 국가국민을 지배하는 신정정치와 매우 유사한 점이 많군요

    •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Рік тому +5

      근본적인 구별점이 있죠. 신정정치는 목표가 없지만 공산당은 최종적인 목표가 있죠. 바로 사회주의실현입니다.

    • @bear14jean37
      @bear14jean37 Рік тому +4

      @@user-dj3oy5rc7u그게 그겁니다

    •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8 місяців тому

      ​@@user-dj3oy5rc7u 얘네 사회주의는 애저녁에 갖다 버린 거 아님?

    •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8 місяців тому

      @@user-uw4gn6ut5k
      그럼 신정국가이죠. 이슬람 공산국가에서 사회주의를 버리면 종교만 남으니까요.

    •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8 місяців тому

      @@user-dj3oy5rc7u 이슬람과 공산주의는 하나로 묶일 수 있는 게 아닌데요.
      양자는 상극인데..?
      이슬람이면 이슬람이고 공산주의면 공산주의지 이슬람에서 사회주의를 뺀다거나 그 결과로 종교만 남는다는 건 당췌 뭔소리심

  • @user-ee2qo6wo5j
    @user-ee2qo6wo5j Рік тому +7

    조영남 교수님 영상 100만 가자~ ♥

  • @ceciliaholm1840
    @ceciliaholm1840 Рік тому +2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 @michael66naver
    @michael66naver Рік тому +10

    80% 들었을 때
    아이고 이분도 껍데기만 ...
    다 들었을 때
    중국의 본질을 보여주시네 ...

  • @grandeuryoon4256
    @grandeuryoon4256 Рік тому +20

    세계를 보는 시각과 생각의 스팩트럼이 넓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 @activeaging3272
    @activeaging3272 Рік тому +33

    이렇게 귀한 강의를 들을 쑤 있게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다음 강의도 기대됩니다 ^^

  • @stellalumina_poem
    @stellalumina_poem Рік тому +9

    와 대박 유익하다. 나이를 먹고 들어서 그런가 진짜 재밌네..

  • @user-ze2gy7os5p
    @user-ze2gy7os5p Рік тому +5

    아주 중요한강의를잘들었습니다 많은것쉽게 이해하고알았들었습니다 다음에도명심해서 가의를잘들겠습니다

  • @jishoecom
    @jishoecom Рік тому +7

    산유국은 좀 그렇긴하죠... 대부분 근대국가에 가까운 통치체재로,... 지금의 할아버지 , 아버지세대의 피땀과 엄청난 희생으로 이루어진 부가 아니기 때문에..
    석유매장량이 고갈되거나.. 전기차와 대체에너지 시대로 완전히 넘어가면 답이 없지요... 중동산유국들이. 정신차려서.. 빨리 경제력있는 산업을 만들지 않으면.. 나중에 아프리카 사태가 날거라고 봅니다.

  • @user-bj4eh8ow2t
    @user-bj4eh8ow2t Рік тому +5

    바퀴벌레도 당나귀도 사자도 몇만년을 살아 남았다는 건 생존 전략이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이 마음에 안들어도 배울 것은 분명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다른 통치체계를 보면서 민주주의의 가치를 알 수 있겠습니다. 다음 강의가 기대됩니다.

  • @youngjoochoi5650
    @youngjoochoi5650 Рік тому +1

    귀한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 @donghoylee2882
    @donghoylee2882 Рік тому +2

    조교수님 그리고 통제를 말할때 긍정적인면은 그들이 책임을 진다는게 아닙니다. 효율성이.좋다는것이 긍정적인 점입니다.
    즉 공산당이 성공할때는 그 효율성 때문에 큰 성공을 거둘수도 있지만 반대일때는 급 반전이 있을수 있다는 뜻입니다. 정상적인 견제가 없는 자체적인 개혁만으론 한계에 부딛힐수있고 그때 발생하는 위험 또한 효율성으로 이룩한 발전만큼 붕괴도 빠를겁니다.

  • @user-rc9vw1wb5z
    @user-rc9vw1wb5z Рік тому +15

    흥미롭게 들었습니다 2부도 기대하겠습니다*^^*

  • @richrich22
    @richrich22 Рік тому +33

    안유화 교수님 강의 정말 잘 들었구요
    오늘 조영남 교수님 강의 기다리고 있었어요😍😍😍
    삼프로 정말 감사드립니다🧡💛
    교수님 책 정말 정말 갖고 싶어요!!

  • @kwontaejoon84
    @kwontaejoon84 Рік тому +1

    교수님 정말 재미있고 흥미진진하게 설명해 주시네요~ 정프로님도 티키타카 너무 좋았습니다~~

  • @user-ye8kt3vr1i
    @user-ye8kt3vr1i Рік тому +1

    교수님 강의잘 들었습니다

  • @user-xw2od1cm6v
    @user-xw2od1cm6v Рік тому +8

    지금 우리나라도 만만치않게 어이없는 일이 벌어집니다ㅠ

  • @user-us5dh6ui5y
    @user-us5dh6ui5y Рік тому +16

    강의 넘 잘들었어요 저두 책 꼬 옥 읽어보고싶어요

  • @songhexu8201
    @songhexu8201 Рік тому

    3부는 언제 나오나요???

  • @user-hz3rb6ed5u
    @user-hz3rb6ed5u Рік тому +2

    첨에 이렇게 훌룡한 중국과 관련한 콘텐츠를 봤네요 조영남 교수님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 @ROMO-bf3ek
    @ROMO-bf3ek Рік тому +6

    강의가 참 깔끔하네요. ㅊㅔ고 ㅊㅔ고👍🏻

  • @Hey-fq6ee
    @Hey-fq6ee Рік тому +27

    교환으로 수업 들었던 존경하는 교수님입니다. 팩트 없는 개인 의견 굉장히 지양하셨던게 떠오릅니다. 어느쪽에 기울림 없이 가장 깊이 있고 냉정하게 중국을 바라보시는 진정한 중국 전문가입니다. 삼프로에서 다시 공부할 수 있어서 너무 좋습니다^^

  • @user-rp2gh1ly9x
    @user-rp2gh1ly9x Рік тому +1

    교수님, 재담에 달변에 정말 재밌게 이야기 잘하십니다. 감사드립니다.

  • @user-wk6sw1we6e
    @user-wk6sw1we6e Рік тому +6

    교수님이 찬양하면서 설명하는 지금 시진핑 공산당이 청 조정과 무엇이 다른가요?

  • @chang5414
    @chang5414 Рік тому +6

    아무것도 모르고 좁은 사고방식으로 무조건 중국을 낮춰보는 분들은 이 강의나 책을 꼭 보시길 추전드립니다.
    모든 것들은 아는 만큼 보이고,아는 만큼 이해할 수 있습니다.

  • @koronorvie3586
    @koronorvie3586 Рік тому +9

    잘 살기 위해서는 혁신 만한 게 없는데 이 혁신 위한 창의 창조력이 형성될 수 있는 배경도 얘기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중국 통치이념과 체계가 사람이 사람답게 잘 살 수 있게 하는 이념이라고 보여지지 않음. AI로봇이 뛰어넘기 어려운 마지막 보루가 인간의 창의 창조력이라고 함.

  • @user-ct8jp5gm6d
    @user-ct8jp5gm6d Рік тому +6

    휼륭한 교수님 존경합니다👍👍중국에서 소수민족정책도 강의해줫으면좋겟습니다

  • @user-kh3xo1xr5i
    @user-kh3xo1xr5i Рік тому +17

    와 강의 잘 들었습니다.
    백만 넘어서 책 받고 싶네여 ㅎㅎㅎ

  • @jmy68365
    @jmy68365 Рік тому +11

    지난 두 편의 영상을 보고 e-class에서의 강의영상을 찾아봐야했는데 교수님께서 삼프로tv에서 직접 강의를 해주신다는 소식에 반갑습니다!
    민음사의 3부작과 도 도서관에서 빌려 읽고 있는데요(중국의 통치체제 2부작은 확실히 신간이라 그런지 아직 도서관에는 보급이 전부 이루어져 있지는 않더라고요). 매주 올라오는 영상도 보면서 읽을 수 있게되어 더 좋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더 좋은 강의 부탁드릴게요!

  • @user-cr8vm1hm3g
    @user-cr8vm1hm3g Рік тому +8

    중국이 생각보다
    길게
    100년 앞까지 내다보고
    국가를 운영하는
    것에
    두렵움 느꼈다

    • @user-ie6xc4ij1l
      @user-ie6xc4ij1l 2 місяці тому

      그래서 우리가 중국을 이길수 없어요

  • @jink8937
    @jink8937 Рік тому

    좋은 인사이트를 쉽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vw3cu7be7g
    @user-vw3cu7be7g Рік тому +2

    지금까지 자극적이고 편향적인 중국정보에 익숙했는데 전문가다운 객관적인 분석에 큰 인상을 받았습니다.

  • @toydokill4633
    @toydokill4633 Рік тому +18

    유투브보면 중국에대한 혐오컨탠츠만 있는데 이렇게 제대로된 이야기를 들을수 있는기회가 있어서 잘듣고 갑니다.

  • @fall0401
    @fall0401 Рік тому +28

    ebs에서 나오실 때부터 계속 찾아봤습니다. 책 꼭 보고싶습니다~~

  • @scaee74
    @scaee74 Рік тому +2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중국은 공산당이 군대를 만들고, 국가를 만들었죠.. 그래서 공산당 일당 체제라는 말이 안 맞더군요.. 이걸 이해하는데 힘들더군요.. 중국 어려것을 출장, 여행으로 다니며, 이해 안되는 느낌이 많이 들었던 부분이 강의 들으니 풀리네요.. 잘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ks3350
    @ks3350 Рік тому +1

    공감이 됩니다. 저도 한쪽으로 치우친 것과 그동안 좁은 시각으로 바라 봤던게 부끄럽네요.

  • @user-jy2gt3bn7x
    @user-jy2gt3bn7x Рік тому +3

    조영남 교수 감사드립니다

  • @Doomspaghetti
    @Doomspaghetti Рік тому

    말씀을 정말 재밌게 하셔서 집중해서 들었습니다

  • @ggcross659
    @ggcross659 Рік тому +6

    중국정치의 권위자인 조영남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는 25일 “한중 관계가 냉랭한 것은 중국의 책임이 아니라 어쩔 수 없는 현상이”라면서도 “노력하면 (냉랭한 상황을)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Рік тому +5

      이건 맞는 말임.
      1. 한국언론들은 전부 미국의 개다.
      2. 한중관계는 상당수 언론의 영향을 받는다.
      3. 따라서 미국과 중국의 사이가 좋으면 한중관계가 좋아지고 미국과 중국이 나빠지면 한중관계도 따라서 나빠진다.

  • @user-ry7kb1ry4h
    @user-ry7kb1ry4h Рік тому +6

    굿 👍 시원하게

  • @yonghochoi2762
    @yonghochoi2762 Рік тому +8

    우리나라도 다른나라가 볼때 중국못지않게 왜 그럴까 일이 많이 일어나죠

  • @user-mn8od2nr2f
    @user-mn8od2nr2f Рік тому +13

    효율은 독재가 더 좋음. 단지 독재가 권력유지를 위해 뻘짓거리 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점이 문제. 과거 중국이 공산당 일당독재지만, 당내 상호간 견제로 선을 지켜왔다면, 지금은 습근평이 당내 독재권력으로 등장하면서, 뻘짓거리할 확률이 확 상승함. '영도'라는 게 얼마나 오만한 단어인가. 모택동이 뻘짓거리해서 희생된 사람들과 문화재가 얼마나 많은지 아는 마당에, 지금 중국의 모습은 모택동PART2 아닐까 싶음. '절대권력은 절대부패한다.'는 말이 괜히 명언일까..

    • @michaelchang916
      @michaelchang916 Рік тому +4

      정지학(지정학)을 하는 학자라면 단어를 일반화시켜서 독재라고 하던가 하면 될 걸 굳이 "영도"라는 단어를 수없이 강조해서 중국공산당을 대변해 주는 강의를 왜 한국인이 들어야 할까요? 중국인도 깨어나야 하는 마당에 뭔 종교도 아니고 한국인이 "영도"의 의미까지 새겨 들어야 하나요

    • @user-zt8cf4vb9z
      @user-zt8cf4vb9z Рік тому

      학문에서 단어선택이 얼마나 중요한데요, 학자는 정확한 뜻을 전달하려 노력해야

    • @user-ie6xc4ij1l
      @user-ie6xc4ij1l 2 місяці тому

      인도를 봐요 민주정치 하는데 완전개판

    • @user-ie6xc4ij1l
      @user-ie6xc4ij1l 2 місяці тому

      ​@@michaelchang916
      우리가 판단해서 설명하는게 아니라
      중국 공산당이 어떤 생각으로 나라를 이끌려고
      하는지를 알아야되죠
      쟤네들은 분명히 공산당이 독재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런데 독재만
      하는게 아니라 자신들이
      좋은나라 라고 생각하는
      방향으로 국민들을 앞장서서 이끌어야 한다는
      거죠

  • @user-sz1yi4pm7x
    @user-sz1yi4pm7x Рік тому +17

    중국이 발전하는것을 설명할수업다고? 바보인가? 미국이 소련을 포위및 견제하기위해서 중국의 개방을 이끄러냈고 미국의 경재체제에 편입해고 수입을 해주므로 중국을 키워주었다. 그리고 막스의 자본론 조금만 읽어보면 공산당이 국가를 선도하며 국가는 당의 전위부대이다. 다시말해서 주체는 당이다. 그리고 중국은 개인의 재산을 넘무쉽게 침범한다.

    •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Рік тому

      오만과 편견으로 가득찬 냉전세대 냉전유령이시네여.

    • @user-764qotttt
      @user-764qotttt Рік тому

      당이 없이는 국민. 국가를 설명할 수 없다는 게 가장 큰 차이이고 그 당이 공산주의 기반인 점에서는 세계 역사 정치 경제 철학적인 부분에서 예견된 바가 많죠. 그 점에서 동의합니다.

  • @seunghunsong8422
    @seunghunsong8422 Рік тому +19

    훌륭한 강의입니다. 이웃나라였는데 우리가 잘 모르는 부분을 잘 설명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lionheart721
    @lionheart721 Рік тому +8

    정말 중국 이해하기에는 가장 좋은 내용이네요. 이런 기초적인 내용도 어디하나 알려주는 곳이 없었는데 잘 들었습니다.

  • @user-tt3ix7rs6s
    @user-tt3ix7rs6s Рік тому

    찜이요~

  • @alyciawang2892
    @alyciawang2892 Рік тому +7

    삼프로TV 조영남 교수님 감사합니다

  • @user-xn1bk9hi8g
    @user-xn1bk9hi8g Рік тому +10

    오 시리즈 시작이다

  • @user-li1id6oj7e
    @user-li1id6oj7e Рік тому +22

    본격적으로 중국 강의를 해주신다니 너무 좋네요 ㅎㅎ 앞으로도 기대됩니다

  • @user-wn2nt9gn2y
    @user-wn2nt9gn2y Рік тому +33

    시간 가는줄도 모르고 봤습니다. 중국에 대해 잘 이해 할 수 있는 유익한 말씀 감사합니다.

  • @ylee2116
    @ylee2116 Рік тому +34

    최고의 강의입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되네요. 수준높은 강의를 쉽게 일반인에게 전달해 주시는 교수님과 삼프로에 감사합니다🥰

  • @user-qp8xk8vd5i
    @user-qp8xk8vd5i Рік тому +13

    삼프로가 모든 사항을 팩트로 강연하고
    평가하고 시민들에게 전달해 주시는
    삼프로에게 감사합니다

  • @Irene-mo9ro
    @Irene-mo9ro Рік тому +2

    최고의 강의네요. 2강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TheHanjun0202
    @TheHanjun0202 Рік тому +6

    와 간만에 고퀄리티 강의듣습니다. 좋은 영상주신 삼프로 및 교수님께 감사드려요

  • @user-bm7fl3gj6j
    @user-bm7fl3gj6j Рік тому +4

    중진국까지는 전체주의 개발독재가 유리할 수도 있겠지...하지만 인권을 보호하는 자유민주주의 체제하의 창의성 발현없이는 선진국이 될 수 없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결과만을 가지고 전체주의 중국공산당 독재를 인정 찬양 고무하는 듯한게 영.......

    •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8 місяців тому

      그.. Sci 논문 등재 압도적 1위 국가가 중국 된지 오래임
      주요 선진국들에서도 쟤네 과학기술 분야 성장이 압도적이라고 계속 보고서 내는 중이고

  • @lucidback3360
    @lucidback3360 Рік тому +20

    왜 공산당 간부만 특권을 누리지

    • @user-td7vz6lh6z
      @user-td7vz6lh6z Рік тому

      중국공산당만이 중국을 잘 살게할수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지난 5천년 역사를 돌이혀 보면!!!

    • @bongkot339
      @bongkot339 Рік тому

      공간당이 모든 사회에 관여 공권력으로 다스려 공산당만이 지식인이 되고 하층계급은 국가의 소모품되야 국가유지된다 인민은 바퀴벌레이다 벌레는 먹을거만 주면 또 새끼를 친다 15억이 생산한 빵을 지식인 공산당원이 먼저 가지고 남는걸로 11억 바퀴벌레가 나눠먹는거임 항상 배고프고 배울 기회가 없을수 밖에 없슴 15억에 코로나로 죽어바야 1백만이다 도시마다 구속시켜 약한 유전자는 갇혀죽고 강한 유전자만 살아남는다
      15억원을 가진자가 1백마논 없어진다고 쩔쩔매겠슴?
      전쟁시 공산당원만 때려잡으면 15억을 잡을수 있다는 거임 청일전쟁에서 증명했고 변한게 없슴 15억인데 축구선수가 왜 없겠슴 공산당만 자격이 주어짐 배부른 돼지가 뛰는거 봤슴? 안뛰어도 15억안에서 당혜택이 유럽에서 뛰는거보다 혜택이 좋은데 왜 나감
      군사무기도 중국안에서만 비교해 좋은거면 됨 중국이 착각하는건 국대급이 세계급이라 착각에 세뇌화되고 가능한줄 안다는거
      저 교수는 웃긴게 이론적임 한국은 당이 맘에 안들면 다른당으로 정권을 맡기지만 중국은 공산당 하나라서 인민을 보살필수 밖에 없다? 장난하냐 나이먹고 입만 살았네
      마지막에 한방맥이네 공산당원식 ppt는 한국에 안먹힌다 ㅎㅎㅎ

    • @bongkot339
      @bongkot339 Рік тому

      말을 똑바로 해야지
      공산당원이 바퀴벌레를 잘 가둬나서 국가가 유지된거지
      지난 5천년? 2천만 밖에 안되는 일본군을 유럽소총 영국군함으로 홈그라운드에서 싸워 6천만이 디지고 항복했고 먼 지럴같은 개몽운동 한답시고 홍위병이 인민 9천만이 학살 굶어디지고도 역사를 숨겼지 시대가 시대인만큼 서로 전쟁을 기피해서 허풍지르는 중국을 피하는거지 우크라이나랑 중국이 붙으면 중국은 개박살난다

    • @user-fz6hz3uc9x
      @user-fz6hz3uc9x Рік тому +1

      @@user-td7vz6lh6z 공산당 이전에 당신들이 경험했던 것은, 비교대상은 왕조시대 뿐이네요 권력을 엘리트들에게 맡기고 그들의 지배받는 것도 뭐..

    • @user-ie6xc4ij1l
      @user-ie6xc4ij1l 2 місяці тому

      국민을 잘살게 해주는
      어려운 일을 하니까

  • @Do_Yooni
    @Do_Yooni 2 місяці тому +1

    너무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