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yeongbokgung Palace Royal Guard Changing Ceremony l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 (2023.5월) 4K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4 тра 2023
  • 🗓 Recording date: May 2023
    [Royal Guard Changing Ceremony]
    10;00, 14;00 / 20 minutes per ceremony
    Introduction
    In the Joseon dynasty, the royal guards of the palace were gatekeepers who were responsible for guarding the the main gates of Gyeongbokgung Palace as well as the main gates of the city such as Heunginjimun Gate and Sungnyemun Gate. The royal guards worked in shift duties and were in charge of opening and closing Gwanghwamun Gate. Before the royal guard system was enforced in 1469, the palace gates were protected by soldiers of the central army. The Palace Royal Guard Changing Ceremony held at Gyeongbokgung Palace and the Gwanghwamun area reenacts the guard-changing procedure that took place during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the reproduction of costumes and weapons, based on historical records.
    english.visitkorea.or.kr/enu/...
    수문장 교대의식 : 10시, 14시 / 1일 2회 / 소요시간 20분
    2002년부터 이어져오고 있는 경복궁 수문장 교대의식은 조선시대 왕실 호위문화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전통문화행사입니다. ‘조선왕조실록’예종(睿宗) 1년(1469) 수문장제도의 시행 기록을 역사적 근거로 하여 재구성된 이 행사는 당시의 복식 및 무기 등을 복원하여 조선 전기(前期) 군인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재현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www.chf.or.kr/cms/content/vie...
    📷 Seoul Street Photography l Follow on Instagram
    / seoul_4k
    #경복궁 #수문장교대식 #수문장교대의식

КОМЕНТАРІ • 46

  • @serthe2007
    @serthe2007 Рік тому +26

    안녕하세요!!! 나의 한국인 친구야, 잘지내니?? 저는 이 의식을 즐겼습니다. 언젠가는 제가 이 의식에 직접 참석할 것입니다. 이 동영상을 게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거운 한 주 보내세요. Sergio São Paulo BR

  • @user-xt7mp2wm3d
    @user-xt7mp2wm3d 9 місяців тому +9

    기가 막힌 날씨까지 제대로 어울려줬구나~ ㅎ

  • @serthe2007
    @serthe2007 Рік тому +14

    Hello!!! My Korean friend, how are you?? I enjoyed this ceremony. One day, God willing, I will attend this ceremony in person. Thank you for publishing this video. Have a great week. Sergio São Paulo BR

  • @bohyunyoo5855
    @bohyunyoo5855 Рік тому +4

    멋집니다!😊

  • @parmenideskim9739
    @parmenideskim9739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경복궁을 가장 많이 이용한 임금은 세종대왕으로 세종대왕은 근정전앞에서 즉위식을 올리고 임금이 되셨으며 태종과는 달리 평생을 경복궁에서만 머물며 경복궁에서 국정을 살피고 한글을 창제하셨습니다. 그래서 경복궁을 세종대왕의 궁궐이라고도 합니다. 그리고 세종대왕은 한글 발명 외에도 우리역사에서 영토를 확장한 마지막 임금이시며 지금의 압록강-두만강 국경선을 확립한 임금이십니다.

    • @seoul_4k
      @seoul_4k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

    • @HotSoil510
      @HotSoil510 8 місяців тому

      쌩구라입니다........세종마왕은 중국에 사대주의를 확립해서 조선을 중국의 속국으로 만든 사람입니다. 그래서 왕실을 위해서 싸워줄 양인병사들이 필요없게 되었고 대부분의 백성들은 노비로 전락하게 해서 조선을 "노예제사회" 로 만든 임금입니다.....세종마왕은 한글을 발명하지 않았습니다. 한글은 몽고 파스파문자의 음운체계를 표절한 것으로 만든 것입니다. 발명이 아닙니다.

  • @serthe2007
    @serthe2007 Рік тому +2

    你好!!! 我的韩国朋友,你好吗? 我喜欢这个仪式。 有一天,如果上帝允许的话,我会亲自参加这个仪式。 谢谢你发布这个视频。 祝你度过愉快的一周。 Sergio São Paulo BR

  • @serthe2007
    @serthe2007 Рік тому +4

    お早うございます!!! 私の韓国人の友達、元気ですか?? 私はこの儀式を楽しみました。 いつか、神様のご意志で、私はこの式典に直接出席します。 この動画を公開してくれて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良い一週間をお過ごしください。 Sergio São Paulo BR

  • @parmenideskim9739
    @parmenideskim9739 11 місяців тому +14

    경복궁은 화려하면 백성이 고달프고 초라하면 나라의 위신이 서지 않는다고 하여 이를 절충해 지어졌습니다. 그래서 궁궐이 신라나 고려시대보다 작고 화려하지 않지만 대신 매우 품위있고 우아하게 지어졌습니다. 참고로 경복궁은 이 나라에 큰 복이 있으라는 뜻이며 근정전은 왕은 부지런히 백성을 보살펴야 된다는 뜻이며 임금의 집무공간인 사정전은 '임금은 생각을 많이 해야 하며 임금을 생각을 안 하면 백성이 도탄에 빠진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전각들의 이름은 정도전이 지은 것으로 이 이름들에서 보듯 조선은 왕을 위해 존재하는 나라가 아니라 임금이 백성을 위해 봉사해야 되는 나라로 건국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seoul_4k
      @seoul_4k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

    • @HotSoil510
      @HotSoil510 8 місяців тому

      ........................................조선은 왕을 위해 존재하는 나라가 아니라 임금이 백성을 위해 봉사해야 되는 나라로 건국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쌩구라 가짜력사입니다.....조선은 나라와 백성이 왕 개인의 재산으로 취급되었던 노예제사회였습니다....세계최악의 동족노예제를 운영했던 노예제사회.

    • @user-zb1jf8nu6q
      @user-zb1jf8nu6q 5 місяців тому

      다른 나라에 비해 궁이 단순하다는 생각을 했는데 역시 이런 깊은 의미가 있었군요

    • @HotSoil510
      @HotSoil510 5 місяців тому

      @@user-zb1jf8nu6q 쌩구라 가짜력사입니다.....조선은 나라와 백성이 왕 개인의 재산으로 취급되었던 노예제사회였습니다....세계최악의 동족노예제를 운영했던 노예제사회.

  • @user-up1oi2lh5b
    @user-up1oi2lh5b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실제로 수문교대식은 저렇게 화려하게 하지않았습니다
    그냥 퍼포먼스로 요즘 만든거구요
    옛날 수문교대식은 그냥 근무자끼리 맞교대입니다

    • @tolerance7694
      @tolerance7694 Місяць тому

      그래 잘났다. 발전시켜서 보엏주는거야 알간

    • @user-up1oi2lh5b
      @user-up1oi2lh5b Місяць тому

      @@tolerance7694 역사적 사실을 알고 발전시키든 관광상품화 하든 알고나 있으라는 얘기다. 함부로 댓글에다 반말 짓거리하지말고
      그러나 나한테 곤욕치루고 후회하게 됩니다

  • @jungking4033
    @jungking4033 3 місяці тому

    취타대가 맥 빠진듯한 연주와 공연을 하고 있어 실망..

  • @bluelobster6100
    @bluelobster6100 8 місяців тому +1

    너무 고증에 철저하네 좀더 엔터적인걸 넣어라

  • @streetcat3411
    @streetcat3411 Рік тому +1

    4:20 The exterior is painted in primary colors, but that big drum must be a Japanese drum!
    A characteristic of Japanese drums is that the perimeter of the skin is fixed with nails.
    A feature of Korean drums is that the stretched skin is pulled by a string.
    Korea is trying to steal Japanese drums that have a good tone by disguising them as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 @user-nk1py3jo8k
      @user-nk1py3jo8k 9 місяців тому +4

      근거없는 말 . 1607 ~1811 년 저 큰북은 조선이 일본에 통신사를 파견할때 사용도 했다 . 그리고 조선 행차때 조선과 일본의 사료가 남아있고 또 일본인 화가의 그림도 있다 . 😂

    • @streetcat3411
      @streetcat3411 9 місяців тому

      @@user-nk1py3jo8k This same drum is not depicted anywhere in the illustrations of that Korean parade! There is no way that there would have been a ship that could afford to transport such a large drum from Korea to Japan in that era, and how would such a large drum be transported for a parade?

    • @user-nk1py3jo8k
      @user-nk1py3jo8k 9 місяців тому

      ​@@streetcat3411일본 고베시기립 박물관에 그림이 있습니다. 그리고 큰북 외 가마와 말,악기 까지 같이 갔습니다. 조선의 통신사가 파견할때 일본 막부에게 전달하고 조선의 배와 일본의 배와 함께 이동합니다. 화물칸 배가 따로 있습니다. 오사카와 도쿄에서 조선 통신사 행렬식을 관람하는 일본인들이 많았고 그들의 사료와 그림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 @singkoya
      @singkoya 8 місяців тому

      @@streetcat3411 Go to Kobe city museum. There is painting for Chosun diplomatic parade. You can see huge drum bigger than here inside the Chosun parade. When Japanese army invaded Chosun, they kidnapped many Chosun potter ceramist. That's starting of japanese pottery art.
      Think about where Japanese drum originally come from. You are the descendant of thief and kidnapper.

    • @user-ug6wg3yg2q
      @user-ug6wg3yg2q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일본은 과거부터 한국의 유물을 훔쳐갔고 도자기공 철기공들을 잡아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