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시간복잡도 2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신찬수, 한국외대, 2020년 1학기, 자료구조및실습 (컴전학부), 알고리즘 (융복합SW)

КОМЕНТАРІ • 12

  • @지연강-q4y
    @지연강-q4y 2 місяці тому

    6:16
    10:44

  • @김건희-c2h
    @김건희-c2h 2 роки тому +3

    python 위주의 자료구조랑 알고리즘은 찾기 힘든데 정말 최고의 강의 입니다 ~!~!~!

  • @llliliillilillli7895
    @llliliillilillli7895 2 роки тому +1

    와… 존경심이 차오릅니다 진짜

  • @강연주-f8j
    @강연주-f8j 2 роки тому +1

    좋은 강의 너무 감사드립니다. 강의 듣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arrayMax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를 구할 때 마지막 함수 반환까지 고려하면 2n의 시간 아닌가요?

    • @ChanSuShin
      @ChanSuShin  2 роки тому +1

      return 문까지 고려해도 되지만 보통 +1정도의 차이뿐이라 편의상 생략합니다.

    • @강연주-f8j
      @강연주-f8j 2 роки тому

      @@ChanSuShin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 @코놀
    @코놀 4 роки тому

    시간복잡도 이해하기 어려웠는데, 이해가 쏙쏙 잘 되네요!!

  • @BanBakSiNaeGaMatEum
    @BanBakSiNaeGaMatEum 2 роки тому

    10:47

  • @BanBakSiNaeGaMatEum
    @BanBakSiNaeGaMatEum 3 роки тому

    연산자 1개당 1번 기본연산?

  • @typescripter
    @typescripter 3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 @김지환-w8z
    @김지환-w8z 3 роки тому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SphereofTime
    @SphereofTime 7 місяців тому +1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