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입문자용) 전구체가 없으면 양극재를, 그리고 배터리를 만들 수 없다? - 제련회사들을 응원합니다.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лют 2025
- #2차전지, #리튬이온전지 의 중간물질인 #전구체 는 중국이 절대적인 생산국입니다. 중국자체 광산과 중국 이외의 광산을 중국이 독점하고 있습니다. 전세계의 광물은 중국으로 모이고, 중국 제련소에서 반가공하여 자국 에서 소화하고 일부는 한국와 일본으로 수출합니다. 우리나라에 소요되는 전구체의 거의 전량이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다는 기사에 충격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중국이 전세계 광산을 독점하고, 풍부한 광물을 바탕으로 제련기술이 발달해 있는 연유라고 합니다. 희망은 LFP 배터리에 사용하는 대립경을 주로 생산하고, 한국은 고성능 배터리에 사용하는 소립경에 강점이 있다고 합니다. 포스코, LG, 고려아연, 영풍등 제련 사업을 하는 회사들의 분발을 기대해 봅니다.
전구체 - 前驅體, precursor - 어떤 물질대사나 화학반응 등에서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는 특정 물질이 되기 전 단계의 물질을 말한다. 전구물질이라고도 한다.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전구체는양극재의 원료가 되는 물질로, 니켈, 코발트, 망가니즈 등이 사용된다. 리튬을 더하면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를 만들 수 있다. 2차 전지에서 원가의 43%는 양극재인데, 양극재 재료비의 70~80%는 전구체가 차지하고 있다. 양극재는 전구체에 따라 품질이 결정될 만큼 중요도가 높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다음주에 2차전지 생산 업체에 면접이 있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정말 기쁩니다. 꼭~ 좋은 결과까지 이어지기를 기도하겠습니다. ^^
전구체 근무환경은 어떻고 어느공정이 제일 나을가요?
관심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전구체는 화학반응으로 다른 화학물질을 만드는 기초소재입니다. 2차 전지의 양극재 소재인 전구체가 있고, 생화학, 반도체, oled 등에 기초 소재로 사용되어 있어서 해당 산업 분야별로 제조 공정과 근무환경이 천양지차일 듯 합니다. 국내 양극재 제조업체들은 전구체를 90% 넘게 수입하고 있었는데 2023년에 드디어 국내 생산량이 13% 까지 증가했더군요. 관련 기사 2024년 7월 14일자 내용. 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4/01/05/2024010500090.html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기준 전구체 중국산 수입 비중은 97.4%에 달했습니다. 2020년 90.6%, 2021년 93.7%, 2022년 95.3% 등으로 매년 높아졌습니다. 향후 중국이 전구체 수출 제한 정책을 펼치게 되면 한국은 수급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는 셈입니다. 저는 신산업을 공부하는 학생이라 근무환경과 공정에 관한 실질적인 도움을 드리지 못합니다. 도모하시는 일의 성취를 응원합니다.
구글 Gemini에서 검색한 내용 압축해서 추가합니다. 먼지와 연기: 전구체 재료는 종종 미세한 분말로, 먼지를 생성하고 잠재적으로 작업자를 호흡기 위험에 노출시킬 수 있습니다.
화학 물질 취급: 일부 전구체 재료는 올바르게 취급하지 않으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엄격한 안전 프로토콜과 개인 보호 장비(PPE)가 필수적입니다.
교대 근무: 생산 시설은 종종 24시간 연중무휴로 운영되므로 교대 근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는 수면 패턴과 사회 생활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소음: 전구체 생산에 관련된 기계는 시끄러울 수 있으므로 청력 보호가 필요합니다.
반복 작업의 가능성: 생산의 일부 측면에는 반복 작업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피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추가 고려 사항:
환경 규정: 전구체 생산에는 유해 물질과 폐기물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안전한 취급 및 폐기를 보장하기 위해 엄격한 환경 규정이 시행됩니다.
자동화에 집중: 업계는 효율성과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자동화에 점점 더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는 잠재적으로 사용 가능한 수동 노동 일자리 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양극재 전구체 공장에서 일하는 것은 역동적이고 보람 있는 경험이 될 수 있지만, 잠재적인 과제를 인식하고 안전을 우선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정 작업 환경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고려할 수 있는 추가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떤 특정 안전 프로토콜이 시행되고 있습니까?
어떤 유형의 PPE가 제공됩니까?
직원 교육 및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까?
일반적인 작업 일정은 무엇입니까?
알루미늄이 포함되는 전구체도 있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때는 알루미늄이 불순물로서 제거가 되지 않는건가요?
관심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여러 사이트에서 서치한 내용입니다. -- 알루미늄이 함유된 전구체에서 사용되는 알루미늄은 일반적으로 고순도의 알루미늄으로 제작됩니다. 이러한 고순도 알루미늄은 녹슬지 않으며, 산화되는 경향이 매우 적습니다. 알루미늄은 전구체 재료의 성분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불순물로서 제거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존재할 수 있는 기타 불순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과 순도를 보장하기 위해 생산 공정 중에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고 제거합니다. --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알루미늄은 리튬이온전지 전구체에서 다양한 이유로 첨가됩니다.
첫째, 알루미늄은 리튬 이온 전도성이 높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을 첨가하면 리튬 이온의 이동이 용이해지고 전지의 충전 및 방전 효율이 향상됩니다.
둘째, 알루미늄은 전지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문제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지에서는 충전 및 방전 과정에서 리튬 금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리튬 금속은 고온에서 녹아서 전지 내부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알루미늄이 함유된 전극을 사용하면, 알루미늄과 리튬 이온의 반응으로 알루미늄 산화물이 생성되어, 리튬 금속 생성을 방지하고 전지 안전성을 향상시킵니다.
셋째, 알루미늄은 전지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리튬 이온 전지에서는 충전 및 방전 과정에서 전극 소재와 전해질 소재 사이에 부식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식 현상은 전지의 수명을 줄이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알루미늄을 함유한 전극을 사용하면, 알루미늄 산화물 층이 전극 표면을 보호하여 부식 현상을 방지하고 전지 수명을 연장시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은 리튬이온전지 전구체에서 전지의 전기적 특성, 안전성 및 수명 향상을 위해 첨가됩니다.
LS
ls 엘엔에프와 전구체 사업을 시작하죠. 응원하고 있습니다.
전구체 근무환경은 어떻고 어느공정이 제일 나을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