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가 잘못 이해한 주식필승법. 섀넌의 도깨비의 오해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6 лют 2025
  • 섀넌의 도깨비에 관해 대부분이 모르는 사실을 말씀드립니다.
    영상 마지막의 수식에 오류가 있어 다시 적어드립니다.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a(x-1) + (a(x-1)+1)b(y-1)
    기하평균 영상 링크입니다
    • 주식을 할수록 돈이 사라지는 분들을 위한 영상
    자동매매 매매일지 영상도 같이 보시면 좋습니다
    • 자동매매로 400만원 잃고 얻은 교훈
    #주식 #섀넌의도깨비 #시냥이

КОМЕНТАРІ • 17

  • @joonoj7468
    @joonoj7468 4 дні тому

    와우 신박하다 이런분석도 있네~ 라며 구독 누르고 보다가
    비밀이라 말할수 없다며 그상태로 끝을내시니 황당했네요
    대략적인 가이드 라도 보여주실줄 알았는데 ㅎ 쩝...
    안가르쳐주시면 해오던대로 주식:현금 6대4로 두고 일년에한번 리밸런싱이나 해야겠군요

  • @마미정-q5c
    @마미정-q5c 2 місяці тому +1

    비밀을 풀어내실 날을 기다려봅니다

  • @minskim611
    @minskim611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세상에나 이걸수학적으로 계산하시는분이 계실줄이야..
    구독눌럿어요~

  • @alexh.3460
    @alexh.3460 Місяць тому +1

    선생님~ 머리 쥐어 뜯으며 여러 번 영상을 보았는데 마지막 최적의 투자값 계산 부분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굳이 주식에 갖다 붙이자면, 도박처럼 1종목에만 베팅을 해서 1번의 매매가 종료될 때마다 리밸런싱을 한다고 가정할 때...
    리밸런싱은 주식 대 현금의 비중, +배율은 수익, -배율은 손절로 이해하면 될까요?
    a=0.4, b=0.2가 무엇을 의미하는 지도 잘 모르겠는 상태에서 x를 2, y를 0.5로 놓고 계산해보니 26%가 나오지 않는데 혹시 괜찮으시다면 설명을 부탁 드리고 싶습니다.
    물론 시냥이님 고유의 아이디어가 노출될 수 있는 부분이면 당연히 안 알려주셔도 됩니다.
    3가지 함정 영상에서 기하평균 설명해주신 부분과 본 영상만으로도 충분히 큰 도움을 받았으니 그것만으로도 감사할 따름이니까요.

    • @C_Nyang_2
      @C_Nyang_2  Місяць тому +1

      리밸런싱은 주식 대 현금의 비중, +배율은 수익, -배율은 손절로 이해하면 될까요?
      : 제가 영상에서 계산한 방식에 한해서는 그렇게 해석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a=0.4, b=0.2가 무엇을 의미하는 지도 잘 모르겠는 상태에서 x를 2, y를 0.5로 놓고 계산해보니 26%가 나오지 않는데 혹시 괜찮으시다면 설명을 부탁 드리고 싶습니다.
      : 다시 확인해보니 제가 영상에 수식을 옮겨적는 부분에서 실수를 했습니다. 실제 수식은 a(x-1) + (a(x-1)+1)b(y-1) 입니다.
      수식에 x=2, y=0.5로 계산하신다면 0.26이 나오실 겁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 @alexh.3460
      @alexh.3460 Місяць тому

      @@C_Nyang_2 와~ 빠른 댓글 감사 드립니다. a=0.4, b=0.2는 퀀트나 프로그램 같은 곳에 필요한 상수같은 건가요?
      그런 류가 아니라면 주식 40%:현금 20%:기타 40% 혹은 주식2:현금1로 이해해도 될 지 궁금합니다.
      사실 최근에 김진명 작가님의 도박사라는 책을 읽었더니 분산과 분할이 가능한 주식보다는 도박같이 1회에 승부가 결정되는 경우
      기대 수익과 손실을 확정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리밸런싱 만으로도 효과가 있을지 궁금해서 시냥님 채널까지 찾아오게 되었습니다.
      저것도 다 노력의 산물인데 실제 수식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C_Nyang_2
      @C_Nyang_2  Місяць тому

      @alexh.3460 a, b 는 이익과 손실 상황에 대한 투자금액 조정 정도의 변수입니다. 섀넌의 도깨비나 캘리공식과 같이 잘 알려진 계산법들에 대해서, 수익과 손실과 같은 변수가 결정된 상황에서는 계산을 통해 최적의 수익을 찾을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결국 현실은 변수 통제가 거의 불가능 하기에 계산값이 맞지도 않으며, 벌어진 사실 앞에 확률적이지도 않습니다.
      영상에서 사용한 0.4, 0.2 와 같은 숫자는 아주 단적인 예시입니다. 정해진 기준보다도 불확실성을 고려하며 유동적으로 계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저는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 @rkdlffor
    @rkdlffor 3 місяці тому +2

    섀넌의 도깨비의 의의는 제가 생각하기에 항상 그 주식을 장기로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우상향 한다는 미장이라는 가정하에는 좋은 전략이라고 봅니다. 괜히 저점, 고점 맞추기 한다고 단타쳐서 손해보는것보다는 괜찮은 전략인듯 싶네요

    • @C_Nyang_2
      @C_Nyang_2  3 місяці тому

      사실 결국 우상향한다고 가정한다면 오히려 섀넌의 도깨비를 안하는게 수익률이 더 높습니다

    • @rkdlffor
      @rkdlffor 3 місяці тому

      @C_Nyang_2 그렇다고해서 평생 안팔고 들고가기는 실제로 너무 힘든법이니까요. 리밸런싱을 해주는거니까 의미는 있다고 봅니다.

  • @홍완기-w5o
    @홍완기-w5o 2 місяці тому

    섀넌의 도깨비 관심많아요 잘들었구요 좀더 자세히 알고 싶어요 수학적 근거 공부할 수 있는 자료나 지침 도움 주실 수 있나요 ?
    감사합니다.

    • @C_Nyang_2
      @C_Nyang_2  2 місяці тому

      댓글 감사합니다. 다만 저는 독학으로 공부하며, 떠오르는 아이디어에 따라 연구를 진행해왔습니다. 그래서 지침이나 공부 자료를 따로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이런 자유로운 탐구 방식이 더 많은 통찰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섀넌의 도깨비 같은 개념에 얽메이지 않고, 스스로 고민하고 응용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해답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 @테니스정웅
    @테니스정웅 6 місяців тому

    그럼 어떻게해야할까요ㅠ

    • @dzfreeman
      @dzfreeman 6 місяців тому

      우상향 가능성이 높고 변동성이 큰 자산에 투자하면 됩니다

  • @SAPIENS-z1h
    @SAPIENS-z1h 5 місяців тому

    3배 레버리지 soxl fngu tqqq에 투자해야겠군.
    한달에도 변동성이 50%까지 갈수 있으니

    • @C_Nyang_2
      @C_Nyang_2  4 місяці тому

      변동성을 높일수록 리스크도 증가하니까 조심하셔요

  • @한-q5r
    @한-q5r 15 днів тому

    나는 15 년째 장기투자중 인데 결국엔 우상향하드라 오르던말던 쌩까고 하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