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 사찰 아래 잠들어 있던것, 천흥사지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산성 #폐사지 #절터 #천안 #천안여행 #천흥사지 #동장 #동종
    #왕건 #고려 #대목악군 #백제
    #역사 #여행 #역사이야기 #사적돌 #답사 #답사여행
    #문화재 #국가유산 #역사여행 #한국사
    #korea #travel #history #korean historical places
    #south korea history #south korea tourism
    #south korea documentary history
    #south korea travel #rural korea #seoul countryside
    #ancient korean history #korea history
    ▬▬▬▬▬▬▬▬▬▬▬▬▬▬▬▬▬
    사적돌 모든영상이 AI 프로그램의 자료로사용되는것을거부합니다.
    대부분의 영상자료는 자체 촬영 및, 획득한것입니다.
    드론 촬영의 경우 반드시 비행허가, 촬영허가를 득한것입니다.
    요청지는 가능한 방문합니다, 순서는 출장에따라 아주 다를수 있습니다.
    공식명칭, 공식용어를 기본으로 하되, 쉽게 풀이한 단어를 사용하겠습니다.
    발굴상황, 정보공개, 저작권, 등 제반 여건에 따라 제작이 불가한 경우가 있습니다.
    상기한 이유로 고증과 일치하지않는 자료, 소수의견, 해석 등이 등장할 수 있습니다.
    차별, 혐오 욕설 등 다른 구독자분들께 폐를 끼칠수 있는 댓글은 예고없이 삭제됩니다 😌
    즐겨 시청해 주심 감사드립니다. 관리에 더욱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
    사용된자료
    해당 유적지 발굴조사보고서
    한국민족대백과사전
    국사편찬위원회 사서자료
    사용된지도
    국토지리정보원 www.ngii.go.kr...
    구글맵스 www.google.co....
    구글어스 www.google.co....
    사용된이미지
    문화재청 www.cha.go.kr/...
    국립중앙박물관 www.museum.go....
    위키미디어 commons.wikime...
    사용된음악
    July - John Patitucci
    Hear The Bells - John Patitucci
    사용된소스
    [Video Source Support]
    UA-cam channel "freeticon" : / freeticon
    ▬▬▬▬▬▬▬▬▬▬▬▬▬▬▬▬▬

КОМЕНТАРІ • 53

  • @삼백이-e3i
    @삼백이-e3i 18 днів тому +2

    천흥저수지 .'.,.24년초 성거읍에 잠깐살때 주말마다 산책 갔던 곳인데....위례산성 가보고싶었는데 가는길을 몰라 주변만 맴돌다 왔던 기억이 나네요.

    • @사적돌
      @사적돌  17 днів тому

      오 위례성도 다녀왔습니다 😄
      ua-cam.com/video/iguowikJmzc/v-deo.html

  • @MrLimpsoul
    @MrLimpsoul 4 місяці тому +6

    빗소리까지 더하니 너무좋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1

      다음엔 바다소리도 담아오겠습니다😄

  • @리헵번
    @리헵번 4 місяці тому +3

    오늘도 수려한 산세속~~
    옛날옛적이야기 들으면서
    같이 여행한기분이에요
    아ㅡㅡ 멋지디~^^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멋지고, 가기도 편하지요, 역사적이견을 떠나 중요한 장소임에는 분명하겠습니다😄

  • @ArchaeologicalHeritage
    @ArchaeologicalHeritage 4 місяці тому +3

    유익하고 멋진 영상 감사합니다..역사학 고고학 분야 유튜브 영상 중 최고 수준입니다..항상 응원합니다.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좋은말씀 감사드립니다😄

  • @kimsaam
    @kimsaam 4 місяці тому +2

    한편 한편 볼 때마다 감탄스러움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선조님들이 남겨주신 이야기들이 정말 하나같이 대단한듯합니다😄

  • @이현-m9w
    @이현-m9w 4 місяці тому +2

    곳곳에 중요하지 않은 땅이 없네요...! 늘 감사히 보고있습니다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1

      선조님께서 참 치열한 과거를 만들어두셨네요😌

  • @shinseunghoh
    @shinseunghoh 4 місяці тому +2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시청 감사드립니다😌

  • @월하정인-u7r
    @월하정인-u7r 4 місяці тому +5

    영상 고맙습니다.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오 시청 감사드립니다😌

  • @핏빛제왕
    @핏빛제왕 4 місяці тому +3

    명문와편 하나에 비정이 확정이 되는 게 진한 감동을 줍니다. 땅 안에 잠들어 있을 우리 역사를 좀 더 명확하게 해줄 유물들을 좀 더 많이 보고 싶다는 바람이 생깁니다.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1

      글자가 가지는 힘, 그리고 글자를 찾는 과정이네요😄

  • @향원익청
    @향원익청 4 місяці тому +2

    즐거이 답사했던 천흥사지네요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1

      어서 사역 정비해서 열어놨으면 좋겠습니다😄

  • @아자아자-z8m
    @아자아자-z8m 4 місяці тому +3

    ❤❤❤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항상 감사드립니다😄

  • @백제근초고왕-o3t
    @백제근초고왕-o3t 4 місяці тому +6

    천안 바로 아래인 청주 공주가 궁예, 견훤의 세력이었죠 특히 청주는 궁예지지세력으로서 왕건에게 반기를 든 동네이죠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2

      가만보면 청주가 참중요한 지역이에요🤔

  • @백제근초고왕-o3t
    @백제근초고왕-o3t 4 місяці тому +6

    금북정맥으로 진천 천안이 나뉘져 그 고개가 엽돈재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3

      한가운데 김유신 생가도 있고요😄

  • @백제근초고왕-o3t
    @백제근초고왕-o3t 4 місяці тому +5

    위례산성과 세성산성 그리고 용원리고분군. 목지국의 위치로 유력하지요 태조왕건 천안부 이전에는 마한 목지국이 있던자리...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3

      근처 산성들보면 심상치 않지요😮

    • @아자아자-z8m
      @아자아자-z8m 4 місяці тому +2

      🤔​@@사적돌성거산! 함.들려봐야 겠네요...😊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아자아자-z8m 오 성거산성은 안타깝게도 군부대 밑에있습니다 요충지는 현재도요충지네요🤔

  • @백제근초고왕-o3t
    @백제근초고왕-o3t 4 місяці тому +5

    고려 태조 왕건 부인중 천안출신 호족의 딸이있죠.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3

      힘들었을것같아요😱

  • @raincherry3205
    @raincherry3205 4 місяці тому +2

    천안 사는데 되게 신기하네요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천안에 고대 역사유적이 엄청 많습니다😄

  • @윤씨형님
    @윤씨형님 4 місяці тому +2

    힘 내시요.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1

      항상 감사드려요😄

  • @TheJinNK
    @TheJinNK 4 місяці тому +4

    조선말까지만해도 용두사지 철당간 같은게 여러개 남아있던거 같은데 구한말에 흥선대원군이 여러절의 종이나 금속제 당간을 녹여버린듯 합니다 법주사가 그러했지요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1

      기록들을보면 중국인들이 고구려 백제를 정벌하고 세웠다고해서 전국적으로 금속제기둥이 많이 있었나봅니다. 그런데 무기재료인 금속을 기둥으로 만들어 세워줄리가 없지요, 대부분 사찰의 당간이었을것 같습니다🤔

  • @hanbada1000
    @hanbada1000 4 місяці тому +4

    식민사학자들이 정의한 통일신라시대를 신라발해시대라 칭하는 우리 역사인식이 확실한 학자십니다. 남북국시대라고도 말합니다. 통일신라시대라고 말해버리면 우리의 발해역사는 떨어져 나가 버립니다. 발해의 국호도 바르게 찾아주었으면합니다. 국서에는 고려라 썼다는데.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1

      시청 감사드립니다😌

  • @마이클천상유하
    @마이클천상유하 4 місяці тому +3

    우리나라는 산을 중요하게 생각해서 일제 강점기에 수모를 겪기도 했고 그 이전에도 기도처로 소문난 산들이 많았습니다 명당은 산과 필연적인 관계라 남연군의 묘도 세종대왕릉도 다 명당에 속하죠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전통적으로 산신신앙을 가지고 있었지요😄

  • @백제근초고왕-o3t
    @백제근초고왕-o3t 4 місяці тому +6

    천흥사지 그리고 봉선홍경사. 고려시대 왕실사찰로 보입니다
    그만큼 천안지역이 고려왕실에겐 중요했던곳이죠 대목악군은 지금의 목천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2

      직산위례성설의 또다른 불리한 증거네요😮

  • @백제근초고왕-o3t
    @백제근초고왕-o3t 4 місяці тому +10

    그만큼 왕건에겐 천안 진천 충주는 중요했을겁니다 왕건에게 반기를 든 청주와 공주 홍성 그리고 호족 공직의 기반 연산군까지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2

      가히 판도싸움이 치열했네요😯

    • @백제근초고왕-o3t
      @백제근초고왕-o3t 4 місяці тому +1

      ​@@사적돌 그예가 천안 충주 진천호족의 딸들이 부인인데 청주 공주는 없죠.. 청주를 대신하여 진천의 호족 임희가 성장한것도 청주가 지근거리인점이 컸을겁니다 임희는 진천 농다리와도 관련이있죠

    • @백제근초고왕-o3t
      @백제근초고왕-o3t 4 місяці тому +1

      ​@@사적돌진천 임씨들이 농다리일대에 많이 거주하고 있죠

  • @별나무-c8e
    @별나무-c8e 4 місяці тому +2

    왕건과 후백제와 관련이 있는 것 보니 개태사와 성격이 비슷한 절인가 봅니다.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그랬을것 같지요😮

  • @녹턴-z5c
    @녹턴-z5c 4 місяці тому +1

    꼭 통일신라시대를 신라 발해시대라고 하는 이유가 뭡니까? 한반도에 발해라고 하는 유구라도 있는지 알길이 없군요 참 어이가 없습니다 또하나 진흥왕시대에 신라영역이 고구려 멸망이후에 그 영역이 줄어든 기가막히는 일을 어떻게 이해합니까? 합리적인 검토를 다시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사적돌
      @사적돌  4 місяці тому +2

      첫번째 질문에대한 답변은 의견취합에의한것입니다
      많은분들이 요청하셨습니다.
      두번째 질문은 저도 통탄할만한일이라생각합니다 😌

    • @녹턴-z5c
      @녹턴-z5c 4 місяці тому

      @@사적돌 답변 감사합니다 역사는 실사와 실증이 맞아야 역사로써 가치를 인정 받을 수 있습니다 아무튼 탐구 되어 바로 잡는 일은 후손들의 의무가 아닐까합니다 건투를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