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기록에서 '천독교'(天獨教)는 주로 베트남 지역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천독교는 베트남에서 발전한 종교로, 중국의 역사적 문헌에서는 이 지역의 종교적, 사회적 맥락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일본은 교토 동남아에서는 교도 중국에서는 교지 조선왕조 기록으로 천독으로 표기합니다. 여기는 탕롱이 있던 곳이고 고구려 동황성이 있던 곳 탕롱은 탁록 지역을 말하는 것이고 이지역 서 북쪽 옌베이, 연바이, 옌바이는 '연변' 일본이 독도섬을 만든 건 일본 조선 간 300년 정도의 기간에 전투 기록이 있었기 때문에 한반도에 그 지명을 가져다 놓은 것이고요. ''부도지(扶道志)는 한국의 역사서 중 하나로, 고조선의 마지막 왕이 읍루에서 조선의 문을 닫았다는 내용이 있잖아요. 여기가 읍루의 마지막 장소 ''교지', 교도, 교토, 천독'' 동남아에서 교도, 중국에서 교지, 일본 교토, 한국 천독 여기 베트남 하노이를 동남아 역사나 중국 역사에는 항상 교지라 표시를 합니다. 교지 交趾 명사 중국 한(漢)나라 때에, 지금의 베트남 북부 통킹, 하노이 지방에 둔 행정 구역. 전한(前漢)의 무제가 남월(南越)을 멸망시키고 설치하였다. (동황성) 고대 탕롱/ 중세 동황/ 현재 하노이 베트남 북부 옌베이 지역에 있는 큰 호수의 이름 호안끼엠 호(호안 끼엠 호)는 중국에서 "還劍湖" (환검호) 환검 桓儉 명사 ‘단군’을 신격화하여 이르는 말. 한자는 발음을 적은 문자입니다. 한자도 지역마다 쓰는 방식 발음이 달랐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사투리 방언 김치를 짐치라 해서 이게 김치가 아닌가요? 이런 잣대를 세우고 역사를 논한다는 게 참 어리석은 일입니다. 여기가 상고시대 정확하게 언제까지 인지는 모르겠지만 명청시기 이전까진 북해 지역이었다고 보여집니다. 여기에 원래 북경이 있었던 곳이고요. 베트남의 비엔남, 비엣낭, 빈낭 이게 뭔 발음이냐면 우리나라 발음으로 제가 설명하면, (빙냉) 이 발음입니다. 춥다는 의미의 발음입니다. 이 발음이 시간 지나면서 비엔남, 빈낭에서 안남으로 바뀌는 것이고요. 베트남 같이 더운 곳에서 베이하이(북해), 북깐(북경) 이런 지명의 이름 남았겠습니까 적어도 고려시대까지는 중국 전역이 북해였다는 소립니다. 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에 영화에도 나온 일본이 척박하고 추운 곳에서 힘들게 생활하는 시대를 말합니다. 일본이 척박한 곳에서 생활하던 시기를 이야기할 때, 주로 센고쿠 시대(1467-1603)나 막부 시대 제가 예전 광동, 광서가 간도라고 주장을 했는데 이 지역에 일본이 있었을 것으로 봅니다.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건 고려가 멸망 시기에 3개로 쪼개집니다. 이, 최, 김씨의 파로 나뉩니다 여기에 한중일이 뒤 섞여 있는 거구요. 중국 서유기, 중국 무협지, 중국 삼국지 모두 역사를 속이기 위한 잡서들입니다. 서유기는 실크로드의 위치를 숨기기 윈한 것이고 중국 무협지는 중국 지명을 속이기 위한 것이고 중국 삼국지는 삼국의 위치를 중국 위치로 인식 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실크로드는 동남아 먄마(명)메디안, 메디안? 차이나, 메디안? 명, 지역에서 인도 사이를 실크로드라 불렀던 것이고 한나라, 당나라의 특이한 오목모양의 지도가 그려진 장소 이 장소입니다. 한나라 시대에 한나라가 인도 지역에 한나라의 관할 지역을 설치하면서 그런 이상한 모양의 지도가 생겨 난 것이고요. Median, 메디안: 명 burma/불마국 佛魔國(불마국)은 미얀마를 지칭하는 한자 표현, 중국 문헌에서 또 원나라에서 고려를 지칭 할 때 쓰던 표현 파, 바, 버간왕조는 과연 왕건 일까요? 또 중국, 중원은 중들이 많은 곳의 표현이다. 또 토번은 티베트버마 어원의 줄임말이다.
중국 기록에서 '천독교'(天獨教)는 주로 베트남 지역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천독교는 베트남에서 발전한 종교로, 중국의 역사적 문헌에서는 이 지역의 종교적, 사회적 맥락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일본은 교토 동남아에서는 교도 중국에서는 교지 조선왕조 기록으로 천독으로 표기합니다. 여기는 탕롱이 있던 곳이고 고구려 동황성이 있던 곳 탕롱은 탁록 지역을 말하는 것이고 이지역 서 북쪽 옌베이, 연바이, 옌바이는 '연변'
일본이 독도섬을 만든 건 일본 조선 간 300년 정도의 기간에 전투 기록이 있었기 때문에 한반도에 그 지명을 가져다 놓은 것이고요.
''부도지(扶道志)는 한국의 역사서 중 하나로, 고조선의 마지막 왕이 읍루에서 조선의 문을 닫았다는 내용이 있잖아요.
여기가 읍루의 마지막 장소 ''교지', 교도, 교토, 천독''
동남아에서 교도, 중국에서 교지, 일본 교토, 한국 천독 여기 베트남 하노이를 동남아 역사나 중국 역사에는 항상 교지라 표시를 합니다.
교지 交趾
명사 중국 한(漢)나라 때에, 지금의 베트남 북부 통킹, 하노이 지방에 둔 행정 구역. 전한(前漢)의 무제가 남월(南越)을 멸망시키고 설치하였다.
(동황성) 고대 탕롱/ 중세 동황/ 현재 하노이
베트남 북부 옌베이 지역에 있는 큰 호수의 이름 호안끼엠 호(호안 끼엠 호)는 중국에서 "還劍湖" (환검호)
환검 桓儉
명사 ‘단군’을 신격화하여 이르는 말.
한자는 발음을 적은 문자입니다. 한자도 지역마다 쓰는 방식 발음이 달랐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사투리 방언 김치를 짐치라 해서 이게 김치가 아닌가요? 이런 잣대를 세우고 역사를 논한다는 게 참 어리석은 일입니다.
여기가 상고시대 정확하게 언제까지 인지는 모르겠지만 명청시기 이전까진 북해 지역이었다고 보여집니다.
여기에 원래 북경이 있었던 곳이고요.
베트남의 비엔남, 비엣낭, 빈낭 이게 뭔 발음이냐면 우리나라 발음으로 제가 설명하면, (빙냉) 이 발음입니다.
춥다는 의미의 발음입니다. 이 발음이 시간 지나면서 비엔남, 빈낭에서 안남으로 바뀌는 것이고요.
베트남 같이 더운 곳에서 베이하이(북해), 북깐(북경) 이런 지명의 이름 남았겠습니까
적어도 고려시대까지는 중국 전역이 북해였다는 소립니다. 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에
영화에도 나온 일본이 척박하고 추운 곳에서 힘들게 생활하는 시대를 말합니다. 일본이 척박한 곳에서 생활하던 시기를 이야기할 때, 주로 센고쿠 시대(1467-1603)나 막부 시대
제가 예전 광동, 광서가 간도라고 주장을 했는데 이 지역에 일본이 있었을 것으로 봅니다.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건 고려가 멸망 시기에 3개로 쪼개집니다. 이, 최, 김씨의 파로 나뉩니다 여기에 한중일이 뒤 섞여 있는 거구요.
중국 서유기, 중국 무협지, 중국 삼국지 모두 역사를 속이기 위한 잡서들입니다.
서유기는 실크로드의 위치를 숨기기 윈한 것이고 중국 무협지는 중국 지명을 속이기 위한 것이고 중국 삼국지는 삼국의 위치를 중국 위치로 인식 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실크로드는 동남아 먄마(명)메디안, 메디안? 차이나, 메디안? 명, 지역에서 인도 사이를 실크로드라 불렀던 것이고 한나라, 당나라의 특이한 오목모양의 지도가 그려진 장소 이 장소입니다. 한나라 시대에 한나라가 인도 지역에 한나라의 관할 지역을 설치하면서 그런 이상한 모양의 지도가 생겨 난 것이고요.
Median, 메디안: 명 burma/불마국 佛魔國(불마국)은 미얀마를 지칭하는 한자 표현, 중국 문헌에서
또 원나라에서 고려를 지칭 할 때 쓰던 표현
파, 바, 버간왕조는 과연 왕건 일까요?
또 중국, 중원은 중들이 많은 곳의 표현이다. 또 토번은 티베트버마 어원의 줄임말이다.
이렇게 거대한 전라도 충청도도 헷갈리는 엉터리 지도 가지고 뭔말을 하나. 그만해라
거대한대 어떻게 햇갈림. 충청도가 아니니 적었겠지요. 우산이 아니고 간산이면 신라는 한반도 없네요. 그럼 삼국도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