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우고 그리고 또 지우고".. 2024 새만금은 어떤 모습? | 전주MBC 240105 방송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січ 2024
  • 조수영 기자의 더 많은 기사를 보고싶다면?
    media.naver.com/journalist/65...
    ◀앵커▶
    2024년은 그동안 숱한 논란에 휩싸여온 새만금에게도 격동의 시간이 될 전망입니다.
    정부가 새만금의 빅픽처를 다시 그린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규모 투자를 바탕으로 새만금을 좀 더 기업친화적으로 바꾸겠다는 것이 지금까지 알려진 계획의 일부인데요,
    그리고, 지우고, 또 그리고를 반복하면서 개발계획만 늦어지지 않을까 우려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조수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바다를 메운 이 땅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지난 30년 넘게 이어진 새만금 사업은 이른바 '빅 픽처'로 불리는 기본계획을 지웠다 그리길 반복해 온 시간이었습니다.
    당초 100% 농지 조성을 추진하던 계획이 처음으로 철회된 게 참여정부 시절인 지난 2007년,
    이듬해 MB정부로 바뀌면서 비농업용지 비중은 70%까지 껑충 뛰었고, 산업단지 태동의 전기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민간 투자를 유치해 개발한다는 방침에 속도만 늦어졌고, 문재인 정부들어 정부 주도로, 계획이 또다시 수정되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수조 원대 이차전지 배터리 기업투자가 쇄도하면서 일약 전기를 맞았지만, 각본에도 없는 어부지리인 것도 사실,
    게다가 잼버리 파행으로 어수선한 상황에서 정부가 빅픽쳐를 다시 그린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새만금은 또다시 변화의 소용돌이에 빠졌습니다.
    [한덕수 / 국무총리(지난해 8월)]
    "기업친화적인 쪽으로 새만금에 대한 좀.. 큰 그림을 그려가지고 전북 경제에 생생한 활력소를 불어넣자.."
    정부가 표방한 '기업친화적인 새만금'은, 우선 공간 구성의 변화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올해부턴 분양할 땅이 없어 기업유치에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말이 나온 것이 현실, 밑그림을 다시 그릴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한덕수 / 국무총리(지난해 8월)]
    "(새만금에서) 농지가 30%입니다.(중략) 이런 전체적인 농지와 비농지의 비율 같은 것도 다시 봐야 하는 것 아니냐 해서.."
    현재 새만금 기본계획상 산업용지 비율은 20% 남짓,
    해당 용지 비율을 늘리고 다른 용지를 줄여야 하는 것, 그런데 이게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닙니다.
    새만금은 하나하나 붙은 이름도, 성격도, 이용계획도 제각각인 6개 용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관할하는 정부 부처도 다르기 때문에 복잡한 이해관계를 조정해야 하는 난관부터 넘어야 합니다.
    특히 농림축산식품부가 조성을 맡고 있는 농업용지는, 산업용지로의 전환이 쉽지 않아 회의적인 전망이 나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음성변조)]
    "농지는 매립하는 표고(해발고도)가 낮거든요. 그런데 건물이 들어가면 침수 방지를 위해 매립을 더 (높게) 해야 되거든요. 농업기반 시설을 다 설치해 놨지 않습니까? 그럼 이게 다 매몰되는 경우도 생기고.."
    당장은 지난해 기준 20% 남짓 매립이 완료된 산업용지 완공에 박차를 가해야 할 상황,
    하지만 어떤 분야의 산업수요를, 얼마나 흡수하게 될지도 미지수여서 정부가 선뜻 개발에 총력을 쏟을 지는 의문입니다.
    전라북도로서는 어느 쪽으로 튈지 모르는 새만금 빅픽처가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신공항과 철도 등 주요 SOC 사업 예산이 이미 삭감돼 사업 지연이 현실이 된 마당에서 개발의 속도만 더 늦춰지지 않을까 우려하는 겁니다.
    [권민호 / 전라북도 새만금개발과장]
    "현재 새만금 기본계획에 반영된 사업의 규모가 축소되거나 사업기간이 연장되지 않고 속도감 있게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대응할 계획)"
    새만금 빅픽처 그리기에 앞서 정부는 현재 9개 분야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업친화적 새만금을 만들겠다는 명분과 달리 실제론 더 광범위한 논의가 진행 중인 것으로 보입니다.
    이 때문에 순탄하게 추진중이던 기존 개발계획까지 송두리째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옵니다.
    [손재권 교수 / 전북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정부 새만금위원회 민간위원)]
    "불과 3년 만에 재수립되는 만큼 기존 계획을 토대로 개발수요에 따라 융통성 있는 기본계획 수립이 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식량자급률이 목매던 80년대엔 '식량 기지'로, 저탄소 녹색성장을 외친 MB정부에선 '녹색수변도시'로, 정권마다 제각각의 구호를 써붙였던 새만금.
    새만금개발청은 이달 중에 빅픽처를 위한 본격적인 절차에 착수한다지만, 내년 말쯤에나 공개될 여덟번째 밑그림의 유통기한이 얼마나 갈지 벌써부터 회의적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MBC뉴스 조수영입니다.
    영상취재: 정진우
    그래픽: 문현철
    #빅픽처 #새만금 #투자

КОМЕНТАРІ • 36

  • @user-ux5ln2xj8u
    @user-ux5ln2xj8u 5 місяців тому +10

    새만금 개발을 기피할 목적으로 정부가 바뀔때마다 맨날 기본 계획만 바꾸고 미루기를 언 몇십년 이제 그 말도 안되는 핑계를 그만 좀 합시다

  • @yobiskuchialexander8943
    @yobiskuchialexander8943 5 місяців тому +9

    저 돈 전주 익산에만 넣었어도 ...
    전주광역시 되고 입지상, 대전 광주보다 우위였을거임. 근데 저 짓을 ㅋㅋㅋㅋㅋ
    청년 유출 , 인구 감소 최대 지역...
    새만금? 전북 청년 머리 조금이라도 있는 청년들은 전부 전주 떠났음 ㅋㅋㅋㅋㅋㅋㅋ 지금도 머리라는게 있는 청년들은 전부 전주 떠나는 중.
    새만금?
    대한민국 수도 배후지. 세계 최대 국제공항, 자체 인구 300만, 각종 인프라 다 지원되는 인천 송도국제도시도 개판인데.
    인구 따리 170만 전북에 간척지 개발?
    전북 사람들는 아직도 뭐가 뭔지 모름 ㅉㅉ

  • @iillliiiiillliil
    @iillliiiiillliil 5 місяців тому +5

    이럴거면 다시 갯벌로 돌려놔

  • @WW-ko2lo
    @WW-ko2lo 5 місяців тому +4

    우리 세대때 개발이 되려나?
    한번 어떻게 하나 보자꾸나~!!

  • @user-op2bi9wt5k
    @user-op2bi9wt5k 5 місяців тому +4

    뻘짓만 하고 있다. 결국 세월만 가다 100년 가겠다

  • @yonbreen
    @yonbreen Місяць тому +1

    식량자급률이 이렇게 낮은데, 무슨 산업단지인가요? 농지 100프로가 정답입니다.
    지금 식량수출하는 국가도, 자국 우선입니다. 언제 어떻게 될지 몰라요. 식량안보에 신경 좀 씁시다.

  • @ZIXY_
    @ZIXY_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왜 여기에 모든 예산과 노력을 쏟아붓나

  • @user-zl1et9ww3l
    @user-zl1et9ww3l Місяць тому +1

    철도가 왜 필요하냐,,,돈,정력,시간 등 낭비하지 마라,,,

  • @user-iu9gx9io9i
    @user-iu9gx9io9i 5 місяців тому +5

    솔직히 전북은 일을 처리하고 진행하는데 있어서 책임있게 진행하는 모습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 @heewonyang9240
    @heewonyang9240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애초 농지잖아 .

  • @jhg7661
    @jhg7661 5 місяців тому +5

    새만금사업예산도 삭감됐구나!!
    이넘 윤정부는 모든 예산을 다 삭감했네

    • @user-uo7dc7os4x
      @user-uo7dc7os4x 6 днів тому

      김대중 노무현 문재앙 때 뭐하고 윤한테 원망이냐

  • @gud8123
    @gud8123 5 місяців тому

    무리하게 추진했던 사업에 대한 재검토라고 봅니다. 그리고 전북은 이권에만 매몰되지 말고 진정한 새만금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그래야 국민의 시선이 변합니다.

  • @haenakwon9948
    @haenakwon9948 Місяць тому +1

    갯벌을 갯벌로 놔두세요. 제발

  • @user-uv8be9co5s
    @user-uv8be9co5s 3 місяці тому +1

    soc도 없는데 개발을 뭐할라하노 걍 민간 100% 개발해야한다. 망해도 민간이 망해야한다

  • @user-ih3xy7zu2l
    @user-ih3xy7zu2l 18 днів тому

    충청권 - 세종특별자치시
    전북권 - 새만금특별자치시

  • @user-sw2zq5re6f
    @user-sw2zq5re6f 5 місяців тому +1

    💜💜❤❤

  • @mikki68ing
    @mikki68ing 22 дні тому

    새만금은 기후변화로 인한 시나리오는 준비하고 있는건가요?

  • @user-qr1zw6ok3c
    @user-qr1zw6ok3c 4 місяці тому

    정신 못차리네 지금 서울 외에는 답없다.그나마 경상도에서 메가시티 하는거면 모르겠는데 전북에서 새만금에 산업용지 연구용지 조성한다고 어떤 기업이 가는데? 그냥 저기다 태양광이나 농지나 깔아라 애초에 시작한게 문제지

  • @user-hs7xt7io8l
    @user-hs7xt7io8l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걱정마라... 곧 다시 잠긴다

  • @user-wh2qo9eo3r
    @user-wh2qo9eo3r 5 місяців тому +2

    새만금을 자전거로 달려본 사람입니다. 정말 책임을 지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꼭 필요한 것이 아니면 중단해야 합니다. 자전거로는 좋은 코스였지만 산업으로는 솔직히 아닌 듯합니다.

  • @SteveAu
    @SteveAu 5 місяців тому

    ❤❤🤎🤎🤎🤎🤎🤎🤎🤎🤎🤎❤❤

  • @user-df9od9dl9z
    @user-df9od9dl9z 11 днів тому

    새만금산업단지 확장과 기업투자는 환영한다.
    그러나 저출산 초고령화 인구구조로 도심에 빈집이 넘처나는데 뭔 또 수변도시에 세금을 들여 아파트 및 주택을 개발하는지 이해가 안간다~기존 원도심은 주민 자산가치 하락으로 신음하고 있는데......
    Oecd gdp대비 개인 부채비율 세계 1위, 전세대출 및 그림자금융 불포함 시켜도......
    새만금산업단지에 삼성이 투자한다고 싸인하고 삼성이 전라북도지사랑 전라북도민에 사기치고.....

  • @odscomoh1661
    @odscomoh1661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만합시다 밑빠진 독에 국민세금을 얼마나 들이부어야 하는지 ㅉㅉ

  • @user-yf3rq8cs9f
    @user-yf3rq8cs9f 4 місяці тому

    저런 광활한 곳에
    개발을 하면 두바이처럼 될수있다고 10년전 뉴스통해 본거같다 싱가포르 모 회장이었나
    정부의지있어야 살아나고
    정부의지없으니 망가진것이니
    정부야 충청도에 호는만큼 해봐라 영남에 하는만큼만 해봐라
    당연히 땅값 집값 오른다
    삼성이 작년 전북에 첫 투자해짢아

  • @야옹이가_야옹
    @야옹이가_야옹 4 місяці тому +1

    그만하자..전북 전주 이미지 점점 나빠진다

  • @user-uo7dc7os4x
    @user-uo7dc7os4x 6 днів тому

    저거 세금먹는 하마네 그냥 쌀 농사나 지어라

  • @user-rj3ku7jo8i
    @user-rj3ku7jo8i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새만금을 금융도시로 해... 인프라만 갖추면 제2의 홍콩이 될수도

    • @place01
      @place01 4 місяці тому +1

      괜찮은 아이디어인 듯

  • @sho7468
    @sho7468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돈만 처박는 새만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