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불교 유식학(총15강): 세친의 유식30송 - 제1강 유식의 의미와 독아론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гру 2024

КОМЕНТАРІ • 26

  • @KyungwonLee-m4o
    @KyungwonLee-m4o 11 місяців тому +12

    참 스승이시네요 동시대를 잠시 같이 계셔주신 것 감사합니다

  • @김헤숙-t2n
    @김헤숙-t2n 11 місяців тому +8

    다시는들을수없는
    강의ᆢ어디서다시그음성
    들을수있을까요
    이제ㆍ귀하고귀한자료가되었습니다 () ()()

  • @범수김-o2g
    @범수김-o2g Рік тому +9

    사십년간 배운 불교지식이 파편처럼 흩어져있는데 김성철교수님의 강의를 들으니 파편들이 질서정연하게 모여서 이해됩니다 깨달은 김교수님을 만난것은 큰축복입니다 감사합니다

  • @김성철.교수의.체계불
    @김성철.교수의.체계불  Рік тому +15

    처음 올렸던 영상이 배경 소음이 심하여, 편집하여 다시 올립니다.

    • @차영애-r1r
      @차영애-r1r Рік тому +6

      서울대 모교수님의 아드님으로 태어나셔 불자로 사시면서 불교를 잘 설명하주시는 고마우신 교수님 그리고 다음세대교육 출가허지 않고도 어려운 불교철학 공부 할수있게 해주십니다

  • @탈탈US
    @탈탈US Рік тому +5

    김성철 보살님....소중한 감로의 말씀을 들으니 너무나 행복합니다.

  • @정미진-c8j
    @정미진-c8j Рік тому +5

    불필요한 사설이 없어서 듣는데 거부감이 없어요 . 감사합니다 . ❤

  • @Rev011
    @Rev011 Рік тому +6

    감사합니다

  • @심성구-m3y
    @심성구-m3y Рік тому +6

    감사합니다!

  • @모카-t9s
    @모카-t9s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석가모니 부처님 관세음보살님 김성철 교수님

  • @김성희-v9t2e
    @김성희-v9t2e Рік тому +6

    교수님. 고맙고 또 고맙습니다. 딱히 이 말씀밖에 없으니 안타깝습니다. 사진을 보니 부처님이십니다.

  • @박은숙-r3y
    @박은숙-r3y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

  • @최영철-u9h
    @최영철-u9h Місяць тому +1

    지독한 에고이즘(Egoism)... 지독한 Individualism(개인주의)... 그 궁극의 극치를 끝까지 수행해 낸 자가 부처란 말씀같아서... 클클클... 너무나 탁월한 식견 앞에 일개 범부로서 송구합니다만... 불교가 새로 세워져야 되는 것 아닌지...

  • @이상진-f4r
    @이상진-f4r 10 місяців тому +3

    사두 사두 사두 () () ()

  • @태경엄-w6o
    @태경엄-w6o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유식학은 인간인식의 한계를 극명하게 보여준것으로 신비화할 이유는 없는거아닌가?

  • @이재형-g1f
    @이재형-g1f 9 місяців тому +3

    여러 번에 걸쳐 질문자의 말을 중간에 끊으시고, 질문자의 의문점과 반드시 촛점이 일치하는지 의심스러운 종교론, 아트만론 일반에 관한 장광설의 납변을 하고 계신데, 전문가의 대응방식이 아닙니다.
    유식학은 선생의 전문분야는 아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6사를 포함, 외도들의 사상이 대단한 것이었다고 하신 점은 훌륭합니다. 저도 그런 생각을 갖고 있었습니다. 사리불, 목건련도 붓다에게 귀의하기 전에는 6사의 한 사람인 산쟈야의 제자였을 정도이니까요.
    불교를 정확하게 이해하려면 불교를 둘러싼 여러 학문, 사상을 불교 그 자체만큼이나 연구해야 한다는 것은 이미 세계학계의 상식인데, 우리는 아직도 불교외의 인도의 제학문과 사상에 무지하고 몽매한 상태에서, 인도불교 자체에 대한 이해도 얉기 그지없으니 통탄스럽습니다. 중국의 송대 이전에 성립하고 유행한 불교와 도교의 사상에 대한 이해가 없이 송대 성리학에 대한 연구가 불가능하듯, 인도불교도 불교 이외의 인도 사상에 대한 깊은 이해없이는 정밀한 탐색은 불가능할 것입니다.
    이제 극락세계에서 미륵,무착, 세친등 위대한 유식학의 보살들에게서 직접 유식학을 공부하셔서 학문세계를 더욱 넓히시길 빕니다.

    • @시드니최서방
      @시드니최서방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공을 설파라는 불교에 무슨 극락이 있을까? 이런 오류부터 정리해야 불교가 설득력을 갖게 될 겁니자.

    • @이재형-g1f
      @이재형-g1f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시드니최서방 공은 무자성을 말하는 것이지, 무존재를 말하는 개념이 아닙니나. 모든 사물의 실체화를 거부하는 공에는, 한편으로는 역설적이게도 모든 사물을 성립시키는 측면이 있습니나. 그것은 "공"이 바로 "연기"의 다른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견지에서 본다면, 극락은 자성을 가진 실체로서는 존재하지 않으나, 연기에 의해 성립한 현상으로시는 존재할 수 있는 것이 되는 것이죠.

    • @fischergraham678
      @fischergraham678 4 місяці тому +1

      @@시드니최서방 공의 깨달은 사람은 열반에 들기 때문에 당연히 극락이 없습니다. 극락은 공을 완전히 깨닫지는 못했지만 어느 정도의 깨닳음을 얻은 존재가 가는 곳입니다. 그리고 공이라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뜻이 아니라 모든 것은 연기한다는 뜻이고 연기하기 때문에 자성이 없다는 의미이죠.

  • @김중원-k7i
    @김중원-k7i 9 місяців тому +3

    고맙습니다

  • @philsoolee1703
    @philsoolee1703 3 місяці тому +2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