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20주년 개정판에서 바뀐 인명들 보면 차라리 초판 번역이 낫다 싶은 것들이 꽤 있습니다. 국어는 원어발음 최대한 살리는 게 표기법상으론 맞지만 이건 소설이고 문학이기 때문에 번역가가 적당한 이름으로 해야지 너무 원어 발음 그대로 하는 것도 이상해지는 경우가 많아요. 심지어 20주년판에선 원어발음도 아닌 이상한 걸로 바꾼 경우도 있습니다. firenze --> 피렌지? 라고 했던 거 같고..피렌체가 낫습니다. 개인적으로 초판 번역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한국어로 쓸 때는 헤르미온느가 더 예쁜데 , 영어를 사용하는 원작에서는 허마이오니가 뭔가 발음 할 때도 그렇고 영어로 쓸 때도 그렇고 그냥 그럴 때 더 예쁘고 뭔가 우아한 느낌인 것 같네요 .. 한국에서만 헤르미온느로 이상하게 부르고 있었군요 ㅋㅋ hermione 허마이오니 이름 예쁘네요 ! 😊
현실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영국 사람들은 허마이오니라는 발음을 알아듣지 못해 작가는 수백통의 편지를 받아야 했습니다 그리고 이름이 얘쁘지 않다고 까였죠 오죽하면 프랑스인으로 설정변경해서 에르미온느로 바꾸라는 말까지 나왔습니다 영국 현지에서요 여담으로 만약 국내 번역이 헤르미온느가 아니라 에르미온느였다면 작가가 프랑스어를 좀 알고 있구나 했을겁니다
@@Onnn-s4x 리바이어선(던) 이라고도 읽어요 예를 들면 게임 파이날 판타지에 나오는 소환수 중 하나는 리바이어선 이라고 읽고 그렇게 번역합니다 개신교 에선 리바이어선(던)이라고 하지만 천주교에선 레비아탄 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유대교 에선 리워아단 이라고 하고 이슬람에선 또 다르게 발음합니다 그러나 공동성서에선 레비아탄 이라고 번역되어 있습니다 추가로 말하자면 유대교 천주교 개신교 이슬람 모두 동일한 구약성서를 사용합니다
미국인 친구가 말해줬던 바로는 사실 헤르미온느의 발음법은 영화화 전까지는 계속 언쟁이 있었다고함. 영화에서 오피셜로 발음을 짚어줘서 영어권에서는 허마이오니라고 부르게 됐는데, 영어 소설을 번역하면서 발음법이 굳어진 우리나라나 다른 여러 나라에서는 허마이오니를 안 쓴다는..
김혜원 번역가도 2013년 강원도민일보 인터뷰에서 "어떻게 발음할까 고민하다 '헤르미온느'라 했는데 나중에 보니 '허마이언'이 더 적당했지만,[94] 이미 우리나라 사람들 입에 헤르미온느가 익숙해져 어쩔 수 없었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정발된 1권에 '헤르미온느'라고 적어놨으니 한국 독자들은 대부분 '헤르미온느'라는 이름으로 이 캐릭터를 인식하게 되어 첫 단추를 잘못 꿰었고, '헤르미온느'라고 적힌 소설 1편부터 대대적인 히트를 쳤으니 이미 틀렸다고 해서 돌이키기는 힘들어져 버렸다.
난 여태 한국어 표기법 때문에 오역아닌 오역으로 바뀐걸로 알았는데? Hermione가 her / mi / o / ne 음절로 발음 되는데 영어는 단어, 음절별로 같은 알파벳이라도 발음이 상이한 것과는 다르게 한국어 표기법으로는 각 알파벳에 상응하는 한글 자음모음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H - ㅎ e - ㅔ i - l 같은 방식으로 헤르미온느로 번역된걸로 알고 있음.. 뭐 그렇다쳐도 허마이오니 보다 헤르미온느가 그리스 여신 같고 이쁘긴 함
이쁘니 익숙하니 이런 이유로 계속 잘못부르는게 맞나,,? 전세계가 올바르게 부르는데 우리만 이상하게 맘대로 부르면서 도대체 왜 그렇게 부르는거야? 연관성조차 없잖아? 라는 질문을 받아도 예뻐서라고 할거임? 예쁘다고 이름을 바꾸는게 맞음,,? 지금까지 잘못불러온게 너무 부끄러운데
외국인입니다....해리포터 팬이라 첨에 동료와 해리포터 이야기했을 때..헤르므....???헤르미옹..???? 헤르미온느??????? 듣고 정말 큰 문화충격 받았는데...어떻게 번역해야 헤르미온느로 나왔지 생각하고.... 그냥 당시 번역하신분 흔한 이름이 아니라서 발음 잘 모르고 스펠링 보고 헤르미온느로 잘못생각해서 그렇게 된거 아닌가 싶었어요....ㅋ
그냥 작가가 그리스어 라틴어로 이름을 지은거고, 그리스어나 라틴어는 그 발음으로 표기하는게 표쥰임. 게다가 영국인이라고 라틴어를 억지로 허마이오니라고 표기하면 이름의 의미조차 애매해져버림. 헤르미오네 - 헤르메스의 여성형임 헤르미오네나 헤르미온느로 표기하는게 가장 적절함. 실제로 영어권이외에서는 허마이오니라고 읽어주지 않음
울고 싶을때 웃어요. 가족들이 절 횔발하다고 표현해요. 근데 속은 타들어가는 느낌이 나네요... 얼마나 질긴지 한번에 타지도 않고 조금씩 야금야끔 썩어가는것 같아요. 근데 정작... 아무 감정이 안들어요.... 공부를 3시간 해도 상취감을 없고 행복한것도 없고... 근데 화니 슬픔, 우울함... 외로움 다 절 조금씩 태우는 느낌이에요 ㅋㅋㅋㅋ 여기서 푸는 절 어리석다고 표현하고 싶어요
원서를 다 읽었는데 헤르미온느 말고도 여기저기 오역이 있음 ( 원어민에게 확인까지 했음) 근데 원서에도 헤르미온느가 자기 입으로 지 이름을 허...마이...오...니 라고 발음하는 장면이 나옴 번역자가 이걸 안읽었을리도 없고 이게 뭐 대단히 까다로운 문장도 아니니깐 오역할 리도 없고 그냥 일부러 이뿐 발음을 선택한거 같음
팩트) 영어권 비영어권 따질 거 없이 헤르미온느의 발음 문제는 꾸준히 제기됐다. (*난 미국 영주권자인데 여기서도 헐미온인지 헐미어니인지 허마이어니인지 각기 원하는 대로 불렀음.) 그래서 작가는 4권에서 헤르미온느가 자신의 무도회 파트너였던 빅터 크룸한테 직접 이름을 어떻게 발음하는지 알려주는 장면을 넣었다.
헤르미온느가 오역인걸 알면서도 안바꾸는 우리나라클래스...책이 기록유산으로 남는게 괜히 그런게 아닌데 잘못된걸 알고도 개정판 내면서도 안바꾸는건 우리나라뿐일듯..작가가 일부러 케릭터가 비호감일수도 있는 케릭터들 일부러 없을것같은 이름으로 만든건데 작가생각을 제대로 무시하는 행동
처음 번역 된 것들 보면 번역 개판인 거 엄청 많음. 아직도 잊히지 않는 게 말포이가 분류모자 쓰는 씬인데, 마치 말포이가 슬리데린이라고 직접 소리친 것 처럼 번역 되어있었음 ㅋㅋㅋ 이런 번역이 한 두군데가 아니던데, 해리포터 시리즈 처음 번역하신 분 진심 번역 하신적이 있긴 한 건가 의심 했었음.
확실히 허마이오니보단 헤르미온느가 더 이쁨
그건 너가 한국인이라서
ㄴㄴ 허마이 오니 해석하면
허...내(마이) 요괴(오니)임
@@High-quality_McNuggets Her my oni 그녀는 내 오니짱입니다
@@kik310그녀는 오니짱..? 몬가..몬가 이상해
@@KianoPiwis 몬가?...몬가....몬스터 가든...몬트스트터트 가똥든똥
진짜 허마이오니를 헤르미온느로 초월번역한
사람 번역 씹고수네…
걍…. 옛날엔 영어발음 몰라서 그랬던것…
Hermione. 그냥 모르고 읽으면 헤르미온느니까요.
케드릭이 세드릭이 된것도 그거 때문이구요
그냥 -느 붙이면 다 되는 줄 알았던 옛날 번역의 오류임.. 홍길동을 헝질댕으로 번역한 거나 마찬가지
@@yong-gali으악.. 세드릭 케드릭은 반대입니다...
초월 아님 해리포터 오역 모음 찾아보면 의도해서 일부러 바꾼게 하나도 없음
허마이오니보다 헤르미온느가 더 낫다고 생각해서 단 댓이 이렇게나 많은 답글이 기다리고 있을줄은ㅎ실수가 빛난 번역이네요~
헤르미온느라는 이름도 생소하면서도 정말 이쁜데 엠마왓슨이기에 완성된 느낌이랄까
@l9세이상만오소-s4o 그러면 니는 누네띠네 말고 스폴리아티네 글라사테라고 불러라 ㅋㅋ
어릴떄 일본에 있는 중학교랑 자매학교라서 일본학생들이 학교왔었는데 헤르미온느 발음을 일본애들은 하-마이오니 이러길래 막 웃었는데
헤-르미언느~ 하면서 혀굴리면서 헤르미온느라고 발음해줬었는데
알고보니까 저게 더 원어에 가까운 발음이였음.. 지금생각하면 미안하네...
@@っだ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재밋네요,,
@@っだだ미안한게 아니라 쪽팔린거지
그렇게 치면 해리는 놀림 받아도 되는거냐
헤르미온느가 작중에서 머글 태생으로 괴롭힘받는 장면이 많아서 그런 듯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ㅌㅌㅋㅋㅋ 해리포터가 왜 머 어때서 ㅋㅋㅋㅋㅌㅋㅌ
심지어 위즐리가 사람들 이름은 거의 다 흔함ㅋㅋㅋㅋㅋㅋ
헤르미온느가 엠마왓슨이 해서 그렇지 소설 속에서는 안이쁘게 나옴
해리는 오히려 흔하게 고른거고 빡대갈아
그리스 신화의 헤르미오네에서 온 이름인데
번역가가 뒷부분 -one를 프랑스식으로 번역함
에르미온느 의문의 1패
그리스 신화에 등장한 이름임??
그냥 번역을 븅딱같이 했다는 말
그랬으면 앞의 h는 발음이 안됐어야죠. 불어에선 h는 발음 안되니까요. 지 내키는대로 아무렇게나 작명수준으오 이름 붙임.
@@lowcarbday그러니까 뒷부분 -one 만 프랑스식으로 했다고 굳이 굳이 써주기까지 했는데....
해리포터 덕후로 한 마디 해보자면,, 헤르미온느 뿐 아니라 두들리, 세드릭, 페투니아 등등 잘못됐던(지금은 20주년 개정판에서 다시 고쳐진)것들도 많고 이미 유명해져서 바꾸지 않은 헤르미온느나 레벌클로, 후플푸프, 호그와트등도 꽤 많아요
해리포터 보고 백인 남자에게 환상이 생겨서 영국으로 몸 팔러 가는 한국 어자들 양산ㅋ
허마이오니, 레이븐클로, 허플퍼프, 호그워츠, 그리핀도어, 슬라이더린 등..
⬆️🤓@l9미만절대금지-n5o
@@Hifjfjdueudjfnf헤르미온느, 래번클로, 후플푸프, 호그와트, 그리핀도르, 슬리데린
20주년 개정판 표지 뒤에 이미 대중적으로 잘 알련 것들은 고치지 않았다고 써져있었던 것으로 기억함
혜림이언니 폼 미쳤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나 아는 애는 예림이 인데..
예르미온느
뭐든지 한글화ㅋㅋ 히동구 조봉래 그 뭐냐 프리즌브레이크주인공이름도 한글화했는데ㅋ
@@백순이-m4s 조봉래는 누구죸ㅋㅋ 프리즌브레이크는 석호필이었나...
빵터짐
걍 시리즈 내내 등장하는 대부분 등장인물들이 이름이 이상함ㅋㅋㅋ
스네이프, 슬리데린, 맥고나걸 이라는 성이 세상에 어딨어..
바틸다 백셧은 진짜 화룡점정인듯
알버스 퍼시벌 울프릭 브라이언 덤블도어
톰 이랑 해리 가 제일 흔한게 아닐까..
스네이프는 실제로 있던 성이더라고요.
원인: 영국식 발음들을 번역가가 잘 몰랐음(실제로 오역들, 그리고 이와 비슷한 단어들을 보면 그렇게 판단한 이유 정도는 이해됨), 인기 폭발으로 빨리 번역, 출판하느라 제대로 번역을 못 함
초 창이 인종차별적이라고 욕 먹었지만 동양인 입장에선 그냥 뭔가 흔해보이는 이름 ㅋㅋㅋㅋ
그리고 20주년 개정판에서 바뀐 인명들 보면 차라리 초판 번역이 낫다 싶은 것들이 꽤 있습니다. 국어는 원어발음 최대한 살리는 게 표기법상으론 맞지만 이건 소설이고 문학이기 때문에 번역가가 적당한 이름으로 해야지 너무 원어 발음 그대로 하는 것도 이상해지는 경우가 많아요. 심지어 20주년판에선 원어발음도 아닌 이상한 걸로 바꾼 경우도 있습니다. firenze --> 피렌지? 라고 했던 거 같고..피렌체가 낫습니다. 개인적으로 초판 번역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피렌체는 이탈리아 이름인데 무식하게 영어식으로 욱여넣었나보네
벨라트릭스 레스트랭이 촥 붙는데 ㅠㅠ 닥터 스트레인지도 아니고
세드릭은??????
@@크림수프-g4n이탈리아 이름이어도 이탈리아인이 아니면 다르게 읽고 표기합니다. 똑같은 Henry가 프랑스에선 앙리, 영미권에선 헨리가 되는 것처럼요. 레오나르도도 미국인이면 리어나도가 됩니다.
한국어로 쓸 때는 헤르미온느가 더 예쁜데 , 영어를 사용하는 원작에서는 허마이오니가 뭔가 발음 할 때도 그렇고 영어로 쓸 때도 그렇고 그냥 그럴 때 더 예쁘고 뭔가 우아한 느낌인 것 같네요 .. 한국에서만 헤르미온느로 이상하게 부르고 있었군요 ㅋㅋ hermione 허마이오니 이름 예쁘네요 ! 😊
현실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영국 사람들은 허마이오니라는 발음을 알아듣지 못해
작가는 수백통의 편지를 받아야 했습니다
그리고 이름이 얘쁘지 않다고 까였죠
오죽하면 프랑스인으로 설정변경해서 에르미온느로 바꾸라는 말까지 나왔습니다 영국 현지에서요
여담으로 만약 국내 번역이 헤르미온느가 아니라 에르미온느였다면 작가가 프랑스어를 좀 알고 있구나 했을겁니다
Leviathan,
이거 리바이어선 일까요
레비아탄 일까요
이거 생각해보면 답나옴
@@Dr프로메슘레비아탄 아니에요?
@@Onnn-s4x
리바이어선(던) 이라고도 읽어요
예를 들면 게임 파이날 판타지에 나오는 소환수 중 하나는 리바이어선 이라고 읽고 그렇게 번역합니다
개신교 에선 리바이어선(던)이라고 하지만
천주교에선 레비아탄 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유대교 에선 리워아단
이라고 하고
이슬람에선 또 다르게 발음합니다
그러나 공동성서에선
레비아탄 이라고 번역되어 있습니다
추가로 말하자면
유대교 천주교 개신교 이슬람
모두 동일한 구약성서를 사용합니다
@@wkrwn1379에흐미온느 가 맞음
참고로 스페인어로는 헤르미온 이라고 읽음
스페인어에서 H는 묵음인데 어디서 구라야
@@derongderong2461 H묵음이 절대적이지는 않나 보지
애초에 인스타 릴스에 스페인 히스패닉 사람이 해리포터 얘기하는것만 봐도,
그냥 구글 번역에 검색해서 들어만 봐도
그냥 헤르미온이라 읽는데 구라는 뭔 구라;;
@@derongderong2461그럼 에르미온..?
@@NEMONEMONEMONEMO-SIGN ㅇㅇ 에르미온
에르미오네 라고 합니다
Hermione 에르미오네 혹은 헤르미오네
영어론 허마이오니
철자를 보면 헤르미온느는 아예 말도안되는 음역은 아님 물론 원어를 그대로 옮기는걸 선호하는 사람들은 싫어하는게 당연하지요.
한글로 적었을때 별로 안이쁘니 좀더 판타지스럽게 바꾼 거겠죠.
헤르미온느 그냥 이름만으로 이쁜느낌
헤르미온느, 후플푸프 영문표기랑 발음이 다 다름 ㅋ
후뿌뿌뿌
후룹뚜루뚜
@@이규호-l3s이건 아에 다르잔아..
@@이규호-l3s뚜룹뚜두 뚜룹뚜두 뚜룹뚜두 따다닷
@@설화-n5r 두룹두룹두룹
Her-my-own으로 해석하는 사람들도 있던데요 (원래 작가가 헤르미온느를 해리랑 연결해주려 했던 걸 생각해 보면 그런 가능성이 있을지도..)
@@일본한국어선생님 발음 적으로 유사하다고요..
@@일본한국어선생님 '해석'이란 말을 잘 모르시나봐요...
4권에서 빅터랑 헤르미온느가 대화하던 장면에서 빅터가 Her my own이라고 잘못 발음하니까 Her my knee로 고쳐주는 장면에서 망상 좀 더하셨군요
@@dbxbqmdmldntjf 제가 지어낸 게 아니라 그렇게 보는 의견들이 있다니까요?
그리고 조앤 롤링이 발음이나 유사성 등을 이용해 이중적인 상징을 집어넣는 건 워낙 유명하니까. 충분히 그렇게 해석할 수도 있다고 봐요.
과잉 해석임… 왜냐하면 원래 있는 이름이거든요. 셰익스피어를 읽었다면 그런 바보같은 해석은 안 했을텐데…
미국인 친구가 말해줬던 바로는 사실 헤르미온느의 발음법은 영화화 전까지는 계속 언쟁이 있었다고함. 영화에서 오피셜로 발음을 짚어줘서 영어권에서는 허마이오니라고 부르게 됐는데, 영어 소설을 번역하면서 발음법이 굳어진 우리나라나 다른 여러 나라에서는 허마이오니를 안 쓴다는..
미국인 친구라 그렇지 영국에서는 평균적으로 허마이오니 느낌으로 다들 발음했었다 해요
@@pighyun951231 다만 라틴어권이나 게르만어권은 "헤르미온" 또는 "에르미온"이라고 한다고 합니다.
할머니가 맞던디? ㅋㅋ 할자를 조금 늘리면서 부르면 완벽함
이지랄 ㅋㅋㅋ
따라해보고 이거다! 함 ㅋㅋㅋ 허마이오니 아무리 굴려서 해봐도 이느낌이 안남
이래놓고 주인공 해리 포터는 세상 흔한 이름 Harry로 지어주는 🥲
진짜 헤르미온느 볼라고 해리포터 봤다 ㅈㄴ 이쁘다.....
그 그리스로마신화 나오는 헤르미오네랑 스펠링같아서 이렇게 번역한거 아니에욤..? 근데 왜 헤르미오네 아니고 온느인지는 모르겠긴한데...ㅋㅋㅋ 그리스어로 읽으면 허마이오니보다 헤르미온느에 가깝긴해서.. 그치만 또 해리포터는 영어로된게 원작이고...흠..
유래가 그 한여름밤의 꿈에 나온 인물 허미아에서 이름 따왔다고 했던 것 같아요 끝발음만 좀 바꾸고 허미아=>허마이오니
@@user-wk9km6kp9z 거기가 뭐하는 덴지는 몰라도 그런 방구석 커뮤? 댓글을 긁어와 주는 것도 오히려 좋아......
@@꾸까꾸-t8l적어도 쇼츠는 커뮤화되고 있긴 함
@@SiSi-ui9gd셰익스피어의 희곡 겨울이야기에 헤르미오네가 나옵니다.
미국 애들도 그리스로마 신화에 나오는 이름들, 유럽 지명들 다 지들 멋대로 고쳐서 말음해서 사실상 우리도 어떻게 부르든 상관없을듯
ex) 한국 : 피렌체 / 이탈리아 : 피렌쩨 / 미국 : 플로렌스 (??ˀ)
아니 근데 왜 주인공은 해리인데 ㅋㅋㅋ
헤르미온느 이름이 그리스 쪽에서 유래된 거라 그쪽 발음 그대로 살려서 썼다는 말도 있음
그랬으면 -느 라고 끝났으면 안됨 프랑스식 읽는법과 짬뽕된것 이걸 어차피 로마자 표기문화권이니 상관없을것 같다 라고 생각하면 홍길동이라는 이름을 한국식 중국식 일본식 독음을 모두 섞어 홍키치통 이라고 읽어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해야됨
살리긴 뭘 살려 초판본 오역도 졸라 많고 걍 수준미달임
@@무수리-g8c ㅋㅋㅋ 홍키치통 개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애초에 개소리인게 원서에 이미 읽는 방법이 나와있음
@@abcdef-i9z8v 그거 읽는방법을 넣은게 하도 논란이 되어서 넣은거임 애초에 읽는방법 설명해주는거는 5부인가 에서 나왔던걸로 알고 있음.
외래어 표기법 때문에 그럴 거예요. 외국어를 한국어로 쓸 때 발음대로 쓰는 게 아니고 알파벳마다 정해진 한국어 철자법이 있어서.
김혜원 번역가도 2013년 강원도민일보 인터뷰에서 "어떻게 발음할까 고민하다 '헤르미온느'라 했는데 나중에 보니 '허마이언'이 더 적당했지만,[94] 이미 우리나라 사람들 입에 헤르미온느가 익숙해져 어쩔 수 없었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정발된 1권에 '헤르미온느'라고 적어놨으니 한국 독자들은 대부분 '헤르미온느'라는 이름으로 이 캐릭터를 인식하게 되어 첫 단추를 잘못 꿰었고, '헤르미온느'라고 적힌 소설 1편부터 대대적인 히트를 쳤으니 이미 틀렸다고 해서 돌이키기는 힘들어져 버렸다.
해리포터 작가님이 흔한이름 쓰면 학교에서 고생받을까 안흔한이름했다는거 좋은 선택 하신거 같네요
이누아샤에서 로컬라이징으로 흔한이름으로 옆에서 고생하는거 많이 봤죠 전국에 가영씨들 이누야사 어디있냐 소리 듣느라 고생 많으셨어요
뭐 이거나 저거나 절대 없을 것 같은 이름이긴 해
근데 대부분 영어로는 그레인저라 부르는데ㅎㅎ
그레인저로 불러도 자막은 헤르미온느로 나오는 것도 한국만 그럴듯
어렸을 때 원서로 처음 봤을 때 ’이거 ‘헤르미온’이라고 읽으면 되나? 특이한 이름이네‘ 이랬는데…😮
진짜 검색해 보니까 Hermione네
이걸 발음 하면 her(허) mi(마이) o(오) ne(니) 라고 읽을수도 있지만
he(헤) r(르) mi(미) one(온느) 라고 읽을수도 있네... 처음보는 사람 있으면 사람마다 다르게 읽을듯
일본 애들도 하마이오니 라고 하길래 놀랬. 근데 최초 번역자는 무슨 생각으로 헤르미온느 라고 했을까 궁금함
오역이 아니라 그냥 번역 초고수였던건가.. 헤르미온느 너무 찰떡인데
헤르미온느가 이름이 이쁘긴하지
난 여태 한국어 표기법 때문에 오역아닌 오역으로 바뀐걸로 알았는데?
Hermione가 her / mi / o / ne 음절로 발음 되는데
영어는 단어, 음절별로 같은 알파벳이라도 발음이 상이한 것과는 다르게
한국어 표기법으로는 각 알파벳에 상응하는 한글 자음모음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H - ㅎ e - ㅔ i - l 같은 방식으로 헤르미온느로 번역된걸로 알고 있음..
뭐 그렇다쳐도 허마이오니 보다 헤르미온느가 그리스 여신 같고 이쁘긴 함
이쁘니 익숙하니 이런 이유로 계속 잘못부르는게 맞나,,? 전세계가 올바르게 부르는데 우리만 이상하게 맘대로 부르면서
도대체 왜 그렇게 부르는거야? 연관성조차 없잖아? 라는 질문을 받아도 예뻐서라고 할거임? 예쁘다고 이름을 바꾸는게 맞음,,? 지금까지 잘못불러온게 너무 부끄러운데
왜 부끄러움??
다윗과 골리앗이라고 하지말고 다윗과 골라이엇이라고 하셈
@@keyboardholic 그건 문화권에 따른 발음 차이 정도로 볼 수도 있지만 이건 완전히 다른 발음이라서,,
프랑스발음이 "헤르미온"인데 완전 다르지도 않음
우리나라만 이렇게 부른다는게 잘못된 설명임
@@keyboardholic 프랑스어에서 H로 시작하는 단어는 어떻게 발음될까요?
외국인입니다....해리포터 팬이라 첨에 동료와 해리포터 이야기했을 때..헤르므....???헤르미옹..???? 헤르미온느??????? 듣고 정말 큰 문화충격 받았는데...어떻게 번역해야 헤르미온느로 나왔지 생각하고.... 그냥 당시 번역하신분 흔한 이름이 아니라서 발음 잘 모르고 스펠링 보고 헤르미온느로 잘못생각해서 그렇게 된거 아닌가 싶었어요....ㅋ
여신느낌이잖아 헤르미온~느!!🤌🤌
그냥 작가가 그리스어 라틴어로 이름을 지은거고,
그리스어나 라틴어는 그 발음으로 표기하는게 표쥰임.
게다가 영국인이라고 라틴어를 억지로 허마이오니라고 표기하면 이름의 의미조차 애매해져버림.
헤르미오네 - 헤르메스의 여성형임
헤르미오네나 헤르미온느로 표기하는게 가장 적절함.
실제로 영어권이외에서는 허마이오니라고 읽어주지 않음
유명한 오역번역은 시초 아닌가? 세드릭을 케드릭으로 번역한 것도 있음
번역가가 킬리언 머피 팬인걸로 칩시다...(아님)
헤르미온느 원작 설정이 원래는 그렇게 예쁘게 설정된 캐릭터가 아니었던거로 아는데 캐스팅을 너무 예쁜사람으로 했음...
헐마니는 할머니같자너 ㄹㅇㅋㅋ
이거다!!! ㅋㅋㅋㅋㅋ 😂
프랑스에서도 헤흐미욘느 라고 읽더라구요.
둘다 이쁜거같아요ㅎ
에흐미온느임. 프랑스어에서 절대 He를 헤라고 발음하지 않음
😂😂😂😂 ha ha ha 라고 쓰고 a a a 라고 읽으면서 자기들끼리 자조 한다는 우스갯소리도 있죠 ㅎㅎ
미스캐스팅이죠 ㅋㅋ 원작보면 헤르미온느는 못생겨야 했습니다. 하지만 아역때는 억지로라도 못생겼다고 우겨볼수나 있었지만 성장하면서 아니 왜 점점 ....
앰마 왓슨 너무 예뻤어...
그냥 부르는대로 쓴다치면 허마이오니 도 아니고 헐마이니 입니다 ㅎㅎ 한국어로 받아적기엔 헤르미온느가 백배 더 이쁜거 같아요
허마이오니는 내가 생각해도 꽝임.
할마이왔니
원피스도 원래는 "산지" 가 이름인데 "상디" 가 어감 개쩔잖아ㅋㅋ
어떤 영국인 유튜버는 영화 보기 전까지 허her 미mi 완one 인 줄 알았다고 했음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영국인들조차 어찌 발음하는지 모르는 이름이라 번역 탓할 수가 없을듯
저도 번역가 욕하는건 좀 억까라는 생각. 영국 현지인들도 어떻게 읽는지 몰라했다는데 번역가라고 별 수가 있겠음 걍 자기가 느끼기에 예쁜 여자아이 이름으로 음차한거일듯
그냥 실력이슈 억지쉴드 ㅋㅋ@@수세-w2v
@@이정우-n5q9j 저 번역가가 내 친인척도 아니고 누군지도 모르는 사람인데 뭐하러 쉴드를 침..? 그냥 결과적으로 헤르미온느라고 번역해서 단점도 있지만 장점도 분명 있고 외국인들도 혼란스러웠다고 하니 그럴 수 있겠다 하는 건데 웃기는 사람이네
맨처음 번역본은, 해리포터가 인기 없을 줄 알고 대충 아무 번역가나 썼다고 들었음. 그때 작가가 헤르미온느라고 썼기 때문에 이름을 바꿀 수 없어서 계속 쓴 거임
난 이제껏 헐마이니 인줄 알았네
헤르미온느 이름 개이쁘긴함 오역인데 너무예쁘고 잘어울려서 영화볼때 헤르미온느라고 안들려도 그냥 헤르미온느라 하게됨ㅋㅋ
그냥 너무 예쁘다
울고 싶을때 웃어요. 가족들이 절 횔발하다고 표현해요. 근데 속은 타들어가는 느낌이 나네요... 얼마나 질긴지 한번에 타지도 않고 조금씩 야금야끔 썩어가는것 같아요. 근데 정작... 아무 감정이 안들어요.... 공부를 3시간 해도 상취감을 없고 행복한것도 없고... 근데 화니 슬픔, 우울함... 외로움 다 절 조금씩 태우는 느낌이에요 ㅋㅋㅋㅋ 여기서 푸는 절 어리석다고 표현하고 싶어요
독일어로도 헤르미네라고 읽어요...
헤어미너 라고 하던데..
@@coreanoconsimon9291 그건 그렇게 발음하는 것처럼 들리는 거고요...
@@coreanoconsimon9291 헤르미네를 빠르게 발음하면 헤아미느라고 들려요. 그런데 정확히 발음해야 할 상황이면 헤르미네라고 발음하죠.
뭔 개소린지 독일어 어디서 줏어듣고 와서는 그렇게 들리는 것처럼 이지랄하네 ㅋㅋㅋ
@@tcybam 독일에 오래 살고 있어요...
딤디가 먹는거라면 무엇이든지…! 한번도 실패한적이 없다!!
시험끝나고 보는 딤디영상 달다달어😉🥰
트리플 콜라겐 완전 기대돼구 엄마랑 같이 먹어보고싶어요!!💖💖🥹
??
의외로 고대 지중해 사에서는 헤르미오네라는 이름 자주 볼수 있음.
허마이오니? 묘하게 촌스러움
하지만 헤르미온느? 너무 고져스함
이런 국민적 합의가 있는데도
끝까지 허마이오니라고 수정하려는 빌런들이 해리포터 영상 마다 하나씩 끼어있더라...
헤르미온느가 그냥 고풍스럽고 우아함ㅋㅋㅋ
전세계에서 전혀 유일하지 않고 프랑스 발음입니다. 제목에 이런거 붙일때 조사 좀...
원서를 다 읽었는데 헤르미온느 말고도 여기저기 오역이 있음 ( 원어민에게 확인까지 했음) 근데 원서에도 헤르미온느가 자기 입으로 지 이름을 허...마이...오...니 라고 발음하는 장면이 나옴 번역자가 이걸 안읽었을리도 없고 이게 뭐 대단히 까다로운 문장도 아니니깐 오역할 리도 없고 그냥 일부러 이뿐 발음을 선택한거 같음
같은 경우로 Hermes(허어머스 - 헤르메스), Berlin (버얼린 - 베를린) 등이 있음.
벨린임
이건 좀...
헤르메스랑 베를린이 영어냐ㅋㅋ
할머니를 좀 멋지게 발음한 듯 하게 들리는 1인
솔직히 허마이오니 보단 헤르미온느가 더 예쁜 이름이긴하지
해리포터 시리즈가 우리나라에 안 먹힐 줄 알고 초보인 번역가를 썼는데 그 번역가가 해리포터 시리즈를 몰랐던 사람이라 로마식 표기로 번역해서 이름이 해르미온느가 된거임. 2편 인가 부터 전문 번역가가 투입 됐음
작가가 헤르미온느를 본인 자신의 모습을 투영해서 묘사했기 때문이라고 말함. HER-MY-OWN-EE 그녀는 나의 모습 이란 뜻.
허 마이 온리
그녀는 나의 전부다
를 약간 바꿔서 허마이오니로 지은거 아닐까요
뇌피셜이지만 진짜라면 너무 예쁜 이름이네요
할머니?
ㅋㅋㅋㅋ
에구구
원작 이름이라기 보다는 걍
짱구 강백호 마냥 찰떡 로컬라이징 된거네
얘 페미 선언한 페미잖아 ㅋㅋㅋ
너빼고 다 페민데 몰랐어?
헬레네가 메넬라우스와 사이에서 낳은 딸 이름입니다. 프랑스작가 라신느의 희곡에도 나옵니다. 전쟁 이후 돌아온 어머니와 대립하는데 프랑스 희곡에서는 '에르미온느'라고 하더라구요
일본은 뭐라 읽나요?
하-마이오니- (ハーマイオニー) 라고 읽어용
@@mayoraang 감사합니다.
그래도 비슷하네요?
팩트) 영어권 비영어권 따질 거 없이 헤르미온느의 발음 문제는 꾸준히 제기됐다. (*난 미국 영주권자인데 여기서도 헐미온인지 헐미어니인지 허마이어니인지 각기 원하는 대로 불렀음.)
그래서 작가는 4권에서 헤르미온느가 자신의 무도회 파트너였던 빅터 크룸한테 직접 이름을 어떻게 발음하는지 알려주는 장면을 넣었다.
옛날에 애들이랑 갑자기 해리포터 얘기 나와서 내가 원래 헤르미온느 발음이 허마이오니라 하미까 역시 호주 갔다 온 사람은 다르네 하면서(그 전년도에 호주 살았었음) 계속 시킴.. 처음에는 그냥 시키면 했는데 나중에는 슬슬 귀찮아지더라
도대체 누가 번역을 이따위로 했을까..
해림이 언니
🙋🏻♀️ㅋㅋ
헤르미온느란단어가 너무이쁜데 저때 엠마왓슨도 미치도록이뻐서 더 입에달라붙은듯
헐마이니
한국에서 헨리라고 읽었더니
진짜 발음은 앙리라고 들었을 때 같은 느낌 ㅋ
번역한 사람이 바보라서 강제 창씨개명 당한거지
헤르미온느가 이쁘게 느껴지는건 걍 20년 동안 뇌이징과 세뇌의 결과지... 처음부터 허마이오니로 발매 했었으면 20년 지났다고 갑자기 이쁘게 보이기 위해서 헤르미온느로 바꾸진 않았을듯
아직도 해리랑 지니 결혼은 이해가안감.
해리랑 헤르미온느랑 결혼할줄알았는데..
프랑스에서는 '에르미온느' 라고 한대요. 걔네도 허마이오니랑 전혀 다르게 부름
일본이 허마이오니라고 부르니까 일본식 영어발음 이러면서 조롱하던거 생각나네 ㅋㅋㅋㅋ
할머니
헤르미온느 진짜 번역 잘했음. 약간 그리스 신화 여신 이름 느낌임. 해리포터의 주인공 다운
이름 ㅇㅇ
허마이오니
근데 학교에 헤르미온느라는 이름있으면
졸사랑 코스프레 이벤트하면 바로 헤르미온느로 분장하면 꿀인데
헤르미온느가 오역인걸 알면서도 안바꾸는 우리나라클래스...책이 기록유산으로 남는게 괜히 그런게 아닌데 잘못된걸 알고도 개정판 내면서도 안바꾸는건 우리나라뿐일듯..작가가 일부러 케릭터가 비호감일수도 있는 케릭터들 일부러 없을것같은 이름으로 만든건데 작가생각을 제대로 무시하는 행동
우리나라 헤르미온느 이름을 본 작가가
이름이 예쁘다고 해서 그런거아닐지..?
이미 20년 지난거라 표현 자체가 굳어짐.
20년동안 헤르미온느라 읽었는데 허마이오니라 하면 이상하잖아
오역이 원판보다 유명하면 그게 사실상 원판이죠
당장 해리포터 한국팬덤에서 헤르미온느를 허마이오니라 하면 몇명이나 알아들을까
@@nyange2123 그쵸 근데 190개국은 못알아듣고 우리니라만 알아들음 문제가 아닐까요? 직가가 일부러 힘들게 만든이름인데 작가의 의도를 정면으로 배재하고 편의만 따지는게 정상인가요?
헤르미온느로 하는게 좋을듯 한국에선
어서 봤는데 처음 나왔을때 저기 나오는 모든 인물 이름 성 붙여서 존재하는 사람이 60억중 1프로도 안된다고 한거 같은데
1화에서 유치원생에 가까운 헤르미온느를 보았는데, 이젠 훌쩍 커서 아줌마에 가까워져버렸음. ㅠㅠ
ㅉㅉ구독채널리스트랑 참 잘어울리는 댓글이네
@@ahnhui133님은 왜 화가남..?
@@성이름-t2j5v “아줌마” 라는 단어에 긁힘ㅋㅋ
헤르미온느가 초월번역까진 아니고 불어식으로 읽르면 에르미온느입니다. 아주 틀리다고 보긴 어려울 거 같아요. 오히려 허마이오니보다는 헤르미온느가 훨씬 “이름”다운 느낌입니다.
허마이오니...
Hermione가 찾기 힘든 이름은 아니죠. 영미권에서 많이 쓰이지 않는 이름일 뿐. 책을 읽다보면 간혹 마주치는 이름인데
혜림이언니
그래서 동아시아계 캐릭터 이름은 챙이라고 지었냐? ㅋㅋㅋㅋ
당신의 딸이 태어났고 저둘중 하나의 이름만
지어줄수 있다면 어떤 이름을 지어줄 것인가?
허마이온리? 헤르미온느? 우리는 이걸 초월
번역이라 부르기로 했어요!! 죠앤 꺼져!
볼드모트 원래 발음도 볼드모어 라는 작가의 말에 인생이 부정될 정도의 충격 받음
소설 버전은 허마이오니인데 영화 버전은 헤르미온느가 맞는거같다. 어떻게 저 미모에 허마이오니를 붙일수 있겠음
재번역때엿나? 허마이오니라는 이름이 할머니라는 발음과 비슷해서 그냥 헤르미온느라고 그대로 붙엿다 라는 말도 본거같은데 해잘알 님들 맞나요?(전 어디서 흘려가며 들은거같은데 궁금해서)
어쩐지 초딩 때 원어민 선생님들이 헤르미온느를 모르더라고 ㅋㅋㅋㅋㅋㅋㅋㅋ
처음 번역 된 것들 보면 번역 개판인 거 엄청 많음. 아직도 잊히지 않는 게 말포이가 분류모자 쓰는 씬인데, 마치 말포이가 슬리데린이라고 직접 소리친 것 처럼 번역 되어있었음 ㅋㅋㅋ 이런 번역이 한 두군데가 아니던데, 해리포터 시리즈 처음 번역하신 분 진심 번역 하신적이 있긴 한 건가 의심 했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