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3 тра 2023
  • #티전드 #유퀴즈온더블럭 #tvN
    〈유퀴즈 온더블럭〉 매주 수 오후 8시 40분 tvN에서!
    TVING으로 다시보기 👉 www.tving.com/contents/P00064...
    we’re :DIGGLE family
  • Розваги

КОМЕНТАРІ • 274

  • @BJK3927
    @BJK3927 Рік тому +791

    프리미엄 계정인데 왜 처음에 광고 봐야하는거지

    • @user-kg3xb3rw8u
      @user-kg3xb3rw8u 11 місяців тому +79

      진짜 ㅋㅋ 이건 유튜브 정책이랑 어떻게 상충되려나 궁금하네요.

    • @c0c0s138
      @c0c0s138 11 місяців тому +19

      신고하자!

    • @Tencasting
      @Tencasting 11 місяців тому +74

      프리미엄 풀린줄 알았네..

    • @user-ks3mv3bq3j
      @user-ks3mv3bq3j 11 місяців тому +50

      나도 황급히 프리미엄 끝났나 확인하고옴

    • @user-pd5tx3jz5g
      @user-pd5tx3jz5g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쟤삐딤..

  • @user-ut9wj4rc9d
    @user-ut9wj4rc9d Рік тому +995

    한 두명의 금쪽이들을 변화시키는데 쓰는 에너지가 너무 큽니다 그 에너지로 보통의 학생들을 더 잘가르치고 싶은게 현실적인 마음입니다.

    • @hyeong7108
      @hyeong7108 Рік тому +115

      맞아요. 유아교육 현장에서도 보면 자폐스펙트럼이나 과잉행동을 보이는 아동수는 점차 늘어나는데 전체 유아들과 함께 케어하며 지도하다보니 어려움이 많습니다. 기관마다 보조교사가 지원되기도 하는 등 현장이 나아지는 듯 하지만 아직도 턱없이 부족합니다.

    • @hsookq1470
      @hsookq1470 Рік тому +50

      문해력은 일부 금쪽이가 아닙니다. 글고 문해력이 좋으면 학습력이 뛰어나긴 하지만, 공부잘한다고 문해력이 뛰어난 것도 아니지요.

    • @love_jimin460
      @love_jimin460 Рік тому +51

      미국에서 80년대때 초등학교 다닌 사람인데, 그때 반마다 보조선생이 반 뒤에 있어서 처음 미국가서 영어 하나도 모를때 따로 더 쉬운 교재로 1년동안 했는데 한국은 보조교사 왜 없죠? 많이 뽑아 이렇게 씁시다

    • @user-gs4im3kc9s
      @user-gs4im3kc9s Рік тому +43

      교육자도 큰 범주로 공무원인데
      공무원 늘린다고 하면 염병을 떠는 나라에서
      교육의 질적 강화는 먼 이야기 같네요

    • @llliiiikkk112
      @llliiiikkk112 Рік тому +30

      남는교사가 많다니
      지금 중고등은 기간제가 절반이 넘는 학교가 엄청 많은데 수급조절 문제로 학교 현장에서 기간제 투성이임😊

  • @JR-kj1tw
    @JR-kj1tw Рік тому +573

    교육은 평가가 아니라 성장을 위한 과정이라는 마지막 글이 무척 와 닿았습니다.

    • @dlsrksguadhX
      @dlsrksguadhX 3 місяці тому

      표방하는건 그거면서 실제는 그 반대인게 더 구역질 나는데 뭘 😂
      팩트...😂

  • @user-hl6ne2cx7g
    @user-hl6ne2cx7g Рік тому +216

    11:49 유재석 썰에 진짜 공감하는게 나도 내신영어는 걍 문법도 독해도 닥치고 교과서본문 외우면 점수가 나왔고 학교쌤들도 그렇게 점수받는거라고 권장함.. 효과는 있을지 모르는데 장기적으로 공부의욕 가져가긴 힘듦

    • @user-vh4we8zf8s
      @user-vh4we8zf8s Рік тому +6

      @@user-jb4bp5xp1s 전 고등학교 1학년 때 내신 시험 암기식이였어요…, 중학교처럼 교과서 단어 다 암기하고 모의고사 지문 다 외우고 단어도 외우면 잘 되었던 걸로 기억해요

    • @user-ez7mc5eq3l
      @user-ez7mc5eq3l Рік тому

      @@user-jb4bp5xp1s 현 고1인데 암기만 철저하게 해도 2등급은 떠요

    • @kmyung
      @kmyung Рік тому +3

      외국어 학습의 가장 좋은 방법이 통암기입니다.

    • @bebetter1475
      @bebetter1475 8 місяців тому

      헐 저도요ㅋㅋㅋㅋ 교과서 본문, 수능특강 본문 싸그리외워서 풀었어요ㅜㅜㅜ...

  • @user-lr6rg6ob1r
    @user-lr6rg6ob1r Рік тому +124

    내가 선정한 공부하면서 검토해야 할 것
    1. 음악과 공부
    8:32 음악과 공부 효과의 관련성
    8:52 음악을 듣는 이유
    9:03 이를 이용한 효율적 방법
    2. 개념 공부 - 회독
    10:05 숲을 보는 공부의 중요성
    10:33 이래서 행정법이 망했잖아..?^^ 절대 법과목에사 해서는 안될 짓
    10:41 회독의 중요성 : 반복하여 전체 이해 -> 세부사항 집중
    3. 문제의 활용
    12:04 회독에서 문제의 활용 방법☆☆☆
    12:10 문제를 공부하는 친구로 삼아라☆☆☆
    12:18 행정법...^^ 패인
    12:34 결론 : 소크라테스 공부법
    4. 서울대 공부법 정리
    12:47
    참고 - 12:54 부족한 문해력 -> 책
    14:14 예)

  • @-juckjuck
    @-juckjuck Рік тому +212

    글을 읽고 스스로 사고해야 생각이 넓어지고 이해력도 발달되는데 자꾸 자극적인 영상물로 수동적으로 학습하는게 습관이 되니까 정적인 대상에 대한 집중력 스팬이 짧고 참을성이 없어서 긴글을 못읽는게 가장 큼

    • @guns_germs_steel
      @guns_germs_steel Рік тому +24

      학교 교재에 영상물 사용이 너무 과다한 것도 문제입니다. 학교에서조차 스스로 생각할 시간을 안줘요. 학원가서도 영상, 죄다 손가락 클릭, 집가서도 영상, 자기전에도 영상. 뭐든지 균형이 중요한데 한국은 극단적 쏠림이 너무 심각합니다.

    • @junheebyun46
      @junheebyun46 Рік тому +3

      @@guns_germs_steel 저는 당신의 말씀에 동의합니다. 탐구하고 '자신에게서' 나오는 능동적인 사고가 요즘 사회로 갈수록 점점 떨어져간다고 느껴요. 2003년생인 저는 중학교때 목표하는 고등학교에 가기위해 제 모든 시간을 학원에다 쏟아부었어요. 학교끝나면 평일에는 버스타고 곧바로 학원에가 주입적으로 배우고, 늦은 밤 11시나 되어야 집에 돌아왔죠. 주말, 방학동안에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항상 11시간은 학원에 붙잡혔던 것 같아요. 학원에서는 배우는 방식에도 '일정하면서 빠르게 습득하는 길' 만을 강조했습니다. 이 길은 저한테서 온 것이 아니지요. 고등학교에 졸업한 후에야 깨달았어요.
      그래도 그 당시 저는 나름 그 '일정한 길'속에 천천히 연구를 하려고 했던 것 같은데 (물론 여전히 주입으로 완성된 것도 없잖아 있으나) , 요새는 갈수록 강의 영상들도 그렇고 짧고, 빠르게 생각할 틈도 없이 주입시키는 것 같아요.
      우리는 여유가 필요해요.

    • @JIyuziyu
      @JIyuziyu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유튜브 댓글만 봐도 문해력 딸리는 사람 겁나많음.ㅇㅇ핀트 못잡고 공격하는 글 쓰는 사람 진짜 직접 얼굴보고 싶을 정도 ㅋ

  • @kidneydish7305
    @kidneydish7305 Рік тому +219

    진짜 요즘 학생들은 집중력도 떨어지고 문해력도 떨어 지고 너무 자주 자극적인 걸 찾게 되고 popcorn brain 이 말이 딱 맞는 것 같아요

    • @guns_germs_steel
      @guns_germs_steel Рік тому +32

      그러게요 요새 생각 깊이하고 시간투자하고 소크라테스 공부법 따위 할 시간이 어딨어요 요샌 기계한테 정답 물어보고 그냥 정답외우고 계산하고 답내고 남들보다 한푼이라도 돈 많이 버는 게 최고죠 ㅎㅎㅎ 깊고 긴 생각은 바로 돈을 주지 않으니까.... 여기에 항상 이유랍시고 끌어들이는 게 요즘 시대는 데이터가 어쩌구 IT가 어쩌구 하는데 정작 데이터사이언티스트들은 하나같이 데이터과학이 발전할수록 생각하고 스스로 쓸(write) 줄 아는 인간, 인문학이 제일 중요하다고 말하는 반전.ㅋㅋ

    • @user-hc4db9ux9l
      @user-hc4db9ux9l Рік тому +2

      너무행

    • @lt-qy7le
      @lt-qy7le Рік тому +6

      ​@@guns_germs_steel 그런 데사도 인문학은 뒷전이어버렸고

    • @livingwater3907
      @livingwater3907 Рік тому

      팝콘 브레인.... 영유아기부터 미디어 접촉하면 그렇게 된다더군요 ㅜㅜ

    • @junheebyun46
      @junheebyun46 Рік тому +6

      전반적으로 지금 이 사회는 공백을 낭비라고 생각해버리는 것같아요. 심층적인 생각을 꺼내게 되기까지는 사람은 넓은 마음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데, 이 공간마저 미디어 매체와 같이 짧고 쉽게 얻는 정보와 지식으로 채우려고 하니까요. 바쁘게 돌아가는 사회는 서비스가 빠르니, 느린 보상체계와 멀어질 것이고, 그것처럼 사람들도 오래 걸리는 보상보단 시간이 적게 효율적이게 얻는 방식을 선호하겠죠. 결국 이런 악순환이 공백을 메워버립니다. popcorn brain이 되버리죠ㅎㅎ

  • @user-bv6do5bh7o
    @user-bv6do5bh7o Рік тому +11

    ㄹㅇ 느낌... 문해력인지 뭔지는 모르겠지만 사람이 말을 하거나 글을 썼을때 그 글의 의도와는 별개로 자기 생각대로 해석하고 판단 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음 실제로 눈을보고 대화하는 실제 상황에서는 덜 그렇다고 하더라도 인터넷 상에서는 심각하더라구요
    그런 의도로 적은게 아닌 글에도 맘대로 해석하고 오해해서 상대방들을 헐뜯고 욕하고 서로 상처주는 일들이 너무 많습니다 물론 일부러 그러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자기 자신도 모르는 사이 그러고 있는 사람들도 많을 거라고 생각해요

  • @jasonjung6017
    @jasonjung6017 Рік тому +26

    교수님 전달력, 목소리, 표현력, 방식 모든게 본받고싶은 모습이네요 . 멋지신분입니다.

  • @neoqma3772
    @neoqma3772 Рік тому +46

    깊게 사고 할 기회가 점점 없어지는 것 같음. 짧은 영상으로 바로 바로 넘어가고. 요즘은 내용이 지루하면 결론 빨리 들으려고 앞으로 돌리거나 1.7배속으로 돌려서 보기도 함

  • @smmr_smmr
    @smmr_smmr Рік тому +26

    나는 조세호가 정말이지 너무 귀여운것같다 ㅋㅋ

  • @annal5402
    @annal5402 Рік тому +35

    교수님. 아이가 부정적 행동 중 긍정적 행동하는 찰나의 순간을 포착해서 그 순간 이야~ 땡땡이가 지금 집중하네! 하면 학생은 비웃으면거 아닌데요?ㅋ뭐래ㅋ 하면서 계속 수업 방해합니다.

  • @RmeRmeRmeRme.....
    @RmeRmeRmeRme..... Рік тому +21

    요즘 중고등학생을 못보신분
    졸고있을땐 조크할수있지
    담요덮고 쳐자는데
    무슨 스윗함과 긍정적인기대를해요..

  • @Cindy-io3yn
    @Cindy-io3yn Рік тому +34

    평생겪어보지 못한 서윗함 자막 넘 재밌어요~

  • @nyaohauer
    @nyaohauer Рік тому +10

    게임,애니,영화도 소위 "유튜브 에디션"으로 즐기는 친구들이 많이 보이던데.. 남이 떠먹여주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보단 내가 직접 진득하게 앉아서 즐기는 편이 재미도 있고 사고력 향상에도 더 도움될 거라 생각함 똑같이 '안다'고 해도 내 안에 축적되는 경험치가 질적으로 다름

  • @Wdbs
    @Wdbs Рік тому +191

    저는 고3 수험생인데, 공부를 하다보면 문해력의 결핍을 자주 느끼곤 합니다. 이 영상을 통해 중요함을 더욱 깨닫게되어 너무너무 기뻐요. 문해력을 기르기 위한 노력을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개 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ㅜㅎㅎ

    • @Streetworkout2000
      @Streetworkout2000 Рік тому +12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신 분이네요 멋지십니다

    • @user-pd5tx3jz5g
      @user-pd5tx3jz5g 11 місяців тому

      문해력모.
      내가빡칠땐 보고시픈거만 봐가지궁 ㅇㅅㅇ..

    • @cheon3084
      @cheon3084 10 місяців тому

      카톨릭대 교수, 전 평가원장도 현 수능 국어 영역을 응시하고 3등급 상위 30퍼센트 내에 겨우 들 성적을 받으셨습니다.
      교수라는 직업의 적성적 특성 혹은 업무의 특성상 텍스트 같은 세대에서는 상위 1퍼센트 안에 들 정도의 문해력을 지니셨을 분이 말이죠
      단순히 사고력이 부재한 없는 문학 작품 암기/어휘, 한문 암기식의 교육을 추구하다가 글로벌 시대에 맞추어 19년도? 쯤 이후부터는 사고력 위주의 출제를 지향하게 되었고, 복잡하고 어려운 한문이나 고사를 묻는 문제는 출제를 지양하게 되었습니다.
      요즘 학생들은 조금만 생소한 어휘가 나와도 문제를 맞추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지겠지만, 글을 읽으며 사고를 하는 능력에 있어서는 전 세대를 통틀어 압도적으로 월등한 세대입니다.

    • @cheon3084
      @cheon3084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그렇기 때문에 저 교수님께서 문해력 저하를 주장하신 이유는 과거미화+수시 확대로 인해 지적으로 봤을때 본인에게 과분한 대학을 간 학생들이 많아지고, 사범대 기피 현상으로 인해 수능을 잘본(사고력과 문해력이 상대적으로 뛰어난) 학생들이 더 좋은 학과를 갔기 때문으로 보여집니다

    • @dwadwaasdasd5455
      @dwadwaasdasd5455 10 місяців тому

      리얼로 스마트한 스튜던트 네요~

  • @user-tu6lo5mm7y
    @user-tu6lo5mm7y 10 місяців тому

    멋진 영상 감사합니다

  • @user-bg5vn6fg5w
    @user-bg5vn6fg5w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조세호 넘웃겨요ㅎㅎㅎ

  • @user-se1ru4cs1l
    @user-se1ru4cs1l Рік тому +9

    수능 국어 독해는 날이 갈수록 전문가도 헷갈려할 정도로 거의 암호해독 수준으로 어려워지는데 문해력은 갈수록 떨어진다니 이 무슨...ㅜ ㅜ

  • @user-fw1cq3mr9x
    @user-fw1cq3mr9x Рік тому +13

    교수님 넘 멋지세요!

  • @user-zz6hq1yc6x
    @user-zz6hq1yc6x Рік тому +2

    이분 찐이다~

  • @hamtolyoon6610
    @hamtolyoon6610 Рік тому +47

    우리나라 교육에서 제일 싫은 부분을 꼬집었군 공부가 재밌고 좋은것이 아니라 힘들고 싫은것으로 만드는 과정의 중요가 아닌 결과,평가만하는 것

  • @user-mh5hd5rz4k
    @user-mh5hd5rz4k Рік тому +1

    영상을 많이 보기 때문에 이 영상을 접할 수 있었네요 😂

  • @user-pn5xp2fj5f
    @user-pn5xp2fj5f Рік тому +9

    문해력 보려고 영상 다 봤는데.. 역시.. 유느님이 말한 결론과 같아서 뿜었네.ㅋㅋㅋ

  • @user-ty8xz9hv8h
    @user-ty8xz9hv8h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림공부도 마찬가지인것 같아요..그림공부할때 보고그리는것보다 안보고 많이 그리는게 중요하더라고요. 인체를 공부한다고 하면 하루종일 인체서적을 통째로 그려보고 그날 즉시 응용해서 다양한 동세로 그려봐야해요.
    내가 뭘 모르는지 확인해나가는게 공부라는말 백번 맞습니다..

  • @happy-zt5fl
    @happy-zt5fl 11 місяців тому

    오히려 공정하고 진실한 답이네요.^^

  • @dvoraw2261
    @dvoraw2261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조세호님 공부환경 이야기 듣다가 웃고 쓰러질뻔!! 다~~준비하고~~책피자마자 잔다~~^^^^^^^😂😂😂😂세상에서 젤 졸린 피자~~

  • @user-dz1dl8tj6h
    @user-dz1dl8tj6h Рік тому +137

    인권도 어느정도 선을 지킬줄 아는 학생일때 지켜주는거지
    요즘은 교사인권을 개무시하는 판국에
    누가 누구 인권을 지켜주라는건지~~

  • @nareajpark1265
    @nareajpark1265 Рік тому +3

    이래서 이론과 현실이 다른 겁니다.

  • @user-oy6et8kn1l
    @user-oy6et8kn1l Рік тому +4

    공부하기 좋은 장소는 내가 공부하려고 마음만 먹는다면 어딜가더라도 공부를 한다.
    공부하기 최악의 장소를 가더라도 공부가 된다.

  • @Mu66388
    @Mu66388 Рік тому +14

    요즘 학교는 잔잔히 생각하는거보다 빨리 외워서 결과를 내고 좋은 성적을 내는방식이니, 철학이 뭔가요 ㅋ 자기에대한 이해도 낮고 대학와서 자기의 취향, 좋아하는걸 알게될까요... 성장중심의 교육체계를 다 바꿔야할거 같아요

  • @user-bn1fs7ue3t
    @user-bn1fs7ue3t 9 місяців тому

    내용이 알차고 머리에 쏙쏙 들어옵니다.
    재미있게 봤어요.

  • @user-df9lr7id9d
    @user-df9lr7id9d Рік тому +7

    문해력 뿐만 아니라 영상을 보고 영상의 내용조차 잘 모르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보이는 것만 해석하더라구요.

  • @user-df1bc5tn5v
    @user-df1bc5tn5v Рік тому +2

    역시 메타인지가 화두네요

  • @user-dh3us8cn5e
    @user-dh3us8cn5e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Piery was the first man that reached the North pole. 저거 나도 기억하는데...유재석이랑 같은 연배라 반갑네 ㅎㅎ

  • @SueMenil
    @SueMenil Рік тому +86

    전 지하철로 이동할 때 책 보는데 사람들이 신기하게 쳐다보더라고요 참 이상해진 세상ㅋㅋㅋ

    • @user-pw3wj5tp4h
      @user-pw3wj5tp4h Рік тому +28

      아 나도 책좀 읽어야하는데...속으로 반성하고 돌아서면 또 폰보는 그런 마음일듯요^^;;

    • @oklu_
      @oklu_ Рік тому +4

      부러운거 아닐까요 ㅋㅋㅋㅋㅋ take pride !

    • @SueMenil
      @SueMenil Рік тому +2

      ​@@user-pw3wj5tp4h 사랑스러운 분들~ 그렇게 생각할게요 ☺

    • @SueMenil
      @SueMenil Рік тому +2

      @@oklu_ 사랑스러운 분들~ 그렇게 생각할게요 ☺

    • @aria760
      @aria760 Рік тому +3

      부럽네요. 전철안에서 뭘보든 두통이 일어나서 못보는데 ㅠㅠ

  • @hellohoney1123
    @hellohoney1123 Рік тому +1

    저도 뼈저리게 느낍니다... 난독이 갈수록 심해져가요

  • @ohumohum6685
    @ohumohum6685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광고 안보고 싶어서 유툽 프리미엄 신청 했는데 영상 직전에 광고가 아예 붙어 있네요..ㅠㅠ.. 황당..

  • @kylekim1004
    @kylekim1004 Рік тому +53

    역시.. 공부엔 왕도가 없다... 성실하게 꾸준히 하는 방법이...예나 지금이나..

  • @CocOdjenfo
    @CocOdjenfo Рік тому +1

    어우 오랜만에 공부하는 느낌이.....

  • @jin1le465
    @jin1le465 Рік тому +4

    프리미엄인데 광고나와서 놀랬네

  • @user-sk3dp6iz7d
    @user-sk3dp6iz7d 9 місяців тому

    간단하네요.
    심리학에서 말하는 라벨링효과 혹은 강화요과이지요.

  • @wonseokchoi131
    @wonseokchoi131 Рік тому +75

    문해력에 대한 문제가 두드러지는 요즘이긴 하지만, 사실 그게 큰 문제라고는 생각되지 않습니다. 과거에도 '말 귀'를 못 알아먹는 사람은 있었고, '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모르면 배우면 된다'라는 것이니까요. 실질적인 문제는 거기서 끝이 아닌 점이 아닐까 싶네요. 단지 오해를 했다면 상호간에 대화의 자세로 오해를 풀면 되는 것이지만, 그렇게 오해를 한 뒤 곧바로 상대를 힐난한다는 점과 자신의 과오를 깨달은 뒤에도 사과 따위는 하지 못하는 '공격성'이 가득한 것이 요즘 문제시 되는 현상이겠죠. 즉 지식의 문제라기보다는 사회에 대한 적응력- 동화되고 순응하려는 자세가 부족한 게 아닌가 싶을 때가 있기도 해요.
    뭐 단지 문해력의 문제를 빚는 이들만이 그런 건 아니겠죠. 사회 곳곳에서 일어나는 일상의 갈등들, 이것들의 범람에는 가치관의 변화가 크겠죠. '사회가 중요하다 믿었던 사람들'에서 그런 '사회조차 개인의 합일 뿐이라고 믿는 사람들'로 바뀌며 모래알처럼 산산히 부서져나가는 사회의 모습. 결국 우리는 교육의 문제가 아닐까 싶어 더더욱 거기 열을 올리지만, 실제 해답은 거기에 없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보기도 하네요.
    교수님이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겪으셨겠어요. 그리고 다양한 학생들이 그의 가르침 속에서 배출되었겠죠. 그렇게 앞으로도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또 교수님을 만날러 갈 겁니다. 부디 당신께서 가지신 교육과 철학이 그 수많은 색깔들을 거치면서도 흔들리지 않고 사람들에게 지표가 되어, 앞으로도 이 나라의 사회근간을 이루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를 바랍니다. 교수님 화이팅!

    • @jinipark4018
      @jinipark4018 Рік тому +2

      좋네요 공감합니다 ..

    • @user-kk4jj2fp6e
      @user-kk4jj2fp6e Рік тому +16

      맞는말이지만 문해력이 안좋으면 공격적으로 변하지말아야 할 상황에도 이해하지못하고 기분나빠 공격할 수 있으니 그렇다고 바쁜시대에 구구절절 설명하지 않으면 못알아듣는것도 참 피곤한일이라 주변에 사람도없고 근데 또 그 주변에 사람없는것도 피해의식에 사로잡혀 자존감도 낮아지고 그런경향이 요즘 어린학생들한테 보이는 듯 하네요~ 유튜브 댓글만봐도 와~ 이걸이해못한다고? 싶은 부분이 너무 많아요 물론 교육이 문제가 아니라 경험이 더 중요한데 너무 교육에만 몰두하면 안되죠~ 제가말하는건 학원학교교육 말이에요~ 실제생활에서 부모나 주변친구들 어른들이랑 대화를 자주해야 말귀도 알아듣지 ㅜ

    • @bk4995
      @bk4995 Рік тому +7

      교수님께서 하시는 문해력 설명 들으셨는지를 모르겠네요?

    • @KOREA_119
      @KOREA_119 Рік тому +21

      전혀...동의를 못하겠네. 문해력이 떨어졌기 때문에 같은 정보를 보고도 이상하게 해석하는 사람이 많아져서 사회에 불필요한 갈등도 많아지고 더 파편화되는 것.

    • @user-es2qw2bq1g
      @user-es2qw2bq1g Рік тому +2

      엄청 복잡한 문제네용.... 의견들 보니 왠지 문해력만의 문제는 아닌거 같기도해요. 오히려 교육의기회가 늘어나서 모든이의 발언권이 높아진게 핵심일수도 있을것 같아요. 과거에 교육을 못받으면 자기를 표현하는데 있어 맥락없는 얘기도 못하고 그냥 화를내거나 말을삼켰다면 이젠 뭐라도 다들 뱉는게 문제아닐까요?

  • @KKOT-
    @KKOT- Рік тому +3

    나 유튜브 프리미엄인데 맨 처음 광고 나와서 프리미엄 해지된 줄 말았네ㅡㅡ

  • @user-uk4yn4eu9s
    @user-uk4yn4eu9s Рік тому +17

    학교 시험문제 양식이 본문을 다 외워야 100점 나오는 지엽적이라 방법이 없음

  • @user-rq5xb2rl1p
    @user-rq5xb2rl1p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완벽🚫 반복하며 숙지 ⭕️

  • @user-kf8yr8ne8v
    @user-kf8yr8ne8v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제 답을 보고 문제를 이해 하기로 했다 ㅋㅋㅋ

  • @user-cj8ng7bc3m
    @user-cj8ng7bc3m Рік тому +1

    유재석이 외운문장 중3 첫단원 ㅋㅋ 저도 그문장이 아직도 기억이나요ㅋㅋ 53세

  • @user-mk9df8le6l
    @user-mk9df8le6l Рік тому +4

    문해력 별거 없는데. 어릴 때부터 책 읽고 생각하고 얘기하면 되는데. 난 중고등학교 때 용언, 형태소 이런 정말 '문법'적인 부분이랑 고전시가 같은 거 말고는 국어 공부해본 적이 없는데 그래도 항상 2등급은 나왔음.

    • @user-mk9df8le6l
      @user-mk9df8le6l Рік тому +1

      @@user-lm6ji4xw3p 재능을 완전히 부정하는 바는 아니고, 일반적인 사람들은 후천적인 학습으로 일상적인 의사소통과 문맥 파악에 전혀 문제가 없고 "문해력이 낮다"고 표현되지 않는 정도의 일정한 수준까지는 쉽게 도달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개개인이 타고나는 선천적인 요소로 인해 각자의 학습능력과 수용치, 응용력 등에 대해서 어느 정도 차이는 있겠지만, 잘 쓰여진 글을 두루 읽고 모르는 단어는 뜻을 찾아 배우며, 본인의 논리 형성 구조와 표현법을 만들고 또한 다른 사람들의 그것에 대해서도 많이 접하고 배우다 보면 결국 일정한 수준까지는 자연스레 늘 수밖에 없습니다.
      인간은 음성적 형태의 언어를 사용하고, 그것을 이용해 생각이라는 걸 하죠. 더군다나 언어라는 건, 타고난 근육량이나 신체 구조 같은 어떤 장애나 결함을 뛰어넘어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이 아니라 그냥 다양한 형태를 습득하고 체화시키는 방식으로 학습됩니다. 따라서 더 많은 문장을 읽고 쓰고 말하면 더 많은 생각을 이해하게 되는 거죠. 그게 바로 문해력이고요.
      결론적으로, 언어적 부분 뿐만 아니라 무언가를 학습하고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는 재능 뿐만 아니라 꾸준히 배우려는 태도 자체가 재능 못지 않게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 @user-qm4ve8gb7v
    @user-qm4ve8gb7v Рік тому +19

    독서만이 답이다 그리고 그림없는책을 읽어야 상상력이 풍부해짐ㆍ ㆍ요즘시대에 그렇게되기 힘들지

  • @user-bb9tk8xn1l
    @user-bb9tk8xn1l Рік тому +2

    근데 공부하기 싫을때 음악들으면서 하면 조금 더 함...
    급하고 하고 싶으면 안들게됨ㅋㄱㅋㅋㅋ

  • @lenacl7654
    @lenacl7654 Рік тому

    목숨걸고 하는 공부. =>.비보 ..자막이 ㅋㅋㅋㅋ

  • @HK-rj5iq
    @HK-rj5iq Рік тому +49

    교수님 훌륭하시지만 솔직히 초중고 교육현장에서 한학기만 수업해보시면 현실은 다르다는 걸 깨달으실 겁니다. 모범생 집단이든지 아니면 학생이 소수여야 긍정적 강화가 가능하고 교사가 그럴 에너지가 있겠죠. 30명남짓 전쟁터같은 교실안에서 넘쳐나는 진상 학생 학부모들에게 쌍욕듣는 마당에.. 긍정적 강화라... 교사는 신이 아닙니다.

    • @chukitypop
      @chukitypop 11 місяців тому +8

      교수도 초중고 교육현장에서 강의해보면 쌍욕 나올듯

    • @JeJe-wp9po
      @JeJe-wp9po 10 місяців тому +6

      ​@@user-mj9qi4k77l수많은 시도 끝에.. 도저히 시도조차 할 수 없을 만큼 지쳐버린 선생님들도 계십니다. 지금 상황은 반드시 바뀌어야해요. 지금도 많은 선생님들이 많은 노력을 하고 계세요

    • @redsquishy467
      @redsquishy467 9 місяців тому +3

      @@user-mj9qi4k77l제도가 안받쳐주는데 교사는 무슨 죄로 무슨 동기부여가 되어서 그렇게 힘들게 노력해야합니까?

    • @shd3412
      @shd3412 2 місяці тому

      수업때진도나가기도바쁜데 저런거하면서하기에는 좀그렇긴함

  • @taensmaguwagu8212
    @taensmaguwagu8212 Рік тому +28

    이제 알았다.. 내가 내신은 되고 수능은 족쳤던 이유를,..걍 다 외워서 때려 박는 것만 잘했구나 예전의 나는.. 왜 우리는 학교에서 과목을 시험보기 위한 수업만 하지 왜 공부를 슬기롭게 하기 위한 교육은 없는가,,,???

    • @llliiiikkk112
      @llliiiikkk112 Рік тому +5

      공부의 기본중에 기본이 암기에요
      서울대생도 거기서부터 시작이고
      모든 학문의 기본이 암기가 기초인데
      뮤슨 말도 안 되는 변명을

    • @beebeehoney2485
      @beebeehoney2485 Рік тому

      맞아요! 암기는 공부의 기본입니다. 님이 암기만 하고 활용이나 다른 문제에 적용하는 능력이 부족했던거 같아요

  • @ptalove
    @ptalove Рік тому +5

    책을 읽어야 함. 그 진리는 변하지 않음.ㅠ

  • @soohoyang6970
    @soohoyang6970 3 місяці тому

    이론과 실제가 너무 다르네요 교수들이 현장을 너무 몰라도 모른다는 말이 이래서 나오나봅니다

  • @dds-fr8ct
    @dds-fr8ct Рік тому +6

    피부과 노래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ih7523
    @ih7523 Рік тому +108

    문해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가,
    지하철이나 버스에선 다들 스마트폰에 묵념...
    음식점에선 아이들 조용히 하려고 스마트폰 보게 하고
    대한민국의 미래가 너무 밝습니다 :)

  • @userhanam
    @userhanam 11 місяців тому

    졸려서 잠자면 겨울에 창문 열수 있다고 봅니다.

  • @JIGU-
    @JIGU- Рік тому

    13:17 이게 계속 반복된 패턴인 요즘애들 이게 아니라 영상발달로 인해 유래없이 극심하게 떨어짐 대신 애들 영상인식능력은 장난아니게 발달했다고함 빠르게 영상 보고 순식간에 영상을 기억하더라고

  • @user-gd6on5wo1s
    @user-gd6on5wo1s Рік тому +3

    내용도 좋고 다좋은데..ㅠ ㅠ
    프리미엄을써도.. 광고가 나오는구만..

    • @JIyuziyu
      @JIyuziyu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광고 영상을 그냥 붙인거 같네요 ㅠ 저도 프리미엄이에요

  • @user-bw3gl3ol5k
    @user-bw3gl3ol5k Рік тому

    교수님내심리연구하다내가죽을것같았습니다.

  • @user-cu5ob1zo8w
    @user-cu5ob1zo8w Рік тому

    교수님께 내는 문제치곤 너무 쉽네요

  • @user-js3nk7kd9r
    @user-js3nk7kd9r Рік тому +2

    1978년 1학기 기말고사때 영파여중 음악선생이 이유없이 시험관으로 들어와서 한번도 맞은적없던 내 빰을 때려서 바로 이층 교장실가서 억울함을 토로했던기억이 난다 ㆍ지금도 생각할수록 저질선생이란 생각이든다 소문으론 잘산다고하더니 뵈는게 없었나보다 감히 죄없는학생을 자기 화풀이 수단으로 삼다니 ᆢ그사건후에 다시는 나에게 함부로 대하진 않았다 지금이라도 사람처럼 살고 있길 바란다

  • @maripak6349
    @maripak6349 Рік тому

    우리 학교 다닐 때는 큰일 날일만 있었네요 ㅡㅡ;;;

  • @user-gf2lr2fy2w
    @user-gf2lr2fy2w 2 місяці тому

    ㅠ ㅠ 커비처럼 문해력 좋은 사람 삼켜서 문해력 좋아지고싶다

  • @ejddlekf1954
    @ejddlekf1954 Рік тому +1

    우와 나 연마 문제 맞혔다ㅋㅋㅋ

  • @user-bw3gl3ol5k
    @user-bw3gl3ol5k Рік тому

    루틴요교수님!

  • @user-gn2il2tm5t
    @user-gn2il2tm5t Рік тому +3

    근데 옛날엔 아예 없었던 논술이나 토론수업같은게 지금은 많아졌는데 오히려 문해력은 떨어졌다는게 이해가 안가네...

  • @user-kk6vv5iv4k
    @user-kk6vv5iv4k Рік тому +7

    그냥 공부는 재능이다라는 진실을 말해주셨으면ㅋㅋ..

  • @younghoonjeong2419
    @younghoonjeong2419 Рік тому +6

    문해력 청해력 떨어지는 이유... 콘텐츠마다 넘쳐나는 자막 때문은 아닐까? 읽고 쓰고 듣는 능력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것은 물론이고 생각하는 기회마저 박탈하고 있는 건 아닌지.

  • @mojito6657
    @mojito6657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완벽함을 버리자. 숲을조자. 1단원 공부하고 문제 가볍게 친구처럼 풀고
    5-10분만 보자 보고 산책하고 또 와서 보고 산책하고(내가뭘모르는지알고)

  • @gracejoy9389
    @gracejoy9389 11 місяців тому

    저도 제 문해력에 반성하는 1인

  • @hyedin12
    @hyedin12 Рік тому +7

    좌절의 연속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qz1du6zh9f
    @user-qz1du6zh9f Рік тому +2

    뉴진스의 하입보이요

  • @jjjoong
    @jjjoong Рік тому +1

    아니 광고 보기싫어서 유프 했는데 광고 나와서 깜놀 😮

  • @shrishri000
    @shrishri000 Рік тому +1

    아이들이 인권 중요하죠 교사의 교권은요~?

  • @macaronl6322
    @macaronl6322 Рік тому

    오래 앉아있는건 할 수 있는데 자꾸 잡생각들고 집중력 흐트러지는게 문제 ㅜ

  • @user-bw3gl3ol5k
    @user-bw3gl3ol5k Рік тому +1

    교수님질문있습니다.만학도연필잡이는어떻게생각하십니까.

  • @namugomu7981
    @namugomu7981 Рік тому +4

    아 어쩐지...말을 두단어이상 이면 이해를 못하는 댓글도 많더니....

  • @user-we5dy2qn7s
    @user-we5dy2qn7s 6 місяців тому

    그래도 외국어 공부의 가장 좋은방법은 좋은 문장을 최대한 많이 암기하는것.. 단어보단 구동사.. 구동사 보단 문장.. 문장보단 지문 전체
    명문장을 많이 암기하세요,, 그안에 모든 영역이 전부 들어 있어요,,,
    학생 여러분 교과서 암기.. 올림포스 암기 ..유형독해 실전독해 암기,, 이 모든게 소모적 공부가 아닙니다..
    진짜 그 효과는 대학가서 성인되서 전부 나타납니다.. 지금 성적보다 더 중요한 미래에 반드시 힘을 발휘한다는것 명심하시고
    하나라도 더 외우세요....

  • @TV-to5lr
    @TV-to5lr 9 місяців тому

    멀티플레이? 하면 안된다고 합니다. 영상에서 나왓듯이 음악들으면서 공부나 걸어가거나 등 매우 위험하다고.. 음악 들을때는 음악에만 집중~
    일상생활에서도 멀티플레이도 위험하다고 하네요.

  • @user-xw6ho8gi8j
    @user-xw6ho8gi8j Рік тому +8

    유치원하고 초등학교때 한자를 필수 교육으로 넣으면 바로 해결될 듯

    • @user-xy6ed7vf2z
      @user-xy6ed7vf2z Рік тому

      중국인들도 한자가 많아 공부하는 것을 버거워하는데 우리가 언제까지 한자를 사용해야 할까요. 어려운 말을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것이 효율적일 것 같아욤. 특히 법전 이런 것

    • @soleepdo
      @soleepdo 11 місяців тому

      한자를 굳이 교육시킬필요가 있을까요 ? ㅈㄴ쓸데없음

    • @issueissue77
      @issueissue77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저는 이 말에 깊이 공감합니다. 우리나라 말은 70%이랑 한자어인데 한자를 너무 안 배우다보니 학생들이 단어를 모릅니다. 그 상태에서 수능 국어 지문은 어려워져요. 괜히 아이들이 국어를 못 하는 게 아니에요. (현직 국어 강사)

    • @user-wk3vi8um2l
      @user-wk3vi8um2l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개소리야.... 필수 한자는 배워야함.. 어휘력도 한자랑은 어느정도 관계가 있음;;

  • @user-jb8lh5gc1k
    @user-jb8lh5gc1k 4 місяці тому

    머리는 타고나는거다. 모두다 서울대생이 될수가없다

  • @user-hu9kc1dn6f
    @user-hu9kc1dn6f Рік тому

    강원대 옥태호 교수님 제발

  • @teazero
    @teazero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비법이 없다는 걸 아는게 비법이다` (양질전환의법칙) / ex)복싱을 잘할려면 본인이 스스로 원투를 많이 해보고 느껴봐야하는데 유튜브로 복싱 영상만 보고있으니 실력이 느나요 ㅎㅎ

  • @drea2226
    @drea2226 11 місяців тому

    모든 학부모 교사가 그런 건 아니지만
    한두명이 생명을 빼앗아갈 정도로 고통을 줍니다.
    나머지 아이들은 아예 돌볼 수가 없습니다.
    미안할 뿐입니다.

  • @snowclair
    @snowclair Рік тому +41

    금일 익일 사흘 나흘 ,, 모르는 대학생도 많음

    • @llliiiikkk112
      @llliiiikkk112 Рік тому

      일제잔재를 모른다고 ㅈㄹㅋㅋㅋㅋ
      아휴

    • @pasoup
      @pasoup Рік тому

      일제잔재니 어쩌니해도 기업에서 저 단어을 쓴다. 기업에 취업할생각이라면 알아두는것도 나쁘지 않음.ex)사내 메신저에 금일 오후 7시부터 익일 오전 7시까지 엘리베이터 점검으로 사용금지 .실제로 이런식으로 쓰임. 몰라도 입사하면 배우게됨

    • @ss5361
      @ss5361 Рік тому

      댓글쓰신분도 모르시는듯? 하루 이틀 사흘 나흘 입니다

    • @dassdkl1231
      @dassdkl1231 Рік тому +1

      @@handle1945 삼국사기, 조선왕조실록 등 문헌에서도 나오는 말인데 일본식은 무슨ㅋㅋㅋㅋ

    • @dassdkl1231
      @dassdkl1231 Рік тому +2

      @@handle1945 "今日"至近 "오늘"은 지극히 가깝고 - 최승로의 시무28조

  • @user-wc6cs1bk8j
    @user-wc6cs1bk8j Рік тому

    지금만봐도 요즘애들 모르는거있으면 네이버가 아니라 유튜브에 검색함

  • @user-to1nz6vt2l
    @user-to1nz6vt2l 9 місяців тому +2

    옛날 대학생은 민주주의에 앞장섰고, 몇 년 전까지는 그래도 대자보에 안녕들하십니까 까지는 했는데, 요즘 대학생들은 몸만 커진 술 퍼먹는 중고딩과 다를 바가 없어보인다..
    과제 제출 금일 자정까지 라고 했더니 금요일날까지라고 하지 않았냐 그러질 않나, 아이돌 좋아하고 게임만 하지,
    입시를 위한 기계를 만들어놨으니 지식은 많을 지 몰라도..
    자기 줏대도 없고 이후 뭘 해야할지도 모르고 소신도 없는 속 빈 강정 같다.
    그러니 오만하기만 해서 '내가 이만치 똑똑한데 동네 장사하는 니가 감히?' 하고서 식당에서 갑질 개진상인데 양심의 가책도 못느끼고, 책임 질 일이 생기면 부모 뒤에 숨는.. 사실상 술쳐먹는 중고딩이라 할 수 있다

  • @user-gx6ed2uv9j
    @user-gx6ed2uv9j 10 місяців тому

    대학교때 교수님이 항구적이라는 말을 계속 쓰는데 저게 뭘까하고 찾아보고 부끄러워했는데.. 그 수준의 단어가 나올 줄 알았는데.. 나는 선녀였구나.. 싶네요

  • @user-fh5ou2nd1w
    @user-fh5ou2nd1w Рік тому

    요즘 사람들 구분을 못하더라구요.나,너!
    예를들면 남친,누나있고!
    나,남동생 있지.
    나랑 남친이랑 담배문제로 싸웠어.
    고칠생각을 안하고,내동생끌여들어 뒤집어씌우더라구요.만약 담배피는 내동생이면 지가한못된짓을 똑같이 하도록 세뇌시키든지!
    상황을 그렇게 몰고가는게 어이없더라구요.

    • @soleepdo
      @soleepdo 11 місяців тому

      뭠개소리야 ㅋ

  • @elliotslow5203
    @elliotslow5203 9 місяців тому

    제일 중요한건 공부하는 이유를 안알려주고 그냥 남들 다 하니까 갑자기 시킨다는거임 준비동작이 없음

  • @user-ip7fd6ps9w
    @user-ip7fd6ps9w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돈내고 유튜브 프리미엄 쓰고있는데 광고 왜나와요? 진짜 불쾌하네요

  • @user-lx3qv6ok6i
    @user-lx3qv6ok6i 9 місяців тому

    문해력 수준이 조금 모자라는게 아니라 지적 능력에 크나큰 문제가 있나 싶을 정도로 심각하던데요 보면?

  • @user-qj9vv9up2d
    @user-qj9vv9up2d Рік тому +40

    초등학교 수업시간도 전부 영상물로 수업을 하던데 …..선생님은 업무로 바쁘시고 ㅋ

  • @user-qq6hf6tn3a
    @user-qq6hf6tn3a 11 місяців тому

    지금 교육 다 갈아엎어야합니다
    기가찬 국어 수학 과학 이런 암기식 공부 다 갖다 버리거나 중학교에서 다 끝내버리고
    교사들을 글 독해 최고 전문가들로 양성해서 학생들에게 '글을 읽는 법' '비판하는 법'을 가르쳐서 문해력 기르기에 올인해야합니다

  • @jisong3823
    @jisong3823 Рік тому +5

    교수님 방법은 아는데 아는게 하나도 없어서 메타인지가 안대요 ㅠ ㅠ
    아는거 모르는거 구분해서 해야대는데 다 몰라요 ㅠ
    교수님은 절대 그게 뭔지 모르실지도 몰라요 😂

  • @owls_BAAM
    @owls_BAAM 9 місяців тому

    광고 없애주세요... 프리미엄쓰는데 왜 광고 봐야해요 ㅠㅠ

  • @hellohell-o
    @hellohell-o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개인적으로 책을 많이 읽어야 문해력이 늘어난다고 봅니다. 전 책 많이 읽으니까 늘어나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