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fyUI 완벽 가이드 강의 Part.6 인페인팅와 아웃페인팅 사용법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ComfyUI 완벽 가이드 강의 Part.6 인페인팅와 아웃페인팅 사용법
ComfyUI 전자책: kmong.com/self...
오늘은 인페인팅과 아웃페인팅을 모두 한번에 배워 보겠습니다.
인페인팅을 이용하면 자연스럽게 머리색도 바꿀 수 있고 안경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아웃페인팅을 이용하면 이미지의 경계를 넘어 외부 부분을 새롭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
✉️ 강연/협업 문의: jopdlab@gmail.com
📕 스테이블디퓨전: kmong.com/self...
📙 광고 쇼핑몰 이미지: kmong.com/self...
------------------------------------------------------------------------------------------
#ai #comfyui #inpaint #outpaint
오늘도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화이팅입니다~!
작업하는데 마스크 설정한 부분이 색이 변경되는게 아니라 새로운 이미지가 생성됩니다 ..
프롬프트에 마스크 칠한 부분에 들어갈 키워드만 입력하세요. 예를 들어 머리카락을 칠하면 "red hair" 이렇게만 입력하세요. 그리고 소프트 인페인팅을 사용하면 주변 이미지에 어느정도 어울리는 이미지만 생성해줍니다.
@@jopdlab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동영상이랑 똑같이 작업하고 red long hair 만 입력했는데, 지금도 빨간 머리 여자가 마스크 칠한 부분에 새롭게 생겼습니다 ㅠㅠ 안경도 똑같이 따라했는데 소프트인페인팅으로 해도 어그러지더라구요 .. 제가 혹시 놓치고있는 부분이 있을까요? 네거티브 프롬프트를 잘 작성해야할까요!
@@요나-w7w 마스크만 제대로 적용되면 잘 되는데 이상하네요.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화이팅입니다~!
inpaint는 정말 좋은 기능 같네요. 세부적인 조작이 가능해서 좋음. 근데 이렇게 하면 긍정 프롬프트에 쓰는 내용은 마스크 영역에만 적용되나요?
네. 마스크 영역에만 표현되지만 soft inpainting을 사용하면 마스크가 칠해지지 않은 부분에도 조금 영향을 줍니다.
책도 구매했습니다. 저는 건축관련 일을 하는데, 3D 렌더 된 것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습니다. 마스크를 활용하면 건물 형태는 유지하면서 주변 상황을 바꿀 수 있을거 같네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와~ 3D 렌더에 활용하시다니 정말 멋진 아이디어네요! 👍👍👍
또 배워갑니다.감사합니다~ 1. 소프트 인페인팅 노드만 구성할 경우 vae encode(for inpainting)노드는 필요없는거죠?(동시에 하려니 시간이 걸려서요) 2. 안경같은 경우는 사람의 눈도 같이 바뀌는데요, 즉 원본사진은 뷰어를 바라보고 있으나 인페인팅을 하니 눈이 다른쪽을 바라보네요. 3.플럭스에 로라까지 구성한 노드를 연결해 봤는데 잘 되네요
안녕하세요. 질문 폭격기네요. ㅋㅋㅋㅋㅋㅋㅋ
1. 소프트 인페인팅 할 때 vae encode(for inpainting) 노드는 꼭 필요합니다.
2. 눈의 경우는 프롬프트에 "looking at the viewer" 를 추가하여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화이팅입니다~!
@@jopdlab 질문폭격에 대응을 해주셔서 너무 고맙습니다~ 1. 영상을 보면 vae encode(for inpainting) 노드는 인페인팅 플로우인데요? 소프트인페인팅 쪽으로는 연결이 안되있어서요 2. 인페인팅에서는 굳이 파워로라로더는 안붙여줘도 되는건가요? 예를들어 얼굴을 로라 얼굴로 바꿀려면 로라로더를 해주는게 맞나해서요
@@drg8646 워크플로우에서 노드들을 어떤 형식으로 연결해야 할지에 대해서 이해하려면 먼저 각 노드의 역할에 대해서 정확하게 인지하셔야 합니다.
1. vae encode: 이미지를 Latent 이미지로 변경하여 KSampler 에 입력하기 위한 역할
2. vae encode(for inpainting): 동일하게 이미지를 Latent 이미지로 변경하여 KSampler에 입력하는 역할을 하지만 다른 점은 Inpainting 을 진행하기 위하여 mask를 입력할 수 있는 input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소프트인페인팅 워크플로우를 보시면 InpaintModelConditioning 노드가 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vae encode(for inpainting) 노드는 인페인팅에 필수로 필요한 노드가 아닙니다. 이미지와 마스크를 입력 받아서 Latent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는 어떤 노드든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
😆😆😆
질문이 한가지 있는데요. 인페인팅에서 가우시안 블러를 쓰는 경우에는, VAE 인코드의 Latent 출력이 사용되지가 않는데, 그러면 그 노드는 삭제해도 되는 건가요?
사용하지 않는 노드는 삭제해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