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누구나 쉽게 입문하기 - 금강경 마음공부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2 кві 2023
  • [금강경 마음공부] 도서 바로가기
    - 교보문고: bit.ly/3Ah1zkF
    - 예스24: bit.ly/43KyyLT
    - 알라딘: bit.ly/43TTnVh
    불교의 지혜를 현대인에 시각에 맞춰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어 추천드립니다.^^
    *본 영상은 유노북스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금강경 #불교
    ✔ End world by Rinne
    🎧 Rinne
    - / @rinnemusic
    🎧 Download / Stream
    - www.sellbuymusic.com/musicDet...
    ✔ Precious you by Rinne
    🎧 Rinne
    - / @rinnemusic
    🎧 Download / Stream
    - www.sellbuymusic.com/musicDet...

КОМЕНТАРІ • 163

  • @user-fp6hi3ox7g
    @user-fp6hi3ox7g Рік тому +79

    설명이 훌륭합니다.. 천보를 보시한 것보다 더 큰 복을 지으셨습니다

  • @user-iw2be5eb9n
    @user-iw2be5eb9n Рік тому +24

    삼보에 귀;의합니다
    이시대에 태어난 것을 감사하게 생각 합니다
    2.500백년 동안 집적 된 정보가 불교의 깊이 있는 지혜를 바로 접할 수 있게 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fz6xd1ev9f
    @user-fz6xd1ev9f 6 місяців тому +7

    금강경을 쉽고 확실하게 전달해주니 감사합니다.쓸데없는 서술없이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네요

  • @user-uf9ez9fe6j
    @user-uf9ez9fe6j 3 місяці тому +6

    이 분 대단한 분이네요. 유식학이라면서 빙빙돌려 말하는 분들보다 훨씬 잘 이해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 @gayin
    @gayin Рік тому +18

    계피생강님! 의 핵심사상을 간단명료하게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ㆍ

  • @user-qo9iq6bd4x
    @user-qo9iq6bd4x 9 місяців тому +4

    나무 석가모니불. 세존께서 보시의 공덕은 한량없이 크다고 이르셨습니다. 감사합니다 ㅡ()ㅡ

  • @user-kk6fh1dx3h
    @user-kk6fh1dx3h 11 місяців тому +9

    정주행중입니다.
    너무 훌륭한 채널이네요.
    감사합니다.
    관세음보살

  • @almondsong88
    @almondsong88 11 місяців тому +25

    금강경 관심있어서 듣는데 이렇게 설명을 이해하고 들으니 감회가 새롭네요. 감사합니다

  • @6Paramitas_
    @6Paramitas_ 8 місяців тому +6

    불교 인물 이야기 더 많이 만들어 주세요 ㅠㅠ 너무 좋아요 최고에요!

  • @realstar-Jindodog
    @realstar-Jindodog Рік тому +35

    언어의 벽을 넘어서 아주 쉽게 가르쳐 주시니 고맙습니다 ~~()

  • @wolryelee
    @wolryelee 9 місяців тому +5

    영원히
    언제나 세상에서
    가장 멋진 남자 붓다!!
    아마도 계피님도
    꿈 같은 세상을 넘어선 분이 아닐까
    그리 생각됩니다.

  • @liberty-korea
    @liberty-korea Рік тому +36

    금강경의 핵심은 공을 허망한 것이라 보지 않는 것에 있어요.
    우리의 인식에 잡히는 모든 것이 허망하고 덧없는 것이지만
    이 허망한 것 속에 우리가 이루어야할 집착없는 나눔 양심적 행위 인내심이 있기 때문입니다.

    • @kr.lk99
      @kr.lk99 Рік тому +1

      옳습니다
      절간의 부처도 교회의 십자가도 죄다 불태워야 합니다
      오로지 나만 존재하고 고귀하니 내 양심을 따라 가면 됩니다

    • @junlee3547
      @junlee3547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kr.lk99 저를 비롯하여 아직 깨우침을 얻지 못한 다른 중생들을 위해, 불 태우지말고 보존해주세요 :)

    • @user-od8dv5oj9i
      @user-od8dv5oj9i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것이 육바라밀이죠😊

  • @user-ux8mg2rh5j
    @user-ux8mg2rh5j Рік тому +25

    간략하게 알기쉽게 설명한 내용이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나무 관세음보살~❤

  • @user-yd4de4yh7f
    @user-yd4de4yh7f Рік тому +4

    모든 사람들이 금강경 잘 읽어서 부처님 시봉 잘 하길 발원
    미륵존여래불 미륵존여래불 미륵존여래불

  • @user-gm4dq1yn7c
    @user-gm4dq1yn7c 8 місяців тому +2

    불교 유교는 너무 너무 좋네요. 서양 철학도 대충 찍먹 해봤지만 체질? 때문인지 중국 철학이 더 잘 맞는 거 같습니다.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선한 마음을 잊어버리고 악의를 품기는 너무 쉬운데 덕분에 선한 마음을 다시 일깨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tq3vf9gr5k
    @user-tq3vf9gr5k Рік тому +19

    내가 금강경을 읽으면서 뜻을 잘몰랐는데 좋은말씀 해줘서감사합니다

  • @aaba0125
    @aaba0125 Рік тому +11

    정리를 타이트하게 잘 하신 듯. 내공감지. 감사합니다.

  • @user-oz4li5mv8x
    @user-oz4li5mv8x Рік тому +17

    공 사상에 대하여 다시 한번 잘 새겨 봅니다.수고 하셨습니다!

  • @user-bw3nl9xr8s
    @user-bw3nl9xr8s 2 місяці тому +1

    감사합니다

  • @Rev.68
    @Rev.68 22 дні тому

    어떻게 이렇게 깨친 사람들이 많을까요 모두가 사랑입니다❤

  • @user-cf1rv7ub3y
    @user-cf1rv7ub3y 5 місяців тому +1

    감사합니다 🙏

  • @user-se5xt2iv3h
    @user-se5xt2iv3h 6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user-zp8fw4tg5b
    @user-zp8fw4tg5b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대단합니다.

  • @user-sp1lb9bv5e
    @user-sp1lb9bv5e Рік тому +1

    잘 들었습니다.
    나무반야바라밀

  • @user-wp4dv8re6i
    @user-wp4dv8re6i Рік тому +1

    덕분에 감사합니다 행복합니다 ☘️

  • @user-vn5dc4dk1p
    @user-vn5dc4dk1p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감사합니다 🙏 덕분입니다

  • @user-xd2xr3mv5u
    @user-xd2xr3mv5u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좋은해설 감사합니다

  • @yoko9242
    @yoko9242 Рік тому +1

    금강경 설명 잘들었습니다

  • @user-sv5wt7pb7p
    @user-sv5wt7pb7p 8 місяців тому +2

    정말 감사한 영상입니다.

  • @user-ht6co7ie1n
    @user-ht6co7ie1n Рік тому +5

    나무 아미타불 🙏

  • @hgjkfd5012
    @hgjkfd5012 26 днів тому

    금강경설명 감사합니다🙏

  • @user-vn3wg5hs9r
    @user-vn3wg5hs9r 4 місяці тому

    아주 쉽게 설명을 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관세음보살

  • @MrBrandJo
    @MrBrandJo Рік тому +8

    수고가 많으셨을 것 같습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okjal1686
    @okjal1686 Рік тому +4

    잘보고, 잘 익히고 있습니다.👍👏👏👏
    불교계의 큰스승 구마라즙, 실차난타,
    지으신 승조스님에 대해서도 올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lshaanlshaan244
    @lshaanlshaan244 Рік тому +6

    감사합니다 훌륭하세요
    그자리를 처음 알고나서 금강경을 보면 좀더 좋을거라 봅니다

  • @boyaknam
    @boyaknam Рік тому +11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 무상
    인생 무상,
    만물은 공이고 또는 공이 아님.
    삶이 의미가 있는가?
    의미가 없기도 의미가 있기도 하다.
    모든 종교는 인간이 만들었으며 모든 종교의 태동은 샤머니즘이며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집단이 불교이며
    모든 종교는 정치에 이용된다. 이데올로기가 한 군데로 쏠려야 통솔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닌 것을 무조건적으로 믿으라는 종교는 악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모든 종교는 불교스러워져야 한다.
    싫다는 사람 붙잡지 않고 오는 사람 거절하지 않는 불교스러움이야 말로 최고의 종교이다.

    • @user-cn5qd6py6k
      @user-cn5qd6py6k Рік тому +2

      오….. 많은 공부를 하신게 느껴집니다

    • @user-hd4go4dx6n
      @user-hd4go4dx6n Рік тому

      납득이 되는 종교야 말로 최고의 종교죠. 불교야말로 납득이 잘 되는 종교 중 하나입니다.그래서 싫다는 사람 잡지
      않고 오는 사람 내치지 않는 것 같습니다.

  • @David_H_An0408
    @David_H_An0408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흥미롭게 봤습니다. 인간이 얻지 못하는 결론을 허망함과 내려놓는것으로 찾으려는 것이 부족한 결론이라는 생각이지만 인간스스로 진리를 찾으려하는것의 한계를 다시 느끼는 영상이네요

  • @user-ng2ve7id9s
    @user-ng2ve7id9s Рік тому +1

    계피님이 이 시대 대승보살입니다.

  • @user-nw6km2ul9p
    @user-nw6km2ul9p 4 місяці тому

    금강경을 독송 하면서도 그뜻을 헤아리지 못해 항상 답답했는데 쉽게 이해하고 접근 할수있게 해 주심에 감사 드립니다~()
    나무 금강 반야바라밀 경~()

  • @sjmrt4838
    @sjmrt4838 3 місяці тому

    딱 절반 외웠다~~~^^

  • @user-pg4jh2ix4j
    @user-pg4jh2ix4j 2 місяці тому +1

    이거보고 금강경책 바로 구매했습니다!

  • @user-wf8nf1pm6c
    @user-wf8nf1pm6c 6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한번 읽기도 어려운데 ~~
    아직 중생입니다
    업장소멸 발원합니다

  • @eelee6056
    @eelee6056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수보리존잘

  • @user-zc9mq7sp2s
    @user-zc9mq7sp2s 2 місяці тому

    🙏🙏🙏

  • @user-yy7js6qg3q
    @user-yy7js6qg3q Рік тому +2

    감사합니다
    무아상 무인상 무중생상 무수자상ᆢ

  • @user-jr3sk4sn6k
    @user-jr3sk4sn6k Рік тому

    영상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혹시 가용하시다면, 다음번에 원불교 소태산 박중빈 대종사에 대한
    내용으로도 영상 제작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매번 감사드립니다~!

  • @user-uf8ds7gs2n
    @user-uf8ds7gs2n Рік тому +1

    일체 중생들의 마음의 번뇌가 깨달음의 씨앗이니 그것들 또한 같이 가야하는 것이되 그것으로 말미암아 상처를 받지말고 정진을 하여야 합니다.
    우리는 높은 차원이란 있다고 말하지만 그 차원은 단박 깨달을수 있으니 거리가 있는것도 없는것도 아니며 깨달은자는 또한 깨닫지 못한자가 스승입니다.

  • @user-dd8rd9wo3r
    @user-dd8rd9wo3r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모든게 한낮의꿈 이라고 동양에서는 말하고
    이세상은 시뮬레이션이라고 서양에서는 말하죠
    문화의 차이일뿐 같은 말 이라고 봅니다

  • @neoqma3772
    @neoqma3772 Рік тому +2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항상 잘 이해가 가지 않았는데 쉽게 설명해 주시니 좋네요. 금강경을 하루 아침,저녁으로 독송하면 좋다고 합니다. 이 또한 분별심일 수 있으나. 실천 하려 노력 중임니다.

    • @gyoungsikkim3560
      @gyoungsikkim3560 Рік тому

      틀린 해석입니다. 스님들 강의 들으세요.

    • @user-yn9yl2qt2f
      @user-yn9yl2qt2f Рік тому

      @@gyoungsikkim3560 어떤 스님 강의를 들으면 될까요?

  • @fxss8051
    @fxss8051 Рік тому +3

    붓다의 진실한 설법은 팔리삼장 안에 있습니다

  • @ssss-ou4bn
    @ssss-ou4bn 8 місяців тому

    형상과 물질에 매달리지 말라고 했는데... 절에는 큰 불상들이 있습니다.. 불교의 아이러니 죠..!!

  • @sternlee2191
    @sternlee2191 Рік тому +3

    아 !~ 마지막 사구게를 그르치다니 !!!
    여기서 잘못 공부하면 허무주의가 관념을 지배합니다.
    1구 2구가 전제라면
    3구와 4구는 도달되는 결론입니다.
    3구와 4구를
    내가 세상을 보는 눈이라는것과
    이것을 통해 깨달으라는 부탁입니다.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_()_

  • @user-vg1qw6hy8x
    @user-vg1qw6hy8x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금강경 번역서는 절마다 다 있나요?
    템플스테이 하면 읽어 볼수 있나요?

    • @user-th7nw5pj2i
      @user-th7nw5pj2i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불교 서점 에 들러서 보세요
      많이 있어요

    • @user-wq7iy9nh6j
      @user-wq7iy9nh6j 4 місяці тому

      인터넷서점에도 많이 있어요
      금강경 검색하면 됩니다
      무비스님 법륜스님 금강경 추천드립니다

  • @yoursmilefor2368
    @yoursmilefor2368 10 місяців тому

    중간에 들려주신, 자살하고서 천국에서 천사가 한 질문 이야기는 어디서 나온 얘기인가요?.... 너무 감회가 신비롭네요...

  • @user-xp5sb5ng8o
    @user-xp5sb5ng8o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이걸 보고 깨친사람이 적으니 책은 멀리하는게 맞지 않을까? 가끔씩보고

  • @user-ix4yl5kj9k
    @user-ix4yl5kj9k 6 місяців тому +1

    1사구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재상비상
    즉견여래
    2사구계
    응무소주
    이생기심
    3사구계
    약이색견아
    이음성구아
    시인은행사도
    불능견여래
    4사구계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금강경의 사구계는 아름답습니다~
    재앙은 소멸되고 소원은 성취하여
    부처님전에 복 많이 지으시길 발원드립니다

  • @dnfkxpddl
    @dnfkxpddl Рік тому +4

    공도 수준에 따라 달리설명 합니다 일승법에서 는 꿈구는자가 없으면 꿈도 없다 이것이 있음므로 저것이 있다 내가없으면 세상도 없다 나도 허상인데 내가그린 세상도 허상이고 마음만이 변하지않는 실상입니다 ㆍ

    • @user-ef9np7dh5u
      @user-ef9np7dh5u Рік тому +2

      바보님아,
      실체가 없다고 해서 空인데, 마음만은 변하지 않는다?
      그대가 생각해도 모순이지? 마음도 변하는 것이야

    • @dnfkxpddl
      @dnfkxpddl Рік тому +1

      @@user-ef9np7dh5u 모니터에 화면이 변해도 모니터 자체는 변함이 없습니다. 마음도 허공과 비슷해서 아무리 먼짓을 해도 허공자체는 변함없듯이.

    • @user-mr4ev9vh6q
      @user-mr4ev9vh6q Рік тому +1

      ​​​@@dnfkxpddl 모니터도 결국은 수명이 다 해서 흩어집니다..허공도 마음도 결국은 변하고 사라질것들

    • @dnfkxpddl
      @dnfkxpddl Рік тому

      @@user-mr4ev9vh6q? 허공은 멀로 변할까요 그리고 비유를 든것이지 말장난 하자는게 아닙니다. 공을 알고 말하는 건지 모르고 말하는건지는 모르겠지만.

    • @user-bg7mq9mi8m
      @user-bg7mq9mi8m Рік тому

      @@dnfkxpddl 선생님은 허공이 무엇으로 변할지 알고 계시는 것 같으니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 @user-ph7ef7rq4j
    @user-ph7ef7rq4j Рік тому +1

    붓다 탄신일 참 자기를 돌아보심은 부처의 가르침이라 봅니다

  • @user-gt5pi7ph2n
    @user-gt5pi7ph2n 11 місяців тому

    영원히 존재하는 것ᆢ
    조점(심)석야, 춘하추동,
    생장염장이 잇0

  • @user-globalgrammar2752
    @user-globalgrammar2752 Рік тому

    붓다의 발자취를 찾으셨네요

  • @csi2203
    @csi2203 Місяць тому

    상대성이론이 떠오릅니다 아인슈타인의 그냥 대충

  • @1004aa
    @1004aa 11 місяців тому

    양자역학 이중슬릿 실험과도 연관있을듯 이세상 모듵것은 파동이자 입자

  • @eng-listening
    @eng-listening 5 місяців тому

    03:40 부터...

  • @SS-vm6hf
    @SS-vm6hf Рік тому +3

    여기 도통하신 분들 많네요.

  • @user-wt4dq4fi9i
    @user-wt4dq4fi9i Рік тому

    "몰라"

  • @user-wn7qw4sz3b
    @user-wn7qw4sz3b Рік тому

    05:20

  • @user-globalgrammar2752
    @user-globalgrammar2752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불교가 어려운것은 그사람그사람에게 맞게 설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불설을 자기생각으로 듣는다
    불설의 공?
    과연 실체가 없다는게 뭘까?
    인연이 모여 생겨나고 인연이 다하면 없어진다는 걸까?
    그걸 모르는 사람이 인류중 단한아람도 없는데 ...
    왜 생사해탈은 안될까,
    부처가말한 공이란그런게 아니기 때문이다
    불설을 쉽게말한다면
    자기자신을 보라는것이고
    방법은 자인의 감정과 감각을 사라지게하라는것이다
    마치안경을벗으면
    자기눈에가린것도 없어지지만
    온세상 전우주도 달라진다
    자신의 마음에서 일시로 만들어쓰던 감정과 감각은 생존을 더 효율적으로하기위해
    만들었던건데 이로인해 오히려 시야가좁아지고 자기생각에 사로잡혀 빠져나가지못하게된것이다
    감정과 감각이 사라지면
    색수상행식이 사라진것이고
    마음이 육감으로인해 육식을 만들어내서 없던꿈을 꾸게되었던것이 사라져서 마치 꿈에서 깨어난것 같아진다
    감정과 감각이 사라지고 숨길이 끓기면 문득 때낀거울이 빛이나고
    영화가 끝난뒤 스크린이 드러나듯
    만상의 근원이 드러나게되는데
    이를 불교에서는 견성이라하고 기독교에서는 성령이 내렸다고 하는것이다
    회전목마가 쉬고 땅에내려오면
    온통돌던게 본래없었던줄 아는것처럼
    삼라만상이 인연으로 생한것이기도 하지만
    부처는 만상 유전보다
    마음 유전을 말한것이어서
    무명업을 일으키고 탐착했던 자기가 만든 꿈을 말씀하신거여서
    자연과학과는 다른 얘기인것이다
    감정과 감각이 사라지고 생각길과 숨길이 끊어지지않은 상태에서 생각으로 불설을 이해하면
    돌고돌고 그칠길이 없으며
    견성자가 보는 본래자기집을 알길도없고 생사해탈이 뭔지를 가히 상상조차할수 없는것이다
    불설은 그럴듯한 설명으로 이해될수 있는게 아니다 마음이 쉬어서
    감정 감각이 사라지고
    생각길과 숨길이 사라져 옷을벗고
    자기 알몸을 드러내듯
    허공법계 본래몸덩어리를 스스로 보지않고는 알수 없는 그런것이다
    이건각 저건가 하는것은 다 깨달음이 아니며
    본래몸을 보면
    억겁전에도 이거였고 영겁이 지나도 이것일뿐이어서 너도 나도 같고 강아지도 바퀴벌레도 같으며 어디서 새로 얻은게 아니므로
    부자가된것도 아니고
    남보다 더한게 없으므로
    만상을 업신여길래야 그럴길도 없다
    부처가 위대하지않으며
    지옥도 천당도 허깨비 얘기니
    신도 숨을곳없어
    온세상이 물속인것이다
    불교의 어려움은 생각에그쳐있는것이다
    그럴듯한 생각에그쳐
    시간을 보내지마시길 빌뿐이다
    계곡물도 직접떠먹지않으면 목축일 수없는것이다

  • @user-hw4fs4rm8o
    @user-hw4fs4rm8o 3 місяці тому +10

    참,,, 선생님께서는 금강경내용을 너무 잘못알고 계시고 있네요. 또 선생님의 공사상 설명은 현상계 설명입니다. 공의 근본설명은 아니십니다. 한마디로 금강경의 32분중에 그어디에도 공사상 설명은 없습니다. 금강경을 한마디로 설명하면, 이 지구상에 있는 모든 생명과 이 생명이 살고있는 모든 환경을 분별과 차별없이 잘 보살피라 즉 보살행을 하라 이 뜻입니다. 이 보살행을 할때 나에대한 그어떤 이권이나 이득도 챙김없이 하라 즉 무아상으로, 무아로서 하라 이 뜻입니다. 다시말해 그 어떤 이득이권도 챙김없이 무아상, 무아로서(나가 없는데 무엇을 챙기겠습니까) 이 지구상에 모든 생태계를 잘 보살피라 이 뜻입니다. 이것이 금강경 제3 대승정종분 내용입니다. 이 제3 대승정종분이 이 금강경내용에 핵심입니다. 나머지 모두는 무아상, 무아로서 이런 보살행을 했을때 그 가치와 효과를 설명한 것입니다. 이 금강경 제4분부터 32분까지는 모두 그 설명내용이 무아상, 무아로서 보살행을 했을때 그 가치와 효과를 설명한 것입니다. 결코 공사상을 목표에 두고 설명한게 아닙니다. 금강경에는 그것이 이름뿐이라는 설명이 많이 나오지요. 이것은 그것이 영원한것도 아니고 영원히 가질수도 없으며 영원히 필요한 것도 아니니 여기에 나를 위해 집착하지 말라 이 뜻을 그런식으로 비유해서 설명한 것입니다. 한번 보세요. 아무리 금덩어리가 좋다고 하지만 그래서 늙어죽을때까지 가지고 있었다고 합시다. 이제 이 육신이 죽으면 이 육신은 쓰레기보다 못하게 버려지고 해체되어 없어지지요. 그러면 무엇이 남습니까? 바로 영원히 죽지않고 살아있는 에너지체로 되어 있는 영체(영혼)만 남지요. 그러면 이 육신평생동안 가지고 소유하고 있었던 이 금덩어리가 이 영체(영혼)만이 살아가는 세계에 있어서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일고의 소용도 없고 가치도 없어요. 그냥 금덩어리라는 이름뿐이예요. 그야말로 일고의 가치도 없고 소용도 없어요. 또 부처님 육신과 목소리도 봅시다. 부처님 육신도 때가되면 죽어서 일고의 가치도 없이 썩어서 없어지지요. 이러면 모든 사람이 죽어서 영체(영혼)만이 살아갈때는 무슨 소용과 가치가 있겠습니까? 아무 소용과 가치가 없어요. 그져 부처님이란 이름뿐이예요. 바로 이런 뜻으로 설명한 것입니다. 공사상을 목표에 두고 이렇게 설명한게 아닙니다. 그러면 어디에 뜻을 두고 설명했겠습니까? 바로 무아상, 무아로서 보살행하며 사는 습을 들이는게 제일 좋다는데 목표를 두고 즉 뜻을 두고 설명한 것입니다. 이런 보살행으로 살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이러면 평생을 최고로 착한 일만 열심히 하며 살게 되겠지요. 이러면 이 육신이 죽은 이후 영체(영혼)가 지옥으로 갈 일은 영원히 없고 영원히 고통의 삶이 없는 해탈열반의 세계로 가서 살게 되겠지요. 바로 이 뜻입니다. 이런 욕심없고 욕심이 없으니 남들과 이 이권때문에 싸움박질 할일도 없으니 즉 무쟁으로 살게되니 아라한의 경지에 이르게 되지요. 이렇게 아라한의 경지에 이르면 윤회세계를 완전히 벗어나니 이로부터는 영원히 고통이 없는 열반의 세계에 가서 사니 이 얼마나 좋습니까? 바로 이것을 설명한 겁니다. 바로 이 지상에 모든 것은 허망하니 또 이 내육신마져 허망하니 여기에 부디 집착하지말고 그져 보살행으로 보살행으로, 착하게 착하게 살라 이것을 설명한 것이 바로 금강경 전체 내용입니다. 이 지상에 모든 것은 공하다고 하여 공에 목표를 두고 설명한게 아닙니다. 이렇습니다.

    • @user-qz8uy1iz9g
      @user-qz8uy1iz9g 11 днів тому +1

      홍우님.
      글 내용 참 좋습니다.
      고맙습니다.

    • @user.87232
      @user.87232 6 днів тому

      집착을 내려놓는것 금강경의 핵심이라고 이분도 말하셧어요
      글고 내가 알기론 금강바라밀다경의 축소가 반야심경인만큼 공사상이 잇다고 볼수잇는것 같은데요?
      그럼으로 공사상의 뜻이 안담겨잇는것은 아닌거죠
      색측시공 공즉시색
      용수는 공의 개념이 불타가 깨달은 연기법(緣起法)의 이치와 일치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으며, 또한 부파불교 중의 하나인 설일체유부에서 주장한 법체항유설(法體恒有說)을 비판해 공은 곧 무자성(無自性)인 것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이처럼 용수에 의해 명확하게 체계화된 공사상에 대한 논리는 이미 불타의 근본교설을 전하는 초기불전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왜냐하면 불타의 근본사상을 나타내는 것이 다름 아닌 연기설이며, 이 연기설을 바탕으로 공을 이론적으로 전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많은 대승경전 가운데 가장 먼저 성립된 것이 반야계 경전으로 이들 경전이 후에 600권으로 집대성된다. 이러한 반야계 경전의 공통되는 중심사상이 공관(空觀)이다.

    • @user-hw4fs4rm8o
      @user-hw4fs4rm8o 6 днів тому

      @@user.87232 님,,, 님의 설명과 영상의 설명을 여기 많은 유튜버님들이 들었을때 님의 뜻과같이 그렇게 들었을까요? 아니지요. 이래서 제자앞에서든 만인앞에서든 듣는분들이 제대로 정확히 알아들을수 있게 강의도 잘하고 법문도 잘하며 설교도 잘하고 연설도 잘해야 합니다. 한번 보십시요. 대통령 연설문 얼마나 최고 박사들이 최고로 신경써서 작성하시는지 아십니까? 그야말로 최고로 신경을 씁니다. 대통령은 그냥 이것을 읽는것 뿐입니다. 왜냐고요. 글자하나 잘못 되어도, 글귀하나 잘못 대입해도 온갖 다양한 국민들이 엉뚱하게 달리 그 뜻을 맏아들이고 온갖 언론 지상에 엉뚱한 내용으로 개제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래서 누구나 말을 할때는 또 제자나 많인 앞에서 강의, 법문, 설교, 연설 함부로 신경끄고 하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반야심경의 주내용도 공에 있지 않습니다. 바로 지혜에 있습니다. 사람이나 모든 동물은 살아갈때 정신 똑바로 차리고 지혜롭게 살아야지 정신머리 흐리멍텅하게 살면 되겠습니까? 어디에 집착이 되어서 엉뚱한 생각관 관념을 가지고 살아가야 되겠습니까? 이래서 온갖 무상한것을 최고인냥 무지무식하게 집착해서 엉뚱한 정신머리로 살지말고 똑바로 정신 차려서 지혜롭게 살아가라고 이 지혜의 중요성을 그렇게 가르친 겁니다. 이 반야심경은 현장법사가 중국에서 카스미르사막을 지날때 신기루에 또 엉뚱한 판단에 휘말려 방향감각을 잃어 뒤지지말고 정신 똑바로 차려서 정말로 지혜롭게 인도를 향해 똑바로 걸어가라고 관세음보살님께서 가르쳐준 겁니다. 이 내용이 지혜롭게 살아가라는 내용이 주내용입니다. 이렇습니다.

    • @user.87232
      @user.87232 6 днів тому

      @@user-hw4fs4rm8o 반야 주내용이 공이라고 한적 없습니다 공사상이 기본적으로 잇다는거죠. 난독하지마시고 저는 남의 의견도 존중하라고 성자들에게서 기본적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인생에 정답은 없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자신의 상이 그렇게 보기때문에 많은 중생들은 각자생각을 고집하고 그것밖에 보지못한다고 전 깨우쳣습니다.

    • @user-hw4fs4rm8o
      @user-hw4fs4rm8o 6 днів тому

      @@user.87232 님,,, 아시는분이 의의답글은 왜 달았습니까?

  • @sungminkim6309
    @sungminkim6309 Рік тому

    돈만 벌다가 죽는 것과 그냥 죽는 것의 차이는?
    같은 것은 '죽는다'라는 사실인데.....

  • @user-ww8rb4il3w
    @user-ww8rb4il3w 18 днів тому

    아상 없다
    실체를 규정할 수 없다
    인상
    중생상
    수자상

  • @user-nb3qs3zo4e
    @user-nb3qs3zo4e Рік тому +1

    불법의삼시 알아야 ㅡ일체중생 개성불도 의 시작 ㅡ자수용신즉 사의일념삼천 묘법 묘경 ㅡ

  • @user-xb2yi4rq8i
    @user-xb2yi4rq8i Рік тому

  • @ykj8284
    @ykj8284 Рік тому +5

    '공'하다는 것은 "모든 사물에 자성(自性)이 없다." 는 의미입니다.
    "모든 사물에 자성(自性)이 없다." 는 의미가 무엇인가요?
    1.자기 동일성이 유지되지 않는다.
    = 변한다
    = '무상'하다
    2.독립자존하지 않는다.
    = 여러 조건들이 모여 생긴다
    = 인연의 화합(>>>'연기' 한다)
    ※여기 에서의 '연기'는 불교에서 말하는 연기법의 연기임
    3. 그래서 "실체가 없다"--->그러므로 '공'하다
    모두들
    극락정토에 왕생하시고,해탈,성불하시옵소서!!!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user-sk5dg1nd5d
    @user-sk5dg1nd5d 10 місяців тому

    그게 긴가민가
    그럼 기독교는 왜 영혼의구원을 설교하나요

    • @user-wq7iy9nh6j
      @user-wq7iy9nh6j 4 місяці тому

      붓다와 예수는 같은 성인이지만 사상의 내용은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같은부분도 있겠지만요
      붓다 당시에도 육사외도란 다른 가르침을 설하는 스승들이 있었습니다 산자야란 사람도 그중 하나였습니다 하지만 붓다의 성도후 산자야의 제자들은 모두 붓다의 제자가 됩니다. 사리뿟따와 목갈라나 존자가 대표적입니다

  • @user-bf4yg4cu6i
    @user-bf4yg4cu6i 11 місяців тому

    근데 여래는 누군겨.. . .. ?

    • @user-mz6ve6xu5i
      @user-mz6ve6xu5i 2 місяці тому +1

      ㅎㅎㅎ 부처님의 이름이 10개입니다 여래십호라고 합니다 여래 응공 정변지 명행족 선서 세간해 무상사 조어장부 천인사 불 세존 이 이름이 다 부처님의 별칭입니다 그마다 뜻이 다 있습니다.

  • @jameschad8190
    @jameschad8190 11 місяців тому

    저렇게하려면 죽어야 가능할듯

  • @gyoungsikkim3560
    @gyoungsikkim3560 Рік тому +2

    다이아몬드 수트라라는 말은 영어로 번역될 때 오역이 되어진것입니다. 바즈라라는 것은 인드라의 번개를 일으키는 무기이며, 그 무기로 단칼로 번뇌를 끊을수 있는 경전이란 뜻입니다.

    • @gyoungsikkim3560
      @gyoungsikkim3560 Рік тому

      그리고 4상의 설명도,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은 그당시 유행하던 영혼실체 사상을 믿는 외도들의 대표적 사상입니다. 스님들이 한자만 보고 뇌피셜로 해석한 결과입니다. 이래서 인터넷이 위험합니다.

  • @hyyim3918
    @hyyim3918 11 місяців тому

    욕심쟁이 윤도리가 좀 봐야하는데

  • @user-ez6nm3sk2d
    @user-ez6nm3sk2d Рік тому +4

    높은 자리에 있는 스님들 외제차 타고 잘 다니시던데...땡중들

    • @user-mz6ve6xu5i
      @user-mz6ve6xu5i 2 місяці тому

      부모 뜻대로 자식들이 다 크던가요 ?

  • @user-ke6sp2iw6d
    @user-ke6sp2iw6d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금강경은 대승 경전인데
    대승의 공을 초기불교(소승)의
    공으로 풀이하시네요
    😢😢😢

  • @Jupiter-up9hb
    @Jupiter-up9hb Рік тому

    이게 인생과 무슨 상관..사람의 굴레는 죽어도 못 벗어난다. 다 생석알뿐.

  • @user-oc7by5vk6u
    @user-oc7by5vk6u Рік тому

    최고의경문은법화경입니다

  • @user-iw2be5eb9n
    @user-iw2be5eb9n Рік тому

    금강경은 불교공부를 하면서 야기 될 수있는 여려가지의 의문점들을 올바른 방향을 제시합니다
    물론 대승적인 관점이지만 이러한 관점이 붓다의 진심이라고 말합니다
    붓다께서 열반하신후 500백년이 흐르자 수 많은 제자들과 신자들이 붓다;의 가르침을 나름대로 해석하고 흘러 갑니다
    여기에 전광석화 같은 반야의 가르침을 펼쳐냅니다
    즉 잘 못 전해진 붓다의 가르침을 조목조목 올바른 방향으로 제시합니다
    그러한 배경을 깔고 있는 경전이 금강경이고 이는 인류 지성사의 최고의 가르침이라고 하버드에서
    판결을 합니다

  • @user-fn3zq7qj7f
    @user-fn3zq7qj7f 6 днів тому

    내용에 귀를 기울이려는데 배경음악 이 너무너무 귀에 거슬려요.
    금강경과 전혀 어울리지도 않는 소리를 왜 넣었을까요? 재 편집해서 빼는게 훨씬 좋겠어요.
    차라리 금강경 독송을 넣었더라면 그야말로 금상첨화였겠죠.

  • @homme436
    @homme436 Рік тому +2

    틀렸다. 현상은 그대로 존재하고 나도 나로서 존재한다. 그 이상을 묻는건 말장난에 지나지않는다. 나는 나로서 족하다.

    • @ursus-actors
      @ursus-actors Рік тому +4

      그 말장난의 끝임없는 의문이 철학의 시작이고 그 철학이 과학의 시작이었으며 그 과학이 이 시대의 근간이다

  • @user-pe5pc1kt8c
    @user-pe5pc1kt8c Рік тому

    금강경은 해동성국(발해)때에 도선국사가 만들었답니다. 지금으로부터 6만1888년에 만들었답니다. 도선국사가 10권의 책을 저술했는데 그중에 하나가 금강경입니다.
    팔만대장경은 고구려때 조의선사가 95권으로 만들었답니다. 수보리는 사람의 이름이 아니고 깨달은자 뜻이며....고구려사람들을 도수련시키기 위해 만들었답니다. 그래서 한때 고구려사람들이 수련을 무지 많이 했지요.
    참고로 석가모니는 책을 쓴적이 없고 그제자들도 그 누구도 쓴적이 없습니다.
    석가모니는 수련중에 5년째에 천년수도한 영물 여우에게 홀려 뜻을 다 이루지 못했습니다.
    예수는 여우에게 홀려 아예죽임을 당했습니다. 여우주연상이란 말도 모두 여우가 만들어 놓은 것이고 최근 많은 사람들이 의문사로 죽고 화성연쇄살인도 개구리소년도 여우가 죽인것인데 아무도 모르죠. 여우는 사람을 혼을 빼먹고 산답니다.

    • @cellics
      @cellics Рік тому +5

      어느 우주에서 오셧나요

    • @BlueSea9988
      @BlueSea9988 Рік тому +5

      제발 미친소리 하지마

    • @jfbahk
      @jfbahk Рік тому +2

      천공스럽다.

    • @user-ts5jw5ub8c
      @user-ts5jw5ub8c 11 місяців тому

      이런것도 믿는구나

    • @kkw2401
      @kkw2401 5 місяців тому

      진지하게 보다가 여우주연상에서 빵터졌다. 개그 굿

  • @user-je1ig2le5c
    @user-je1ig2le5c Рік тому +1

    불교의 핵심 경전은 금강경이 아닙니다. 붓다의 핵심 사상도 공사상이 아닙니다.
    불교의 핵심 경전은 초전법륜경과 무아경, 대념처경 등입니다. 붓다의 핵심 사상은 사성제(연기법)와 팔정도입니다. 내용 수정해주세요.

  • @user-xl1mn2yk6p
    @user-xl1mn2yk6p Рік тому

    성철이 죽어서 나는 지옥에간다라고 고백했다

    • @user-mj2bx3gp4c
      @user-mj2bx3gp4c Рік тому +7

      성철스님은 자기 거짓말에 속지 말라 했어요, 자기 말 믿지 말라고 했어요

    • @aaba0125
      @aaba0125 Рік тому

      대가리에 든 것도 없으면서 무슨 자신감일꼬. 노망을 본인만 모를 뿐.

    • @mikewazowski9556
      @mikewazowski9556 Рік тому +1

      그래서?

    • @sosohapy
      @sosohapy Рік тому +1

      그 지옥이 뭘까요?
      요즘은 재가자들도 공부할 환경이 좋습니다

    • @user-ng2ve7id9s
      @user-ng2ve7id9s Рік тому +4

      이렇게 무지하니 답답해서 거짓말 했다는 거지. 자네같은 중생구제하러 지옥문에서 기다릴 큰 어른이셔.

  • @user-xl1mn2yk6p
    @user-xl1mn2yk6p Рік тому +1

    신이아닌 한낮 허무주의에 빠진 인간이 신으듯을 모른느데 무슨 이치라떠드냐 너희들은 감언이설하지마라 좀있으면 죽어 신앞에 어리석었음을 조아릴거니

    • @user-mr4ev9vh6q
      @user-mr4ev9vh6q Рік тому +13

      신은 인간의 나약함이 만든 허상..

    • @user-mj2bx3gp4c
      @user-mj2bx3gp4c Рік тому +7

      ​@@user-mr4ev9vh6q인간들이 치는 최고의 사기 중 하나가 종교

    • @ldavid2001
      @ldavid2001 Рік тому

      전광훈 미만 잡

    • @ursus-actors
      @ursus-actors Рік тому +1

      님이야말로 지금 금강경이 필요해 보입니다 실체 없는 신의 존재에 집착하여 정작 실체를 보지 못 하고 있으니깐요

  • @hur4017
    @hur4017 10 місяців тому

    결론은 책 홍보하는 영상 이었다는게 함정이네~

  • @user-ij2xh7gr6j
    @user-ij2xh7gr6j Рік тому

    하이고 수보리 어의운하

  • @user-lw8cb9vy4l
    @user-lw8cb9vy4l 8 місяців тому

    * 부처님의 영적4대 법칙과 예수님의 영적4대 법칙이 똑 같다. 영적4대 법칙은 자기의 뿌리다. 자기가 어떻게 해서 이 세상에 오는지, 어떻게 해서 저 세상으로 가는지 다 알 수 있다. 영적4대 법칙이 자기의 본 바탕이다. 믿음의 시작이 영적4대 법칙이다.
    영적4대 법칙을 모르니까. 스님, 신부, 목사, 각 종교 믿는 자들이 영과 신의 구별을 못한다. 모든 믿음의 기초, 기본 근본을 모르니까. 믿음이 정도로 갈 수가 없고, 바르게 믿지를 못한다. 전부 엉터리다.
    영적4대 법칙을 모르니까. 스님, 신부, 목사, 각 종교 믿는 자들이 영과 신, 영혼이 없다고 한다. 이것을 모르고 믿으니 엉터리다. 바보들이다. 있다.
    영적4대 법칙을 알아야 자기를 알고 자기중심으로 믿을 수 있다.
    세계 신앙 믿음 자체가 엉터리다. 꼭 영적4대 법칙을 알고 바르게 믿어야 복을 받는다.
    이런 법문은 서익수 외 세계 아무도 모른다. 내가 부처자라를 알기 때문에 부처다.
    경산 서익수

  • @user-dz5xl5fo9k
    @user-dz5xl5fo9k Рік тому

    불교도 모르면서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고
    이 업보를 어찌할꼬

    • @user-wq7iy9nh6j
      @user-wq7iy9nh6j 4 місяці тому +1

      오히려 그래서 더 객관적으로 영상을 만든것도 같네요. 모든것이 다 맞기는 어렵겠죠 불교전공자도 아니신것 같은데..하지만 이영상으로 금강경을 알게되시면 좋은일 아니겠습니까

  • @sanggeemin5160
    @sanggeemin5160 Рік тому +3

    감사합니다

  • @user-qj1md2zo4s
    @user-qj1md2zo4s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감사합니다.

  • @diamondsutra88
    @diamondsutra88 3 місяці тому

    감사합니다.

    • @kpsg
      @kpsg  3 місяці тому

      후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