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정리하다 보니 내가 윤영하급 고속함(PKG)을 엄청 좋아한다는것을 깨달아버림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102

  • @jojong_SMA1
    @jojong_SMA1  9 днів тому +47

    PKG 모음입니다. 그냥 별 생각 안하고 컨텐츠를 뽑았는데 뽑고 난 다음 보니 새삼 제가 PKG를 좋아한다는것을 깨달았습니다

  • @Luftwaff_e2
    @Luftwaff_e2 9 днів тому +26

    5:35 크윽... 400톤따리 고속함에서 이정도의 구경을!! 포방부, 드디어 미쳐버린거냐!

  • @acrossguysy
    @acrossguysy 9 днів тому +28

    5:34 전세계 최초 76km 함포 기네스북
    함포만 76km, 선체가 10배 정도 되보이니. 760km가 될 것이다.

    • @jinhyeonchoi4360
      @jinhyeonchoi4360 9 днів тому +6

      전은하계가 경악하고 스타워즈 제국군이 벌벌떠는 행성계 파괴급 주포...

    • @Erebus-v7l
      @Erebus-v7l 8 днів тому

      애가 멋도 모르면 가르쳐 주면되지 쪽주면되지

  • @armirad
    @armirad 9 днів тому +15

    다른건 몰라도 함명이 해군의 의지를 담은 배입니다
    말이 많아도 기억하기위한 배입니다

  • @spirits3380
    @spirits3380 9 днів тому +9

    첫영상-증오 두번쨰 영상-후회 세번쨰 영상- 사랑 서사 완벽하네 ㅎㅎㅎ

  • @가람김-w6s
    @가람김-w6s 9 днів тому +7

    5:35 자료.....미쳤냐고....ㅋㅋㅋㅋㅋㅋ

  • @DavidYun-vx4de
    @DavidYun-vx4de 9 днів тому +8

    바다를 가르면서 기동하는 윤영하급 고속유도탄함은 정말 멋있고 빨라 바다의 왕자답습니다.

  • @한파니
    @한파니 9 днів тому +15

    5:40 76km 함포

    • @블루레터
      @블루레터 9 днів тому

      오우... 우주전함 바이브인가요

    • @KCBJ-KH
      @KCBJ-KH 9 днів тому +1

      76km함포로 상륙지원하러가면 평지화해버리겠네..

    • @ocenian
      @ocenian 9 днів тому +1

      @@KCBJ-KH 명중하면 지구가 멸망합니다...

    • @조조-h5u
      @조조-h5u 9 днів тому +1

      우주전함 윤영하

    • @밤률-e7h
      @밤률-e7h 8 днів тому +1

      76mm 아닌가요?
      잘 몰라서....

  • @대빌-d8u
    @대빌-d8u 9 днів тому +10

    윤영하소령님.357정 승무원님들 감사합니다.

  • @aditatva
    @aditatva 8 днів тому +3

    세월이 흐르고 시간이 지날수록 용사들의 공로가 더욱 빛나게 가슴에 남습니다...

  • @할수있다-v2w
    @할수있다-v2w 9 днів тому +7

    아니 이 감성의 영상이 얼마만이에요? 다시 자주 올려주세요ㅎㅎ

  • @takagi.san.
    @takagi.san. 9 днів тому +6

    사실은 누구보다 PKG를 사랑하면서 왜 본심을 숨기는 걸까❤?

  • @잡채만세
    @잡채만세 9 днів тому +3

    군 인력 감소는 어느정도 무인화/자동화로 커버해야 하는 시점이 왔다고 생각함.

  • @winterkks
    @winterkks 9 днів тому +3

    전시 일때나 준전시 일 떄 나눠서 오토로 컴퓨터가 발사하는 시스템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함. 서해 북방이나 동해 북방을 준전시로 취급해서 사람이 눌러서 발사하는 것이 아니라 레이더에 걸리면 속도까지 크기까지 알아내는 것을 Ai가 판단해 ' 이것은 미사일이다 점점 더 가까히 다가오고 있다' 라는 것을 인식시켜 자동으로 발사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봅니다. 100초요? 그러면 1초내에도 발사가능해집니다.

    • @jojong_SMA1
      @jojong_SMA1  8 днів тому +2

      죄송합니다만 이미 그러고 있습니다

  • @gagosa6105
    @gagosa6105 9 днів тому +4

    윤영하급은 그냥 9척이나 아무리 잘봐줘도 12척으로 끝냈어야 했음. 그 아낀 돈으로 차라리 대형의 인천급을 3척 더 뽑았어야..
    인천급이 아무리 욕먹어도 대공 대잠이 되는 배이니까.

  • @서기장동지
    @서기장동지 9 днів тому +7

    윤영하가 다른건 모르겠고 외모만큼은 최고인 듯

  • @뿌에엥-i4d
    @뿌에엥-i4d 9 днів тому +5

    화력만이 답이다 -포방부-

  • @김완택-q6j
    @김완택-q6j 8 днів тому +1

    우리나라 서해 지역에 고속정 및 고속함 대신전투함을 선택한다면 수송과 고속 모든 것이 되는 미국의고속 수송선 스피어 헤드급 같은 쌍동선체형 선박을 추천합니다.
    전투함 크기를 1000톤 정도로 하고 무장을 전방에76mm함포1문,선체 좌우에 각각40mm 부포 2문 , 대함 미사일 발사대 와 대잠 헬기 착함장 그리고 소규모 수송력 을 가춘다면
    적합한 전력이 된다고 봅니다.단 무장을 선택적으로 구성하고요. 서해 5도 방어에 적합하고 윤영하급과 참수리 고성정 지휘함으로 6척 정도 배치하면 고속성과 수송 무장력 모두
    갗춘 전투함으로 생각됩니다.

  • @Stillmalfunction
    @Stillmalfunction 9 днів тому +4

    이게 그 츤데레인가 뭔가 하는 그건가?

  • @humberr1
    @humberr1 9 днів тому +3

    제동생이 조타사로 저거 타다 해안포 세례를 받고 퇴각했었다 하더라구요. 저는 참수리 타고 부산 한진중공업에서 저거 만드는거 군생활 내내 봤었습니다. 이래저래 군내에서도 결함땜에 불만이 많았죠

  • @FOBThe2ndFleet
    @FOBThe2ndFleet 9 днів тому +3

    그렇다 주인장의 최애 군함은 바로 윤영하급 고속함이였다

  • @대나무이쑤시개
    @대나무이쑤시개 9 днів тому +6

    애증이 넘치네요 ㅋㅋㅋ

  • @깡골프채널
    @깡골프채널 9 днів тому +5

    76km급 주포가 빗발친다!

  • @이준형-b6d
    @이준형-b6d 4 дні тому +1

    노봉 대신 한국형 ciws 달면 얼마나 좋을까

  • @user-yz6vb4wt4t
    @user-yz6vb4wt4t 5 днів тому +1

    전에 오타때문에 그래서인지
    76km함포 우주전함...

  • @Renlaw666
    @Renlaw666 9 днів тому +4

    왜 그러냐면 "로망" 이니깐

  • @엠마우엘
    @엠마우엘 9 днів тому +2

    이제 500톤미만 함들은 무인화에 연구를 해야한다는 생각이

  • @zic2222
    @zic2222 5 днів тому

    조종님의 PKG 영상을 보면서 고민해봤는대 닭잡는대 소잡는칼 쓸필요도 없고 북한같이 언제 어디서 도발을 할지 모르는 상황이라면 빠르게 모항에서 출항해 조치후 복귀를 할수있는 PKG가 부담이 없을것 같기도 합니다. FFG 밀어 넣어봐야 포항급 천안함같이 개같이 폭살당할거 생각하면 오히려 FFG 를 들이밀어놓는건 음.... 저같아도 부담스렇울거같아요

  • @Metis0850
    @Metis0850 8 днів тому +1

    윤영하급 스타디스트로이어 ㄷㄷ

  • @김태홍-m8o
    @김태홍-m8o 8 днів тому +1

    76km 함포면 거의 데스스타에서 발사하는 행성파괴 레이저 아니냐....

  • @zoneherb2478
    @zoneherb2478 9 днів тому +4

    포클랜드 전쟁 하편 기원 9번째

  • @탱탱꼬부랑
    @탱탱꼬부랑 9 днів тому +7

    썸네일이 제가 근무했던 지덕칠함이네요. 사관실에 가면 저 사진이 크게 붙어있습니다. 몇년만에 저 사진을 보니 옛생각이 많이 납니다. 비록 계륵이라 불리는 함정이지만 긴급출항, 발빠른 대응능력 등등 해군에서 요긴하게 잘 써먹는 함정이에요.

    • @김성현-u7r5t
      @김성현-u7r5t 9 днів тому +2

      해군에서5분대기역할함정이군요😊😊고생하셨습니다

    • @탱탱꼬부랑
      @탱탱꼬부랑 8 днів тому +1

      @@김성현-u7r5t감사합니다😊

    • @DanKim-bb6ix
      @DanKim-bb6ix 8 днів тому

      제 동기중에 지덕칠함 탄 친구가 있었는데 파고높아지면 해수유입 되고 방향 전환할 때 크게 배가 요동치는 등 문제가 많다고 이를 갈더군요 ㅋㅋ

    • @탱탱꼬부랑
      @탱탱꼬부랑 7 днів тому +1

      @@DanKim-bb6ix제가 근무할때에는 해당 이슈들은 없었는데 그사이에 생기거나 이미 해결된 상태에서 근무했을 수도 있겠네요! 당시에 문제는 임무 과잉으로 인한 샤프트 부러짐이 있었는데 이것도 개선품으로 교환하고는 괜찮아 졌었습니다. 친구분이 작은함정에서 고생이 많으셨겠어요…

  • @Mores7
    @Mores7 8 днів тому

    0:01 바다에 떠다니는 군함(?)인 항공모함

  • @주아이피스
    @주아이피스 9 днів тому +2

    40mm노봉을 떼고 CIWS장착하는걸 고려해봐야합니다'북한에서 대함미사일 날릴경우 대응이 안됩니다.뭐...잠수함은 포기해야죠.500톤급 함정에 소나는 무리죠 ㅋㅋㅋ

  • @joda1223
    @joda1223 9 днів тому +3

    은하간 결전 병기 "윤영하"

  • @김성현-u7r5t
    @김성현-u7r5t 9 днів тому +1

    화가나나는건
    군함건조할때3척씩끊어서건조하는이유가진수하고인수시험평가도중에결함이나보완할점을
    확인하고개선한후좀더보강해서그다음배치2로넘어가는건대
    이걸모르는사람들이있어속상해요

  • @therobe7122
    @therobe7122 9 днів тому +2

    713 조천형 타던 시절 생각나는 구나..

  • @정충호-j5f
    @정충호-j5f 9 днів тому

    오늘도 서해바다에서
    젊은 청춘의 고귀한 시간을 해군이란 군복을 입고 24시간
    바다를 지키는 해군 후배들에게 고마움을
    전하며
    당신들이 노고를
    잊지 않겠습니다.

  • @sobluebear
    @sobluebear 7 днів тому

    Pkg에서 쓸수있는 대잠 전용 드론형태 무인기가 필요하겠네요

  • @김완택-q6j
    @김완택-q6j 9 днів тому +5

    모든 것은 돈 ㅋㅋㅋㅋㅋ

  • @김용진-m2u
    @김용진-m2u 9 днів тому

    서해 NLL 경계에다가 해상 해중 해저 기뢰 살포하는 방법은?

  • @going987654
    @going987654 7 днів тому +1

    우리가 NLL(북방한계선)을 사수하기 위해 대형 함정을 투입하고 막대한 인력, 물자, 연료를 소모하는 방식은 비효율적이라는 점에서
    새로운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대 전장에서는 터미네이터 영화에서 등장했던 무기급 드론 같은 기술적 자산을 활용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육군의 5분 대기조처럼 함정을 즉시 출항시켜 적함을 감시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면 인력과 자원의 소모는 물론이고 전력 유지에도 큰 부담이 따릅니다.
    따라서, 적함이 움직일 경우 공격용 드론을 이륙시켜 레이저 조사와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적이 물러나지 않을 경우에는 드론을 활용해 1차 경고사격을 가하며
    필요 시 함정을 출항시키고 후방의 미사일 시스템을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이러한 접근은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적의 도발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연평해전 당시의 ‘밀어내기’ 작전은 비효율적일 뿐 아니라, 과도한 충돌로 인해 PKM-333 함수의 용골이 휘는 등 물리적 손상까지 발생했던 사례를 통해
    그 한계와 위험성을 명백히 보여줍니다. 이는 당시 충돌로 인한 충격이 얼마나 심각했는지를 단적으로 증명하며
    앞으로 이러한 무모한 작전이 반복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와 같은 비합리적이고 장병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지시를 내리는 지휘관은 책임을 묻는 차원을 넘어, 군의 전반적인 신뢰와 전투 효율을 훼손한 행위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이는 단순히 실수의 영역이 아니라, 국가 방위와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헌신하는 군인들을 불필요하게 희생시키는 행위로서, 마땅히 법적·도덕적 처벌을 받아야 할 사안입니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비효율적이고 위험한 작전 방식을 과감히 탈피하고, 첨단 기술을 적극 활용해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군의 지휘 체계는 이러한 전략적 변화를 반영해야 하며, 과거의 실패에서 교훈을 얻어 동일한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끊임없이 개선되어야 합니다.
    이는 단순히 국방력을 강화하는 것을 넘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장병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군의 책무를 다하는 길이라 생각합니다.

    • @jojong_SMA1
      @jojong_SMA1  7 днів тому +1

      적함이 움직일 경우 공격용 드론을 이륙시켜 레이저 조사와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적이 물러나지 않을 경우에는 드론을 활용해 1차 경고사격을 가하며필요 시 함정을 출항시키고 후방의 미사일 시스템을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 드론은 만능이 아닙니다. 적 전자전 공격에 취약하거든요. 이건 드론에 어쩔 수 없는 체급상 극복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님이 말한 주장은 정말 주장일 뿐 아직까지는 실현되기 어렵습니다.
      연평해전 당시의 ‘밀어내기’ 작전은 비효율적일 뿐 아니라, 과도한 충돌로 인해 PKM-333 함수의 용골이 휘는 등 물리적 손상까지 발생했던 사례를 통해 그 한계와 위험성을 명백히 보여줍니다. 이는 당시 충돌로 인한 충격이 얼마나 심각했는지를 단적으로 증명하며 앞으로 이러한 무모한 작전이 반복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와 같은 비합리적이고 장병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지시를 내리는 지휘관은 책임을 묻는 차원을 넘어, 군의 전반적인 신뢰와 전투 효율을 훼손한 행위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이는 단순히 실수의 영역이 아니라, 국가 방위와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헌신하는 군인들을 불필요하게 희생시키는 행위로서, 마땅히 법적·도덕적 처벌을 받아야 할 사안입니다
      -->교전수칙 바뀐지 거의 20년 다 되갑니다. 대청해전 검색하세요. 군은 명령에 따라 싸우고 명령에 복종하는 조직입니다. 교전수칙을 준수하다 군인들이 희생된건 불필요한 희생이 아니라, 숭고한 희생입니다. 교전수칙이 잘못됐다라고 말하는거면 이해는 해도 교전수칙을 지키다가 희생된 군 장병이 불필요하게 희생되는 행위다? 미필이신지요
      결론적으로, 기존의 비효율적이고 위험한 작전 방식을 과감히 탈피하고, 첨단 기술을 적극 활용해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군의 지휘 체계는 이러한 전략적 변화를 반영해야 하며, 과거의 실패에서 교훈을 얻어 동일한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끊임없이 개선되어야 합니다. 이는 단순히 국방력을 강화하는 것을 넘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장병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군의 책무를 다하는 길이라 생각합니다.
      -->이미 하고 있습니다. 국방 예산을 좀 늘려주세요

  • @assine2000
    @assine2000 9 днів тому +1

    마지한다 x -> 맞이한다
    파편방지라이더 x -> 파편방지라이너
    태클아닙니다 문법나치올림

  • @전은명
    @전은명 9 днів тому +1

    운영비 차이가 많이납니다

  • @이기성-v1h
    @이기성-v1h 9 днів тому

    우리 다시 입대 합시다...
    운연원이 문제 입니다

  • @군필푸리렝
    @군필푸리렝 9 днів тому +2

    pkg로 몇개를... 그런만큼 자세한 영상이네여.

  • @sin10babo10
    @sin10babo10 8 днів тому +1

    나로호도 만드는 시절인대 그깟 참수리호.. 개쩌는 물건 하나 만들어 보소 금액은 신경쓰지마쇼 내 자식 내 전우가 타는 개쩌는 배 하나 만드는대 태클 거는 인간이 이상한거니까 윤영하소령이 지배하는 서해바다에 개쩔고 두번 쩌는 참수리 고속정 함 만들어 보자

  • @chiminsong2598
    @chiminsong2598 9 днів тому

    Pcc와 레이더 비교시 오타가 있어요

  • @김용진-m2u
    @김용진-m2u 9 днів тому

    기러기 - 참수리
    백 구 - 검독수리

  • @godzilegegd-g9p
    @godzilegegd-g9p 9 днів тому +2

    근데 솔직히...생긴건 멋있음 ㅋㅋ

  • @정아그래
    @정아그래 9 днів тому +3

    국토수호의 영웅들에게 경위를 표합니다!!!

    • @umt8025
      @umt8025 8 днів тому

      경위가 아니라 경외겠지

  • @changhyunjeong2165
    @changhyunjeong2165 9 днів тому

    본격 PKG 악개 조종

  • @선빵필승-t9t
    @선빵필승-t9t 9 днів тому +2

    까가 빠를 만든다 ㅋㅋ

  • @minivelobike
    @minivelobike 9 днів тому

    400톤급 치곤 과무장인건 맞음.ㅋㅋㅋㅋ

    • @entrophy2422
      @entrophy2422 9 днів тому

      이스라엘 사르4.5에는 동급함정에 76mm포 펠링스ciws 대함미사일 6발 대공미사일 32발 탑재하고 있습니다
      윤영하급은 그에 비하면 애교죠

  • @user_k_hunter
    @user_k_hunter 9 днів тому

    윤영하급은 가성비가 좀 그럼

  • @canButter
    @canButter 9 днів тому +1

    우리나라 배들 설명 들으니 기괴하네
    1. 배는 과무장임.
    2. 천안함 이후 작은 급의 배에도 대잠 성능이 필요함
    3. 그러다보니 승무원 거주성이 그지임.
    4. 앞으로는 인구수도 줄어서 인력감축도 해야함. 그런데 배가 과무장이라 할게 많음. 한 사람이 여러 일 해야함.
    5. 북괴 상대하려는 배랑 잠재적국인 중국 상대하려는 배는 방향이 다른데 국방비는 한정되어 있어서 기괴한 배 설계를 요구

    • @뿌에엥-i4d
      @뿌에엥-i4d 9 днів тому

      대부분 장거리를 요구받지 않으니 특정급 이하면 과무장이 심해지죠

    • @가람김-w6s
      @가람김-w6s 9 днів тому

      답은 자동화다.
      AI 동무 자진 입대를 환영한다!

  • @이재룡-r6f
    @이재룡-r6f 9 днів тому

    배경음악 좀 치워라~~

  • @user-PPT
    @user-PPT 8 днів тому +1

    쿨찐이긴하네 ㅋㅋㅋㅋㅋ 이악물고 ㅋㅋㅋㅋㅋ 대댓글 거의 키배뜨시더니...ㅋㅋㅋㅋ

    • @jojong_SMA1
      @jojong_SMA1  8 днів тому +1

      혹시 쿨찐이 뭔 뜻인지 모르시나요
      namu.wiki/w/%EC%BF%A8%EC%B0%90#s-4.1

    • @user-PPT
      @user-PPT 8 днів тому +1

      @jojong_SMA1 비전공자 비전문가 설사 해군비근무자가 만드는 영상들에 어떤 전문성이 있는지 모르겠네요~

    • @jojong_SMA1
      @jojong_SMA1  8 днів тому +2

      ​@
      전문가행세를 했는가? X
      해군 출신인척 했는가? X
      틀린 정보를 수정했는가? 0
      위 사항을 꾸준히 공지를 했는가? 0
      결론: 꼬우면 구독취소 하고 꺼져

  • @정수환-y1c
    @정수환-y1c 9 днів тому

    마. 고마해라 쫌 있으면 퇴역 할 때 되어갈텐데 말들이 너무 많다

  • @여행-j2p
    @여행-j2p 9 днів тому

    나도 참수리정이 왠지 좋은데 잘봤어요.

  • @신동환-i2l
    @신동환-i2l 9 днів тому

    북한은 이중선체로 계량했다지요 그렇게 포를 쏴도 침몰하지 않았다는거를 알게 되면서 ᆢ해군은 포탄을 철갑 시한장약으로 업글했다고 들었습니다

  • @이정근-v6k
    @이정근-v6k 5 днів тому

    PKG 함선형은 수려함 무장도충실하다
    뭐가불만이냐? .PKMR 함교가 높고 무장도그렇고 엿같다

  • @이재갑-y2f
    @이재갑-y2f 9 днів тому

    왜90미라함포는채택하지않앟는지궁금 윤영하급은90밀리함포가더융ᆢㄷㅇ햇을텐데말이죠

    • @김남식-i3q
      @김남식-i3q 9 днів тому

      육군 전차포와 해군 함포는 전혀다릅니다. 일단 탄도계산이 달라집니다. 파도가 치고 사거리도 더 깁니다. 저차교전거리와 다릅니다. 근데 90밀리전차포를 함포로 만들려면 처음부터 장거리 사격을위한 탄도계산기와 레이더연동 조준시스템을 다 새로 개발해야합니다. 눈으로 보고 쏘는 게 아닙니다. 하지만 76밀리함포는 이미 기존에 개반되어 수십년간 운용되어진 체계이죠.

    • @김남식-i3q
      @김남식-i3q 9 днів тому

      심지어 90밀리전차포가 아니라 포 자체부터 개발한다면 처음부터 포부터 개발해야하므로 돈과 시간은 더필요하고요.

    • @isjoo6501
      @isjoo6501 9 днів тому

      연안 초계함은 말그대로 초계함으로 생각됨 PKG 정도의 무장에 방어력은 FFG의 간략형 정도로 보는게 타당할듯
      계념도를 보고 추정 하자면 무장은 76mm 함포 1문, 대함 미사일 경사발사기 4×2(해성 8발), 대공 미사일 kvsl 4셀(해궁 16기),경어뢰 발사관 3×2(청상어 6발) CIWS(없음), RCWS 2~4기, 폭뢰등이고
      대해상 대공 탐지,경보 및 전자전, 대잠체계는 FFG 동급 내지는 마이너급
      헬기 운용 능력은 연안 초계함이라 없고 공중, 해상, 수중 드론운용 가능
      고속 보트 운용가능 정도가 아닐까하며 예산은 물가 상승을 가만하면 울산급 비슷하지 않을까 합니다
      3함대 모두 배치시 9척 서남해에 배치시 6척 남해에만 배치시 3척 정도

  • @zang1210
    @zang1210 9 днів тому +1

    다들 그렇게 PK게(G)이가 되는거야

  • @Killzhinagou
    @Killzhinagou 9 днів тому

    왕참수리..

  • @koso5697
    @koso5697 7 днів тому

    정말 방구석 전문가네

  • @이의섭-k6r
    @이의섭-k6r 8 днів тому

    대잠, 대공 요격 미사일 능력이 없는것이 아쉽군요.그냥 죽으라는 거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