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을 포기하고 내려놓았을 때 비로소 깨달음을 찾을 수 있다 - [법상스님의 육조단경과 마음공부 32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чер 2024
  • 자신을 강하게 밀어붙이는 수행은 최선이 아니다
    0:00 공부 상태를 규정하려는 것은 나쁜 습관이다
    10:17 깨달음을 느끼는 순간은 사람마다 다르다
    22:08 모양의 세계속에서 찾은 진리는 모양이 없다
    33:07 다양한 지식 습득이 가능해졌지만 진짜와 가짜의 구분이 명백해졌다
    법상스님 말씀 들어봅니다.
    #불교 #법상스님 #법상스님의 육조단경과 마음공부
    단 1분 만에 성공하는, 유튜브 정기 후원
    💗😍💗 online.mrm.or.kr/XoEJ63x
    더 좋은 콘텐츠로 보답하겠습니다
    ●BTN불교TV 유튜브 구독하기
    bit.ly/3k5nt10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КОМЕНТАРІ • 36

  • @user-sy9fi2do2y
    @user-sy9fi2do2y 3 місяці тому +7

    부처님 감사합니다 법상스님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

  • @user-dw8bl6jj6c
    @user-dw8bl6jj6c 3 місяці тому +6

    법상스님 오늘도 고맙고 감사합니다.

  • @user-wr9br5mh5u
    @user-wr9br5mh5u 3 місяці тому +6

    스님 감사드립니다

  • @6Paramitas_
    @6Paramitas_ 3 місяці тому +6

    감사합니다. 나무관세음보살🙏🪷

  • @user-oc5nl6mu1m
    @user-oc5nl6mu1m 3 місяці тому +5

    인자하시고 자상하신 법상스님 감사드림니다.

  • @user-ys1sj5qh3c
    @user-ys1sj5qh3c 3 місяці тому +6

    감사합니다 스님 좋은 법문 최고입니다 🎉

  • @user-lk2up2xf2n
    @user-lk2up2xf2n Місяць тому

    귀한 법문 감사히 잘듣겠습니다. 너무 너무 감사합니다.스님 존경하고 사랑합니다.

  • @user-up8wz7bj1r
    @user-up8wz7bj1r 3 місяці тому +3

    いつも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 @user-if8hq1we2i
    @user-if8hq1we2i 3 місяці тому +4

    감사합니다 🙏

  • @user-hm7zp2lm7b
    @user-hm7zp2lm7b 3 місяці тому +3

    🙏🙏🙏 ❤ 감사합니다

  • @sookja5248
    @sookja5248 3 місяці тому +3

    감사합니다^^

  • @user-or7hl5rm3g
    @user-or7hl5rm3g 2 місяці тому +1

    감사합니다.

  • @user-kr4fi9uz7d
    @user-kr4fi9uz7d 3 місяці тому +3

    법상스님 💙
    항상 고맙고 감사합니다 🙏

  • @user-db9mu7yf4t
    @user-db9mu7yf4t 3 місяці тому +4

    고맙고 고맙습니다~~~

  • @user-zg6cu4dr7s
    @user-zg6cu4dr7s 3 місяці тому +3

    법상쉼^" 육조단경 ^"마음공부 산책하며 잘들었습니다😂❤😂

  • @user-mr1un5zj9h
    @user-mr1un5zj9h 3 місяці тому +5

    무한감사합니다 🙏

  • @matthewchoi6320
    @matthewchoi6320 2 місяці тому +3

    감사합니다 ❤❤❤

  • @user-fg3wx3yz6w
    @user-fg3wx3yz6w 3 місяці тому +4

    스님 귀하신 법문 감사드립니다.🙏🙏🙏

  • @user-xd8tm2qw3h
    @user-xd8tm2qw3h 3 місяці тому +2

    옴마니반메훔 소원성취 만사형통

  • @Songjuk125
    @Songjuk125 3 місяці тому +2

    오늘도 감사합니다 🙏🙏🙏

  • @user-xq2ig6yc8f
    @user-xq2ig6yc8f 3 місяці тому +3

    감사합니다 스님

  • @user-gt6tw8lg3v
    @user-gt6tw8lg3v Місяць тому

    스님 고맙습니다

  • @user-nz2vs4cw9i
    @user-nz2vs4cw9i 2 місяці тому +1

    조금씩 가슴에 와닿는 법문 무한 감사합니다♡

  • @hyunboklee971
    @hyunboklee971 2 місяці тому +2

    고맙습니다
    햇살처럼 스며드는. 법문입니다
    무한 감사합니다.

  • @user-np9sy5hj5g
    @user-np9sy5hj5g 3 місяці тому +1

    존경하는 법상스님 귀한 법문 고맙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mkseo9778
    @mkseo9778 3 місяці тому +1

    법상스님 감사합니다
    성불하십시요 🙏🙏🙏

  • @user-ie4kl1tt9w
    @user-ie4kl1tt9w 2 місяці тому +2

    인터넷세상이 불교의 전수에 적합하다
    양자물리학과 불교의 이해 및 과학으로 설명을 도울 수 있어서 불교의 대단함을 일았다

    • @hyunboklee971
      @hyunboklee971 2 місяці тому +1

      맞습니다.
      신기합니다.

  • @user-kh1eh4yn5n
    @user-kh1eh4yn5n 2 місяці тому +1

    🙏🙏🙏

  • @user-ot9gg5fj7u
    @user-ot9gg5fj7u 3 місяці тому +2

    감사합니다

  • @user-rp1tz3em8s
    @user-rp1tz3em8s 3 місяці тому +1

    불법승 삼보에 귀의합니다(-💞-)
    소중하고 삶의 길잡이가 되는 존귀한 법문 감사드립니다(-💞-)

  • @unison-ub2eb
    @unison-ub2eb 2 місяці тому +2

    그러하기에~
    내려놓음에 있어 모든걸 자의적으로 포기하고 모든걸 체념하여 내러놓을수 있으나 ~
    위~방편들은 일반중생들에게 잘못인식 되어진다면~포기ㆍ체념ㆍ뒤 깨달음이 아닌 자살이라는 인생마지막으로 이어질수있는바~
    아무리 방편이라 하지만 순화되어지는 표현이면 더 좋을듯싶다ᆢ
    다시말해~
    모든인생사를 포기 하고 내려놓는다 하여ㆍ깨달음 해탈이 알아서 찾아오는것이 아니라는것이다~
    버티고 버티고~
    집착하고 애착하고~
    이런 업에 고리가 수없이 반복되었을시 어느한순간~
    내려놓는것이 아닌~
    내려놓아진다는것을 알아야 할것이며~
    깨달으려 애쓰고 집착한다 하여 깨달아 지는것이 아닌~
    이 또한 목숨걸고 업장소멸에 포기없이 매진매진 하다보면 문뜩 모든 업들이 놓아지고 깨달아진다는것이다ᆢ
    그러니 모든걸 내려놓는다ㆍ포기한다는 표현은 일반중생들에게는 내인생 모든걸 포기하여도 될수있지 않을까 하는 착각에 가르침을 줄수있으니~
    좀더 지혜로운 표현법이 따라야 할듯싶습니다ᆢ~
    자살률 높은 이생애 모든중생들을 부처에 대손~대눈으로 지켜줄수있는~
    그런 대부처가 환생되어질 날을 바래보며 몇글남기어 봅니다ᆢ

  • @user-cz2jr3fb4d
    @user-cz2jr3fb4d 3 місяці тому +4

    못찾겠다 꾀꼬리 8년??❤❤❤❤❤

  • @user-mr1un5zj9h
    @user-mr1un5zj9h 3 місяці тому +3

    무한감사합니다 🙏

  • @user-nz2vs4cw9i
    @user-nz2vs4cw9i 2 місяці тому +1

    감사합니다.

    • @BTNWORLD
      @BTNWORLD  2 місяці тому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