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cpu온도 시작하자마자... 97도 청소하고 서멀도 발랐는데... 실화냐.. 원래 그런거야?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КОМЕНТАРІ • 34

  • @barocom
    @barocom 5 років тому +7

    영상 잘봤어요 ^^
    몰랐던 방법인데 사장님덕에 좋은거 알게되네요
    저는 주로 구형이나 저사양인데 최신운영체제깐다고 노트북에 좀 부담이 되는 10을 깔았을때 온도가 심하게 오르더라구요 cpu가 연산할게 많으니 쉬지도 못하고 계속 온도누적으로 온도가 안떨어지던데
    다음에 잘 기억하고 있다가 써먹어봐야겠네요 ^^

  • @wayneyoon
    @wayneyoon 3 роки тому +2

    10년된 코어2듀오 노트북이 팬청소는 물론이고 싸멀 재도포며 시작프로그램 다 죽여놨는데도 이증상이라 이상하다 생각했는데, 이방법대로 프로세서 조정을 하니 확실히 효과가 있네요.

  • @koreanblacksmith
    @koreanblacksmith 3 роки тому +3

    해당 문제는 보통 히트파이프가 잘못된 경우가 많았습니다. 히트파이프에서 열전도가 중간에 끊기더라구요

  • @금손-s6i
    @금손-s6i 3 роки тому +1

    2% 낮추니까 온도가 낮아졌네요! 이런 방법이 있었다니. 감사합니다

  • @KK_Kim
    @KK_Kim 3 роки тому +1

    실질적으로 터보부스트 끄는거기 때문에 90 프로나 99프로나 동작클럭이 같더라고요. 제노트북기준으로 말씀드리면 터보부스터 이전 기본클럭은 2.5기가 헤르츠면 터보부스트는 최대 4.5기가 헤르츱니다. 차이가 많습니다. 성능 1프로나 10프로나 기본클럭동작됩니다

  • @sufutensecronen4186
    @sufutensecronen4186 Рік тому

    노후화된것도 크긴한데 저사양 구형 노트북에 윈10을 깔아서 더 cpu가 벅차하는게 맞긴해요. 저도 비슷한데 윈7까니까 무슨일이있엇냐는 듯이 원래대로 멀쩡해지더라구요.
    써멀재도포, 팬청소, bw100뿌려주기 등 다 해줘도 윈10깔면 애초에 무게가안나가는 운영체제가 아니라서 점유율이 있을수밖에요.
    근데 문제는 그 상태에서 다른거까지하면 창하나띄우거나 유튜브 720 영상같은거만 봐도 cpu가 그냥 아무것도아닌건데 더 힘들어하죠.
    그래서 미친듯이 팬이 돌고 열이오른다면, 그건 윈10을 쓰기엔 좀 벅찬 노트북이라는거죠. 윈7쓰는게 좋은데~!!!
    그러나 방법은 있습니다.
    저같은경우 바이오스에 스피드스텝(유사 터보부스트) 옵션이있어서 2.53? 정도 cpu를 2.00정도 이하로 밖에쓸수없게끔 제한해서 돌리니 윈10도 그냥 미약한 열로 조금 늦지만 괜찮게 돌아가더라구요.
    애초에 노트북은 hz를 너무 높혀서 사용하면 전력이 많이 먹어서 열도 존나 많아져요. cpu hz를 낮춰서 쓰는게 답이죠. 이 영상의 방법이나 바이오스상에서 제한이 가능하다면 그렇게 쓰면 좋겠죠.
    아까 말했듯이 윈7쓰는게 좋긴한데.... 누가 씁니까, 서비스도 다끝나서 언제 삑날지도 모르는 상태에 윈10에는 자동으로 드라이버 다잡고 필요한 부가서비스도 다 제공하는데 운영체제 삑나도 복구도 쌉회복해주는 10을 누가 안씁니까, 사무용으로 쓴다고 쳐도 구형노트북에 윈7깔아쓰는분들이 많지는 않죠.. 좀 극단적이긴 하지만 무튼 그렇습니다. 하지만 7쓰는분들은 나름대로 그런장점들이 굳이 필요없이 조심해서 잘쓰시니깐... 상관은없겠네요.
    무튼 결론은,,,, 윈10은 안그래보이지만, 무게감이 있는 운영체제다!!! 설치하면 20기가나 잡아먹는데요~~~ 무거운거죠

  • @서민석-c6e
    @서민석-c6e 2 роки тому +1

    오 1프로 낮추고 10도이상을 낮춘다.좋은방법이네요...답없는 피씨한테는 아주좋은방법이네요.

  • @봉팔이-o3e
    @봉팔이-o3e 5 років тому +3

    ㅋ라면 끓여 먹어야겠네요 오래간만에 영상이 더위 조심하세요

    • @TV-sq4sh
      @TV-sq4sh  5 років тому +1

      네 날이 덥네요 건강하시구요^^

  • @wonseokyang3200
    @wonseokyang3200 4 роки тому +3

    ㅋㅋㅋ 저거 제가 가지고 있는 모델인데 파빌리온 g6ㅋㅋ 써멀 재시공하니 한 50도 유지중입니다.

  • @배움-c3k
    @배움-c3k 5 років тому +1

    유용한 팁 감사드립니다.

    • @TV-sq4sh
      @TV-sq4sh  5 рок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시구요.

  • @wehapil
    @wehapil 4 роки тому

    10여년 전에 산 울트라씬 노트북인데요. 유튜브 같은 스트리밍 동영상 시청하면 표준화질 고화질 안 따지고 기본 70도부터 시작하는데요. 1080p 화질은 곧바로 85도 찍습니다. 서멀구리스 재도포하고 청소도하고 가끔 쿨링팬이 굉음도 나서 내친김에 새제품 구매해서 재장착했습니다. 그런데도 2, 3도 감소효과 밖에 없네요. 아이들상태에서 40대 후반 인터넷 하면 60도 유튜브는 위에서 기술한대로 입니다. 구리스 몇번씩 다시 발랐고 쿨러도 정품 새거 달았지만 효과없고 xtu 쓰로틀스탑으로 전압조정하려니 구형이라 실행이 안되네요. 제가 해결하고 싶은 핵심은 온도가 안떨어지니 쿨링팬이 쉬지 않고 돌아가서 소음으로 머리가 아픕니다. 그렇잖아도 정품 쿨링팬 소음이 한번 돌기 시작하면 예전부터 장난이 아닙니다. 팬 분리한 후 비싼 미네랄 오일까지 발라주며 정성을 쏟았는데 노트북이 너무하네요. 온도가 전반적으로 10도씩만 떨어져도 요란한 팬 소음 좀 덜 들을 수 있을거 같은데 덧없는 희망일까요?

    • @TV-sq4sh
      @TV-sq4sh  4 роки тому

      해보실수 있는 부분은 다해보신것같네요 회로를 변경해서 언더볼딩하는 방법은 있지만 위험히고 회로도 없이는 힘듭니다

  • @TWINSLG-nj3rj
    @TWINSLG-nj3rj 2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옛날 노트북 삼성nt~ec530인데요
    동영상 볼때도 윈도우 화면
    볼때도 색상이 재색상이 안나오는데요
    좀 어둡고 ...색상이 안 맞아요
    최신버전 깔아서 업해도
    똑같아요
    온보드라서 그런다고 하던데....
    해결 방법이 없을까요???
    선명하진 못 해도 색상
    재 색상 나와서
    동영상 보는네
    지장 없게요

  • @존경하는베논
    @존경하는베논 4 роки тому

    제 노트북이 에이서 3820tg 2010년식인데요 cpu 방열판이 절반이 검은부분인데 써멀구리스 재도포하고 쿨러 청소햇는데도 유튜브만 1080p로 켯는데 60~75도 왓다갓다하네여 ㅠ 저방법으로해도 똑같은데 또 다른 방법없을까여?ㅠㅠ 방열판을 바꿔야하나여??

  • @Nonsans얼음속붕어
    @Nonsans얼음속붕어 5 років тому +3

    저한테 보내세요 밥하는 열판으로 쓸테니까요😄😃
    암페어 많이 묵네용 ㅎㅎ
    제꺼는 아톰cpu 인대 열 많이나는대 방법이 없어요 히히""

    • @TV-sq4sh
      @TV-sq4sh  5 років тому

      전설의 아톰 이시군요 ^^

  • @송제-d4g
    @송제-d4g 5 років тому +2

    채굴프로그램 설치여부도 확인해야 합니다.
    프로그램들 다운받아 설치하는중 간혹 본인도 모르게 설치되어 좀비피씨가되어 씨피유 백프로 가까이 로딩시킵니다.

    • @TV-sq4sh
      @TV-sq4sh  5 років тому +1

      ㅎ 이런경우도 있을 수가 있겠군요.

    • @송제-d4g
      @송제-d4g 5 років тому +2

      한때 모 유명한 동영상플레이어 설치시 깔려서 노트북 날려 먹으신분들좀 있으실겁니다. 저도 걸려서 청소구리스 작업 했는데도 팬이 풀로 돌길래 하드웨어모니터 띠우고 프로그램 문제구나 하고 보니 깔려 있었습니다.
      다른노트북이나 데스크탑에서도 2번정도 확인 했었구요.
      뭐 요즘은 비트코인이 죽어서 잘없긴 하겠지만 이전에 걸리고 모르고 그냥 쓰시는분들도 있으실겁니다.

    • @TV-sq4sh
      @TV-sq4sh  5 років тому +1

      @@송제-d4g 좋은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 @박성준-k7g7l
    @박성준-k7g7l 4 роки тому

    저정도면 쿨러쪽에 문제가있는거임 히트파이프나

  • @jdk8606
    @jdk8606 5 років тому +1

    잘보았어요.

    • @TV-sq4sh
      @TV-sq4sh  5 років тому

      네 저도 잘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

  • @꽃달무리
    @꽃달무리 5 років тому

    저도 아이들상태에서 8~90도를 기웃거리고 인터넷만 켜도100도 에 육박합니다 2시간 게임 플레이 중 성능저하도 없었을뿐더러 점유율도 60이 넘어가질않습니다 빠져나오는 바람도 시원하고,써멀재도포후 재부착해도 그러는데ㅜㅠ 메인보드 문제일까요!
    i7 7700k/gtx1660ti
    바이오스타 메인보드입니다

    • @TV-sq4sh
      @TV-sq4sh  5 років тому

      데탑은 잘 모르겠지만... 점유율 60정도에 온도가 100에 육박한다면 메인보드라 단정하기 힘들지만 문제가 있긴 하네요.

  • @jsm8263
    @jsm8263 4 роки тому +1

    90도 100도 넘는씨퓨들 신기하네요

  • @slaudwn6110
    @slaudwn6110 5 років тому

    이건 그냥 기본형의 써멀 발라서 그런거지 다른 문제는 아닙니다...노트북의 경우는 리퀴드 발라주는게 가장 효과가 좋습니다.
    물론 물성이고 전도성 써멀이라 바를때 조심해야 하지만 효과를 보려면 어쩔 수 없이 리퀴드 발라야 합니다.
    특히나 노트북이나 그래픽카드의 경우는 일반적인 써멀 발라봐야 기존 출고시 발려져있던 써멀 이상의 성능은 절대 안나옵니다.
    CPU에 맞는 써멀이 정상적으로 발려져있는 상태라면 CPU 로드율이나 온도 관련된건 신경쓸 필요가 없습니다.
    영상에서도 설명이 좀 잘못된거 같은데...
    윈도우 초기 부팅시는 여러 프로그램들이 동시에 로드되면서 CPU 로드율을 올리는 것이라 당연히 온도가 높은 것이고
    말씀하신 전원관련 설정을 할 시기는 이미 시작 프로그램들이 로딩이 된 후라서 로드율이 떨어져 온도가 떨어진 것이지 그 1% 낮췄다고 온도가 떨어진것은 아닙니다.
    CPU성능에 맞지 않는 써멀을 발라서 발생한 문제인데
    멀정한 CPU의 성능을 떨어뜨려서 CPU온도를 잡으라고 팁이라고 말씀하시는건 좀 아닌거 같습니다.

    • @TV-sq4sh
      @TV-sq4sh  5 років тому +2

      영상의요지를 잘못 이해 하신것 같네요 초기 로드율이 올라가면서 온도가 올라가거나 전류량이 증가하는것은 맞습니다만 하지만 영상에서 전류값에 주목하는 이유는 서멀에 관계없이 전원부가 노후화가 되면 노이즈 등으로 해결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는 겁니다 그리고 배출되는 부분의 설계 오류로 열배출이 힘든 모델도 많습니다
      새제품이 시작하면서 90도 이상 올라간다면 그때도 전도성 서멀 바르라고 하실건지...
      그리고 전도성 서멀의경우 위험성을 알면서 바르라고 하는건 더 무책임한 이야기가 될것 같습니다 간단한 범위 내에서 큰 지식 없이도 낮출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그러게 하는것이 맞다고 봅니다
      긴글로 자적하주신 것은 감사합니다

    • @wonseokyang3200
      @wonseokyang3200 4 роки тому

      네? 리퀴드를 바른다고요? 놋북에? ㄷㄷㄷ

    • @OLOIOF
      @OLOIOF 4 роки тому

      ㅋㅋㅋㅋ 도라이바님이 님보다 더 잘알아요. 인터넷 좆문가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게되는 계기가 된것 같습니다. 해외에서 써멀 관련 이슈 실험 결과 별 차이가 없다고 결론 났고 현재 유튜브 검색하시면 각 써멀 제품의 도포로 인한 차이는 많이 없습니다. 님말 믿고 비싼 써말 사서 바르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네요. 그리고 그마나 cpu 뚜따를 해야 님이 말한 정도의 온도 하락의 느낌은 오겠네요.